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789B1 - 유체 토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토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789B1
KR101517789B1 KR1020130122053A KR20130122053A KR101517789B1 KR 101517789 B1 KR101517789 B1 KR 101517789B1 KR 1020130122053 A KR1020130122053 A KR 1020130122053A KR 20130122053 A KR20130122053 A KR 20130122053A KR 101517789 B1 KR101517789 B1 KR 10151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charge
fluid discharge
uni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644A (ko
Inventor
유일수
황순찬
박무룡
최범석
박준영
윤의수
서정민
임형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7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토출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렬로 외면에 형성되는 유체 토출부; 상기 유체 토출부 내에 삽입되며, 측면 일영역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토출공과 상기 유로가 연통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회동하여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토출공을 선택함으로써 유체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함몰부와 대향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토출공의 위치를 제어하여, 일정한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공급받으나 유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제어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체 토출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A DISCHARG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토출부 내부의 유로에 유체를 공급하는 조절부가 유체 토출부 내부에서 직선이동 또는 회동됨으로써, 유로와 연통하는 토출공의 개수 또는 위치를 제어하여, 일정한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공급받으나 유체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상유동 펌프시스템(Multi-phase pump system,MPP)은 유정 내의 원유 또는 가스 등의 다상 혼합물을 해상 플랫폼이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 및 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FPSO)등의 원유처리 플랜트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은 원유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육상 및 해상 모두에서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된다.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은 용적형과 회전형으로 분류된다. 용적형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으로는 TSP(Twin-screw pump)와 PCP(Progressing cavity pump)와 피스톤 펌프 및 다이어프램 펌프 등이 있다. 또한, 회전형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으로는 다단축류 펌프인 HAP(Helico-axial pump)와 다단원심펌프인 ESP(Electrical Submersible pump) 등이 있다.
나아가,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체 또는 유체가 혼합된 혼합체에서 기체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는 가스체적분율(Gas Volume Fraction,GVF)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TSP 펌프의 경우 높은 가스체적분율 조건에 적용되며, ESP는 40% 이하의 낮은 가스체적분율에 적용되는 등 각 펌프에 따라 요구되는 가스체적분율이 상이하다.
해양플랜트 기자재 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기체, 고체, 액체로 혼합되어 있는 물질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에 대한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의 안정성 및 신뢰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장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다만,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의 성능 시험은 초기 구축 비용 및 운용비 확보의 어려움, 설치된 지역의 조건 등의 문제에 의하여 직접적인 시험은 어렵다.
이에 의해, 다상유동 펌프시스템과 동일한 조건을 설정하여 성능을 시험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가스체적분율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적정한 양의 기체를 공급하는 장치는 아직 개발되지 않아 다상유동 펌프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동일한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 토출부 내부의 유로에 유체를 공급하는 조절부가 유체 토출부 내부에서 직선이동 또는 회동됨으로써, 유로와 연통하는 토출공의 개수 또는 위치를 제어하여, 일정한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공급받으나 유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토출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렬로 외면에 형성되는 유체 토출부; 상기 유체 토출부 내에 삽입되며, 측면 일영역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토출공과 상기 유로가 연통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회동하여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토출공을 선택함으로써 유체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에는 일단이 상기 함몰부를 관통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유체를 상기 유로에 공급하는 공급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토출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유체 토출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유체 토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함몰부의 길이방향의 연장선 상을 제외한 상기 조절부의 영역과 상기 유체 토출부 사이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조절부는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토출부에 형성된 토출공과 유로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배관에 일정한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공급받으나, 유체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의 양 단부를 관통하도록 공급로가 형성되며, 조절부를 직선이동 함으로써 유체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관통하도록 공급로가 형성되며, 조절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의 둘레면을 감싸는 차단부를 채택하여 유체가 조절부와 유체 토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토출되는 유체의 양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100)는 유체 토출부(110)와,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되어 직선이동하는 조절부(120)와, 유체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부(130) 및 조절부(1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유체 토출부(110)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외면에는 토출공(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체 토출부(110)는 속이 빈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유체 토출부(110)의 일단은 후술하는 조절부(120)가 삽입되어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된다. 또한, 유체 토출부(110)의 타단은 유로 내부의 유체가 토출공(111)으로만 토출될 수 있도록 마감된다.
즉, 유체 토출부(110)의 개구된 일단을 통하여 유체 토출부(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토출공(111)으로만 토출된다.
토출공(111)은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된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영역이다.
토출공(111)은 유체 토출부(11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토출공(111)은 유체 토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렬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열에 형성되는 토출공(111)은 이웃하는 열에 형성되는 토출공(111)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였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토출공(111)을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의 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열에 형성되는 토출공(111)과 이웃하는 열에 형성되는 토출공(111)은 상호 엇갈리게 교차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이송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배관 또는 호스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조절부(120)는 토출공(111)과 유체 토출부(110) 내부의 유로 간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부(120)는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유체 토출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조절부(1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로(121)가 형성된다. 공급로(121)는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은 유체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로(121)는 유체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조절부(120)의 양 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공급로(121)의 일단은 유체 공급부(140)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다. 또한, 공급로(121)의 타단은 조절부(120)의 일단을 관통하여 유체 토출부(110)의 마감된 일단과 조절부(120) 사이의 공간에 유체를 공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조절부(120)는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에 차단부(130)가 개재될 수 있도록 차단부(1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조절부(120)가 유체 토출부(110)의 내경보다 작은 형상이다. 다만, 조절부(120)가 유체 토출부(110)의 내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등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부(130)는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차단부(130)는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에 개재되며, 조절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즉, 차단부(130)는 유체 토출부(110)의 마감된 일단과 조절부(120) 사이의 공간에만 유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차단부(130)는 유체 토출부(110) 둘레면과 조절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이동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130)는 유체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하는 조절부(120)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면 조절부(120)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등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130)는 오링을 이용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체 공급부(140)는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급로(121)의 일단에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과 필요한 유체의 양을 계산하여,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를 결정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120)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한다.
이 후, 조절부(120)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서 직선이동 하여 차단부(130)의 위치를 조절한다. 차단부(130)의 위치에 따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가 조절된다.
조절부(12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공급로(121)를 통하여 유체 토출부(11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유체 토출부(110)의 마감된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조절부(120)의 단부에만 위치하도록 차단부(13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차단부(130)에 의하여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지 못하므로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으로만 유체가 토출된다.
한편, 차단부(130)를 조절부(120) 둘레면 전체를 감싸도록 장착하는 경우에는 유체의 이동 차단뿐만 아니라 토출공(111)을 차단부(130)가 차폐하게 되므로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으로만 유체가 토출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여 보면, 조절부(120)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를 조절한다. 조절부(120)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유체 토출부(110)의 마감된 단부와 차단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토출공(111)의 개수를 조절한다. 즉, 조절부(120)를 직선이동하여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유체 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양은 일정하나, 유체 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200)는 유체 토출부(110)와,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조절부(220)와,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220)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부(230) 및 유체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유체 토출부(110) 및 유체 공급부(1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부(220)는 토출공(111)과 유체 토출부(110) 내부의 유로 간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부(220)의 내부에는 공급로(221)가 형성된다. 또한, 조절부(22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함몰부(222)가 형성된다.
한편, 조절부(220)는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유체 토출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공급로(221)는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은 유체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로(221)는 유체를 보다 용이하게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로(221)의 일단은 조절부(220)의 일단을 관통한다. 또한, 공급로(221)의 타단은 함몰부(2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공급로(221)의 일단은 유체 공급부(140)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다. 또한, 함몰부(2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급로(221)의 타단은 조절부(220)와 함몰부(222) 사이의 공간에 유체를 공급한다.
함몰부(222)는 공급로(221)로부터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유체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함몰부(222)는 조절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222)는 복수 개의 토출공(111)과 대향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복수 개의 토출공(111)을 통하여 유체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조절부(220)는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220) 사이에 차단부(230)가 개재될 수 있도록 차단부(2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조절부(220)가 유체 토출부(11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함몰부(222)를 제외한 조절부(220)가 유체 토출부(110)의 내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차단부(230)는 조절부(220)와 차단부(222) 사이의 공간 외의 영역으로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차단부(230)는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220)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차단부(230)는 함몰부(222)와 대향되는 토출공(111)으로만 유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또한, 함몰부(222)를 제외한 조절부(22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또한, 유체 토출부(110)의 마감된 일단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조절부(220)의 일단에는 둘레면 전체을 감싸도록 차단부(230)가 장착된다.
따라서, 조절부가 직선이동을 하더라도 함몰부(222)에 대향되는 열에 형성된 토출공(111)으로만 유체가 토출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과 필요한 유체의 양을 계산하여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를 결정하며,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결정한다.
이 후, 조절부(22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조절부(220)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한다.
유체 공급부(140)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로(221)에 공급하면 함몰부(222)를 통하여 유체가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된다.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된 유체는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을 통하여 토출된다.
이때, 조절부(220)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체가 토출되는 열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222)의 길이에 따라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가 조절되어, 유체 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유체 토출부(110)의 형상과 관계없이, 유체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과 토출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300)는 유체 토출부(110)와,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되어 직선이동 또는 회동하는 조절부(220)와,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220)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부(330) 및 유체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유체 토출부(110) 및 유체 공급부(1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조절부(220)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부(330)는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111) 외의 영역으로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차단부(330)는 유체 토출부(110)와 조절부(220)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차단부(330)는 조절부(220)가 직선이동하는 경우 유체 토출부(110)의 마감된 일단과 조절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토출공(111)으로 유체가 토출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차단부(330)는 조절부(220)가 회동하는 경우 조절부(220)와 함몰부(22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토출공(111)으로만 유체가 토출되도록 장착된다.
다시 말해, 차단부(330)는 조절부(220)의 둘레면을 따라 감싸되, 함몰부(222)가 형성된 영역의 길이방향에는 차단부(330)가 위치하지 않도록 장착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토출 제어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과 필요한 유체의 양을 계산하여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의 개수를 결정하며,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을 결정한다.
이 후, 조절부(22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조절부(220)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삽입한다.
유체 토출부(110)에 삽입된 조절부(220)를 직선이동 및 회동하여 차단부(330)의 위치를 조절한다.
차단부(330)의 위치에 따라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0)의 개수가 조절된다. 또한, 차단부(330)의 위치에 따라 유체가 토출되는 열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140)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로(221)에 공급하면, 함몰부(222)를 통하여 유체가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된다. 유체 토출부(110) 내부에 공급된 유체는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111)으로만 토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양은 일정하나, 유체 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양 및 유체 토출부(110)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유체 토출 제어장치 110 : 유체 토출부
111 : 토출공 120 : 조절부
121 : 공급로 130 : 차단부
140 : 유체 공급부 222 : 함몰부

Claims (5)

  1.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토출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렬로 외면에 형성되는 유체 토출부;
    상기 유체 토출부 내에 삽입되며, 측면 일영역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토출공과 상기 유로가 연통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회동하여 상기 함몰부와 대향되는 토출공을 선택함으로써 유체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는 일단이 상기 함몰부를 관통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유체를 상기 유로에 공급하는 공급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토출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유체 토출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유체 토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함몰부의 길이방향의 연장선 상을 제외한 상기 조절부의 영역과 상기 유체 토출부 사이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조절부는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공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 제어장치.
  5. 삭제
KR1020130122053A 2013-10-14 2013-10-14 유체 토출 제어장치 KR10151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53A KR101517789B1 (ko) 2013-10-14 2013-10-14 유체 토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53A KR101517789B1 (ko) 2013-10-14 2013-10-14 유체 토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644A KR20150043644A (ko) 2015-04-23
KR101517789B1 true KR101517789B1 (ko) 2015-05-07

Family

ID=5303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053A KR101517789B1 (ko) 2013-10-14 2013-10-14 유체 토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7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864A (ja) 1999-04-15 2000-10-24 Kubota Corp 多孔可変オリフィス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864A (ja) 1999-04-15 2000-10-24 Kubota Corp 多孔可変オリフィス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644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7219B (zh) 在降噪部件和高流量部件之间具有零死区的阀笼
US7413416B2 (en) Progressing cavity pump
MX2009003580A (es) Dispositivo giratorio de transferencia de presion.
MX2011004146A (es) Ensamble regulador de flujo.
RU2013132390A (ru) В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2525547A5 (ko)
KR101517789B1 (ko) 유체 토출 제어장치
RU2613619C2 (ru) Регулятор, имеющий изолированную загрузочную камер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ыбросов
WO2017108233A3 (de) Packung und kolonne umfassend eine oder mehrere packungen
KR20150108976A (ko) 다상유동 펌프 시험장치
US10260313B2 (en) Metal-to-metal sealing valve with managed flow erosion across sealing member
AU2010203858A1 (en) Device for providing a controllable pressure reduction
AU2017395157B2 (en) Connector with flange for limiting buckle propagation comprising a differential pressure valve for underwater fluid-transport pipe
EP3354946A1 (en) Valve
RU2017127703A (ru) Редукционный клапан и система снижения давления
KR101474943B1 (ko) 다상유동 펌프 시험장치
US9303784B2 (en) Minimum pressure and shutoff valve
KR102097474B1 (ko) 압력강하용 다단 오리피스
US10794125B2 (en) Tubing in tubing bypass
CN109138945A (zh) 一种控油调剖装置
US20150300132A1 (en) Tubula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packing particulates using a slurry
AU2017330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iquid pressure
EP3707421A1 (en) A pressure fluctuation damper for a metering instrument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KR20200069812A (ko) 밸브바디 유압회로의 잔압 유지 장치
CN113586724A (zh) 药剂注入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