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741B1 - 무선단말 - Google Patents

무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741B1
KR101516741B1 KR1020140051137A KR20140051137A KR101516741B1 KR 101516741 B1 KR101516741 B1 KR 101516741B1 KR 1020140051137 A KR1020140051137 A KR 1020140051137A KR 20140051137 A KR20140051137 A KR 20140051137A KR 101516741 B1 KR101516741 B1 KR 10151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dicated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packet communic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550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4005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7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은,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이동 통신부와, 전용패킷 통신망 상의 무선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전용패킷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과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이용 가능하게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음성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처리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전환될 복귀 화면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음성채널 연결 상태의 키 입력을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을 상기 지정된 복귀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관리한다.

Description

무선단말{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이동 통신부와, 전용패킷 통신망 상의 무선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전용패킷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과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이용 가능하게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음성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처리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전환될 복귀 화면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음성채널 연결 상태의 키 입력을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을 상기 지정된 복귀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관리하는 무선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산업사회가 고도화되고 그 활동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과거에 음성에 국한되었던 통신욕구가 점차적으로 정보통신(data), 문자통신(Text), 화상통신(Image/Sound)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통신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통신이 가능한 통신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 욕구충족을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상용화된 무선 통신망에는 음성통화 위주의 이동 통신망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이 존재한다.
도면1은 종래의 음성통화 위주의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100)은 이동 중에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이동단말(155)과, 이동 통신망(100)의 종단에 해당하며 상기 이동단말(155)과 소정의 무선통신 구간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s; BTS)(105)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상기 이동기지국(105)과 유선구간을 통해 연결 및 상기 기지국을 제어 관리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110)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상기 제어국(110)과 유선구간을 통해 연결되며, 소정의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소정의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를 판독하여 소정의 착신측 음성통화 단말(예컨대, 착신측 이동단말, 또는 착신측 유선전화)로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소정의 착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착신측 음성통화 단말 간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115), 상기 이동교환국(115)을 통해 소정의 음성통화 채널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155)에 대한 위치정보가 등록되는 홈위치등록기(HLR)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120), 및 상기 이동교환국(115)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 통신망(100)을 외부 통신망(예컨대,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과 연결하는 망연동장치(InterWorking Function; IWF)(125)로 구성된다. 물론 실제 상용화된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 구성은 본 도면1 보다 복잡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동 통신망(100)의 시스템 구성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므로, 본 도면1에서는 종래 이동 통신망(100)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망(100)에 있어서, 음성통화 연결은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음성통화 연결의 특성 상 통신의 신뢰성보다는 실시간 통신(예컨대, 통신지연을 방지 및/또는 최소화)이 실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이동 통신망(100)과 대별되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이 존재하는데, 현재 서비스 중이거나 개발되어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분류하면 대략 6개의 방식으로 구분이 되나, 포괄적으로는 셀룰러 기반 통신망,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 TRS(Trunked Radio System)망, 위성 통신망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 중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해당하는 셀룰러 기반 통신망,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룰러 기반 통신망은 종래의 셀룰러 방식 음성통화를 위한 주파수 채널을 그대로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회선교환방식, 기존 셀룰러 주파수를 이용하되 쉬고 있는(Idle Time) 음성채널(예컨대, 휴지 채널)을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Cellular Digital Packet Data; CDPD)방식, 및 셀룰러의 음성채널과 음성채널 사이에 간섭방지를 위해서 설정해 놓은 보호밴드를 데이터 전송에 활용하는 CDI(Cellular Data Inc.)방식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의 지식에 따르면, 상기 도면1의 이동 통신망 상의 이동단말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예컨대, 이동단말에서 이동 통신망을 거쳐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접속)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상기 셀룰러 기반 통신 중에서 음성통화를 위한 주파수 채널을 그대로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회선교환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에 국내의 경우 에스케이텔레콤(SKT)에 의해 CDPD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예컨대, 음성통화 주파수의 휴지 채널을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제공된 바 있다.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망과 전혀 다른 별도의 시스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패킷교환(Packet Switching)방식의 전용패킷 통신(예컨대, 음성통화가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용 공중망(Data Only Public Network)으로서,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 모두 가능한 양방향 통신서비스, 공중전화망(PSTN), 공중데이터망(Packet Switched Data Network; PSD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및 인터넷 등과의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종합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은 전용패킷 통신을 위한 무선기지국(Base Radio Station; BAS), 교환기, 망관리센터, 및 데이터 단말기(예컨대, 증권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기지국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의 종단으로서 관할하는 지역 내의 데이터 단말기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단말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교환점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교환기는 고정 데이터 단말기 및/또는 무선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과 고정 데이터 단말기 간 통신의 교환점 역할을 지역교환기(Area Exchange; MOX)와, 상기 지역 교환기 사이의 트래픽 경로제어와 다른 망과의 연동 기능을 담당하는 주교환기(Main Exchange; MHX)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관리센터(Network Control Center; NCC)는 망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운영과 관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단말기는 고정 데이터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단말기로 나누어지는데, 고정 데이터 단말기는 고정 링크를 통하여 지역교환기에 연결되며, 무선 데이터 단말기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있어서, 전용패킷 통신은 패킷교환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데이터 통신의 특성상 실시간 통신보다는 통신의 신뢰성(예컨대, 통신오류 검출과 데이터 재전송 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은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이 실시간으로 보장되지 않는 한 고품질의 음성통화가 실현될 수 없다.
현재 상기와 같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해 상용화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 시스템은 미국 모토롤라(Motorola)사의 DataTAC과, 스웨덴 에릭슨(Ericsson)사의 Mobitex 등이 있으며, 국내의 경우 상기 두 가지 방식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시스템이 모두 상용화되었다.
도면2는 전용패킷 통신을 위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의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은 미국 모토롤라사에서 개발한 RD-LAP(Radio Data Link Access Protocol)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DataTAC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에서 설명하는 상기 DataTAC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의 시스템 구성 이외에, 스웨덴 에릭슨(Ericsson)사의 Mobitex 방식(예컨대, 무선기지국, 지역교환기, 및 주교환기가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 시스템)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미국 모토롤라사의 DataTAC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은 무선으로 전용패킷 통신을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 단말기(260)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의 종단에 해당하여 상기 데이터 단말기(260)와 소정의 무선통신 구간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기지국(BAS)(205)과, 소정의 지역 내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무선기지국(및/또는 고정 데이터 단말기)(205)과 연결되는 제어장비(Radio Network Controller; RNC/Wireless Network Controller; WNC)(2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장비(210)와 연결되며 패킷교환을 수행하는 교환장비(Radio Network Gateway; RNG)(215),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감시, 제어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망관리센터(NCC)(220), 및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외부 통신망(예컨대, TCP/IP 기반의 인터넷)(230)과 연동하는 라우터(Router)(225)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표준 X.2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공중데이터망(PSDN)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무선기지국(BAS)(20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이동 통신망(100)의 종단에 해당하는 이동기지국(105)과 전혀 다른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의 종단에 해당하며, 데이터 단말기(2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비(2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비(2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단말기(260)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 장비로서, RD-LAP의 하위레벨인 RF 변환(Conversion)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장비(RNC/WNC)(210)는 상기 무선기지국(205)과 교환장비(215) 사이에 위치하여 단말기(260)의 통신을 지원 및 상기 무선기지국(205)의 동작을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X.25와 RD-LAP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교환장비(RNG)(215)는 제어장비(210), 망관리센터(220) 및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호스트(240) 등과 연결되며, 데이터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고, X.25 네트워크 측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와 무선채널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무선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여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패킷 스위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면1 내지 도면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간 통신을 위한 회선교환방식의 이동 통신망(100)과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 별도의 독립된 무선 통신망이며, 그 적용분야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충돌하지 않고 현재까지 별개의 기술구성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동 통신분야에서 음성통화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통신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은 종래의 음성통화를 위한 기술구성을 그대로 이용하여 회선교환방식으로 제공되는 바, 특정 이동단말에서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면 음성통화와 마찬가지로 회선이 잠식되어 다른 이동단말이 상기 회선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 이동 통신사는 회선을 증설하는 등 시설비용 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시설투자 비용이 고스란히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이동 통신부와, 전용패킷 통신망 상의 무선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전용패킷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과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이용 가능하게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음성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처리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전환될 복귀 화면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음성채널 연결 상태의 키 입력을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을 상기 지정된 복귀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관리하는 무선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은,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이동 통신부와, 전용패킷 통신망 상의 무선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전용패킷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과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이용 가능하게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음성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처리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전환될 복귀 화면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음성채널 연결 상태의 키 입력을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을 상기 지정된 복귀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이 이전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통해 수신 완료하지 않은 패킷을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게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중에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에 상기 단절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복구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중에 상기 이동 기지국을 이용하는 통화 대기 상태, 호처리 절차 상태, 음성 통화채널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도록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음성채널은,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를 경유하는 회선 교환 방식의 연결형(Connection)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비연결형(Connectionless)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으로 접속하고,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용패킷 통신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소정의 호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 및 상기 음성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용패킷 통신을 자동으로 복구 및/또는 연결하도록 하는 무선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무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으로 접속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비용이 저렴한(예컨대, 정액제 및/또는 패킷 기반의 저렴한 종량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전용패킷 통신 사업자는 종래의 무선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외에 상기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사는 회선 증설을 위한 시설투자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음성통화 위주의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전용패킷 통신을 위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의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의 망연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망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망 다중 접속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망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의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화 기능을 수행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호를 착신하여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화 기능을 수행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이동 통신망으로 호를 발신하여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화 기능을 수행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통해 음성통화 종류 후에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복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도면1과 같은 이동 통신망과 상기 도면2와 같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제로 상용화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은 상기 도면1보다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 역시 상기 도면2와 같은 모토롤라사의 DataTAC 방식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 이외에 에릭슨사의 Mobitex 방식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3은,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 접속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RF부를 공유하도록 설계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접속기능을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의 형태로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하고,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소정의 제어기능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자원(예컨대, CPU 자원(CPU Resource)과 메모리 자원(Memory Resource), 그리고 화면 출력수단과 키 입력수단 및 사운드 입출력수단 등)을 상기 이동 통신망(100) 접속기능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접속기능이 공유함으로써,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것이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기(300)는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레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집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단말기(300)의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의 기능구성을 도시하면, 본 도면3과 같이 제어부(305)와 화면 출력부(330)와 키 입력부(100)와 사운드 처리부(340)와 메모리부(365)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75)로 구성되고,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 통신부(345) 및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패킷 통신부(350) 및 상기 이동 통신부(345) 및 전용패킷 통신부(350)의 RF 통신을 위한 소정의 RF부(360) 등이 구비되며, 그 외에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처리부(355) 및 이를 위한 부가 장치(380)가 더 구비된다.
제어부(3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기(3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소자 및/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5)에 의해 이에 의해 무선단말기(3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무선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무선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제어부(3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수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화면 출력부(330)는 화면 출력을 위한 LCD 드라이버(Driver)로서 상기 제어부(305)(예컨대, LCD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키 입력부(335)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및/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LCD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면 출력부(330)와 LCD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되는 화면 출력수단이 제공된다.
키 입력부(33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Function Key)를 구비한 소정의 키패드(Keypad)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예컨대, 키 데이터와 매칭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저장하는 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335)와 키패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이 제공된다.
사운드 처리부(340)는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305)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340)에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이 구비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340)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입력수단이 제공되며,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340)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출력수단이 제공된다.
메모리부(365)는 무선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상기 EEPROM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65)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용패킷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통신부(345)는 상기 제어부(305)(예컨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와 연계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포함하는 CDMA 무선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이동 통신망(100)에 접속 및 소정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100)의 종단에 해당하는 이동기지국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F부(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이동 통신부(345)는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단말기(300)에서 상기 이동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용패킷 통신부(350)는 상기 제어부(예컨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패킷 통신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서비스 호스트에 접속 및/또는 접속유지(예컨대, SCR(Standard Context Routing) 프로토콜을 이용한 접속유지) 및/또는 핸드오버(Hand-over) 및/또는 RD-LAP 기반 패킷 조립 및/또는 분해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의 종단에 해당하는 무선기지국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F부(360)(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부(360)의 일부 또는 전체 구성요소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상기 이동 통신부(345)와 전용패킷 통신부(350)가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부(360)는 이동 통신부(345)와 연계되는 이동 통신전용 RF부와 전용패킷 통신부와 연계되는 전용패킷 통신전용 RF부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도시생략).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신망(100) 상의 이동기지국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화대기 상태 기능을 다중화하여 처리하는 다중화부(310)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소정의 호가 발신 요청되거나 및/또는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착신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320)와, 상기 호가 발신 및/또는 착신 요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단말기(300)와 서비스 호스트 간 연결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에 대한 세션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365)에 저장 및 관리하는 세션 관리부(325)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소정의 호가 발신 및/또는 착신 요청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 및 상기 이동 통신부(345)를 통해 상기 요청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한 통화채널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365)로부터 세션관리 정보를 추출 및 상기 세션관리 정보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복구하는 통신 처리부(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제어부(30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화부(310)는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신부(345)를 통해 이동 통신망(100) 상의 이동기지국과 연계하여 위치등록, 핸드오프, 채널감시 등을 포함하는 통화대기 상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이동 통신망(100)에 접속 및 소정의 유무선 단말장치와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이동 통신망(100)은 회선교환 방식(예컨대, 무선단말기(300)와 이동기지국 사이에 실제로 정보 또는 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동안에도 회선을 유지하기 위한 널 데이터(NULL Data)가 송수신되어 회선을 잠식하는 방식, 즉 상기 연결된 회선이 단절되기 전까지 무선단말기(300)의 RF부는 이동기지국과 지속적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접속이 유지되는 연결형(Connection) 세션연결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은 전용패킷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즉,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서비스 호스트는 SCR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유지가 이루어지는데, SCR 프로토콜은 비연결형(Connectionless) 세션연결 방식에 해당하는 상기 서비스 호스트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사이의 X.25 또는 TCP/IP 링크 상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통신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중에도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상기 다중화부는 주기적(예컨대, SCR 프로토콜에 의해 비연결 상태가 발생하는 동안)으로 상기 이동 통신망(100)의 이동기지국으로 소정의 파일럿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통화대기 상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판단부(320)는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통신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100)에 접속 및 소정의 유무선 단말장치와 통화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호의 발신을 요청하는지, 및/또는 소정의 이동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호출채널을 통해 호의 착신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소정의 호의 발신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 데이터(예컨대, 메뉴 키)를 발생시켜야 하는데, 상기 판단부(320)는 상기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이동 통신망(100)으로 소정의 호를 발신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키 데이터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발신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상기 다중화부(310)는 이동 통신망(100)에 대한 통화대기 상태 기능을 수행(예컨대, 다중화부가 이동 통신부와 연계하여 호출채널 감시)하는데, 소정의 이동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중화부가 감시하고 있는 호출채널을 통해 GPM(General Page Message)가 수신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호출채널을 통해 수신된 GPM을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착신이 요청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출채널을 무선단말기(300)로 GPM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액세스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기지국으로 PRM(Page Response Message)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호의 착신과정이 수행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GPM이 수신된 후 상기 PRM을 상기 이동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세션 관리부(325)의 세션관리 기능과 통신 처리부(315)의 통신 처리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션 관리부(325)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소정의 호가 발신 및/또는 착신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 사이에 연결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에 대한 세션관리 정보(예컨대,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하는 통화채널 연결이 종료된 후에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연결되었던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자동으로 복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365)의 미리 정의된 저장영역에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세션 관리부(325)가 생성하는 세션관리 정보에는 세션연결정보(예컨대, SCR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접속유지 정보)와 화면 출력수단에 출력되고 있는 비디오 메모리 정보(예컨대, 현재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와, 화면 인터페이스 정보(예컨대,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선 단말기 이용자가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한 정보 또는 데이터와, 및/또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 및/또는 패킷수신정보(예컨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소정의 패킷을 수신하는 중에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패킷에 대한 정보, 또는 향후 패킷의 이어받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처리부(315)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100)으로 호가 발신이 요청되거나 및/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호의 착신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세션관리부(325)에 의해 소정의 세션관리 정보가 메모리부(365)에 저장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 및 상기 이동 통신부(345)를 통해 상기 요청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상기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하는 통화채널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 및 상기 메모리부(365)로부터 상기 저장된 세션관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한 통화채널이 연결되기 이전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는 이동 통신모드와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가 존재하는데, 이동 통신모드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 화면 출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이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하는 통화채널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모드이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 화면 출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이용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서비스에 사용되어지는 모드이다.
즉, 상기 통신 처리부(3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하는 것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키 입력수단, 화면 출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자원의 제어 및 관리 권한을 이동 통신부(345)와 연계된 통화채널 관련 제어부(305)로 이전하는 것이고, 반대로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하는 것은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하는 통화채널에 사용되는 키 입력수단, 화면 출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자원의 제어 및 관리 권한을 전용패킷 통신부(350)와 연계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관련 제어부(305)로 이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판단부(320)가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호의 발신 및/또는 착신 요청을 판단하고, 상기 세션 관리부(325)가 소정의 세션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365)에 저장하는 시점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수신되는 패킷 중에 패킷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패킷이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푸시(Push) 방식으로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315)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하기 전에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예컨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수신되는 패킷의 임시저장을 요청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3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키 입력수단은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소정의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예컨대, 착신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화면 출력수단은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소정의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화면(예컨대, 전화 걸기를 위해 소정의 착신전화번호가 입력되는 화면, 또는 전화 받기를 위한 발신번호 표시(Calling Identity Delivery; CID) 서비스가 수행되는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사운드 입출력수단은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소정의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예컨대, 벨소리 서비스 또는 통화연결음 서비스)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3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한 후 상기 이동 통신부(345)를 통해 상기 요청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면, 상기 이동 통신부(345)는 액세스채널을 통해 개시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이동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전화 걸기에 해당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호출채널을 통해 수신된 GPM에 대응하는 PRM 메시지를 액세스채널을 통해 이동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전화 받기에 해당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소정의 유무선 단말장치와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3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키 입력수단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능(예컨대, 메시지를 입력하는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화면 출력수단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면(예컨대, 메시지 또는 컨텐츠(문자, 이미지, 멀티미디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사운드 입출력수단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능(예컨대, 서비스 호스트로부터 다운로드한 MP3 음악을 출력하는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3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되고,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 화면 출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의 제어 권한이 무선 전용패킷 서비스로 이전되면, 상기 통신 처리부(315)는 상기 메모리부(365)로부터 상기 세션 관리부(325)에 의해 저장된 세션관리 정보를 추출 및 판독한 후, 상기 세션관리 정보에 포함된 비디오 메모리 정보 및/또는 화면 인터페이스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화면을 복구하고, 상기 세션관리 정보에 포함된 세션연결정보 및/또는 패킷수신정보를 근거로 이전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복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처리부(3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이 복구되면, 상기 통신 처리부(315)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션복구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수신되도록 요청된 소정의 패킷들이 수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통신 처리부(315)에 의해 이동 통신망(100)으로 통화채널이 연결되기 이전의 화면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이 복구 및/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세션복구 메시지에 대응하는 소정의 패킷들이 수신되면, 이후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305)와 전용패킷 통신부(350)에 의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가 다시 제공되기 시작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 이외에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처리부(355)(예컨대, 무선단말기(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IC칩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단말기(300)에 탑재된 디지털카메라로부터 화상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카메라 드리이버 등)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장치(380)(예컨대, 소정의 금융정보 또는 데이터를 구비한 IC칩, 또는 디지털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의 망연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3과 같이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가 본 도면4와 같이 이동 통신망(100)의 종단에 해당하는 이동기지국으로 소정의 파일럿 신호를 송출 및 통화대기 상태(예컨대, 위치등록, 핸드오프, 채널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의 종단에 해당하는 무선기지국을 통해 패킷교환 방식으로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소정의 호접속을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호착신 요청받는 받아 소정의 유무선 단말장치와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화채널이 단절되면 이전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자동으로 복구하게 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5는,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 접속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300)에 구비된 이동 통신용 모뎀칩(예컨대, 미국 퀄컴사의 MSM 시리즈)과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RF부 및 자원을 공유하도록 설계된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을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하고, 상기 이동 통신용 모뎀칩이 마스터(Mater) 모뎀칩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이 슬레이브(Slave) 모뎀칩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기능(예컨대, 미국 퀄컴사의 MSM 시리즈의 모뎀칩에 구비된 기능)과, 자원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은 마스터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제어부(500)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이동 통신 제어부(500)는 상기 무선 단말기(300)에 구비된 이동 통신부(345)를 제어하는 것은 물론,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CPU 자원과 메모리 자원이 이동 통신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되며, 또한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 등이 상기 이동 통신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300)에는 전용패킷 통신부(35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가 구비되는데,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는 전용패킷 통신부(35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3의 다중화부(310) 및 통신 처리부(315)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연동부(520)와 상기 도면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판단부(510) 및 세션 관리부(5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연동부(520)는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신망(100) 상의 이동기지국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화대기 상태 기능을 다중화하도록 처리하는 상기 도면3의 다중화부(310)의 기능과, 상기 다중화부(310)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용 모뎀칩과 상기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 사이에서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소정의 호가 발신 및/또는 착신 요청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 및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요청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한 통화채널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365)로부터 세션관리 정보를 추출 및 상기 세션관리 정보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복구하는 상기 도면3의 통신 처리부(315)의 기능과, 상기 통신 처리부(315)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용 모뎀칩과 상기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 사이에서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 연동부(520)는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용 모뎀칩과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 사이에서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 제어부(500)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6은,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 접속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300)에 이동 통신용 모뎀칩과 상기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을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하되, 상기 이동 통신용 모뎀칩과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에 따라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이 상기 이동 통신용 모뎀칩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되는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것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이동 통신용 모뎀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제어부(500)는 이동 통신에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 통신용 메모리부(600)와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이동 통신망(100)에 접속 및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이동 통신부(345)를 제어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이동 통신모드인 경우 소정의 인터페이스부(615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전용패킷 통신용 모뎀칩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제어부(500)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에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소정의 세션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전용패킷 통신용 메모리부(605)와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패킷 통신부(350)를 제어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인 경우 소정의 인터페이스부(61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에는 상기 도면5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와 같은 제어 연동부(520), 판단부(510), 및 세션관리부(515)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기능과 역할을 상기 도면3 내지 도면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에 따라 이동 통신 제어부(500) 또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가 상기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615)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부(615)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의 제어 권한을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로 이전하고,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의 제어 권한을 이동 통신 제어부(500)로 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615)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운영체제 및/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615)는 상기 이동 통신 제어부(500) 또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통신 제어부(500) 또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 제어부(505)에 의해 관리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6에서 이동 통신부(345)와 전용패킷 통신부(350)가 공유하는 RF부(360)는 독립적으로 구성(예컨대, 이동 통신용 RF부와 전용패킷 통신용 RF부)되어도 무방하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무선 통신망 다중 접속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300)는 기본적으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예컨대, 무선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중에,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소정의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화채널이 단절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재접속하여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되는 시점에서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위한 패킷 수신이 완료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푸시 방식으로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다면, 상기 도면3 내지 도면5 내지 도면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CR 기반의 접속유지 기능을 보유한 무선단말기(300)의 기능만으로 음성통화 기반의 이동 통신망(100)과 전용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30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에서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되는 시점에서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수신되는 패킷 중에 패킷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패킷이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푸시(Push) 방식으로 패킷을 수신한다면, 상기 도면3 내지 도면5 내지 도면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CR 기반의 접속유지 기능을 보유한 무선단말기(300)의 기능만으로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300)가 제공되지 않으며, 무선 전용패킷 서비스 중에 이동 통신망(100)을 이용하는 통화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서비스 호스트 사이의 통신세션을 해제해야 한다(물론 이와 같은 방식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다중 접속을 위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소정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소정의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매체(705)와,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서 무선단말기(300)의 기능을 대행하는 세션 제어부와(710), 상기 세션 제어부(710)와 연동하여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725)와,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하는 패킷 저장부(720)와,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된 패킷을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7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서 독립적인 장치(또는 서버)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기지국, 제어장비, 교환장비, 및/또는 라우터 등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기지국, 제어장비, 교환장비, 및/또는 라우터 등에 포함되는 소정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모듈)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매체(705)는 FIFO(First Input First Output) 방식의 메모리 큐(Memory Queue)로서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어야 하는 소정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세션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위한 소정의 큐 영역(Queue Area)이 할당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된 패킷이 모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세션 제어부(710)에 의해 할당된 큐 영역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션 제어부(710)는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이동 통신망(100)에 접속 및 통화채널이 연결되는 동안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서 가상으로 무선단말기(300)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통신세션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호스트(240) 사이의 세션이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세션 제어부(710)는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활성화되며, 상기 수신된 세션유지 정보에 포함된 소정의 무선단말기(300) 세션정보(예컨대, 무선단말기(300)에 할당된 세션ID 정보, 접속유지를 위한 SCR 관련정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통신세션이 연결된 서비스 호스트 정보 등)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결과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705)에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위한 큐 영역(예컨대, 무선단말기(300) 세션ID와 연계 처리된 큐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패킷 수신부(725)가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패킷을 강제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패킷 저장부(720)가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패킷 전송부(715)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된 패킷을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저장매체(705)에 할당된 상기 큐 영역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킷 수신부(725)는 상기 무선 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세션 제어부(710)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세션유지 정보에 포함된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 정보와 무선 단말기(300)에 할당된 세션ID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소정의 패킷을 강제로 독출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수신부(725)에 의해 수신된 패킷(예컨대,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된 패킷)은 상기 패킷 저장부(720)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킷 저장부(720)는 상기 패킷 수신부(725)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예컨대,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된 패킷)을 순차적으로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저장부(720)는 상기 패킷 수신부(725)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저장매체(705)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매체(705)에 저장되는 패킷에 대한 관리는 상기 세션 제어부(7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킷 전송부(715)는 상기 무선 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세션유지 정보에 포함된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 정보와 무선 단말기(300)에 할당된 세션ID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705)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해야 하는 소정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를 대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전송부(715)가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상기 저장매체(705)로부터 추출한 소정의 패킷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신규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 수신부(725)로 독출 및 수신되어 상기 패킷 저장부(720)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705)에 임시 저장된 후, 상기 패킷 전송부(715)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킷 전송부(715)가 상기 저장매체(705)로부터 소정의 패킷을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이후 상기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패킷은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직접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메신저 서비스를 포함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에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채널이 연결 및 단절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300)의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8은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는 무선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소정의 호를 발신하여 통화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소정의 호를 착신하여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무선단말기(300)에 전원이 입력되면(또는 무선단말기(300)가 음영지역에서 통화권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 시스템이 부팅(예컨대, 무선단말기(300)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프로그램 루틴, 시스템 파라미터 등을 실행 메모리로 로드하여 CPU를 통해 연산처리)되고(800), 상기와 같이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는 중에 무선단말기(300)에서 시스템 설정 세부상태, 파일럿 채널 획득 세부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를 수행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가 접속한 이동 통신망(100) 상의 홈위치등록기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에 위치등록을 수행한다(805).
상기와 같이 위치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통화대기 상태로 이전되어 호출채널 감시와 핸드오프를 포함하는 통화대기 기능을 수행하고(810), 호출채널 감시를 통해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소정의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요청하는 호의 착신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8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통화대기 기능을 위한 호출채널 감시를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위치가 등록된 이동 통신망(100)의 종단에 해당하는 이동기지국으로부터 GPM이 수신되는지 판단함으로써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착신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착신이 요청되면(8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도면9와 같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다중 접속하는 소정의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전원이 입력되어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800), 상기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연결을 시도한다(8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과정은,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시스템 부팅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예컨대, 시스템 부팅과 동시에 자동으로 무선 메신저에 로그인 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예컨대, 무선단말기(300)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무선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을 요청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과정은,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소정의 콜백넘버(Callback Number) 및/또는 콜백유알엘(Callback URL)을 포함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접속 및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와 통신채널이 연결되면(83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통신모드를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설정하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이동 통신망(100)으로 통화채널 연결을 처리하는 다중화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835).
상기와 같이 다중화 기능이 활성화되면, 무선단말기(300)는 이동 통신망(100)과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다중 접속하기 위해 구비된 다중화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100)의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통화대기 기능(예컨대, 호출채널 감시와 이동 통신망(100) 상의 핸드오프)을 수행할 지 판단한다(8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100) 상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초에 한번씩 이동기지국으로 파일럿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호출채널을 감시하고 핸드오프를 수행해야 하는데, 본 발명을 위해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다중화 기능은 상기와 같이 파일럿 신호를 송신할 주기에 도달했는지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다중화 기능을 통해 이동 통신망(100)의 통화대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판단되면(예컨대, 파일럿 신호를 통해 호출채널 감시와 핸드오프를 수행할 주기에 도달하면)(845),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호출채널 감시와 핸드오프를 포함하는 통화대기 기능을 수행하고(810), 호출채널 감시를 통해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소정의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요청하는 호의 착신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815).
만약 상기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착신이 요청되면(8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도면9와 같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다중 접속하는 소정의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통화대기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호의 착신이 요청되지 않는다면(8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소정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850).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가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활성화된 다중화 기능(예컨대, 무선단말기(300)에서 무선 전용패킷 서비스 중에 음성통화 연결을 요청하도록 정의된 키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통화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호의 발신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855).
만약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발신이 요청된다면(86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도면10과 같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다중 접속하는 소정의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이동 통신망(100)으로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호의 발신이 요청되지 않는다면(86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활성화된 다중화 기능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이동 통신망(100)에 대한 통화대기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화 기능을 수행이 구비된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호를 착신하여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8에서 통화대기 기능을 수행하는 중(예컨대, 호출채널을 감시하는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위치가 등록된 이동 통신망(100)의 종단에 해당하는 소정의 이동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호출채널을 통해 소정의 GPM이 수신되어 호의 착신이 요청되면(90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이용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예컨대,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240)와 소정의 통신세션이 할당되어 있는 통신채널)로부터 소정의 세션관리 정보를 생성하고(905), 상기 생성된 세션관리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910).
상기와 같이 세션관리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구비된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의 세션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지 판단한다(9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세션관리 정보가 생성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수신되는 패킷 중에 패킷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패킷이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으로부터 푸시 방식으로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구비된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의 세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에 구비된 SCR을 토해 접속을 유지하는 것으로 세션이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의 세션을 유지해야 한다면(9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로)로 전송하고(925), 상기 세션유지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는 상기 세션유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24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세션유지 기능을 실행한다(930).
상기와 같이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이용한 세션유지 기능이 실행되거나(930), 또는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세션유지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면(9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한다(935).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액세스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기지국으로 PRM을 응답한 후,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이동기지국 사이의 호처리 절차(예컨대, 호출채널을 순방향 통화채널 및/또는 역방향 통화채널에 기반하는 통화채널로 변환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이동기지국 사이의 호출채널을 소정의 통화채널로 변환시킨다(9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자원 및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의 제어 권한은 이동통신 기능으로 이전되는데,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와 이동기지국 사이의 호출채널을 소정의 통화채널로 변환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 구비된 사운드 출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벨소리가 출력되기 시작하며,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는지 확인한다(945).
만약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호를 착신한다면(95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이동 통신망(100)의 교환기로 착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955), 상기 교환기는 상기 수신된 착신호를 판독 및 소정의 호연결 절차를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호접속을 요청한 소정의 유무선 단말장치와 통화채널을 연결한다(96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사운드 출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벨소리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통화”버튼을 클릭(또는 호를 착신하는 소정의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호를 착신하게 되는데,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호를 착신하게 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벨소리를 출력을 종료하고, 역방향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기지국으로 CO(Connection Order)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 통신망(100)의 교환기로 착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화 기능을 수행이 구비된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중에 이동 통신망(100)으로 호를 발신하여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8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소정의 키 입력을 통해 이동 통신망(100)으로 호접속을 요청하면(100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이용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로부터 소정의 세션관리 정보를 생성(1005) 및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부(365)에 저장한 후(1010),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구비된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의 세션을 유지하는 기능이 필요한 지 판단한다(1015).
만약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의 세션을 유지해야 한다면(10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소정의 세션유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로 전송하고(1025), 상기 세션유지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는 상기 세션유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로(240)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세션유지 기능을 실행한다(1030).
상기와 같이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이용한 세션유지 기능이 실행되거나(1030), 또는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세션유지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면(10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한다(103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이동 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자원 및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의 제어 권한은 이동통신 기능으로 이전되는데,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통화채널이 연결될 유무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입력 및 “통화”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전화걸기를 시작한다(1035).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에서 전화 걸기가 개시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무선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소정의 호처리 절차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액세스채널이 통화채널로 변환되는데(1045), 그 상세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액세스채널의 개시 메시지(OM)를 통해 전화 걸기를 시작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상기 기지국 간 액세스채널의 프리엠블 신호(Preamble Signal)를 통해 초기 등기가 획득되고, 상기 기지국은 소정의 채널할당메시지(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통해 채널 주파수, 왈쉬코드(Walsh Code) 번호를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기지국 사이의 호출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수신모드를 통화채널로 변환한 후 두개의 연속적인 통화채널 프레임 수신을 확인하는데, 이 때 상기 기지국은 순방향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널 데이터(Null Data)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통화채널 프레임 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역방향 통화채널을 통해 프리엠블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의 액세스채널의 RTD(Round Trip Delay)값(=기지국 송신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시간 지연값)을 이용하여 역방향 통화채널 윈도우 중심을 설정한 후 역방향 통화채널을 통해 초기 동기를 획득하고, 역방향 통화채널 동기가 획득되었음을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기지국 사이의 순방향 통화채널을 이용하는 오더 메시지(Order Message)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역방향 통화채널을 통해 널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순방향 및 역방향 통화채널을 통해 널 데이터가 송수신되기 시작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SO) 메시지를 통해 통화채널의 형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SO 1은 8Kbps QCELP(Qualcomm Code Excitation Linear Prediction) 음성통화에 해당하고, SO 2는 8Kbps 테스트용 루프백 호출(Loopback Call)에 해당하고, SO 3은 8Kbps의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음성통화에 해당하고, SO 4는 회선교환방식의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고, SO 5는 G3 팩스 서비스에 해당하고, SO 6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에 해당하고, SO 7은 인터넷을 위한 패킷교환방식의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고, SO 8은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Cellular Digital Packet Data; CDPD)를 위한 패킷교환방식의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고, SO 9는 32Kbps 테스트용 루프백 호출이고, SO 32760은 32Kbps QCELP 음성통화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음성통화채널을 연결을 위한 서비스 옵션으로 SO 1, SO 3, SO 32760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외 단문메시지나 무선 인터넷을 위한 서비스 옵션을 전송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서비스 옵션이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 옵션에 대응하는 소정의 자원(Resource)을 할당하는데, 상기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기(300) 및/또는 상기 기지국에서 생성 및/또는 추출 및/또는 할당된 소정의 호접속 정보(=발신호)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국을 경유하는 소정의 유선구간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상의 교환기로 수신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기지국과 제어국을 통해 이동 통신망(100) 상의 교환기로 상기 무선단말기(300)로부터 발신된 소정의 발신호가 수신되면(1050), 상기 이동 통신망(100)의 교환기는 상기 발신호를 판독(예컨대, 호접속 정보로부터 착신번호를 추출 및 위치등록기를 참조)하고, 소정의 호접속 절차(예컨대,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유무선 단말장치로 호의 착신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발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유무선 단말장치와 통화채널을 연결한다(1055).
도면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화 기능을 수행이 구비된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음성통화 종류 후에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복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9 내지 도면10과 같은 소정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위해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다중화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이동 통신망(100)을 통해 음성통화를 위한 소정의 통화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통화채널을 통해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1100), 상기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채널이 단절(예컨대, 무선단말기(300)에서 전화를 끊는 행위)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한다(1105).
만약 상기 통화채널이 단절된다면(1105),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통신모드를 이동 통신모드로부터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하고(1110), 상기 도면9 내지 도면10의 과정에서 무선단말기(300)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세션관리 정보를 추출한다(11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통신모드가 이동 통신모드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무선단말기(300)의 자원 및 화면 출력수단, 키 입력수단, 및/또는 사운드 입출력수단의 제어 권한은 무선 전용패킷 통신 기능으로 이전되는데,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세션관리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수단으로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 화면을 복구한 후(112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도면9 내지 도면10의 과정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구비된 소정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를 통해 소정의 세션유지 기능(예컨대,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에서 무선단말기(300)로 전송되는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확인한다(1125).
만약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에서 소정의 세션유지 기능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면(113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수행하며(1135), 또한 상기 도면8과 같이 본 발명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의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에서 소정의 세션유지 기능이 수행되고 있다면(113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키 입력수단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 상에 구비된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로 세션복구 메시지를 전송한다(11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무선단말기(300)에서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로 세션복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에 잠금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에 임시 저장된 패킷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무선단말기(300)에서 신규 작업(예컨대, 무선단말기(300)에서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 호스트로 신규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세션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는 상기 세션복구 메시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대한 세션유지를 위해 임시 저장한 소정의 패킷을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전송한다(1145).
만약 상기 세션유지 장치(또는 서버)(70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300)로 임시 저장된 패킷이 모두 전송되면(1150), 상기 무선단말기(300)는 키 입력수단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전용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수행하며(1155), 또한 상기 도면8과 같이 본 발명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기(300)에 구비된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300 : 무선 단말기 305 : 제어부
310 : 다중화부 315 : 통신 처리부
320 : 판단부 325 : 세션관리부
330 : 화면 출력부 335 : 키 입력부
340 : 사운드 처리부 345 : 이동 통신부
350 : 전용패킷 통신부 355 : 부가 처리부
360 : RF부 365 : 메모리부
370 : 세션관리정보 375 : 배터리
380 : 부가장치

Claims (11)

  1.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이동 통신부와, 전용패킷 통신망 상의 무선 기지국과 무선 구간을 형성하는 전용패킷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과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이용 가능하게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여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실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연결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음성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처리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전환될 복귀 화면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음성채널 연결 상태의 키 입력을 근거로 상기 음성채널 연결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을 상기 지정된 복귀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전용패킷 통신부를 통해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이 이전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통해 수신 완료하지 않은 패킷을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게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이동 기지국을 경유하는 음성통화 중에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에 상기 단절된 무선 전용패킷 통신을 복구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상기 전용패킷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전용패킷 통신 중에 상기 이동 기지국을 이용하는 통화 대기 상태, 호처리 절차 상태, 음성 통화채널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도록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채널은,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를 경유하는 회선 교환 방식의 연결형(Connection)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용패킷 통신채널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비연결형(Connectionless)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KR1020140051137A 2014-04-28 2014-04-28 무선단말 KR10151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137A KR101516741B1 (ko) 2014-04-28 2014-04-28 무선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137A KR101516741B1 (ko) 2014-04-28 2014-04-28 무선단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32770A Division KR101506993B1 (ko) 2012-03-29 2012-03-29 무선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550A KR20140063550A (ko) 2014-05-27
KR101516741B1 true KR101516741B1 (ko) 2015-05-04

Family

ID=5089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137A KR101516741B1 (ko) 2014-04-28 2014-04-28 무선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741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PECEN et al., "Simultaneous Vocie and Data Operation for GPRS/EDGE: Class A Dual Transfer Mode." In Jour. of the IEEE Personal Communictions, Vol. 8, Issue 2, pages 14-29, 2001.04. ISSN: 1070-99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550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1006B (zh) 一种通信装置
CN101860830A (zh) 通信装置
EP1856941B1 (en) Network-initiated service change from speech to multimedia
KR101122364B1 (ko) 상이한 무선망에 위치하는 이동국들간 패킷 데이터 호들을설정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EP25361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ircuit switched link of wifi handheld equipment
KR101221235B1 (ko) 이동 장비 식별자의 효율적인 공유
US9391890B2 (en) Network-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IP with a wireless terminal
CN105813223A (zh) 通讯装置及处理封包数据网络断线请求的方法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13951A (ko) 이동 통신망과 무선 데이터 통신망 다중 접속 시스템 및다중 접속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8489129B2 (en) Transmission of text/multimedia messages over bearer connections
KR101516741B1 (ko) 무선단말
KR101516736B1 (ko) 무선단말
KR101516738B1 (ko) 무선단말
KR101506992B1 (ko) 무선단말
KR101506989B1 (ko) 무선단말
KR101506993B1 (ko) 무선단말
KR20110124194A (ko) 무선단말
CN109640338B (zh) 一种基于基站的通信方法及系统
KR20070003227A (ko)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030599B1 (ko) 이동 통신망과 무선 데이터 통신망 다중 접속 시스템
EP2120492A1 (en) Home cell access indication to standard 3GPP terminal
KR20120040175A (ko) 무선단말
KR20120040179A (ko) 무선단말
CN112543206B (zh) 群组建立的方法、接入设备、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