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949B1 -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949B1
KR101516949B1 KR1020130133981A KR20130133981A KR101516949B1 KR 101516949 B1 KR101516949 B1 KR 101516949B1 KR 1020130133981 A KR1020130133981 A KR 1020130133981A KR 20130133981 A KR20130133981 A KR 20130133981A KR 101516949 B1 KR101516949 B1 KR 10151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guide
alveolar bone
side cutting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3013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flattening drill apparatus in order to reduce surgery time and enhance accuracy and stability in placing implant by improving accuracy of a hole perforated in the alveolar bone for placing the implant. The bone flattening drill apparatus includes: a shank part forming an installation part coupled to a dental handpiece at an upper end part; a cylindrical guide bod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hank part and rotating in one body,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a guide hole such that it is formed according to an oral cavity profile on a stent wrapped around periodontal tissue to be fixed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guiding a position where a fixture is placed to be rotationally supported; and a drill par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guide body part, having a side cutting part rounded as an external profile is extended downwards to cut a gum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and having a flattening cutting part horizontally forming a flattening cutting blade at a lower end of the side cutting part to flatten the alveolar bone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Description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본 발명은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도록 치조골에 형성되는 천공의 정밀성을 향상시켜 임플란트 식립시 시술시간이 단축되고 임플란트 식립의 정확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dril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drilling apparatus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perforation formed on an alveolar bone so that an implant can be placed,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implant placement and improving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implant placement. To a drill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Generally,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for replacing a human tissue when the original human tissue is lost, but refers to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in the dentistry. To replace the missing tooth root, a fixture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which has no rejection to the human body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at has been taken out of the tooth, and then the tooth is restored by fixing the artificial tooth.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충치 발생요인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관리만 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s can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s and can be used stably because there is no secondary cause of tooth decay. In addition, since the impla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natural teeth, there is no pain or foreign body sensation of the gums,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implan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a 및 도 2b, 도 2c는 종래의 잇몸 제거과정 및 픽스츄어 식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FIGS. 2A, 2B, and 2C illustrate a conventional gum removal procedure and fixture placement.

도 1 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1차 시술(s1,s2,s3,s4)과,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골융합되는 시간(3~6개월)을 기다린 후 최종보철물을 고정시키는 과정(s5,s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2C, the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includes a primary procedure (s1, s2, s3, s4) of placing a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a time To 6 months) and fixing the final prosthesis (s5, s6).

먼저, 1차 시술은 치아가 결손된 부분의 잇몸을 여는 잇몸 제거 단계(s1),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하는 다단계 드릴링 단계(s2), 그리고 픽스츄어 식립 단계(s3),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시치아를 결합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primary procedure includes a gum removal step (s1) for opening the gum of a tooth-missing part, a multistage drilling step (s2) for forming a perfora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placed, a fixture placement step (s3) And a step (s4) of binding temporary teeth to the tooth tip.

상세히, 잇몸 제거 단계(s1)에서 티슈 펀치 등을 통해 잇몸을 제거하고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치조골의 노출된 부분에 다단계 드릴링 단계(s2)를 거쳐 픽스츄어 식립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gums are removed through a tissue punch or the like in the gum removal step (s1), and the alveolar bone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is exposed. Then, the exposed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is subjected to a multi-step drilling step (s2) to form a perforation for fixture placement.

이때, 상기 다단계 드릴링 단계(s2)는 초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 홀을 확장하는 단계, 홀의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홀 내부의 잔존 치조골을 제거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술에 사용하는 드릴의 종류와 드릴링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ulti-step drilling step (s2) may include forming an initial hole, expanding a hole, forming a thread in a hole, and removing a remaining alveolar bone in the hole. Depending on the type of drill and the drilling method used, it can be varied.

그리고, 상기 다단계 드릴링 단계(s2)를 거쳐 형성된 천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s3),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시치아를 결합시키면(s4) 1차 시술과정은 마무리된다.Then, the fixture is placed on the perforations formed through the multi-step drilling step (s2) (s3), and the temporary teeth are coupled to the fixture placed (s4), thereby completing the primary procedure.

여기서, 상기 천공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는 인공치아의 뿌리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치조골이 픽스츄어와 골융합을 형성하는 회복과정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골융합 후 치조골과 픽스츄어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단계 드릴링 단계(s2)에서 정확한 천공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임플란트 시술을 통한 인공치아 형성의 완성도를 좌우하게 된다. Here, the fixture placed in the perforation serves as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an accurate hole in the multi-step drilling step (s2)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and fast restoration process in which the alveolar bone forms osseointegration with the fixture and provides a stabl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after the osseointegration. And the completeness of artificial tooth formation through implant treatment is determined.

한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치조골(1)은 치아(3)의 치근이 결합되어 지지되고, 치조골(1)의 외측을 잇몸(2)이 감싸고 있다. 여기서, 구강 내의 치조골(1)은 표면이 평탄한 형태가 아니라 굴곡지거나 요철이 있는 비균질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2A and 2B, the alveolar bone 1 is supported by the root of the tooth 3 being joined, and the gum 2 is wrapped around the alveolar bone 1. Here, the alveolar bone 1 in the oral cavity is not a flat surface but a curved or irregular inhomogeneous shape.

그러나, 종래의 잇몸 제거 단계에 사용되는 티슈 펀치(4) 등은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의 잇몸을 제거하여 치조골이 노출될 부분(5)을 형성할 때, 치조골(1)의 굴곡지거나 요철이 형성된 부분의 잇몸(2a)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여 남은 잇몸(2a)을 긁어내거나 추가적인 잇몸 제거 시술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시술시간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시술 시간의 증가로 인해 환자가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tissue punch 4 or the like used in the conventional gum removal step is to remove the gums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placed and form the portion 5 where the alveolar bone is to be exposed, the bending or irregularity of the alveolar bone 1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gum 2a formed thereon, so that the remaining gums 2a are scraped off using an additional equipment or an additional gum removal procedure is required. As a result, not only the procedure time is increased but also the patient is burdened due to an increase in the procedure time.

또한,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한 잇몸은 천공(6) 형성시 천공 내측으로 유입되어 치조골의 회복을 더디게 하고, 치조골과 픽스츄어의 결합력을 감소시켜 인공치아의 완성도 및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gums which have not been completely removed have a problem in that the formation of the perforations 6 causes the penetration into the perforations to slow the recovery of the alveolar bone and redu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thereby reducing the completeness and stability of the artificial teeth.

더욱이, 도 2c를 참조하면 노출된 치조골(1)의 표면이 평탄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단계 드릴링 단계가 수행되면, 형성된 천공(6)과 최초 시뮬레이션에 의해 설계된 천공의 위치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드릴링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공이 형성된 스탠트 등의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제공되기는 하나, 치조골(1)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에는 드릴 단부가 치조골(1)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해 작업의 정밀성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2C, when a multilevel drilling step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xposed alveolar bone 1 is not planar, an error is generated between the formed perforations 6 and the positions of perforations designed by the initial simulation there was. Of course, although a separate guide member such as a stanchion for guiding drilling is provided, if the alveolar bone 1 is not flat, the drill end can not be stably stuck on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1, The precision is significantly reduced.

시뮬레이션 시 천공(8)의 위치는 식립 후 픽스츄어(6)의 안정적인 결합과 빠른 회복, 골융착 시간 등을 고려하여 구강 내 잔존 치조골의 형태, 천공(8) 주변의 골량 분포를 고려하게 결정하게 된다. The position of the perforation (8) at the time of simulation is determined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residual alveolar bone in the oral cavity and the bone mass distribution around the perforation (8), considering stable fixation of the fixture (6) do.

따라서, 천공(8)이 정밀하게 설계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픽스츄어(6)의 식립 깊이 부족, 픽스츄어(6) 측부의 골량 부족 등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인공치아(7) 결합 후 치열 불균형 및 골량 부족으로 인한 치조골(1) 손상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perforation 8 can not be formed at a precisely design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cause insufficient depth of the fixture 6, lack of bone mass on the side of the fixture 6, Resulting in side effects such as damage to the alveolar bone (1) due to tooth imbalance and lack of bone mass.

더욱이, 천공(8) 형성의 오차로 인해 픽스츄어(6))의 식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는 새로운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 치조골(1)을 이식하거나 치조골(1)을 회복시킨 후 재시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적인 부담 발생으로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의료진에게도 과중한 부담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fixture 6 can not be stably placed due to the error of the perforation 8 formation, the alveolar bone 1 is implanted to form a new perforation, or the alveolar bone 1 is restored, So that the burden of time and cost is increased and the burden of the burden is given to the medical staff performing the implant.

한국 등록특허 제10-0829243호Korean Patent No. 10-082924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플란트가 식립되도록 치조골에 형성되는 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임플란트 식립시 시술시간이 단축되고 임플란트 식립의 정확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e drilling apparatus which improves the accuracy of perforation formed on the alveolar bone so that the implant can be placed, thereby shortening the procedure time at the time of implant placement and improving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implant placement. We will do i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에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생크부; 상기 생크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구강 내부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는 스탠트에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 가이드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잇몸을 커팅하도록 외면 프로파일이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 측부커팅부가 구비되고,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평탄화하도록 상기 측부커팅부의 하단에 평탄절삭날이 수평하게 형성된 평탄절삭부가 구비된 드릴부를 포함하는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handpiece comprising: a shank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coupled to a dental handpiece at an upper e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A cylindrical guide body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side cutt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and formed to be rounded as the outer surface profile extends downward to cut the gum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The alveolar bone of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is flattened And a drill portion having a flat cutting portion having a flat cutting edge formed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side cut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 프로파일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커팅부의 회전방향 단부에는 측부커팅날이 형성되고 회전반대방향측 상부 외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er sid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is formed into a convex arcuate shape with a decreasing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 side cutting edge is formed at the end portion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ide cutting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round.

그리고, 상기 측부커팅부의 회전반대방향측에는 절삭된 치조골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평탄절삭날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확장되어 오목한 호면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면홈부와 상기 측부커팅날은 커팅가이드면에 의해 연결되되 각각의 연결부분이 절곡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concave arcuate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ide cutting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from the flat cutting edge upwardly so as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alveolar b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edges are connected by the cutting guide surface, and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are bent.

또한, 상기 평탄절삭부는 상기 평탄절삭날의 회전반대방향 측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측부커팅부 및 상기 평탄절삭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되되, 상기 평탄절삭날은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flat cutting portion may include a slide surface formed to be sloped upwar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lat cutting edge, wherein the side cutting portion and the flat cutt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eferably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이때,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하부에는 유체유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유동홈부는 상측부에 회전중심측으로 내향하는 오목 라운드면이 형성되되 하측부에 상기 측부커팅부의 상단과 연속되도록 절삭되는 유체가이드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 fluid flow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and the fluid flow groove has a concave round surface facing the rotation center side on the upper side, and a fluid guide surface Is form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plating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드릴부는 측부에 측부커팅날이 구비되고 하부에 평탄절삭부가 구비되므로, 치료 대상 치아 적출 후 치조골 노출부분의 잇몸을 제거함과 동시에 픽스츄어 식립 부분의 굴곡이 진 치조골을 평탄화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하면서도 후속 시술인 드릴링 단계에서 픽스츄어 식립을 위한 천공위치 정렬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버트먼트/크라운이 기제조된 경우라면 한번의 시술과정에서 잇몸 제거, 픽스츄어 식립공 드릴링, 픽스츄어 식립 및 어버트먼트/크라운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irst, since the side cutting edg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ill part and the flat cutting part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the gingival portion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is removed, and the alveolar bone is flattened by the bending of the fixtur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accuracy of aligning the perforation position for fixture placement in the drilling step which is a subsequent procedure. Thus, if an abutment / crown is manufactu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rastructure device capable of completing gum removal, fixture hole drilling, fixture placement, and abutment / crown installation in a single procedure have.

둘째,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 프로파일은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제거된 잇몸 부분의 하부측은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부분의 면적에 대응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되 상부측은 넓게 형성됨에 따라 픽스츄어 및 임시치아 식립시 잇몸의 방해를 최소화하고 잇몸 및 치조골의 소실을 최소할 수 있다.Secondly, the outer sid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is formed to be rounded inward as it extends downward, and the lower side of the removed gum portion is formed to expose the alveolar bon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gums and minimize the loss of the gums and alveolar bone when the fixture and temporary teeth are placed.

셋째, 상기 측부커팅날 및 상기 평탄절삭날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호면홈부와 연결된 커팅가이드면과 연결되어 절삭된 잇몸 및 치조골이 커팅가이드면을 따라 호면홈부측으로 유동되므로 측부커팅날에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rdly, the side cutting edge and the flat cutting edge are connected to a cutting guide surface connected to an arc surface groove formed to be rounded upward, so that the cut gum and alveolar bone are moved toward the arc surface groove side along the cutting guide surface,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s the cutting force is stably maintained.

넷째,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은 회전방향 측부에 형성된 측부커팅날로부터 회전반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측이 넓게 확장되므로 상기 호면홈부와 상기 측부커팅날 사이에서 열방출면을 형성하여 회전 절삭시 측부커팅날의 열손상을 방지하고 측부커팅날의 과열로 인한 잇몸의 열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Fourthly,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extends from the side cutting edge formed on the 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to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is extended widely, a heat exhaust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and the side cutting edge, And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heat of the gums due to overheating of the side cutting blades.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a 및 도 2b, 도 2c는 종래의 잇몸 제거과정 및 픽스츄어 식립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배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사용모식도.
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FIGS. 2A, 2B and 2C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gum removal process and fixture place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lating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의 사용모식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S. 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the use of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100)는 생크부(10), 가이드몸체부(20), 그리고 드릴부(5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100)는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는 다단계 드릴링의 선행되는 시술과정에 사용되며,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잇몸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3 through 6B, the plate dril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nk portion 10, a guide body portion 20, and a drill portion 50. As shown in FIGS. In detail, the present plate drilling apparatus 100 is used in a preceding procedure of multi-step drilling to form a perforation for placement of a fixture in an implant procedure. In order to remove a gum at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Is used.

여기서, 상기 생크부(10), 상기 가이드몸체부(20), 그리고 상기 드릴부(50)는 금속부재를 절삭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릴부(50)의 측부커팅날 혹은 평탄절삭날이 손상되는 경우 교체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hank portion 10, the guide body portion 20 and the drill portion 5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metal member. The side cutting edge of the drill portion 5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utting edge is separately provided for convenience of replacement when the cutting edge is damaged.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생크부(10)는 상단부에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장착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1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드릴 장치로, 일측에 상기 장착부(11)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hank portion 10 has a mounting portion 11 coupled to a dental handpiece at an upper end thereof. Here, the dental handpiece may be a hand drill device used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present plate drilling device 100,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11 may be formed at one side thereof.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착부(11)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1)는 D-컷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11)의 하부측에는 걸림홈부(12)가 형성되어, 상기 생크부가 상기 결합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mounting portion 11. [ The mounting portion 11 is provided in a D-cut shape and can rotate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In addition, a locking groove 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 so that the shank portion can be securely fastened without detach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생크부(10)는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와 상기 가이드몸체부(20)를 연결하며, 상기 장착부(11)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몸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크부(10)는 상기 가이드몸체부(20)나 상기 드릴부(50)의 직경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몸체(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nk portion 10 connects the dental handpiece with the guide body portion 20 and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11 to the guide body portion 20. The shank 1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diameter of the guide body 20 or the drill 50 but may b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guide body 20 .

이때, 상기 생크부(1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생크부(10)는 고속회전시 상기 가이드몸체부(20) 및 상기 드릴부(50)를 견고하게 지지하되, 휘어짐이나 비틀림 등의 회전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손상으로 인한 진동으로 드릴링의 정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nk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refore, the shank portion 10 firmly supports the guide body portion 20 and the drill portion 50 during high-speed rotation, and can be improved in durability by preventing rotation damage such as warping and twisting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racy of drilling from being reduced due to vibration due to rotation damage.

한편, 도 4 내지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몸체부(20)는 상기 생크부(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몸체부(20)는 스탠트(9)의 가이드홀(9a)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4 to 6A, the guide body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ank portion 10 and is integrally rotated. Here, the guide body 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hole 9a of the stance 9. [

상세히, 임플란트 시술과정에는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천공을 형성할 때, 수행할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스탠트(9)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In detail, sinc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xact position and direction to be performed when forming the perforation in which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in the implant procedure, an assistant device such as a stent (9) is used.

여기서, 상기 스탠트(9)는 구강 내부의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탠트(9)는 유치악 혹은 무치악 환자의 치아 및 잇몸 등의 치주조직(teeth and gums)을 감싸 고정되며, 임플란트가 필요한 위치마다 가이드홀(9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9a)은 원통의 홀로 구비되어, 내측에 삽입된 드릴장치를 회전지지하며 전후로 안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tent 9 is formed into a profile inside the oral cavity. At this time, the stent 9 is fixed around teeth and gums of teeth and gums of a bodily or edentulous patient, and a guide hole 9a is form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implant is required. Preferably, the guide hole 9a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hole, and the guide hole 9a rotates and supports the drill device inserted therein.

이처럼, 상기 가이드몸체부(20)는 상기 가이드홀(9a)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드되어 안내되되, 상기 가이드홀(9a)의 내부에서 회전지지되어 잇몸제거 시술과정에서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9a and is slid forward and rearward, and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guide hole 9a,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in the gum removal procedure .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부(20) 및 상기 가이드홀(9a)은 임플란트로 대체하는 자연 치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인공 치아의 치근이 되는 상기 픽스츄어는 3.5mm, 4.0mm, 4.5mm, 5.0mm 등의 치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드릴의 직경도 약 3.0mm, 3.5mm, 4.0mm, 4.5mm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몸체부(20) 및 상기 가이드홀(9a)은 상기 드릴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선택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uide body 20 and the guide hole 9a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diameter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natural tooth to be replaced with the implant. In detail, the fixture that becomes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has dimensions of 3.5 mm, 4.0 mm, 4.5 mm, 5.0 mm, and the lik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drill is about 3.0 mm, 3.5 mm, 4.0 mm, Can be selected. That is, the guide body 20 and the guide hole 9a are preferably select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rill.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부(20)에는 상기 가이드홀(9a)에 삽입된 깊이를 표시하여 치조골(1)의 절삭정도를 조절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마킹된 깊이조절부(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깊이조절부(21)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The guide body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depth adjusting portion 21 mark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indicate a depth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9a and to control a cutting degree of the alveolar bone 1 . The depth adjusting portions 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상세히,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홀(9a)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몸체부(20)에서 상기 깊이조절부(21)의 마킹을 확인하여 상기 드릴부(50)의 삽입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시술자는 CT촬영 등으로 확인된 환자의 치조골(1) 형상 및 골분포도에 따라 정확한 깊이로 시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환자의 구강 내 치조골(1) 손실을 최소화하며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분의 잇몸을 제거할 수 있으며,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의 드릴링을 위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confirm the marking of the depth adjusting part 21 in the guide body 20 inserted in the guide hole 9a to confirm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drill part 50. [ Therefore, the practitioner can perform the procedure with an accurate dept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1 and the bone distribution of the patient confirmed by CT photographing or the lik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the alveolar bone 1 in the patient's mouth and to remove the gum at the por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placed, and to perform a planarization operation for drilling the perfora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xture.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부(20)의 하부에는 유체유동홈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체유동홈부(22)는 상측부에 회전중심측으로 내향하는 오목 라운드면(22a)이 형성되되 하측부에 상기 측부커팅부(40)의 상단과 연속되도록 절삭되는 유체가이드면(22b)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fluid flow groove 22 is formed under the guide body 20. The fluid flow groove 22 has a fluid guide surface 22b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with a concave round surface 22a facing toward the rotational center side and cut at a lower portion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upper end of the side cutting portion 40, Can be formed.

상세히, 잇몸 제거 시술 단계에서 드릴부(50)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잇몸 및 치조골의 일부를 절삭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부커팅부(30) 및 상기 평탄절삭부(40)는 잇몸 혹은 치조골과 접하여 회전할 때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gum removal procedure, the drill 50 is rotated at a high speed to cut a portion of the gum and alveolar bone. At this time, frictional heat is generated when the side cutting portion 30 and the flat cutting portion 40 come into contact with the gum or alveolar bone and rotate.

그리고, 상기 마찰열은 잇몸 조직에 열상을 입히거나 치조골의 골세포를 괴사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시 냉각을 위한 냉각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유동홈부(22)측으로 냉각수를 유입시키면, 상기 냉각수는 오목 라운드면(22a) 및 유체가이드면(22b)을 따라 상기 측부커팅부(40)의 외면(33)으로 공급될 수 있다.Since the frictional heat can heat the gingival tissue or necrotize the osteocyte of the alveolar bone,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during rotation is supplied. The cool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33 of the side cutting portion 40 along the concave round surface 22a and the fluid guide surface 22b when cool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flow groove portion 22 at this time .

한편, 상기 드릴부(50)는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잇몸을 제거하는 측부커팅부(30)와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평탄화하는 평탄절삭부(40)를 포함한다.The drill unit 50 includes a side cutting unit 30 for removing gums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and a flat cutting unit 40 for flattening the alveolar bone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여기서, 상기 드릴부(50)는 상기 가이드몸체부(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드릴부(50)는 상기 가이드몸체부(2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drill portion 5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20. At this time, the drill part 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body part 20, or may be coupled with another member.

또한, 상기 측부커팅부(30)는 측부커팅날(31), 커팅가이드면(32), 그리고 호면홈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부커팅부(30)는 외면 프로파일이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면 프로파일이란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33)과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높낮이를 기준으로 한 형상을 말한다.Further,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ncludes a side cutting edge 31, a cutting guide surface 32, and an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Here,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s formed to be rounded as the outer surface profile extends downward. Here, the outer surface profile refers to the shape based on the outer surface 33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and the heigh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상세히,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 프로파일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기 가이드몸체부(20)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가상면(a)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이탈되어 상기 가상면(a)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outer sid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s formed into a convex arcuate shape with a reduced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In other words,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on the virtual surface (a) away from the virtual surface (a) extending downward in parallel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body portion (20) .

즉,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부커팅부(30)의 하측에 상기 평탄절삭부(40)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That is, it has a shape that its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flat cutting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여기서, 상기 평탄절삭부(40)가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분의 잇몸(2)에 닿아 좁은 직경의 홀을 형성하면,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측면에 형성된 측부커팅날(31)이 상기 홀의 측부를 확장하며 잇몸을 제거할 수 있다. When the flat cutting portion 40 is in contact with the gum 2 at the por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placed to form a hole having a small diameter, the side cutting edge 31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You can remove the gums by extending the side of the hole.

이로 인해, 상기 측부커팅부(30)에 의해 제거된 잇몸 부분의 하부측은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부분의 면적에 대응하여 치조골(1)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고, 상부측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치조골(1)에 형성된 천공에 상기 픽스츄어를 식립하거나 상기 픽스츄어에 임시치아를 결합할 때, 잇몸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고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gum portion removed by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s formed to expose the alveolar bone 1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and the upper side can be formed to be wide. Accordingly, when the fixture is placed on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alveolar bone 1 or the temporary tooth is attached to the fixture, 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nsert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gum.

또한, 상기 측부커팅날(31)은 상기 측부커팅부(30)의 회전방향 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측부커팅날(31)의 회전방향 측에는 커팅가이드면(32)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은 절삭된 치조골의 배출을 안내하는 호면홈부(34)와 연결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cutting edge 3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is connected to the side edge of the side cutting edge 31 in the rotation direction.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may be connected to the arc surface groove 34 for guiding the removal of the alveolar bone.

상세히,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은 상기 측부커팅날(31)로부터 회전중심측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은 상기 측부커팅날(31)과 절곡되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커팅날(31)의 날카로운 단부에서 커팅된 잇몸이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을 따라 호면홈부(34)로 유동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cutting edge 31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is bent and connected to the side cutting edge 31. Thus, the gum cut at the sharp end of the side cutting edge 31 can flow into the arc edge groove 34 along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또한,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의 상측에는 호면홈부(34)가 연결되되 상기 커팅가이드면(32)과 상기 호면홈부(34)는 상호 절곡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면홈부(34)는 상기 평탄절삭날(41)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확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n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is connected to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and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and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are ben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may be formed to be concave by expanding from the flat cutting edge 41 toward the upper sid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상세히,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의 상측에는 내향하는 오목한 라운드면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몸체부(20)의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호면홈부(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upper surface of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is formed with an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forming an inward concave round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body portion 20.

이에 따라, 상기 측부커팅날(31)에 의해 절삭된 잇몸(2)이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을 따라 호면홈부(34)측으로 유동되므로 절삭된 잇몸(2)이 측부커팅날(31)에 엉켜 붙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gum 2 cut by the side cutting blade 31 flows toward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along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so that the cut gum 2 is guided to the side cutting edge 31 The cutting force is stably maintained,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33)은 회전방향 측부에 형성된 측부커팅날(31)로부터 회전반대방향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부커팅날(31)이 형성된 높이 범위로부터 회전중심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urface 33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side of the side cutting edge 31 formed on the 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to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

그리고,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33)은 상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확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면(33)은 상기 측부커팅날(31)을 따라 회전반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열방출면을 형성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에 호면홈부(34)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33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may be roundly exten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That is, the outer surface 33 extends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along the side cutting edge 31 to form a heat exhaust surface, and a round surface groove portion 34 may be formed at a portion formed by rounding.

상세히,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33)은 상기 호면홈부(34)와 상기 측부커팅날(31) 사이에서 열방출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면(33)은 상기 측부커팅날(31)과 연결되어 열이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한다. In detail, the outer surface 33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serves as a heat exhaust surface between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and the side cutting edge 31.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33 is connected to the side cutting edge 31 to provide an area where heat can be smoothly discharged.

이에 따라, 회전 절삭시 측부커팅날(31)의 열손상을 방지하고 측부커팅날(31)의 과열로 인한 잇몸의 2차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rmal damage to the side cutting edge 31 can be prevented during rotation cutting, and secondary damage of the gum due to overheating of the side cutting edge 31 can be prevented, so that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외면(33)은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타측 측부커팅날과의 사이에서 절삭된 잇몸과 치조골을 보관할 수 있는 호면홈부(34)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33 is narrow in the lower side and wider in the upper side, so that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capable of storing the cut gum and the alveolar bone between the other side cutting edge and the other side cutting edge can be formed.

한편,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평탄절삭부(40)는 상기 측부커팅부(30)의 하단에 연결되되, 평탄절삭날(41)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탄절삭날(41)은 상기 측부커팅날(31)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측부적살부(30)의 하부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절삭부(40)는 상기 평탄절삭날(41)의 회전반대방향 측부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면(42)이 구비될 수 있다.4 to 6B, the flat cutting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and the flat cutting edge 41 is horizontally formed. Here, the flat cutting edge 41 extends along the side cutting edge 31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edge milling cutter 30. The flat cutt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with a slide surface 42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at cutting edge 4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lat cutting edge 41.

상세히, 상기 측부커팅부(30) 및 상기 평탄절삭부(40)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되되, 상기 평탄절삭날(41)은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side cutting portion 30 and the flat cutting portion 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lat cutting edge 41 is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즉, 상기 평탄절삭날(41)로부터 회전반대방향 측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기 슬라이드면(42)은 인접한 타측 평탄절삭날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드면(42)은 상기 타측 평탄절삭날에 접하지 않고 상기 커팅가이드면에 접하게 된다.That is, the slide surface 42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lat cutting edge 41 to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extends to the side of the adjacent flat edge, and the slide surface 42 does not contact the other flat edg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tting guide surface.

이에 따라, 각각의 평탄절삭날(41)이 만나는 회전중심측에 단차가 형성되므로 상기 평탄절삭날(41)은 회전중심점으로부터 바깥쪽 단부측까지 절삭력을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a step is formed on the rotation center side where each flat cutting edge 41 meets, so that the flat cutting edge 41 can form a cutting force from the rotation center point to the outer end side.

또한, 상기 평탄절삭날(41)에 의해 절삭된 잇몸(2) 및 치조골(1)은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을 따라 상기 호면홈부(34)로 유동되어 절삭된 잇몸(2)이나 치조골(1)이 상기 평탄절삭날(41)에 엉겨붙어 절삭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m 2 and the alveolar bone 1 cut by the flat cutting edge 41 are moved to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along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to be cut into the gum 2 and the alveolar bone 1 is clogged with the flat cutting edge 41 and the cutting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그리고, 상기 평탄절삭날(41)은 불균일한 치조골(1)을 평탄화하며 잇몸을 제거하므로 한번의 시술로 치조골(1)의 불균일한 부분에 남는 잇몸 없이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별도의 잇몸 제거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잇몸 제거 시술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The flat cutting edge 41 flattens the irregular alveolar bone 1 and removes the gums. Thus, the irregular removal of the irregula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1 can be completely performed without removing gums by a single operation, The gum removal procedure time can be shortened.

픽스츄어 식립시에 다단계 드릴링을 통해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에서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되는데, 상기 드릴링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릴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드릴의 단부가 굴곡이 진 치조골(1)에 닿아 회전하는 경우에는 드릴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단부 위치가 설계된 위치에서 쉽게 어긋나버릴 수 있으며, 천공이 형성되는 방향에서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The drilling is carried out through a drill rotating at a high speed. The drilling is performed through a multi-stage drilling at the time of fixture placement, and a fixture is placed at the drilling. At this time, when the end portion of the drill is rotated by touching the alveolar bone 1 with the bend, the end position can easily be shifted from the designed position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ill is rotated, have.

물론, 스탠트의 가이드홀에 회전지지되는 경우라도 가이드홀과 드릴 사이에는 공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치조골이 평탄화되지 않으면 고속 회전 및 진동으로 드릴의 단부가 최초 설계된 위치나 방향에서 어긋나버릴 수 있다.Of course, even if the drill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guide hole of the stalk, because there is a clearance between the guide hole and the drill, unless the alveolar bone is flattened, the end portion of the drill may deviate from the initially designed position or direction by high-

본 발명의 경우에는 픽스츄어 식립 부분의 치조골(1)을 평탄화함에 따라 후속 시술인 다단계 드릴링 단계에서 천공 형성시 드릴의 단부가 상기 치조골(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어 천공 형성의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lveolar bone 1 of the fixture-mounting part is planarized, the end of the drill can be stably stuck to the alveolar bone 1 during the subsequent multi-step drilling step, Can be improved.

이로 인해, 드릴링에 의해 형성되는 천공이 최초 시뮬레이션 설계에 따라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천공 오차로 인한 재시술 없이 정확한 천공 형성이 가능하므로 치조골(1)의 소실이 최소화되고 픽스츄어 결합 후 회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회복 단계에서 치조골(1)과 픽스츄어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의 완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perforation formed by the drilling can be precisely formed according to the initial simulation design,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perforation precisely without re-operation due to the puncturing error, so that the disappearance of the alveolar bone 1 is minimized,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in the recovery step, the alveolar bone 1 and fixture can be stably and firmly fixed, and the completion of the implant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드릴링 단계에서 픽스츄어 식립을 위한 천공위치 정렬의 정밀도 향상을 통해 어버트먼트/크라운이 기제조된 경우라면 한번의 시술과정에서 잇몸 제거, 픽스츄어 식립공 드릴링, 픽스츄어 식립 및 어버트먼트/크라운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abutment / crown is manufactur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aligning the puncturing positions for the fixture placement in the drilling step, the gum removal, the fixture placement hole drilling, the fixture placement and the abutment / ≪ / RTI > crown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한편, 상기 호면홈부(34)는 상기 평탄절삭날(41)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확장되되 상부측 내면이 회전중심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flat cutting edge 41 in correspondence with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is concave toward the rotation center side.

여기서, 상기 호면홈부(34)는 상기 평탄절삭날(41)의 단부측에서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넓은 직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측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절삭된 잇몸 및 치조골의 보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Here,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is formed to have a narrow diameter on the end side of the flat cutting edge 41 and can be expanded to have a wid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The upper side is formed concavely to form a storage space for the cut gum and alveolar bone.

상세히, 상기 호면홈부(34)는 각각의 측부커팅부(30) 사이에 절삭된 잇몸 및 치조골을 보관하고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팅가이드면(32)의 상측으로 연결된 상기 호면홈부(34)의 곡면은 절삭되어 보관된 잇몸이나 치조골이 상기 호면홈부(34)의 내측을 가득채우더라도 상기 측부커팅날(31)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곡면을 따라 상기 측부커팅부(30)의 외면을 거쳐 상기 유체유동홈부(22)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In detail,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is provided to store and discharge the cut gingiva and alveolar bone between the respective side cutting portions 30. The curved surface of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utting guide surface 32 may be curved to the side of the side cutting edge 31 even if the stored gum or alveolar bone fills the inside of the arc surface groove portion 34 And can be guided to the fluid flow groove portion 22 side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30 along the curved surface without flow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1: 치조골
2: 잇몸 3: 치아
4: 티슈 펀치 6: 픽스츄어
8: 천공 10: 생크부
11: 장착부 12: 걸림홈부
20: 가이드몸체부 21: 깊이조절부
22: 유체유동홈부 50: 드릴부
30: 측부커팅부 31: 측부커팅날
32: 커팅가이드면 34: 호면홈부
40: 평탄절삭부 41: 평탄절삭날
100: Plating drilling device 1: Alveolar bone
2: Gum 3: Tooth
4: Tissue punch 6: Fixture
8: Perforation 10: Shank portion
11: mounting part 12:
20: guide body part 21: depth adjusting part
22: fluid flow groove 50: drill
30: side cutting portion 31: side cutting blade
32: cutting guide surface 34:
40: planar cutting portion 41: flat cutting edge

Claims (5)

상단부에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생크부;
상기 생크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구강 내부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는 스탠트에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 가이드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잇몸을 커팅하도록 외면 프로파일이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 측부커팅부가 구비되고,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평탄화하도록 상기 측부커팅부의 하단에 평탄절삭날이 수평하게 형성된 평탄절삭부가 구비된 드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 프로파일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커팅부의 회전방향 단부에는 측부커팅날이 형성되고 회전반대방향측 상부 외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확장되며,
상기 측부커팅부의 회전반대방향측에는 절삭된 치조골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평탄절삭날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측부커팅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확장되어 오목한 호면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면홈부와 상기 측부커팅날은 커팅가이드면에 의해 연결되되 각각의 연결부분이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A shank portion having an upper end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dental handpiece;
A guide member for guiding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A cylindrical guide body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side cutt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and formed to be rounded as the outer surface profile extends downward to cut the gum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and to flatten the alveolar bone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And a drill portion having a flat cutting portion having a flat cutting edge formed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side cutting portion,
Wherein the side cutting portion is formed in a convex arcuate shape with the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lower side, the side cutting edge is formed at the end portion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ide cutting portion, and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is roun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Expanded,
A concave arcuat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ide cutting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an outer profile of the side cutting portion from the flat cutting edge upwardly so as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ut alveolar bone, Is connected by a cutting guide surface, and each connecting portion is b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절삭부는 상기 평탄절삭날의 회전반대방향 측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측부커팅부 및 상기 평탄절삭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되되, 상기 평탄절삭날은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t cut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lide surface which is sloped upwar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lat cutting edge,
Wherein the side cutting portion and the flat cutt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lat cutting edge is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상단부에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생크부;
상기 생크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구강 내부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는 스탠트에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 가이드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잇몸을 커팅하도록 외면 프로파일이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 측부커팅부가 구비되고,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평탄화하도록 상기 측부커팅부의 하단에 평탄절삭날이 수평하게 형성된 평탄절삭부가 구비된 드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하부에는 유체유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유동홈부는 상측부에 회전중심측으로 내향하는 오목 라운드면이 형성되되 하측부에 상기 측부커팅부의 상단과 연속되도록 절삭되는 유체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A shank portion having an upper end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dental handpiece;
A guide member for guiding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A cylindrical guide body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side cutt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and formed to be rounded as the outer surface profile extends downward to cut the gum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and to flatten the alveolar bone at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And a drill portion having a flat cutting portion having a flat cutting edge formed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side cutting portion,
A fluid guide groov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The fluid guide groove has a recessed round surface facing the rotation center side on the upper side, and a fluid guide surfac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upper end of the side cutting portion. Wherein the plate-drilling device comprises:
KR1020130133981A 2013-11-06 2013-11-06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KR101516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981A KR101516949B1 (en) 2013-11-06 2013-11-06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981A KR101516949B1 (en) 2013-11-06 2013-11-06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949B1 true KR101516949B1 (en) 2015-05-04

Family

ID=5339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981A KR101516949B1 (en) 2013-11-06 2013-11-06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003B1 (en) 2017-09-27 2018-03-13 윤봉길 Drill for implant surgery
KR200488107Y1 (en) * 2018-09-21 2018-12-13 김용서 Half-moon shaped tissue punch used in flapless implant surgery using a surgical guide
KR20190003043A (en)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KR20220109041A (en) * 2021-01-28 2022-08-04 (주)메디메카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880A (en)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20110083471A (en) * 2010-01-14 2011-07-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rill for implant surgery
KR20130097764A (en) * 2010-09-24 2013-09-03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Tool for milling bone tissue, especially for sinus lifting according to the summers technique or for positioning extra-short impla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880A (en)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20110083471A (en) * 2010-01-14 2011-07-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rill for implant surgery
KR20130097764A (en) * 2010-09-24 2013-09-03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Tool for milling bone tissue, especially for sinus lifting according to the summers technique or for positioning extra-short implan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043A (en)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KR102027336B1 (en) * 2017-06-30 2019-10-01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KR101838003B1 (en) 2017-09-27 2018-03-13 윤봉길 Drill for implant surgery
KR200488107Y1 (en) * 2018-09-21 2018-12-13 김용서 Half-moon shaped tissue punch used in flapless implant surgery using a surgical guide
KR20220109041A (en) * 2021-01-28 2022-08-04 (주)메디메카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KR102581637B1 (en) * 2021-01-28 2023-09-25 (주)메디메카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663B2 (en) Maxillary sinus elevation drill
US7322821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JP5562963B2 (en) Apparatus and procedure for implanting dental implants
KR101758803B1 (en) apparatus for implant drill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KR100962166B1 (en) Alveolar-ridge cut and expansion tool for dental implant
KR102174426B1 (en) A drill for dental implant
KR200476682Y1 (en) guide sten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KR200482232Y1 (en)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KR101516949B1 (en)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KR101385882B1 (en) Universal surgical guide kit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KR101566456B1 (en) Drill for implan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900338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KR101763763B1 (en) Apparatus for guiding implant position
KR101113306B1 (en) Drill unit for sinus membrane lift
US20140030674A1 (en) Prefabricated immediate no-drill dental implant
KR101720605B1 (en) Dental Flattening Drill
KR100981718B1 (en)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1099596B1 (en) Bur for alveolar bone
KR10143093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gum in dental implant
KR101516950B1 (en) apparatus for abutment profile drill
KR200323647Y1 (en) Drill for implant surgery
KR101068399B1 (en) Drilling depth limitation unit and drill for operating implant having the same
KR102205986B1 (en) trephine drill for implant
KR102027336B1 (en)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