KR101518582B1 -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582B1
KR101518582B1 KR1020130111310A KR20130111310A KR101518582B1 KR 101518582 B1 KR101518582 B1 KR 101518582B1 KR 1020130111310 A KR1020130111310 A KR 1020130111310A KR 20130111310 A KR20130111310 A KR 20130111310A KR 101518582 B1 KR101518582 B1 KR 10151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rdnance
pipe
ordinat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739A (ko
Inventor
백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1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5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곡관부에 부착된 카본을 제거할 때 픽스컵 내에 안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픽스컵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가 전기집진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는, 곡관부 내에 부착된 카본을 제거할 때 픽스컵 내에 수용된 안수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픽스컵 내로 안수를 공급하고, 상기 수위가 특정 수위를 만족하면 안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안수 공급부를 포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APPARATUS FOR MAINTAINING WATER LEVEL OF ELBOW SECTION IN ASCENSION PIPE}
본 발명은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곡관부에 부착된 카본을 제거할 때 픽스컵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탄화실을 구비하는 코크스 오븐은 장입차를 이용하여 탄화실에 석탄을 장입한 후, 약 1240℃ 이상의 온도로 약 26시간 동안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고 가열함으로써, 코크스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건류작업'이라고 하는데, 건류작업이 끝난 코크스는 탄화실의 메인도어를 인출하여 오픈시키고, 압출기의 램에 의해 탄화실로부터 배출되어 트랜스퍼카의 코크스 가이드를 통해 소화차에 적재된 후 소화탑으로 이송되어 소화되는데, 탄화실로부터 코크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압출기와 트랜스퍼카는 탄화실 메인도어를 폐쇄시키고, 탄화실 내에 석탄을 재장입하여 건류작업을 반복 수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류과정 중 발생한 코크스 오븐 가스는 상승관(100) - 곡관부(70) - 수집관(60) - 전기집진기(미도시)의 순서로 이동된 후 화성공장에서 정제되어 각 공장의 연료로 사용된다.
이때, 곡관부(70)로 유입된 코크스 오븐 가스는 스프레이 헤드(50)로부터 배출되는 안수에 의해 일시적으로 냉각된 후 픽스컵(600) 내에 수용된 안수의 수위에 따라 가스 이동로(620)를 통해 수집관(60)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코크스 오븐 가스 중 일부가 고열에 의해 열분해되면서 곡관부 내부 벽면에 카본(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카본(10)은, 반복적인 건류과정에 의해 곡관부(70) 내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결국 코크스 오븐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코크스(C) 건류과정 중 작업자가 곡관부 점검구(80)를 통해 수시로 카본(10) 부착상태를 확인하고, 일정 이상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왔다.
곡관부(70) 내의 카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안수가 배출되는 스프레이 헤드(50)를 잠근 후 곡관부 점검구(80)를 개방시켜야 하는데, 스프레이 헤드(50)를 잠그게 되면 더이상 픽스컵(600) 내로 안수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픽스컵(600) 내에 수용된 안수는 픽스컵 배출구(610)를 밀폐하고 있는 딥파이프(63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픽스컵 배출구(610)를 통해 배출되는데, 딥파이프(630)는 곡관부(70) 외부에 설치된 실린더(640)와 피스톤 로드(650)로 연결되어 작동된다.
이러한 딥파이프(630)의 반복적인 승/하강에 의해 픽스컵 배출구(610)와 딥파이프(630)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한 씰링이 마모되고 유격이 발생하여 안수가 조금씩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곡관부(70) 내에 부착된 카본(10)의 양이 많아 카본(10) 제거작업이 길어지게 되면 픽스컵(600) 내에 수용된 안수의 수위가 점차 낮아짐에 따라 곡관부 점검구(8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가스 이동로(620)를 따라 전기집진기(미도시)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대량의 산소와 뜨거운 코크스 오븐 가스가 동시에 전기집진기(미도시)로 유입되면 순간적으로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수집관(60)에 유입되는 산소의 농도를 1%이하로 관리하였으며, 만약 산소의 농도가 1%를 초과하게 되면 전기집진기(미도시)의 작동을 중시시킨 후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였다.
곡관부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종래의 "곡관부 클리닝 장치(공개특허 10-2012-0132787)", "코크스 장입차 곡관부의 카본 제거장치(등록특허 10-0805707), "탄화실내 가스상승관 곡관부의 카본 제거장치(등록실용신안 20-0181024)" 및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공개특허 10-2006-0068566)"에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곡관부 클리닝 장치(공개특허 10-2012-0132787)", "코크스 장입차 곡관부의 카본 제거장치(등록특허 10-0805707) 및 "탄화실내 가스상승관 곡관부의 카본 제거장치(등록실용신안 20-0181024)"에서는 곡관부 내부에 형성된 코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이고,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공개특허 10-2006-0068566)"에서는 곡관부 점검구가 반복적으로 개폐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가스를 견디지 못하고 곡관부 점검구와 곡관부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가스 및 안수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렇듯, 종래의 기술은 곡관부 내부에 형성되는 카본을 제거하거나 곡관부 점검구의 밀폐효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대부분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전기집진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132787 (2012. 12. 10) 한국등록특허 10-0805707 (2008. 02. 14) 한국등록실용신안 20-0181024 (2000. 02. 23) 한국공개특허 10-2006-0068566 (2006. 06. 21)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곡관부에 부착된 카본을 제거할 때 픽스컵 내에 안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픽스컵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가 전기집진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는, 곡관부 내에 부착된 카본을 제거할 때 픽스컵 내에 수용된 안수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픽스컵 내로 안수를 공급하고, 상기 수위가 특정 수위를 만족하면 안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안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수 공급부는, 안수가 유입되는 안수 인입관과, 상기 안수 인입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상기 안수 인입관에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체결되며 유입된 안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안수 배출구가 형성된 안수 배출관과, 상기 안수 배출관 내에 위치하며 안수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수위조절 볼을 포함한다.
상기 안수 공급부는, 상기 몸체 및 안수 배출관를 연결하는 걸림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관은, 상기 수위조절 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위조절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상기 수위조절 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위조절 볼이 승강하여 상기 걸림관과 밀착하게 되면 안수의 흐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수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관으로부터 유입된 안수가 상기 안수 배출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수 배출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안수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수 공급부는, 상기 안수 배출관의 상단과 상기 픽스컵의 상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픽스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관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수 공급부로 안수를 공급하되, 상기 수위조절볼의 부력보다 낮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안수를 유지하는 압력유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유지 유닛은, 안수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내부로 안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제1안수 이동라인과, 상기 제1안수 이동라인의 일단에 체결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1유량조절 밸브와,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와 연결되되 부력에 의해 안수의 표면으로 부상하는 부자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안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하면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제2안수 이동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는, 상기 부자의 높이가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의 높이와 일치하면 상기 제1안수 이동라인을 밀폐하고, 상기 부자의 높이가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의 높이보다 하단에 위치하면 상기 제1안수 이동라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수 공급부로 유입되는 안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안수 이동라인 일단에 체결되는 제2유량조절 밸브와, 상기 제2유량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픽스컵 내의 안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스가 전기집진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셋째, 본 발명은 가스 폭발을 방지함으로써 장치 및 작업자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넷째, 본 발명은 카본 제거작업중 정전과 같은 전기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지속적으로 안수가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곡관부 및 수집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부 및 수집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수 공급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수 공급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유지 유닛의 만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유지 유닛의 수위하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100) 곡관부(70)의 픽스컵(600) 수위유지 장치는, 안수 공급부(200)를 포함한다.
안수 공급부(200)는, 상승관(100) 곡관부(70) 내에 부착된 카본(10)을 제거할 때 픽스컵(600) 내에 수용된 안수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수위가 낮아지면 픽스컵(600) 내로 안수를 공급하고, 수위가 픽스컵(600)의 높이 만큼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안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안수 공급부(200)는, 안수 인입관(210), 몸체(220), 안수 배출관(250), 수위조절 볼(240) 및 걸림관(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수 인입관(210)은, 안수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곳으로, 그 내부에는 안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안수 인입관(2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몸체(220)가 연장 형성되고, 몸체(220)의 내부에는 안수 인입관(210)으로부터 유입된 안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안수 배출관(250)은, 몸체(220)로부터 유입된 안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안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하단에는 안수 배출구(20)가 형성되며, 몸체(220)의 하단에 체결된다. 또한, 안수 배출구(20)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수위조절 볼(2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조절 볼(240)은, 안수 배출관(250) 내에 위치하며, 부력에 의해 뜨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안수 배출관(250) 내로 유입되는 안수의 높이에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안수 공급부(200)는 걸림관(230)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걸림관(230)은, 상술한 몸체(220)와 안수 배출관(250)을 연결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안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그 직경은 수위조절 볼(2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관(230)이 체결됨으로써, 수위조절 볼(240)이 안수 배출관(250) 내에서 승/하강할 때 걸림관(230) 보다 높게 승하강하지 못하게 되고, 수위조절 볼(240)이 걸림관(230)의 높이까지 승강하여 걸림관(230)과 밀착하게 되면, 더이상 안수가 몸체(220)로부터 내려오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수 배출관(250)의 외주면에는 걸림관(230)으로부터 유입된 안수가 안수 배출관(250)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수 배출관(25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안수 배출홈(28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수 공급부(200)는, 안수 배출관(250)의 상단과 픽스컵(600)의 상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픽스컵(600)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픽스컵(600)내에 수용되는 안수의 수위가 픽스컵(600) 상단까지 상승하게 되면, 안수 공급부(200) 내의 수위조절 볼(24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걸린관과 밀착하게 됨으로써 몸체(220)로부터 안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곡관부(70) 외부에 설치되어 안수 공급부(200)로 안수를 공급하되, 수위조절볼의 부력보다 낮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안수를 유지하는 압력유지 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유지 유닛(400)은, 하우징(410), 제1안수 이동라인(430), 제1유량조절 밸브(440), 부자(450), 링크부재(460), 제2안수 이동라인(500), 제2유량조절 밸브(5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410)은, 안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410)을 형성하였지만, 그 형상, 크기 및 재질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안수 이동라인(430)은 하우징(410) 외부에서 내부로 안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상단면을 관통하며 체결되고, 제1안수 이동라인(430)의 일단에는 제1안수 이동라인(430)을 통과하는 안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유량조절 밸브(44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안수 이동라인(430)의 위치에 따라 하우징(410) 내부에 유지되는 안수의 수위가 결정되기 때문에, 제1안수 이동라인(430)의 위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1안수 이동라인(430)의 위치를 하우징(410)의 상단을 관통하여 체결하였지만, 측면을 관통하여 체결하여도 본 발명이 실시되는데 있어서 무관할 것이다.
부자(450)는, 부력에 의해 안수의 표면에 부상하는 것으로, 링크부재(460)를 매개로하여 제1유량조절 밸브(440)와 연결되어 체결된다. 이러한 부자(450)는, 안수의 수위에 따라 하우징(410) 내에서 승/하강하게 되고, 부자(450)의 승하강에 따라 부자(450)와 링크부재(460)로 연결된 제1유량조절 밸브(440)는 회동하게 된다.
상술한 제1유량조절 밸브(440)는, 부자(450)의 높이가 제1유량조절 밸브(440)의 높이와 일치하면 제1안수 이동라인(430)을 밀폐하고, 부자(450)의 높이가 제1유량조절 밸브(440)의 높이보다 하단에 위치하면 제1안수 이동라인(430)을 개방함으로써 제1안수 이동라인(430)으로부터 하우징(410) 내부에 안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안수 이동라인(500)은, 하우징(410) 내에 수용된 안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단은 곡관부(70)의 상단을 관통하며 체결되고, 그 타단은 곡관부(70) 내부에 위치하며 안수 공급부(200)로 안수를 유입하는 제3이동라인과 체결된다.
이러한 제2안수 이동라인(500)의 일단면에는 안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유량조절 밸브(510)가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2유량조절 밸브(51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카본(10) 제거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제2유량조절 밸브(510)를 차단하여 안수 공급부(200)로 안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카본(10) 제거작업을 실시할 때는 제2유량조절 밸브(510)를 개방하여 안수 공급부(200)로 안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2유량조절 밸브(510)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수 공급부(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로 픽스컵(600) 내에 수용된 안수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곡관부(70) 내부에 부착된 카본(10)을 제거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헤드(50)의 작동을 차단시킨 후 곡관부 점검구(80)를 개방하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제2유량조절 밸브(510)를 개방하여 압력유지 유닛(400)에 수용되어 있는 안수가 안수 공급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안수 공급부(200)에 안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우선 압력유지 유닛(400)에 안수를 채워넣어야 하는데, 압력유지 유닛(400)의 하우징(410) 내에 안수가 비어있는 상태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460) 및 부자(450)가 제1유량조절 밸브(44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유량조절 밸브(440)가 개방된다.
제1유량조절 밸브(440)가 개방되면 제1안수 이동라인(430)을 통해 하우징(410) 외부의 안수가 내부로 유입되고, 안수가 점차적으로 차오름에 따라, 부자(450)의 높이 또한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부자(450)의 높이가 제1유량조절 밸브(440)의 높이와 일치하게 되면 제1유량조절 밸브(440)가 제1안수 이동라인(430)을 차단하게 되고, 안수는 더이상 하우징(4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우징(410) 내부에 안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면, 하우징(410) 내부의 안수가 제2안수 이동라인(50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곡관부(70) 내부에 위치한 제3안수 이동라인(520)을 따라 안수 공급부(200)로 유입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수 공급부(200)에 안수가 유입되면 안수 인입관(210) 및 몸체(220)를 따라 안수가 이동되게 되는데, 만약 픽스컵(600)이 만수상태라서 안수의 수위가 픽스컵(600)의 상단과 일치하게 되면 픽스컵(600) 내에 설치된 안수 공급부(200) 내의 안수 수위도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만수상태에서는 안수 배출관(250) 내에 위치하여 있는 수위조절 볼(24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걸림관(230)과 밀착하게 됨으로써, 몸체(220)로부터 유입되는 안수가 더이상 안수 배출관(250)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수위조절 볼(240)이 안수 배출관(250)으로 유입되는 안수를 차단해 픽스컵(600) 내의 수위를 유지시켜줌으로써 픽스컵(600) 내의 안수가 가스 이동로(620)를 따라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카본(10) 제거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픽스컵(600) 내에 수용된 안수가 조금씩 누수되어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안수 배출관(250) 내의 수위조절 볼(24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수위조절 볼(240)과 걸림관(230)의 밀착상태가 해지되어 안수 인입관(210) 및 몸체(220)를 따라 이동해온 안수가 안수 배출관(250)으로 유입되게 된다.
안수 배출관(250)으로 유입된 안수는, 안수 배출구(20) 및 안수 배출홈(280)을 통해 픽스컵(600) 내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러한 배출에 의해 픽스컵(60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수위조절 볼(240)의 높이 또한 상승하여 다시 걸림관(230)과 밀착하게 된다.
만약, 픽스컵(600) 내의 안수 수위가 급격하게 낮아져 수위조절 볼(240)의 높이가 안수 배출관(250)의 저면까지 내려간다 해도, 걸림돌기(260)에 의해 수위조절 볼(240)이 이탈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러한 과정중, 압력유지 유닛(400)에서 안수 공급부(200)로 유입되는 안수의 압력이 수위조절 볼(240)의 부력보다 높아지면, 수위조절 볼(240)이 걸린괌을 밀폐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는 제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유량조절 밸브(510)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수 공급부(200)로 유입되는 안수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카본(10) 제거작업동안 픽스컵(600) 내부의 안수 수위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그에 따라 코크스(C) 오븐 가스가 가스 이동로(620)를 통과하여 전기집진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본(10) 제거작업이 완료된 후 곡관부 점검구(80)를 밀폐하고 스프레이 헤드(50)를 작동시키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2유량조절 밸브(510)가 차단되고, 안수 공급부(200)에서는 더이상 안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한편, 압력유지 유닛(400)은 외부의 제어 없이 부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용되는 안수의 양이 조절되기 때문에, 만약 카본(10) 제거작업중 정전과 같은 전기계통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도 안수 공급부(200)로 유입되는 안수는 일정하게 공급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60 : 수집관 70 : 곡관부
100 : 상승관 200 : 안수 공급부
240 : 수위조절 볼 250 : 안수 배출관
400 : 압력유지 유닛 600 : 픽스컵
620 : 가스 이동로 630 : 딥파이프

Claims (9)

  1. 상승관 곡관부 내에 설치되어 픽스컵으로 안수를 공급하되, 상기 픽스컵 내의 안수가 일정 수위를 만족하면 부력에 의해 안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안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수 공급부는, 안수가 유입되는 안수 인입관과, 상기 안수 인입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상기 안수 인입관에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체결되며 유입된 안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안수 배출구가 형성된 안수 배출관과, 상기 안수 배출관 내에 위치하며 안수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수위조절 볼을 포함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수 공급부는, 상기 몸체 및 안수 배출관를 연결하는 걸림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관은, 상기 수위조절 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위조절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상기 수위조절 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위조절 볼이 승강하여 상기 걸림관과 밀착하게 되면 안수의 흐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수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관으로부터 유입된 안수가 상기 안수 배출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수 배출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안수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수 공급부는, 상기 안수 배출관의 상단과 상기 픽스컵의 상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픽스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곡관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수 공급부로 안수를 공급하되, 상기 수위조절볼의 부력보다 낮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안수를 유지하는 압력유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 유닛은, 안수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내부로 안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제1안수 이동라인과, 상기 제1안수 이동라인의 일단에 체결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1유량조절 밸브와,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와 연결되되 부력에 의해 안수의 표면으로 부상하는 부자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안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하면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제2안수 이동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는, 상기 부자의 높이가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의 높이와 일치하면 상기 제1안수 이동라인을 밀폐하고, 상기 부자의 높이가 상기 제1유량조절 밸브의 높이보다 하단에 위치하면 상기 제1안수 이동라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수 공급부로 유입되는 안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안수 이동라인 일단에 체결되는 제2유량조절 밸브와, 상기 제2유량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KR1020130111310A 2013-09-16 2013-09-16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KR10151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310A KR101518582B1 (ko) 2013-09-16 2013-09-16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310A KR101518582B1 (ko) 2013-09-16 2013-09-16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739A KR20150031739A (ko) 2015-03-25
KR101518582B1 true KR101518582B1 (ko) 2015-05-07

Family

ID=5302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310A KR101518582B1 (ko) 2013-09-16 2013-09-16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5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739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7492B (zh) 用于借助位于通往粗气体集流管的立管弯曲部开口处的可调整的隔板来调节焦炉组中的焦炉腔室的腔室压力的设备以及方法
CN103119129B (zh) 用于提供控制装置以控制焦炉室中的气体压力而没有来自该控制安排的、由膨胀导致的偏差的设备和方法
US8926800B2 (en) Device for compensating deviations from a coaxial arrangement of components of a regulating organ to control the gas pressure of a coke oven chamber
KR101518582B1 (ko) 상승관 곡관부의 픽스컵 수위유지 장치
KR101442919B1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압력 제어 장치
JP4099069B2 (ja) コークス炉室内におけるガス圧力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JP2004525252A5 (ko)
KR101734836B1 (ko) 가스 압력을 조절 및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Z299619B6 (cs) Zpusob provozu koksovací baterie koksárenské pece
KR101784210B1 (ko) 응축수 원심분리기능을 구비한 에어분배기
JP5505239B2 (ja) 上昇管トップカバーの水封装置
KR101576752B1 (ko) 벤트기능과 릴리프기능을 갖는 밸브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726261B1 (ko) 코크스 오븐의 수집관 제어 장치
KR101442928B1 (ko) 코크스 오븐 안수 유량 제어 장치
CN106268193A (zh) 一种高硫石脑油脱硫防回流装置
KR200480010Y1 (ko) 더블플러그 타입형 밸브
KR101753637B1 (ko) 유체 배출장치
CN113175311B (zh) 节流装置及节流芯的更换方法
CN205330647U (zh) 分离器气路控制装置
KR102181004B1 (ko) 매립지 가스용 압력 조절밸브
CN108753350B (zh) 一种用于球罐脱水的安全装置及球罐脱水装置
CN209875207U (zh) 一种全自动放水器
KR101879033B1 (ko) 유체량 조절장치
KR20140077721A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과 리드 실링용 급수장치
JPH075931A (ja) 定水位自動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