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52B1 -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 Google Patents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152B1
KR101516152B1 KR1020130163889A KR20130163889A KR101516152B1 KR 101516152 B1 KR101516152 B1 KR 101516152B1 KR 1020130163889 A KR1020130163889 A KR 1020130163889A KR 20130163889 A KR20130163889 A KR 20130163889A KR 101516152 B1 KR101516152 B1 KR 10151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oadside base
handover
vehicle terminal
inform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택
신대교
정한균
윤상훈
이세연
진성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에 관한 것으로, 차량단말(On Board Equipment: OBE)이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부터 제공 서비스의 정보를 담은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를 수신하여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차량단말이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1 노변기지국에 접속하고, 제1 노변기지국을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며, 차량단말이 제1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2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제2 노변기지국을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시 접속되는 노변기지국이 반복하여 변경되는 핑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Handover method of on board equipment and on board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이, 차량의 주행에 따라 도로 주변의 노변기지국과의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교통 체증이 심화되고 있으며, 차량 운행자가 상대적으로 교통이 원활한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 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과 함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지능형 교통 시스템)를 위한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ITS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차량단말(On Board Equipment: OBE)을 탑재하고,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를 이용한 도로변에 위치한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 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교통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WAVE는 ITS 환경에서 차량단말 간에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량단말과 노변기지국과 같은 인프라 설비 간에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고속 이동 환경에서도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WAVE를 정의한 IEEE 802.11p 및 IEEE 1609는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차량단말의 접속 기지국을 변경하는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 정의하고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경우 차량의 고속 이동 속도 및 실제 도로 환경에서의 가변적인 전파 환경 때문에, 접속 기지국이 반복하여 변경되는 핑퐁현상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8170호 "차량용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채널 접근 방법" (2013.11.0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75626호 "WAVE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2013.06.11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에 대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라 도로 주변의 노변기지국과의 핸드오버를 진행하되, 접속되는 노변기지국이 반복하여 변경되는 핑퐁(ping 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은, 차량단말(On Board Equipment: OBE)이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부터 제공 서비스의 정보를 담은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를 수신하여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는 작성단계,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1 노변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제1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2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상기 제2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는 핸드오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WSA가 수신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 및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인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포함된 노변기지국 중,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노변기지국이 위치한 도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포함된 노변기지국 중, 현재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노변기지국이 도로의 양측 중 어느 측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방향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포함된 노변기지국 중, 현재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방향 식별자와 동일한 방향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전파 수신 강도가 큰 노변기지국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단계는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이전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제2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3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상기 제3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되,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재핸드오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재핸드오버 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정보 리스트에 복수의 이전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특정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다른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제공 서비스의 정보를 담은 WSA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1 노변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2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상기 제2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에 따르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차량단말에서 핸드오버가 진행되는 경우, 핸드오버 대상 노변기지국이 반복하여 변경되어 불필요한 핸드오버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핑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결과 통신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로(2)에 차량(1)이 주행 중이고 해당 차량(1)에는 차량단말(10)이 탑재되며, 도로(2)변에는 노변기지국(20)이 위치한다. 이때 차량단말(10)은 노변기지국(20)과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차량단말(10)은 차량(1)에 탑재된 OBE(On Board Equipment)의 일종으로서, 노변기지국(20)이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차량단말(10)이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정보는 교통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정보, 주유소, 휴게소, 차량 정비소, 날씨 등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차량단말(10)은 차량(1)에 탑재되어, 차량(1)이 도로(2)를 주행함에 따라 그 위치가 수시로 변경된다. 이때, 차량단말(10)은 도로(2) 상의 위치에 따라 노변기지국(20)과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때, 차량단말(10)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WAVE는 통신 단말의 위치 변화가 심하고 단기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하는 환경에서, 차량단말(10) 및 노변기지국(20) 간에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노변기지국(20)은 도로(2)를 주행하는 차량(1)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도로(2)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기지국으로서 RSE(Road Side Equipment)의 일종이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란 교통 체증 등의 교통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보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의미하며, 노변기지국(20)을 매개로 차량단말(10)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변기지국(20)은 내부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또는 외부의 정보 서버 등이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에 따라, 차량(1)에 탑재된 차량단말(10)로 교통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노변기지국(20)은 차량(1)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로(2)를 주행하는 차량(1)에 탑재된 차량단말(10)은, 노변기지국(20)으로부터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를 수신하게 되며, 이때 WSA는 노변기지국(20)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를 안내하는데 활용되는 정보 패킷으로서 무선 통신을 이용해 차량단말(10)에 전달된다.
노변기지국(20)으로부터 WSA를 수신한 차량단말(10)은, WSA를 전송한 노변기지국(20)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내부에 저장한다.
이때, 차량단말(10)이 작성하는 정보 리스트는, WSA가 수신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웃 노변기지국(neighbor RSE) 항목 및 전파 수신 강도가 특정 강도 이상인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HO candidate RSE) 항목을 포함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태 노변기지국 식별자 도로 식별자 방향 식별자
이웃 노변기지국
(neighbor RSE_)
21, 22, 23 2x, 2x, 2x a, a, a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Init Candidate RSE)
21, 22 2x, 2x a, a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HO Candidate RSE)
22 2x a
현재 노변기지국
(Current RSE)
21 2x a
이전 노변기지국
(Previous RSE)
N/A N/A N/A
표 1을 참조하면, 정보 리스트는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Init Candidate RSE) 항목, 핸드오버 후보 노변 기지국 항목, 현재 노변기지국(Current RSE) 항목 및 이전 노변기지국(Previous RSE)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및 각 정보의 표현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은 차량단말(10)이 WSA를 수신한 노변기지국(20)을 나타내는 정보 필드이다. 즉, 차량단말(10)이 WSA를 수신하면, 해당 WSA를 전송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21, 22, 23)와 함께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게 된다. 이 경우 노변기지국의 식별자(21, 22, 23)는 도로(2)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20)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차량단말(10)은 각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23)에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2x, 2x, 2x)를 각 노변기지국 식별자(21, 22, 23)와 함께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도로 식별자(2x, 2x, 2x)에서 '2'는 각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23)가 도로(2) 변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또한 차량단말(10)은 각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23)이 도로(2)의 어느 측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방향 식별자(a)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 식별자(a)는 각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23)이 도 1에서 도로(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로변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표 1의 다른 정보 항목인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 핸드오버 후보 노변 기지국 항목,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 및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에서, 노변기지국 식별자, 도로 식별자 및 방향 식별자 항목이 나타내는 바는 상기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은 차량단말(10)이 최초로 접속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20)을 나타내는 정보 필드이다. 차량단말(10)은 WSA를 수신하여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때,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인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을 선별하여 해당 항목에 등록하며,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은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23)에도 속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은 전파 수신 강도가 -75dbm 이상인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을 선별하여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단말(10)은 전파 강도계 등을 이용하여 전파 수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표 1에서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으로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은, 식별자가 '21', '22'이고,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는 '2x', '2x'이며, 방향 식별자는 'a', 'a'이다.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은 차량단말(1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새롭게 접속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20)을 나타내는 정보 필드이다. 차량단말(10)은 WSA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때,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인 노변기지국(식별자 22)을 선별하여 해당 항목에 등록하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식별자 22)은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및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식별자 21, 22, 23)에도 속하게 된다. 이때 차량단말(10)은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노변기지국(20)을 등록하는 전파 수신 강도의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큰 전파 수신 강도를 기준으로 일정치를 설정하고, 해당 일정치 이상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갖는 노변기지국(식별자 22)을 선별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은 전파 수신 강도가 -50dbm 이상인 노변기지국(식별자 22)을 선별하여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수 있다. 표 1에서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으로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은, 식별자가 '22'이고,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는 '2x'이며, 방향 식별자는 'a'이다.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은 차량단말(10)이 현재 접속한 노변기지국(20)을 나타내는 정보 필드이다. 차량단말(10)이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서 특정 노변기지국(20)을 선택하여 접속하거나,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서 특정 노변기지국(20)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한 경우, 현재 접속한 노변기지국(식별자 21)이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다. 표 1에서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현재 노변기지국(20)은, 식별자가 '21'이고,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는 '2x'이며, 방향 식별자는 'a'이다.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은 차량단말(10)이 과거에 접속하였으나 핸드오버가 진행됨에 따라 접속이 끊긴 노변기지국(20)을 나타내는 정보 필드이다. 차량단말(10)은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접속 노변기지국(20)을 변경하고, 이전에 접속하였던 노변기지국(20)을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한다. 표 1에서는 아직 핸드오버가 진행되지 않은 관계로, 노변기지국 식별자, 도로 식별자, 방향 식별자 정보가 'N/A(not available)'로 표시되었다.
차량단말(10)이 이렇게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나면, 이후 수신하는 WSA에 따라 기존의 정보를 갱신하게 되며, 이때 정보의 갱신은 새로운 노변기지국(20)을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의 세부 정보를 변경하거나, 기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을 정보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은 WSA를 수신할 때 마다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을 갱신하고,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 중 일정치(예를 들어 -75dbm) 이상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을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 및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 중 일정치(예를 들어 -50dbm) 이상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을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단말(10)은 WSA의 수신에 따른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예를 들어 -50dbm) 이하가 되는 노변기지국(20)을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서 삭제할 수 있고,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예를 들어 -75dbm) 이하가 되는 노변기지국(20)을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단말(10)은 일정 시간동안 특정 노변기지국(20)에서 전송한 WSA의 전파 수신 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후, 해당 평균값을 이용하여 정보 리스트에 노변기지국(20)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한 차량단말(10)은 해당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초기 접속을 진행할 노변기지국(20)을 선택한다. 이때 차량단말(10)은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20)을 선택해 접속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이나 핸드오버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 중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20)에 접속할 수 있다.
만일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이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해당 노변기지국(20)에 초기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노변기지국(20)이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에는 등록되어 있으나,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이나 핸드오버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는 등록되지 않은 경우 접속을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일정 주기 마다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단말(10)은 예를 들어 1초마다 정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에 따라 초기 접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표 1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차량단말(10)이 노변기지국(식별자 21)에 초기 접속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에 노변기지국(식별자 21)이 설정되었다.
이후 차량단말(10)은 현재 노변기지국(20)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는지 살펴 다른 노변기지국(20)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차량단말(10)은 일정 주기 마다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현재 노변기지국(20)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단말(10)은 예를 들어 1초마다 현재 노변기지국(20)의 전파 강도가 -75dbm 이하로 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차량단말(10)은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핸드오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은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을 탐색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20)이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전파 수신 강도가 높을 수록 무선 통신 환경이 양호하므로, 해당 노변기지국(20)로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단말(10)은 도로(2)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20)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노변기지국(20)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차량단말(10)이 접속한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는 '21'이므로, 이와 식별자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노변기지국(식별자 22)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차이가 적을 수록 서로 인접한 노변기지국(20)일 가능성이 높아, 무선 통신 환경이 양호하고 원활하게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량단말(10)은 현재 노변기지국(20)의 도로 식별자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이 탑재된 차량(1)은 도로(2)를 주행하고 도로(2)의 도로 식별자는 '2x'라고 하면, 차량단말(10)은 정보 리스트에서 노변기지국(20)의 도로 식별자를 확인하여, '2x'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로 식별자가 같은 노변기지국(20)은 차량(1)이 주행 중인 도로(2) 변에 위치하므로, 다른 도로에 위치하는 노변기지국 보다 무선 통신 환경이 양호하고 원활하게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하여 차량단말(10)은 현재 노변기지국(20)의 방향 식별자와 동일한 방향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이 탑재된 차량(1)은 도로(2)를 상방으로 진행하고 대응하는 방향의 방향 식별자는 'a'이며, 도로(2) 상에서 반대 방향인 하방에 대응하는 방향 식별자가 'b'라 하면, 방향 식별자 'a'를 갖는 노변기지국(20)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진행 방향 측 도로(2) 변에 위치한 노변기지국(20)이, 반대 측 도로(2) 변에 위치한 노변기지국 보다 무선 통신 환경이 양호하고 원활하게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각 정보에 따른 핸드오버 우선순위의 판단은 설정에 따라, 그 판단순서나 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핸드오버를 진행한 차량단말(10)은 새롭게 접속한 노변기지국(식별자 22)을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하고, 기존에 접속한 노변기지국(식별자 21)을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수 있다. 차량단말(10)은 향후 핸드오버 진행시,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1)의 진행방향 뒤쪽에 위치할 확률이 높은 이전 노변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가능성을 줄인다.
만일 표 1과 같이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단일 노변기지국(식별자 22) 만이 등록된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해당 노변기지국(식별자 22)으로의 핸드오버를 진행한다.
한편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일정 주기 마다 현재 노변기지국(식별자 21)의 전파 수신 강도를 살펴 핸드오버를 진행할지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차량단말(10)이 핸드오버를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한 경우라면 정보 리스트를 재검색하여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20)을 재탐색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못한 채로 시간이 경과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식별자 21)로부터 더 이상의 WSA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WSA를 마지막으로 수신한 때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여,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에서 해당 노변기지국(식별자 21)의 정보를 삭제하고,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에서도 해당 노변기지국(식별자 21)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단말(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단말(10)은 통신부(11), 저장부(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WAVE를 비롯한 각종 통신 방식을 이용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저장부(12)는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저장한 저장소로서, 각종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통신부(11) 및 저장부(12)를 포함한 차량단말(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한 연산유닛, 메모리, 응용 프로그램 저장소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3)는 통신부(1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노변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담은 WSA를 수신하여,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저장부(12)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 리스트는 예를 들어, 차량단말(10)이 WSA를 수신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 차량단말(10)이 최초로 접속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 차량단말(10)이 현재 접속한 노변기지국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접속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후보 노변 기지국 항목, 차량단말(10)이 현재 접속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 차량단말(10)이 과거에 접속하였으나 핸드오버가 진행됨에 따라 접속이 끊긴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가 이렇게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나면, 통신부(11)를 통해 이후 수신하는 WSA에 따라 기존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한 제어부(13)은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초기 접속을 진행할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고, 해당 노변기지국을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이나 핸드오버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 중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는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는지 살펴 다른 노변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3)은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13)는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이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는 현재 노변기지국의 도로 식별자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13)는 현재 노변기지국의 방향 식별자와 동일한 방향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정보에 따른 핸드오버 우선순위의 판단은 설정에 따라, 그 판단순서나 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핸드오버를 진행한 제어부(13)는 새롭게 접속한 노변기지국을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하고, 기존에 접속한 노변기지국을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향후 핸드오버 진행시,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에 등록된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뒤쪽에 위치할 확률이 높은 이전 노변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가능성을 줄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를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단말(10)을 탑재한 차량(1)이 도로(2)를 주행 중이고, 도로(2) 인근에는 다른 도로(3)가 위치한다.
이때, 차량(1)이 주행 중인 도로(2)의 도로 식별자는 '2x'이고, 이에 따라 도로(2) 변의 노변기지국(20)은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21', '22', '23'으로 정해졌다.
반면 도로(2)와 인접한 다른 도로(3)의 도로 식별자는 '3x'이고, 이에 따라 도로(3) 변의 노변기지국(30)은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31', '32', '33'으로 정해졌다.
만일 차량단말(10)이 접속한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가 '21'인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식별자가 '22', '23'인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식별자가 '31', '32', '33'인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단말(10)은 차량(1)이 주행 중인 도로(2) 변에 위치한 노변기지국(식별자 22, 23)으로의 핸드오버가 진행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확보하고, 재차 핸드오버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한다.
이 경우 차량단말(10)은 도로 식별자가 '2x'인 노변기지국(식별자 22, 23) 중,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21)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노변기지국(식별자 22)으로 핸드오버를 진행하여, 현재 노변기지국과 인접하여 통신 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노변기지국(식별자 22)으로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를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차량단말(10)을 탑재한 차량(1)이 도로(2)를 주행 중이고, 도로(2)와 교차하는 다른 도로(4)가 위치한다.
이때, 차량(1)이 주행 중인 도로(2)의 도로 식별자는 '2x'이고, 이에 따라 도로(2) 변의 노변기지국은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21', '22'로 정해졌다.
반면 도로(2)와 교차하는 다른 도로(4)의 도로 식별자는 '4x'이고, 이에 따라 도로(3) 변의 노변기지국은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41', '42'로 정해졌다.
만일 차량단말(10)이 접속한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가 '21'인 경우라면, 차량단말은 식별자가 '22'인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식별자가 '41', '42'인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단말(10)은 차량(1)이 주행 중인 도로(2) 변에 위치한 노변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진행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확보하고, 재차 핸드오버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방향 식별자를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차량단말(10)을 탑재한 차량(1)이 도로(2)를 상방으로 주행 중이다.
이때, 차량(1)이 상방으로 주행 중인 도로(2) 변의 방향 식별자는 'a'이고, 이에 따라 상방 측 도로(2) 변의 노변기지국(20a)은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21a', '22a', '23a'로 정해졌다.
반면 반대방향인 하방 도로(2) 변의 방향 식별자는 'b'이고, 이에 따라 상방 측 도로(2) 변의 노변기지국(20b)은 식별자가 순차적으로 '21b', '22b', '23b'로 정해졌다.
만일 차량단말(10)이 접속한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가 '21a'인 경우라면, 차량단말(10)은 식별자가 '22a', '23a'인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식별자가 '21b', '22b', '23b'인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단말(10)은 차량(1)이 주행 중인 방향의 도로(2) 변에 위치한 노변기지국(20a)으로의 핸드오버가 진행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확보하고, 재차 핸드오버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은, 해당 도로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으로부터 WSA를 수신한다(S1).
단계(S1)에서 차량단말이 수신하는 WSA는 각 노변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S1)에서 WSA를 수신한 차량단말은, 대응하는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내부에 저장한다(S2).
단계(S2)에서 차량단말이 작성하는 정보 리스트는, 예를 들어, 차량단말이 WSA를 수신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 차량단말이 최초로 접속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초기 접속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 차량단말이 현재 접속한 노변기지국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접속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후보 노변 기지국 항목, 차량단말이 현재 접속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현재 노변기지국 항목, 차량단말이 과거에 접속하였으나 핸드오버가 진행됨에 따라 접속이 끊긴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전 노변기지국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한 차량단말은, 해당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초기 접속을 진행할 노변기지국을 제1 노변기지국으로 선택해 접속하고, 해당 제1 노변기지국을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한다(S3).
단계(S3)에서 차량단말은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1 노변기지국을 초기 접속할 노변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현재 노변기지국인 제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던 차량단말은, 해당 제1 노변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는지 확인한다(S4).
만일 단계(S4)에서의 확인 결과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라면 차량단말은 단계(S4)의 확인 과정을 계속하고, 반대로 단계(S4)에서의 확인 결과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라면 차량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해 정보 리스트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2 노변기지국을 선택한다(S5).
단계(S5)에서 차량단말은, 예를 들어,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이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단말은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단말은 현재 노변기지국의 도로 식별자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차량단말은 현재 노변기지국의 방향 식별자와 동일한 방향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정보에 따른 핸드오버 우선순위의 판단은 설정에 따라, 그 판단순서나 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차량단말은 단계(S5)에서 선택한 제2 노변기지국에 접속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고(S6), 기존의 단계(S3)에서 접속하였으나 단계(S6)에서 접속이 끊긴 제1 노변기지국을 이전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한다(S7).
이후 현재 노변기지국인 제2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던 차량단말은, 해당 제2 노변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는지 확인한다(S8).
만일 단계(S8)에서의 확인 결과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라면 차량단말은 단계(S8)의 확인 과정을 계속하고, 반대로 단계(S8)에서의 확인 결과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라면 차량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해, 단계(S7)에서 설정한 이전 노변기지국을 고려하여, 정보 리스트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3 노변기지국을 선택한다(S9).
단계(S9)의 차량단말은 단계(S7)에서 이전 노변기지국으로 설정된 제1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데, 이는 기존에 접속하다가 접속을 해제한 제1 노변기지국의 경우 차량의 진행방향 뒤쪽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아, 제1 노변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더라도 곧바로 다시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오버가 반복되는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정보 리스트 내에 복수의 이전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차량단말은, 정보 리스트에서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특정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다른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현재 노변기지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이전 노변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양호한 무선 통신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S9)에서 차량단말은, 예를 들어,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노변기지국이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단말은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단말은 현재 노변기지국의 도로 식별자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차량단말은 현재 노변기지국의 방향 식별자와 동일한 방향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정보에 따른 핸드오버 우선순위의 판단은 설정에 따라, 그 판단순서나 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차량단말은 단계(S9)에서 선택한 제3 노변기지국에 접속하여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고(S10), 기존의 단계(S6)에서 접속하였으나 단계(S10)에서 접속이 끊긴 제2 노변기지국을 이전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한다(S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차량 2, 3, 4: 도로
10: 차량단말 11: 통신부
12: 저장부 13: 제어부
20, 20a, 20b, 30: 노변기지국

Claims (9)

  1. 차량단말(On Board Equipment: OBE)이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부터 제공 서비스의 정보를 담은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를 수신하여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는 작성단계;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1 노변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제1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2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이전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는 핸드오버단계;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제2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3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상기 제3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되,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재핸드오버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WSA가 수신된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이웃 노변기지국 항목 및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상인 노변기지국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포함된 노변기지국 중,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노변기지국이 위치한 도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포함된 노변기지국 중, 현재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도로 식별자와 동일한 도로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노변기지국이 도로의 양측 중 어느 측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방향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후보 노변기지국 항목에 포함된 노변기지국 중, 현재 노변기지국에 대응하는 방향 식별자와 동일한 방향 식별자를 갖는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전파 수신 강도가 큰 노변기지국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리스트는 도로를 따라 위치한 노변기지국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부여된 노변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재핸드오버 단계에서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정보 리스트에 복수의 이전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현재 노변기지국의 식별자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식별자를 갖는 특정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다른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9.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노변기지국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제공 서비스의 정보를 담은 WSA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1 노변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2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차량단말이 상기 제1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이전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현재 노변기지국의 전파 수신 강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높은 제3 노변기지국을 선택해 접속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상기 제3 노변기지국을 상기 정보 리스트 상에서 현재 노변기지국으로 설정하되, 이전 노변기지국의 핸드오버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
KR1020130163889A 2013-12-26 2013-12-26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KR10151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89A KR101516152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89A KR101516152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152B1 true KR101516152B1 (ko) 2015-05-04

Family

ID=5339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889A KR101516152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648A (ko) * 2010-06-11 2011-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접속을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15629A (ko) * 2011-08-04 2013-02-14 전자부품연구원 Wave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648A (ko) * 2010-06-11 2011-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환경에서의 무선 접속을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15629A (ko) * 2011-08-04 2013-02-14 전자부품연구원 Wave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한균 외 3인, "차량용 무선통신환경에서 차량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한국통신학회 2014년도 하계종합학술발표회, 201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12880B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US11330412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EP3641363A1 (en) Method for inserting smf and amf entity
US9369931B2 (en) Method and radio access node for incorporating a moving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3686896B (zh) 无线接入点的切换方法和终端
US88741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vehicular base station
EP1703757B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handover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60249357A1 (en) Soft access point master mode using dual wideband channels
EP246162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highly scalable continuous roaming within a wireless network
KR101621878B1 (ko) 차량용 avn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무선 통신 방법
US956561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ff of IEEE 802.22 network-based mobile terminal
US20200187058A1 (en) Bu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backhaul system using portable tvws and operating method
CN101902794B (zh) V2i通信中基于运动预测的二层快速切换方法
US20140031044A1 (en) Handover manager component
CN102083088B (zh) 用于一无线网络的数据中继移动装置及数据中继方法
CN105451278A (zh) 双连接系统中辅基站改变方法和设备
CN105338579B (zh) 轨道交通中的无线局域网切换方法及装置
US9467924B2 (en) Method for performing seamless group handover for supporting portable TV band device based on TV white space
KR101516152B1 (ko)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JP2016086333A (ja) 無線通信基地局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移動局
KR101549114B1 (ko) 차량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차량단말
US20120163289A1 (en) Node apparatus, nod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continuous network connectivity-lacking network
KR10166954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음영지역 우회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82500A (ko) 차량간 데이터 통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641935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用の端末機器、当該端末機器を備えている車両、当該端末機器の動作方法、および、当該動作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