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222B1 -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 메커니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 메커니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222B1
KR101518222B1 KR1020097027124A KR20097027124A KR101518222B1 KR 101518222 B1 KR101518222 B1 KR 101518222B1 KR 1020097027124 A KR1020097027124 A KR 1020097027124A KR 20097027124 A KR20097027124 A KR 20097027124A KR 101518222 B1 KR101518222 B1 KR 10151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less devices
communication network
ch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005A (ko
Inventor
필립 에이. 루드랜드
임모 벤제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2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본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본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복수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구성 파라미터 및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채널 변경, 구성 파라미터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 메커니즘 및 방법{CHANNEL CHANGE DECISION MECHANISM AND METHOD FOR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디바이스들 및 무선 네크워크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채널들의 컨디션들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증진된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점차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들의 하나의 카테고리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이다. 무선 PAN에서 통신하기 위한 하나의 적합한 포맷은, 지그비(ZigBee) 얼라이언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저 비용, 저 전력 무선 라디오 링크들에 대한 지그비 규격(specification)에 의해 설명된다. 지그비 무선 PAN들은 특히, 예를 들면, 조명들, 보안 시스템들, 화재 경보들, HAVC(heating-ventilaiton-and-air-conditioning) 시스템들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가정 자동화 네트워크들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지그비 무선 PAN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무선 디바이스들(120)은 세 개의 상이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PAN 코디네이터(coordinator)(120a), 라우터들(120b), 및 종단 디바이스들(End Devices)(120c). 지그비 무선 PAN의 환경에서, 각각의 이들 무선 디바이스들(120)은 또한 "노드"로서 칭해진다.
각 지그비 무선 네트워크는 PAN 코디네이터(120a)를 포함한다.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형성을 시작할 책임이 있는 지그비 디바이스이다.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보안 키들)를 저장할 수 있다. PAN 코디네이터(120a)는 그 자신을 위해 PAN ID를 선택하고, 관행적으로 0의 지그비 주소를 갖는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라우터들(120b)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우터(120b)는 데이터를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120)로부터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120)로 전달하는 능력을 가지며, 또한 데이터 통신의 소스(source) 및 목적지로서 행동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종단 디바이스(120c)는 그것의 "부모 노드"(부모 노드는 라우터(120b) 또는 PAN 코디네이터(120a) 둘 중 하나일 수 있음)와 통신하기에 충분한 기능성만을 포함한다. 종단 디바이스(120c)는 두 개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120)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직접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종단 디바이스(120c)는 최소 량의 메모리를 요구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PAN 코디네이터(120a) 또는 라우터(120b)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그비 무선 PAN에서, 노드들(120) 사이의 통신은 많은 수의 "물리적 채널들" 중 하나 상에서 일어난다. 지그비 무선 PAN들 및 무선 디바이스들은 IEEE 표 준 802.15.4에 설명된 기능성을 이용한다. IEEE 802.15.4는 각각의 상위 및 하위 주파수 범위: 868/915 MHz 및 2.4 GHz에서 동작하는 두 개의 물리(PHY) 층들을 갖는다. 하위 주파수 PHY 층은 868 MHz 유럽식 대역, 및 미국 또는 호주와 같은 국가들에서 이용되는 915 MHz 대역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상위 주파수 PHY 층은 실질적으로 세계적으로 이용된다.
2.4 GHz 통신 대역은 16개의 개별 IEEE 802.15.4 채널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수의 지그비 무선 PAN들이, 그 자신의 채널(들)에서 각각 동작하면서, 동시에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다. 두 개 이상의 지그비 무선 PAN이 단일 채널을 이용하는 것은, 특히 그들이 (>10-100m 떨어진) 장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 또는 양쪽 모두 꽤 낮은 이용률(낮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경우에 가능하다.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소위 "와이파이(WiFi)" 디바이스들)도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고, 와이파이 트래픽(traffic)은 지그비 트래픽과 간섭할 수 있다. 와이파이 메시지들은 지그비 메시지들보다 훨씬 더 높은 전력 레벨에서 전송될 수 있고, 와이파이 채널은 몇몇의 지그비 채널들만큼 대역폭이 넓다. 두 개의 그러한 시스템들이 공존하기 위해 어떤 채널들이 깨끗한지(clear)를 산출하고, 이들 깨끗한 채널들 상에서 동작하도록 간섭된-네트워크(예를 들면, 지그비 무선 PAN)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은 유익하다.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특허 출원 WO IB2007/050704 호(대리인 문서 번호 005281)는 간섭 문제가 검출되었을 때, 일부 노드(120), 일반적으로 PAN 코디네 이터(120a)가 무선 네트워크(100)가 동작하기 위한 더 좋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보고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그것은 또한, PAN 코디네이터(120a)가,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부 다른 노드(120)로부터 간섭 보고를 수신할 때, 추가 노드들(120)에 로컬 채널 컨디션들의 평가(assessment)를 수행하고, 이들을 다시 보고하도록 요청하여, 전역적인 "양호한"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을 더 개선하는 가능성을 개시한다.
추가적으로, 2007년 1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60/886419호(대리인 문서 번호 7717)는 네트워킹된 디바이스들(120)이 로컬적으로 채널이 얼마나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를 평가하고, 어떻게 이들이 중앙 노드(120)(예를 들면, PAN 코디네이터(120a))에 다시 보고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한 개선들을 개시한다.
그런 경우에, PAN 코디네이터(120a)는 많은 유용한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10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그것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옵션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PAN 코디네이터(120a)가 갖는 문제점은 그 후 그 정보를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 무엇에 기초해야 하는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이다. 이론적으로,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해서 무엇이 "최선"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문제점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간섭자들(interferers)의 성격에 의해 복잡해진다. 일부 간섭자들은 채널 상에서의 전송을 완전히 막지만, 많은 다른 간섭자들은 단지 채널의 이용가능한 대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주어진 간섭자는 네트워킹된 노드들(120)의 상이한 짝들 사이의 메 시지들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거리의 높은 듀티 사이클 간섭자(a distant high duty cycle interferer)는 원거리의 노드들(120)로부터의 거의 모든 메시지들의 수신을 완전하게 막을 수 있지만, 근처의 노드들(120)에게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많은 경우에 모든 노드들(120)이 임의의 간섭으로부터 완전하게 자유로운 환경에서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가정하면, PAN 코디네이터(120a)가 달성하도록 시도해야만 하는 "최적" 상황이 무엇인지, 및 그것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결정들을 위해 어떤 기준에 기초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변경할지 아닐지에 대한 결정을 하기 위해 채널 컨디션 추정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채널 간섭의 추정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변경할지 아닐지를 결정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는,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각 동작 모드는 그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과 연관되어 있음);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복수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각 동작 모드는 그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과 연관되어 있음);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복수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의 실시예의 기능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을 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하나의 실시예의 기능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이제부터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욱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들을 교시하는 것으로서 제공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무선 디바이스(120)로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0)의 하나의 실시예의 기능도를 나타낸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될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소프트웨어-제어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와이어드(hard-wired) 로직 회로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명하기 위해서 도 2에서는 부분들이 기능적으로 분리되지만, 그들은 임의의 물리적 구현에서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0)는 송신기(210), 수신기(220), 에너지 검출기(230), 프로세서(24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0)는 송신기(210), 수신기(220) 및/또는 에너지 검출기(230)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및/또는 이들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250)와 함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240)는 그것이 송신기(210), 수신기(220) 및/또는 에너지 검출기(230)의 동작들을 제어하게 하는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그것 자체의 메모리(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실행가능한 코드는 메모리(250) 내의 지정된 메모리 위치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시하기 위해 도 2에서는 프로세서(240)가 별개의 엘리먼트로서 도시되었지만, 실제 물리적 실현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가 송신기(210), 수신기(220) 및/또는 에너지 검출기(230) 내에 임베드될 수 있고, 프로세서(2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200)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통신 채널들, 예를 들면 800/900 MHz 대역 및 2.4 GHz 대역의 지그비 규격에 의해 규정된 통신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에서 선택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적응된다. 이런 맥락에서, 통신 채널은 주파수 스펙트럼의 정의된 부분을 포함한다. 그런 경우에, 수신기(220)는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메시지들을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지그비 무선 PAN)의 프로토콜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채널 상에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메시지들을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지그비 무선 PAN)의 프로토콜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송신하도록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0)는, 수신기(220)를 통해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후 송신기(210)를 통해 제2 무선 디바이스로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를 재송신함으로써,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를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 중계할 수 있는 라우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디바이스(200)는 그것이 동작하도록 적응된 통신 채널들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적응된다. 그러한 데이터 수집은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0)가 동작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앙 노드(예를 들면, PAN 코디네이터(120a))에 의해 발신된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시작될 수 있다. 메시지(들)는 무선 디바이스(200)가 로컬 통신 채널 컨디션들의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들)는 평가될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은 무선 디바이스(200)가 동작하도록 적응된 모든 통신 채널들에 대해서, 또는 선택된 부분집합의 채널들, 아마도 심지어는 단일 통신 채널 상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0)에서, 무선 디바이스(200)에 대한 통신 채널 컨디션들에 관한 데이터는, 조사되도록 선택된 통신 채널에 수신기(220)를 동조시키고, 그 후 측정 기간 동안 통신 채널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측정을 수행하도록 에너지 검출기(230)을 동작시킴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수집된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200)가 동작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채널 변경 결정 디바이스(channel change decision-making device)에,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어떠한 형태로든,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100)가 동작하고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 아닐지를 결정하도록 채널 변경 결정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다.
도 3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을 하기 위한 채널 변경 결정 디바이스(300)의 하나의 실시예의 기능도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0)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중앙 노드(예를 들면, PAN 코디네이터(120a))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300)는 무선 네트워크(100)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 중 하나에 의해 PAN 코디네이터(120a)에 연결된 고정된 단말일 수 있다. 즉,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 관리자로서 기능하고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을 하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임의의 노드(120)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될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다양한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소프트웨어-제어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와이어드 로직 회로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는 부분들이 기능적으로 분리되지만, 그들은 임의의 물리적인 구현에서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송신기(310), 수신기(32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프로세서(340), 및 메모리(3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40)는 송신기(310), 수신기(320)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및/또는 그들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350)와 함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340)는 그것이 송신기(310), 수신기(320)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의 동작들을 제어하게 하는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그것 자체의 메모리(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실행가능한 코드는 메모리(350) 내의 지정된 메모리 위치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시하기 위해 도 3에서는 프로세서(340)가 별개의 엘리먼트로서 도시되었지만, 실제 물리적 실현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가 송신기(310), 수신기(320)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내에 임베드될 수 있고, 프로세서(3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300)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키보드, 및 마우스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또한 프로세서(340)에 의한 실행을 위해 메모리(350)에 저장되는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WINDOWS?, MAC? OS 등과 같은 표준 운영 체제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0)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중앙 노드(예를 들면, PAN 코디네이터(120a))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0)는, 무선 네트워크(100) 상에서 또는 심지어는 전용 유선 연결을 통해, PAN 코디네이터(120a)와 통신하는 전용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 관리자로서 기능하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임의의 노드(12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0)는 두 개 이상의 분리된 물리적 유닛들, 예를 들면, PAN 코디네이터(120a) 및, 무선 네트워크(100) 상에서 또는 심지어는 전용 유선 연결(이 경우에, PAN 코디네이터(120a)는 전용 유선 연결에 대한 트랜스시버를 포함함)을 통해, PAN 코디네이터(120a)와 통신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사용자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각 물리적 유닛은 대응하는 송신기(310), 수신기(320), 프로세서(340) 및 메모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용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100) 상에서 또는 심지어는 전용 유선 연결을 통해 PAN 코디네이터(120a)에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300)는 어떤 채널이 "최적"인지, 그리고 변화에 수반되는 비용에 기초하여 채널 변경 결정을 한다. "최적성(optimality)"은 추정이 어느 정도까지는 틀릴 것이라는 확률의 레벨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알고리즘은 무엇이 최적인지를 나타내는 메커니즘, 즉, 상이한 채널 컨디션들 및 상이한 통신 성능 파라미터들에 할당된 상대적인 우선 순위들을 표시하는 연속 또는 이산 상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신 성능 파라미터들"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상대적인 성능 특성을 측정하거나 또는 표시하는 파라미터들이고, 무선 네트워크(100)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동작 파라미터들과 대비된다. 예를 들면, 통신 성능 파라미터들은 비트 처리량, 메시지 처리량, 비트 에러율; 메시지 에러율; 평균 메시지 지연(latency), 메시지에 대한 최대 메시지 지연, 무선 디바이스(120)에 대한 통신 범위, 무선 네트워크(120)에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120)의 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120)에서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120)로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hops)"의 수, 등을 포함한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동작 파라미터들은 동작 주파수들, 송신 전력 레벨들, 변조 포맷들, 데이터 송신률, 에러 정정 코드들, 신호 대역폭들, 프레임 포맷들, 시스템 타이밍,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성능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사용자가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 선택된 하나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를 동작하게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게 한다. 동작 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직접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모드는 디바이스(300) 내에 미리 프로그램되는 기준에 응답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로서 디바이스(300) 내에 입력되는 기준에 응답하여 디바이스(3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기준은 시각(a time of day)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이한 시각에서 상이한 동작 모드들이 선택된다. 다른 기준은 무선 네트워크(100)가 제공되는 시스템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동작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100)가 조명 시스템에 속할 때 적용할 수 있고, 또 다른 동작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100)가 비디오 배포 시스템 등일 때 적용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바이스(300)가 PAN 코디네이터(120a)인 것으로 가정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300)가 다르게 구현되는 경우의 설명의 변화들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절충(compromise) 모드"에서, 또는 "최대 사용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절충 모드"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가능한 많은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120)과 통신하도록 적어도 어떤 최소의 능력을 갖는 것을 보장하려는 시도에서 채널 변경 결정을 한다. 그런 경우에, PAN 코디네이터(120a)는, 선택된 채널(들)에 현저한 다른 트래픽이 있을 때조차, 모든 노드(120)에 대해 임계량(예를 들면, 어떠한 간섭도 없을 때 "정상" 처리량 레벨의 20%)보다 더 큰 어떤 처리량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 모드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은 트래픽이 있으나, 모든 노드들(120)이 어떤 시간에 메시지들을 통신할 수 있을 필요가 있는 조명 및 고장 상태 보고와 같은 시스템에 대해서 유용하다.
"최대 사용 모드"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높은 대역폭 요건들 또는 낮은 지연 요건들 등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전체 트래픽 처리량을 최대화하려는 시도에서 채널 변경 결정을 한다. 그러한 경우에, 일부 노드들(120)이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노드들(120)과 통신할 수 없을 수 있으나, PAN 코디네이터(120a)는 가능한 많은 디바이스들에 대해 충분히 실행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 인정될 수 있다. 이 모드는 시스템 시운전(system commissioning) 동안, 또는 높은 트래픽 센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면, 비디오 감시)에 대해 유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은 그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과 연관되어 있다.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들은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50) 내의 지정된 메모리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각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은 그 동작 모드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성능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려는 시도에서 채널 변경 결정을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네트워크(100)가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현재 채널을 변경할지 아닐지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수신된 정보와 함께, 다양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도록 적응된다. 그러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그 중에서도 특히,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1
채널을 변경할 능력이 없거나, 또는 채널 변경이 느리거나, 또는 특정한 방식으로 보고할 것 같거나, 또는 특정한 바이어스들 또는 에너지 검출 정보 상관들을 갖는 네트워크 상의 레거시(legacy) 디바이스들이 있는지 없는지에 관한 정보;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2
그 이하에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실행 가능하지 않고 동작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는 (이용가능한 대역폭, 지연들, 신뢰성들, 등의) 임계 레벨의 표시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3
그 이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지고, 그 너머에서 추가적인 최적화가 어떠한 중요한 가치도 갖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용가능한 대역폭, 지연들, 신뢰성들, 등의) 임계 레벨의 표시;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4
어떠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가장 중요한지의 표시;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5
새로운 채널이 현재 채널보다 사실상 더 좋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는 실질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리스크의 레벨;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6
노드(120)가 그것의 환경에 기초하여 고장날 수 있는 예측된 가능성. 만약 노드(120)가 어떤 이유로 인해 높은 고장 가능성을 갖는다고 알려져서, 그 후 PAN 코디네이터(120a)가 그로부터 듣지 못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간섭에 기인하는 것으로 표시할 가능성은 적다(예를 들면, 노드들(120)의 전체 세트가 동일한 차단기(breaker)에 있다는 지식은 유용할 것이고, 하나의 노드(120)가 작동이 멎었지만 그 차단기 상의 다른 것들은 그러하지 않았다면, 그것이 아마도 전원 고장이 아니라 간섭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는 것; 또는 디바이스에 대한 배터리가 최근에 "양호"했었다면 아마도 그것이 전원 고장이 아닐 것이라는 지식; 또는 노드(120)가 몇 년 동안 잘 동작했었다는 통계는 그것이 노드 고장일 가능성이 다소 낮다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 등);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7
노드(120)가 접속성(connectivity)을 잃을 가능성이 노드 고장으로부터 기인하게 되는 것보다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120)로부터의 간섭에 기인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아지도록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가 근처에 설치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접속성을 잃고 있는 노드(120)가 또 다른 무선 네트워크(120)로부터의 간섭보다 전원 고장에 기인하게 될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나타낼 로컬 설비 정비 및/또는 알려진/의심되는 전력 공급 중단에 대한 정보;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8
특정 노드들(120), 노드들(120)의 세트들 또는 노드들(120)의 클래스들 등이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기대되는 트래픽의 유형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화재 경보 노드들(120)은 낮은 지연, 높은 신뢰성 트래픽을 허용하는 채널을 가지나, 큰 용량의 데이터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채널을 요구하지 않는다;
Figure 112009080383779-pct00009
무선 네트워크(100)의 특정한 노드(120) 또는 영역이 특정한 요건들(예를 들면, 그것이 제3의 노드(120)가 그에 의해서만 접속될 수 있는 노드라는 것, 또는 그것이 그 노드(120) 또는 영역에 적합한 컨디션들을 갖는 채널을 선택하는데 추가의 우선권이 주어져야만 하는 특히 중요한 노드(120)라는 것)을 갖는다는 정보.
그러한 정보는 PAN 코디네이터(120a)가 더 나은 채널 변경을 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구성 파라미터들 중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및 다른) 구성 파라미터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되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해 PAN 코디네이터(120a)에 제공된다. 이하의 표 1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된 동작 모드와 자동으로 연관되는 구성 파라미터 셋팅들을 수동적으로 무효화(override)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구성 셋업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80383779-pct00010
표 1에 리스트된 많은 구성 파라미터들은 설정 가능한(settable) 값들의 범위, 또는 실제로 값들의 전체 표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이하의 표 2는 "제조자 ED(Energy Detection) 스캔 dBm 변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함(Use manufacturer Energy Detection scan dBm variations database)"으로 표기된 표 1의 항목의 가능한 상세한 구현을 나타내는데, 이에 의해, PAN 코디네이터(120a)는 에너지 검출 스캔들에 대한 정상화(normalization)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Figure 112009080383779-pct00011
표 2는 상이한 제조자들로부터의 무선 디바이스들(120)(또는 상이한 제조자들로부터의 상이한 스택들의 상이한 버젼들)에 대한 정보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더욱 일반적인 경우의 단순한 예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 구체적으로 에너지 검출 스캔에 의해 보고된 값들은 무선 네트워크 규격 또는 표준 문서에 의해 정의되지 않고, 제조자에 의존하고, 여기서는 단일 제조자로부터의 모든 제품들에 걸쳐서 일치할 것으로 가정된다.
한편, 이하의 표 3은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현존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한 지연 요건들의 가능한 맵핑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은 무선 네트워크(100) 상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에 의해 발견될 수 있고, 차후에 프로필 ID 또는 "디바이스 유형" 등으로 맵핑할 수 있는 발견 ID에 매칭될 수 있다.
Figure 112009080383779-pct00012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이용하고 채널 변경 결정 디바이스(3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하나의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바이스(300)가 PAN 코디네이터(120a)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먼저 스텝(402)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에너지 검출 스캔 명령을 무선 네트워크(100)의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보내고, 그들 에너지 검출 스캔들로부터의 결과들을 다시 수신한다.
스텝(404)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에너지 검출 스캔 명령에 응답하는 것을 실패한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120/200)에 대한 간섭의 확률을 25%로 설정한다.
스텝(406)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제조자 임플리먼테이션 변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Use Manufacturer Implementation Variations Database)" 구성 파라미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에너지 검출 스캔 명령에 응답하는 것을 실패한 무선 디바이스(120/200)에 대한 제조자의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가 100,000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대한 간섭의 확률을 75%로 설정한다.
스텝(408)에서, "보고된 로컬 전력 문제점들(Local Power Issues Reported)" 구성 파라미터가 선택된 경우에, PAN 코디네이터(120a)는 에너지 검출 스캔 명령에 응답하는 것을 실패한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대한 간섭의 확률을 50%만큼 감소시킨다.
스텝(410)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에너지 검출 스캔 명령에 응답한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에 대해서 구성 파라미터가 "제조자 ED 스캔 dBm 변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Use Manufacturer ED scan dBm Variations Database)"에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 스텝(412)에서, 맵핑 테이블 엔트리가 각 무선 디바이스(12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가 확인된다. 만약 그렇다면, 스텝(414)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그 무선 디바이스(120)에 대한 보고된 ED(energy detection) 스캔 값을 dBm 값으로 맵핑한다. 무선 디바이스(120)에 대해서 어떠한 맵핑 테이블 엔트리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텝(416)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기본 맵핑에 따라 보고된 ED 스캔 값을 dBm 값으로 맵핑한다.
구성 파라미터 "제조자 ED 스캔 dBm 변화 데이터베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스텝(416)에서, 각 무선 디바이스(120/200)에 대해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기본 맵핑에 따라 보고된 ED 스캔 값을 dBm 값으로 맵핑한다.
스텝(418)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네트워크(100)가 동작할 수 있는 각 통신 채널에 대한 전체 간섭 합을 이하를 더함으로써 산출한다: (1) 30dBm 이상의 간섭을 보고하는 노드들(120)의 경우에는 100%; (2) 30dBm 미만의 간섭을 보고하는 노드들(120)의 경우에는 0%; 및 (3) ED 스캔 명령에 응답하지 않은 노드들(120)의 경우에는 상기 스텝들에서 결정된 값.
스텝(420)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구성 파라미터 "네트워크가 레거시 디바이스들을 가짐(Network has Legacy Devices)"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 스텝(422)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현재의 통신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더욱 강하게 선호하도록 현재 채널의 전체 간섭 합을 30%만큼 감소시킨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스텝(424)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현재의 통신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약간 선호하도록 현재 채널의 전체 간섭 합을 10%만큼 감소시킨다.
그 후, 스텝(426)에서, PAN 코디네이터(120a)는 가장 낮은 전체 간섭 합을 갖는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스텝(428)에서, 가장 낮은 전체 간섭 합을 갖는 통신 채널이 현재의 통신 채널과 다르다면, PAN 코디네이터(120a)는 무선 디바이스들(120/200)이 통신하고 있는 통신 채널을 현재의 통신 채널로부터 가장 낮은 전체 간섭 합을 갖는 선택된 통신 채널로 변경하기로 결정한다.
채널 변경 결정을 하기 위한 다양한 유사한 알고리즘들이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해 이용가능한 상이한 동작 모드들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들이 본원에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 내에 있는 많은 변화들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화들은 본원의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을 면밀하게 살핀 후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될 것이다. 설명의 명료함 및 명확함을 위해, 예들은 지그비 무선 PAN, 및 IEEE 표준 802.15.4-2003의 환경에서 상기에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특징들은 지그비 무선 PAN의 환경에서 특정한 이익 및 효력을 가지나, 본 원리는 확장적이고, 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들, 블루투스 스캐터넷(Bluetooth Scatternet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위 층 규격들 및 표준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 및 통신 디바이스들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응용들은 본 출원의 명세 및 도면들을 검토할 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 외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7)

  1.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각 동작 모드는 그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과 연관되어 있음 ―;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은,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제1 동작 모드 - 상기 새로운 통신 채널은 상기 통신 채널 상에서 통신 능력을 갖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의 수를 최대화함 -;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전체 데이터 처리량 능력을 최대화하는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제2 동작 모드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는 자동으로 상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현재 시간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는 자동으로 상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경보 신호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것이 결정될 때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것이 결정될 때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수동으로 시작하라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9.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각 동작 모드는 그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과 연관되어 있음 ―;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정보가 새로운 채널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통신 성능 파라미터를 임계량 또는 백분율보다 더 많이 개선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에만 통신 채널이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성능 파라미터는 최소 임계치보다 더 큰, 상기 통신 채널 상에서 통신 능력을 갖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의 수인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파라미터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전 체 데이터 처리량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파라미터는: (a)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각각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 상에서 각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120)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hops)의 전체 수; (b)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임의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 상에서 임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120)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의 최대 수; 및 (c)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임의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 상에서 네트워크 관리 디바이스(300)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의 최대 수 중 하나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120)에 비해 제한된 능력들로 동작하는 임의의 레거시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
  14.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이용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선택된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각 동작 모드는 그 동작 모드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과 연관되어 있음 ―;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은 현재의 통신 채널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에 대한 데이터 지연(data latency) 요건을 만족하는지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지연 요건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유형들 중에서 선택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현존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방법.
  17.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복수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의 이용가능성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 변경 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은: (i)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120)에 비해 제한된 능력들로 동작하는 임의의 레거시 무선 디바이스들(120)을 포함하는지의 표시; (ⅱ)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의해 충족되는 최소 성능 파라미터; (ⅲ)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최적 성능 파라미터; (ⅳ)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최소 성능 파라미터 및 상기 최적 성능 파라미터 중 하나는: (a) 상기 통신 채널 상에서 통신 능력을 갖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디바이스들(120)의 수 또는 백분율; (b)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에 대한 전체 데이터 처리량; (c)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각각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 상에서 각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120)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의 전체 수; (d)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임의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 상에서 임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120)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의 최대 수; (e)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120) 중 임의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 상에서 네트워크 관리 디바이스(300)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홉들의 최대 수; 및 (f)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지연 중 하나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가 통신 채널들을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허가되는지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들은 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100)가 다른 구성 파라미터들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컨디션을 표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26. 삭제
  27. 삭제
KR1020097027124A 2007-05-25 2008-05-20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 메커니즘 및 방법 KR101518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015807P 2007-05-25 2007-05-25
US60/940,158 2007-05-25
PCT/IB2008/051980 WO2008146196A1 (en) 2007-05-25 2008-05-20 Channel change decision mechanism and method for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005A KR20100023005A (ko) 2010-03-03
KR101518222B1 true KR101518222B1 (ko) 2015-05-11

Family

ID=3973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124A KR101518222B1 (ko) 2007-05-25 2008-05-20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 메커니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51541B2 (ko)
EP (1) EP2163116B1 (ko)
JP (1) JP5301532B2 (ko)
KR (1) KR101518222B1 (ko)
CN (1) CN101690327B (ko)
TW (1) TWI499252B (ko)
WO (1) WO2008146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7404B2 (en) * 2009-03-31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hannel detection
US8626344B2 (en)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209652B2 (en) 2009-08-21 2015-12-08 Allure Energy, Inc. Mobile device with scalable map interface for zone based energy management
US8498749B2 (en) 2009-08-21 2013-07-30 Allure Energy, Inc. Method for zone 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scalable map interface
US9838255B2 (en) 2009-08-21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mand response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proximity control
US20110222523A1 (en) * 2010-03-12 2011-09-15 Mediatek Inc Method of multi-radio interworking 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30245387A1 (en) * 2010-11-08 2013-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on based wireless medical device
EP2751955B1 (en) 2011-08-30 2019-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manage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for smart energy and media resources
KR101310534B1 (ko) 2011-09-30 2013-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통신채널의 에너지 레벨 획득방법
US8891451B2 (en) * 2011-10-31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1909129B1 (ko) * 2012-01-18 2018-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6746272B2 (ja) * 2012-03-07 2020-08-26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無線制限ノードに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I487397B (zh) * 2012-08-30 2015-06-0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頻道選擇方法、頻道選擇器及網路連接裝置
US9716530B2 (en) 2013-01-07 2017-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uto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063499B2 (en) 2013-03-07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cloud based communication platform for an environment control system
CN106464551A (zh) 2014-01-06 2017-02-22 魅力能源公司 一种使用网络装置和基于遥感的信息来协调环境的系统、装置和设备
SG11201605494QA (en) 2014-01-06 2016-08-30 Allure Energy Inc System, device,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environments using network devices and remote sensory information
US9451563B2 (en) 2014-10-16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ergy detection level adjustments
US20170353962A1 (en) * 2014-12-22 2017-1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wifi and lte
US20160286398A1 (en) * 2015-03-23 2016-09-29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 selection and connection setup between devices participating in a nan data link
EP3448081B1 (en) * 2017-08-21 2020-06-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tuning of auto-channel selection (acs) in wireless networks
CN111163497B (zh) * 2019-12-19 2022-08-1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设备、系统及信道切换方法
US11616731B1 (en) * 2020-09-30 2023-03-28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 time-to-live budget for network traffic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68B1 (ko) * 2005-12-14 2006-12-05 (주)한국무선네트워크 무선랜과 지그비간 상호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7141451A3 (fr) 2006-06-06 2008-01-24 France Telecom Basculement d'un reseau sans infrastructure vers un reseau avec infra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415B1 (en) * 1996-06-03 2004-02-24 Broadcom Corporation Spread spectrum transceiver module utilizing multiple mode transmission
US6764012B2 (en) * 1997-02-10 2004-07-20 Symbol Technologies, Inc. Signaling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signal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6985465B2 (en) * 2000-07-07 2006-0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channel selection scheme for IEEE 802.11 WLANs
US6941143B2 (en) * 2002-08-29 2005-09-06 Thomson Licensing, S.A. Automatic channel selection in a radio access network
JP2004235910A (ja) * 2003-01-30 2004-08-19 Nec Corp チャネル決定方法及びにそれに用いる無線局並びに端末装置
US7206297B2 (en) * 2003-02-24 2007-04-17 Autocell Laboratories, Inc. Method for associating access points with stations using bid techniques
US7701858B2 (en) 2003-07-17 2010-04-20 Sensicast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esh network
KR100647122B1 (ko) 2004-12-08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그룹화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통신방법 및 그 장치
EP1761086A1 (en) * 2005-08-31 2007-03-07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network modes
WO2007050704A2 (en) 2005-10-25 2007-05-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structure synthesis by flow lithography and polymerization
MY143644A (en) 2005-11-02 2011-06-15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channel coordination for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US20070258395A1 (en) * 2006-04-28 2007-11-08 Medtronic Minimed, Inc. Wireless data communication protocols for a medical device network
US7720086B2 (en) * 2007-03-19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overlay multi-channel media access control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68B1 (ko) * 2005-12-14 2006-12-05 (주)한국무선네트워크 무선랜과 지그비간 상호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7141451A3 (fr) 2006-06-06 2008-01-24 France Telecom Basculement d'un reseau sans infrastructure vers un reseau avec infra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ANN-TSONG SHEU et al. "Smart Handoff Scheme for Supporting Roaming Between WLAN and GPR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3116B1 (en) 2016-12-07
TW200908629A (en) 2009-02-16
KR20100023005A (ko) 2010-03-03
CN101690327B (zh) 2014-03-05
CN101690327A (zh) 2010-03-31
US10051541B2 (en) 2018-08-14
JP5301532B2 (ja) 2013-09-25
US20100165861A1 (en) 2010-07-01
EP2163116A1 (en) 2010-03-17
JP2010528518A (ja) 2010-08-19
TWI499252B (zh) 2015-09-01
WO2008146196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222B1 (ko)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채널 변경 결정 메커니즘 및 방법
US10278113B2 (en) Dynamically-selectable multi-modal modulation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US967472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link debugging
KR101468129B1 (ko)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장치에 대한 통신 채널 조건에 관한 데이터의 수집 및 보고
RU242092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спектра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9001674B2 (en) Method of sensing
US9237024B2 (en) Informational broadcast messages and its uses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CN108540247B (zh) 认知无线网络中带能量收集的频谱感知和信息传输方法
KR20200118602A (ko) 멀티홉 네트워크의 경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3017153A (ja) マルチホップ通信方法、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EP2337383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broadband wireless signals indoors
EP2747505A1 (en) Clustering of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hidden node detection
WO2013030715A1 (en)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 node in a wireless network
US202201828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network access to enhance a user's experience
CN107528647A (zh) 一种智能电网通信中的可靠频谱感知方法
Tan et al. Long-term time-share guarantees are necessary for wireless lans
WO2012028919A1 (ja) マルチホップ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
WO201402409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hannel state in a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