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41B1 -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 Google Patents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41B1
KR101518041B1 KR1020140164829A KR20140164829A KR101518041B1 KR 101518041 B1 KR101518041 B1 KR 101518041B1 KR 1020140164829 A KR1020140164829 A KR 1020140164829A KR 20140164829 A KR20140164829 A KR 20140164829A KR 101518041 B1 KR101518041 B1 KR 10151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workpiece
graphite workpiece
vacuum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Original Assignee
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호 filed Critical 윤재호
Priority to KR102014016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에 사용되는 곡면 유리 제조용 사각(四角)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하나의 공압지그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공압지그 위에 폭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사각 흑연가공물을 선택적으로 부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흡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두 종류의 사각 흑연가공물을 공압지그에 설치하는 셋팅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흑연성형치구의 가공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가공생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PNEUMATIC JIG FOR MACHINING GRAPHITE FORMING FIXTURE}
본 발명은 곡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에 사용되는 곡면 유리 제조용 사각(四角)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하나의 공압지그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마트폰은 전면부의 커버글라스에 평판형 유리(Flat Glass)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였으나, 최근에는 휘어진 곡면 유리(Curved Glass)를 채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차세대 모바일 기술로 예견되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도 커버글라스에 곡면 유리를 탑재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곡면 커버글라스는 평판형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보다 미적 감각이나 착용감, 기능성 등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 점차 3D, 6D 곡면 형상의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로 대체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3D, 6D 곡면 형상의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의 곡면 커버글라스를 가공하는 기술은 초기 단계의 기술로서 상용화된 기술은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러한 기술 중 하나는 곡면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치공구를 사용하여 고온 가열로에서 커버글라스를 연와시켜 자중으로 곡면 형상으로 가공하는 커버글라스의 곡면 가공방법으로 한국 등록특허 10-1260434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60434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을 갖는 평판형의 박막 커버 글라스가 안착되는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에 안착된 커버 글라스의 상면을 자중에 의해 압착하는 상부 베이스; 상기 평판형의 박막 커버 글라스의 상하좌우측 일면 중, 어느 한쪽 이상의 일면을 커버 글라스가 용융되지 않고 적은 연성을 띄는 650~750℃ 사이의 고온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리프레싱하여 곡면형상으로 성형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부의 저면 일부는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곡선면을 이루고, 상기 하부 베이스에서 상기 밴딩부가 안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밴딩부의 곡선면과 대응되는 하향경사진 곡선면이 형성되되, 상기 밴딩부의 곡선면과, 하부 베이스의 곡선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싱 공정에 의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금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리프레싱 공정에 의한 터치 패널용 3D 형상 커버 글라스의 제조금형을 어떤 재질로, 어떤 가공기와 어떤 성형치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가 없다.
또 다른 곡면 유리 성형방법으로, 한국 등록특허 10-1404494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의 곡면 형태가 양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테인레스계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금형; 및 상기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의 평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단에 체결되는 스테인레스계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상부금형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의 평면이 밀착되는 평면부와 상기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의 곡면이 밀착되는 곡면부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평면으로부터 양각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평면부와 밀착되어 상기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의 평면을 눌러주기 위한 평면압출부; 및 상기 곡면부와 밀착되어 상기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의 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곡면압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압출부는 상기 평면압출부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곡면 커버 글라스를 제조하는 금형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그 금형의 재질 및 그 금형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재가 없다.
한편, 상기 곡면 커버 그라스를 성형하는 종래 기술들은 커버 글라스를 제조하는 성형치구(금형)를 스테인레스계의 금속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테인레스계 금속 재질의 성형치구는 재질이 질기고 강해서 고속 가공이 불가능하여 가공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커버 글라스를 밴딩시키기 위한 고온의 가열로에서 일정 시간 노출되므로 열수축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거나 가열, 냉각을 반복하게 되어 산화 및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고온의 환경에서도 열변형, 산화 등이 일어나지 않고 성형성이 뛰어나 복잡한 형상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인 흑연으로 제조된 성형치구(금형)가 필요한 실정이나 이러한 흑연성형치구는 흑연이 가진 강한 취성으로 인해 외부의 충격에 쉽게 깨지거나 균열이 일어날 수 있어 종래 볼트 또는 바이스로 피가공 흑연가공물을 고정시켜 고속가공기로 가공을 할 경우 균열 또는 파손으로 불량이 되거나 가공정밀도가 떨어져 흑연성형치구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취성이 강한 흑연가공물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복잡한 형상의 곡면 유리 제조용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가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종래에는 종횡비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흑연성형치구를 하나의 지그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압지그가 존재하지 않아 두 종류의 흑연상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피가공 흑연가공물에 맞는 공압지그를 각각 준비해야 되므로 제작비용이나 공작기계에 각각의 공압지그를 장착하는 시간이 별로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10-1260434호(2013년 05월 06일) 2. 한국 등록특허 10-1404494호(2014년 06월 10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횡비가 다른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성형가공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절단 또는 황삭 가공된 피가공 흑연가공물을 공기의 부압으로 흡착 고정시킴으로써 취성이 강한 흑연가공물이 볼트 또는 바이스 등과 같은 기구적인 장치와 접촉하지 않고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가공 시 흑연가공물이 균열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피가공 흑연가공물을 하나의 공압지그를 이용하여 고속가공기 등 공작기계의 플레이트에 신속하고 안정되게 장착 고정시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가공기 등 공작기계의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길이는 동일하나 서로 폭이 다른 사각형상의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압지그에 있어서, 납작한 육면체로서, 제1흑연가공물(A)의 외연부보다 큰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외연부 사방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1걸림턱(111, 111', 112, 1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의 하부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공간(115)이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의 양쪽 제1걸림턱(111, 112)의 내측과 상기 함몰공간(115) 사이에는 편평한 수평면을 가지는 제1안착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부(118)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1진공통로(116)가 상기 양쪽 제1걸림턱(111, 112)에 평행하게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의 길이방향 외연부 양측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A)과 길이는 동일하되 폭이 좁은 제2흑연가공물(B)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113, 114)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양쪽 제2걸림턱(113, 114)의 내측과 상기 함몰공간(115) 사이에는 상기 제1안착부(118)보다 낮은 수평면을 가지되 폭방향으로는 상기 제1안착부(118)의 측면과 접하는 제2안착부(119)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부(119)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2진공통로(117)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외연부 상하좌우 네 측면에는 상기 각 진공통로와 수평 방향으로 연통된 결합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은 편평한 평면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가공기 지그에 결합고정되는 진공흡착블럭(110)과; 상기 진공흡착블럭(110)의 각 측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구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각 진공통로와 외부 진공 발생 장치를 연통시켜주는 연결구(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나의 공압지그 위에 폭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사각 흑연가공물을 선택적으로 부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흡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두 종류의 사각 흑연가공물을 공압지그에 설치하는 셋팅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흑연성형치구의 가공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가공생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취성이 강한 흑연가공물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균열 또는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공압지그의 상부면 외연부에는 피가공 흑연가공물의 외연부와 소정의 공차로 형상 맞춤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가공시 피가공 흑연가공물이 밀려 나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가공오차가 줄어들어 정밀한 흑연성형치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곡면 유리 제조용 성형치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지그의 사시도(a) 및 절개 단면도(b), (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지그에 형성된 각각의 진공통로를 파란색으로 강조하고 투명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지그에 제1흑연가공물을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a) 및 단면도(b), (c).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지그에 제2흑연가공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a) 및 단면도(b), (c).
이하, 본 발명의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압지그 위에 설치 고정되어 가공되는 흑연가공물은 직육면체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중앙부 하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압지그(100)는 통상 고속가공기(도시 하지 않음)의 플레이트 위에 장착된 척에 설치되는 가공기 지그(고속가공기 제조사가 고속가공기 규격에 맞춰 제공하는 표준지그로 예를 들면 고속가공기 제조사인 스위스 EROWA사의 표준지그) 위에 접착제 또는 볼트체결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압지그(100)의 하부면은 기본적으로 평탄하며, 하부면의 일부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압지그(100)의 재질은 가공성이 뛰어나 복잡한 형상구현이 용이하고 온도변화에도 변형이 적고 재료비 및 가공비가 저렴한 흑연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 내구성이 뛰어난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지그는 상기한 고속가공기 이외의 밀링머신 등 일반 공작기계에도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압지그의 사시도(a) 및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절개 단면도(b), (c)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지그(100)는 크게 진공흡착블럭(110)과 연결구(12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흡착블럭(110)의 형상은 납작한 육면체로서, 제1흑연가공물(A)의 외연부보다 큰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외연부 사방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1걸림턱(111, 111', 112, 1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의 하부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공간(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턱 중 진공흡착블럭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에 형성된 제1걸림턱(111', 112')은 도 3(a)에 도시된 제2걸림턱(113, 114)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111, 111', 112, 112')의 내측면의 크기 즉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걸림턱 간의 크기(길이)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A)의 크기와 소정의 공차로 맞춤되도록 형성하여 제1흑연가공물이 상기 제1걸림턱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도 3(b)는 상기 진공흡착블럭(100)의 폭방향 중앙부의 단면 A-A'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걸림턱(본 실시예에서는 도면부호 111과 112)의 내측과 함몰공간(115) 사이에는 편평한 수평면을 가지는 제1안착부(118)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부(118)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1진공통로(116)가 양쪽 걸림턱(111, 112)에 평행하게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제1흑연가공물(A)은 전공정에서 진공흡착블럭(110)의 제1걸림턱 내측면에 안착되기 위하여 외측벽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크기가 소정의 공차로 기계가공 또는 성형되고, 그리고 외연부 하면은 편평한 수평면을 가지도록 예비 가공되어 상기 제1안착부(118)의 편평한 상부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흑연가공물(A)의 외연부 하부가 상기 제1안착부(118)의 상부에 안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진공통로(116)의 상부를 폐쇄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제1진공통로(116)에 연결구(120)를 통하여 부압이 걸리면서 제1흑연가공물(A)의 하부 외연부를 하부로 흡착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3(c)는 상기 진공흡착블럭(100)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단면 B-B'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착블럭 상부면의 길이방향의 외연부 양측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A)과 길이는 동일하되 폭이 좁은 제2흑연가공물(B)의 길이방향 크기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113, 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113, 114) 내측과 상기 함몰공간(115) 사이에는 제1안착부(118)보다 낮은 수평면을 가지는 제2안착부(119)가 양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흑연가공물(B)의 폭방향 양쪽 측면은 별도의 걸림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안착부(118)와 제2안착부(119)가 접하는 단차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2안착부(119)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2진공통로(117)가 양쪽 걸림턱(111, 112)에 평행하게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흑연가공물(B)의 하부면이 상기 제2안착부(119)의 상부에 안착되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진공통로(117)의 상부를 폐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제2진공통로(117)에 연결구(120)를 통하여 부압이 걸리면서 제2흑연가공물(B)의 하부 외연부를 하부로 흡착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4는 진공흡착블럭(110)을 투명하게 하고, 제1 및 제2안착부(118, 119)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진공통로(116, 117)를 청색으로 강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진공통로(116, 117)는 상호 연통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진공통로(116, 117)는 진공흡착블럭(110)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와 연통되고, 결합구에 형성된 나사부와 연결구(120)에 형성된 나사부를 서로 결합하여 외부 진공 발생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120)는 한쪽에 상기 진공흡착블록의 상하좌우 네 측면에 형성된 상기 각 결합구와 결합되는 나사부를 가지며, 다른 쪽은 진공호스와 커플링되는 퀵커넥터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진공통로와 독립적으로 연통된다.
이러한 제1진공통로(116)는 제1흑연가공물(A)이 안착될 경우에만 외부 진공 발생 장치를 통해 부압을 형성시키고, 제2진공통로(117)은 상기 제1흑연가공물(A)보다 폭이 좁은 제2흑연가공물(B)이 안착될 경우에만 부압을 형성시킨다.
도 5(a)는 본 발명의 공압지그(100) 상부에 제1흑연가공물(A)을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와 도 5(c)는 도 5(a)의 폭방향(C-C') 및 길이방향(D-D')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흑연가공물(A)은 제1안착부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외연부는 사방의 제1걸림턱(111, 111', 112, 112')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때 제1흑연가공물은 길이방향의 양쪽 제2걸림턱(113, 114)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따라서, 제1흑연가공물(A)은 사방에 형성된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113, 1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가공시 수평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흑연가공물(A)은 폭방향 양쪽에 형성된 제1진공통로(116)의 부압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밀착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6(a)는 공압지그(100)에 제2흑연가공물(B)을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도 6(a)의 폭방향(E-E') 길이방향(F-F')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흑연가공물(A)보다 폭만 좁은 제2흑연가공물(B)은 제2안착부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 외연부 끝단은 제2걸림턱(113, 114)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폭방향 외연부 끝단은 상기 제1안착부(118)와 제2안착부(119)가 접하는 단차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2흑연가공물(B)은 상기 제2걸림턱과 상기 단차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가공시 수평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2흑연가공물(B)은 길이방향 양쪽에 형성된 제2진공통로(117)의 부압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밀착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공압지그(100)는 하나의 공압지그 위에 폭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사각 흑연가공물을 선택적으로 부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흡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에서는 제1흑연가공물과 제2흑연가공물의 폭이 다른 것으로 기재했으나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다른 흑연가공물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공압지그를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A: 제1흑연가공물 B: 제2흑연가공물
100: 공압지그 110: 진공흡착블럭
111, 111', 112, 112': 제1걸림턱
113, 114: 제2걸림턱
115: 함몰공간 116: 제1진공통로
117: 제2진공통로 118: 제1안착부
119: 제2안착부 120: 연결구

Claims (4)

  1. 공작기계의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길이는 동일하나 서로 폭이 다른 사각형상의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압지그에 있어서,
    납작한 육면체로서, 제1흑연가공물(A)의 외연부보다 큰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외연부 사방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1걸림턱(111, 111', 112, 1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의 하부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공간(115)이 형성되며,
    폭방향의 상기 양쪽 제1걸림턱(111, 112)의 내측과 상기 함몰공간(115) 사이에는 편평한 수평면을 가지는 제1안착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부(118)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1진공통로(116)가 상기 양쪽 제1걸림턱(111, 112)에 평행하게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의 길이방향 외연부 양측에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A)과 길이는 동일하되 폭이 좁은 제2흑연가공물(B)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113, 114)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양쪽 제2걸림턱(113, 114)의 내측과 상기 함몰공간(115) 사이에는 상기 제1안착부(118)보다 낮은 수평면을 가지되 폭방향으로는 상기 제1안착부(118)의 측면과 접하는 제2안착부(119)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부(119)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2진공통로(117)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외연부 상하좌우 네 측면에는 상기 각 진공통로와 수평 방향으로 연통된 결합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은 편평한 평면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가공기 지그에 결합고정되는 진공흡착블럭(110)과;
    상기 진공흡착블럭(110)의 각 측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구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각 진공통로와 외부 진공 발생 장치를 연통시켜주는 연결구(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111, 111', 112, 112')의 내측면의 크기는 상기 제1흑연가공물(A)의 외측면의 크기와 소정의 공차로 맞춤되며, 상기 제2걸림턱(113, 114)과 상기 제1안착부(118)와 제2안착부(119)가 접하는 단차면이 이루는 내측면의 크기는 제1흑연가공물(A)과 길이는 동일하되 폭이 좁은 제2흑연가공물(B)의 외측면의 크기와 소정의 공차로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3. 삭제
  4. 삭제
KR1020140164829A 2014-11-24 2014-11-24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KR10151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829A KR101518041B1 (ko) 2014-11-24 2014-11-24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829A KR101518041B1 (ko) 2014-11-24 2014-11-24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041B1 true KR101518041B1 (ko) 2015-05-06

Family

ID=5339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829A KR101518041B1 (ko) 2014-11-24 2014-11-24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434B1 (ko) * 1995-10-27 1999-04-15 이대원 진공 척 장치
KR100653430B1 (ko) * 2006-03-08 2006-12-04 조성화 그라파이트 박판의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434B1 (ko) * 1995-10-27 1999-04-15 이대원 진공 척 장치
KR100653430B1 (ko) * 2006-03-08 2006-12-04 조성화 그라파이트 박판의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045B1 (ko) 곡면 유리 제조용 원형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원형 공압지그
KR101722360B1 (ko) 피가공물 고정용 공압지그
KR101518038B1 (ko) 곡면 유리 제조용 경사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경사공압지그
KR101697467B1 (ko) 열성형 글라스용 금형 제조방법
CN205020841U (zh) 薄壁零件夹具
KR101518028B1 (ko) 곡면 유리 제조용 다중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다중 공압지그
TW201600198A (zh) 金屬件及金屬件成型方法
KR101518041B1 (ko) 두 종류의 사각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KR101531683B1 (ko) 곡면 유리 제조용 ㅠ자형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KR101518044B1 (ko) 대면적 박판형상의 흑연성형치구 가공용 공압지그
KR101518027B1 (ko) 곡면 유리 제조용 흑연성형치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압지그
CN103639733A (zh) 高精度线切割工装
KR20060091164A (ko) 금형 제조 장치
CN102896598B (zh) 一种通用夹具
CN217579051U (zh) 棱镜镀膜夹具以及镀膜伞
CN204148703U (zh) 螺柱焊枪定位装置
KR102313167B1 (ko) 차량 시트용 힌지 핀 압입장치 및 그 압입방법
JP2013072460A (ja) 固定具
US20140009922A1 (en) Light-bar adhesion fixture and corresponding light-bar adhesion method
JP2009214146A (ja) プレス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004844U (zh) 一种汽车生产用切换装置
KR20150053482A (ko) 씨엔씨 가공 방전전극 지그장치
KR20140081941A (ko) 3차원 냉각 금형 제조방법 및 그 접합장치
CN107597934B (zh) 一种冲压工装及冲压方法
CN204621620U (zh) 一种机用平口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