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778B1 -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778B1
KR101515778B1 KR1020120056469A KR20120056469A KR101515778B1 KR 101515778 B1 KR101515778 B1 KR 101515778B1 KR 1020120056469 A KR1020120056469 A KR 1020120056469A KR 20120056469 A KR20120056469 A KR 20120056469A KR 101515778 B1 KR101515778 B1 KR 101515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battery according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3332A (en
Inventor
김성민
안순호
정현철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5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778B1/en
Publication of KR2013013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고 외력의 인가시 상기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력이 휨 모멘텀일 때, 상기 외력에 대응하여 전극조립체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에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미코팅부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storage portion of a pouch-shaped battery case, th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battery case that is deformable in a shape that attenuates the external force when appli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 bending moment,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force,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Figure R1020120056469
Figure R1020120056469

Description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of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고 외력의 인가시 상기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력이 휨 모멘텀일 때, 상기 외력에 대응하여 전극조립체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에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미코팅부가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t least one uncoated portion that is no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bent in response to the external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 bending moment, And a secondary battery.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on batteries capable of meeting various demands have been conducted.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Typically, in terms of the shape of a battery,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with a small thickness, and has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There is a high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분리필름 등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node assembly, the cath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separator structure sandwiched between the anode assembly and the cathode assembly. Typically,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cut in a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jelly-roll (wound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A stack / 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i-cell or a full cell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of a unit is wound with a separator or the like can be given.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a pouch-shaped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ed or stacked / folded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shaped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small weight, Its usage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종래의 전지셀에 전극조립체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FIG. 1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a conventional battery cell.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10)의 전극조립체는 음극(2)과 양극(1)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하나의 전극층이 다수 개 적층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ode assembly of a battery cell 1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each composed of a cathode 2, an anode 1, and a separator.

양극(1) 및 음극(2)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 탭들(4)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용착부의 형태로 전극리드(6)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극리드(6)는 양극 및 음극 탭 용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대향 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전지케이스(5)에 의해 밀봉된다.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4 protruding from the anode 1 and the cathode 2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6 in the form of a welded portion integrally joined by welding, for example. The electrode leads 6 are sealed by the battery case 5 in such a state that the opposite end portions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ld portions are connected are exposed.

다수의 전극 탭들(4)이 일체로 결합되어 용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지케이스(5)의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의 상단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용착부의 전극 탭들(4)은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6)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5)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필름(8)이 부착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se 5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by a certain distance and the electrode tabs 4 of the welded portion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V- . An insulating film 8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 6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sealing with the battery case 5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그러나, 이러한 전극조립체의 구조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such an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use the electrode assembly as a power source for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elastically warp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가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림이 가능한 전지셀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nd have found that, in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ar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into a shape attenuating an external force, It was confirmed that a battery cell can be produc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고 외력의 인가시 상기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력이 휨 모멘텀일 때, 상기 외력에 대응하여 전극조립체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에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미코팅부가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ath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t least one uncoated portion that is no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bent in response to the external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 bending moment,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가 변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망하는 방향으로 이차전지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are deformable,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easily bent in a desire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외력의 인가시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battery case can be deformed to attenuate an external force upon application of an external force. Preferably, the battery case may include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한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는 수납부 상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예를 들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다.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pouch-shaped case having a housing portion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can be mounted on a pouch-shaped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The battery case of such a laminate sheet is sealed by, for example, thermal fusion after mounting the electrode assembly on the housing part.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미코팅부는 전극단자 방향(전지의 길이 방향)에서 전극조립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전지의 길이에 대해 0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의 상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0%의 위치는 전극조립체의 중심 위치를 의미한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uncoated portion is positioned within a range of 0 to 35%, more preferably 0 to 30%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batte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electrode term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an do. In the above, the position of 0% means the center posi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구체적으로, 전지의 절곡 필요성은 일반적으로 전지의 중앙을 중심으로 요구되므로, 미코팅부가 전극조립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전지의 길이에 대해 35%를 초과하는 위치, 즉, 전지의 단부 쪽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면, 그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need for bending the battery is generally required around the center of the battery, the uncoated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exceeding 35% of the length of the batte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ttery, that is, If so, it may be difficult to meet such a demand.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미코팅부의 폭은 전극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코팅부에서 전극단자 방향의 폭을 기준으로 5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may be about 5 to about 50%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terminal in the coated portion coated wit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미코팅부의 폭이 전극단자 방향의 폭을 기준으로 5% 미만이면 소망하는 이차전지의 절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고, 50%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전지 용량이 작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Specifically, when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is less than 5%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erminal, the desired secondary battery can not be easily bent, and if it exceeds 50%, the overall battery capacity becomes small.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미코팅부의 폭은 1 내지 5 mm의 크기일 수 있다. In yet another example,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may be between 1 and 5 mm.

구체적으로, 상기 미코팅부의 폭이 1 mm 미만이면 소망하는 이차전지의 절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고, 5 mm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전지 용량이 작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Specifically, if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is less than 1 mm, bending of a desired secondary battery can not be easily performed, and if the width is more than 5 mm, the overall battery capacity becomes small.

경우에 따라서는 미코팅부의 폭은 적층된 단위셀의 수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acked unit cells.

예를 들어, 적층된 단위셀의 수가 5개일 때, 미코팅부의 폭은 2 mm일 수 있고, 적층된 단위셀의 수가 많아질수록 미코팅부의 폭이 커지고 적층된 단위셀의 수가 적어질수록 미코팅부의 폭이 작아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stacked unit cells is 5,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may be 2 mm, and as the number of stacked unit cells increases,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increases. As the number of stacked unit cells decreases, The width of the coated portion can be reduced.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형, 또는 폴딩형, 또는 풀셀 또는 바이셀 등의 단위셀들을 분리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극판들을 분리막이 개제된 상태로 적층한 스택형 구조, 다수의 극판들을 분리막이 개제된 상태로 폴딩한 폴딩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 등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 stack / folding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such as a stack cell, a folding cell, or a pull cell or a bicell are wound in a separation film. That is,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laminated with a separator being formed, a fold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fold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is formed, or a stack / folding structure may be used.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 적층된 구조에서, 미코팅부는 각각의 적층 전극들에 형성되고, 상기 적층 전극들이 적층된 상하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in the electrode stack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uncoated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stacked electrodes, and the stacked electrodes may have the same size in the stacked up and down directions.

상기 구조에서 전극조립체들의 절곡 각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The bending angle of the electrode assemblies in the above structure can be adjusted as needed.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각각의 적층 전극들에서 미코팅부들은 상하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전극조립체의 절곡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uncoated portions of the stacked electrode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ending angle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increased.

또 다른 예로서, 각각의 적층 전극들에서 미코팅부들은 상하 방향에서 교번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전극조립체의 전체적인 절곡 형태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미코팅부는 적층 전극의 양극 또는 음극 집전체의 상하 방향에 전극 활물질이 교번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uncoated portions in the respective stacked electrodes are formed at the alternate positions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overall bending form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made smooth. That is, the uncoated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ltern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node or the anode current collector of the laminated electrode.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각각의 적층 전극은 2개의 미코팅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2개의 미코팅부에 의해 1차 절곡 및 2차 절곡이 달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each of the laminated electrodes is composed of two uncoated portions, so that primary bending and secondary bending can be achieved by two uncoated portions.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는 2 이상의 단위셀들이 분리필름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are wound by a separation film.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셀의 수는 3 내지 15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number of unit cells may be 3 to 15.

구체적인 예로서, 중대형 이차전지는 12 내지 15개의 단위셀들이 적층된 구조이고, 소형 이차전지는 3 내지 11개의 단위셀들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middle- or large-sized secondary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12 to 15 unit cells are stacked, and the small secondary cell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3 to 11 unit cells are stack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함유 전해액이 겔의 형태로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이른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so-called lithium ion polymer battery in which a lithium-containing electrolyte is impregnated with an electrode assembly in the form of a gel.

상기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및 고체나 겔 형태의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다.The lithium ion polymer battery comprises an anode, a cathod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in the form of a solid or a gel.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합제를 NMP 등의 용매에 혼합하여 만들어진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anode may be prepared, for example, by applying a slurry prepared by mixing a cathode mixture to a solvent such as NMP, and then drying and rolling the cathode slurry.

상기 양극 합제는 양극 활물질 이외에 선택적으로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may optionall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a filler, and the like.

상기 양극 활물질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2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망간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Cr, Zn 또는 Ga 이고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0.01≤y≤0.7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계 산화물; Li1+zNi1/3Co1/3Mn1/3O2, Li1 + zNi0 .4Mn0 .4Co0 .2O2 등과 같이 Li1 + zNibMncCo1 -(b+c+d)MdO(2-e)Ae (여기서, -0.5≤z≤0.5, 0.1≤b≤0.8, 0.1≤c≤0.8, 0≤d≤0.2, 0≤e≤0.2, b+c+d<1 임, M = Al, Mg, Cr, Ti, Si 또는 Y 이고, A = F, P 또는 Cl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산화물; 화학식 Li1+xM1-yM'yPO4-zXz(여기서, M = 전이금속, 바람직하게는 Fe, Mn, Co 또는 Ni 이고, M' = Al, Mg 또는 Ti 이고, X = F, S 또는 N 이며, -0.5≤x≤+0.5, 0≤y≤0.5, 0≤z≤0.1 임)로 표현되는 올리빈계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 material capable of cau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Examples of the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include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containing two or more transition metals and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lithium Layered compounds such as nickel oxide (LiNiO 2 ); Lithium manganese oxide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Formula LiNi 1-y M y O 2 ( where, M = Co, Mn, Al , Cu, Fe, Mg, B, Cr, Zn or Ga and Lim, 0.01≤y≤0.7 include one or more elements of the element) A lithium nickel-based ox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Li 1 + z Ni 1/3 Co 1/3 Mn 1/3 O 2, Li 1 + z Ni 0 .4 Mn 0 .4 Co 0 .2 O 2 Li , such as 1 + z Ni b Mn c Co 1 - (b + c + d) M d O (2-e) A e B + c &lt; = 0.8, 0.1? C? 0.8, 0? D? 0.2, 0? E? 0.2, b + c + d <1, M = Al, Mg, Cr , Ti, Si or Y and A = F, P or Cl); And the formula Li 1 + x M 1-y M 'y PO 4-z X z ( wherein, M = a transition metal, preferably Fe, Mn, Co or Ni, M' = Al, Mg or Ti, X = F, S or N, and -0.5? X? +0.5, 0? Y? 0.5, and 0? Z? 0.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aterial is usual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Such a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for exampl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y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제 등을 들 수 있다.The binder is a component which assists in bonding of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onding to the current collector, and is usual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contain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Examples of such binder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 sulfonated EPDM, styrene butylene rubber, fluorine rubber, and various copolymers.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The filler is optionally used as a component for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any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olefin-based polymeriz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are used.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1 내지 3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have a thickness of 1 to 300 mu m. Such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to the battery, an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or aluminum or stainless steel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may be used. The current collector may have fin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thereof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nd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are possible.

상기 음극은, 예를 들어,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음극 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상기 음극 합제에는,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등의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is prepared, for example, by applying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then drying the same.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may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a filler, May be included.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탄소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플러렌, 활성탄 등의 탄소 및 흑연재료;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Ti 등의 금속 및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금속 및 그 화합물과 탄소 및 흑연재료의 복합물; 리튬 함유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계 활물질, 규소계 활물질, 주석계 활물질, 또는 규소-탄소계 활물질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carbon and graphite materials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expanded graphite, carbon fiber, non-graphitizable carbon, carbon black, carbon nanotube, fullerene and activated carbon; Metals such as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and Ti which can be alloyed with lithium and compounds containing these elements; Complexes of metals and their compounds and carbon and graphite materials; Lithium-containing nitrides, and the like. Among them,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 silicon-based active material, a tin-based active material, or a silicon-carbon based active material is more preferable, and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1 내지 3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have a thickness of 1 to 300 mu m.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Examp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aluminum-cadmium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like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fine unevenness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to enhance the bonding for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s, sheets, foils, nets, porous bodies, foams and nonwoven fabrics.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1 ~ 2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이나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공중합체 등의 고분자 전해질용 또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이 코팅된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The pore diameter of the separator is generally 0.01 to 10 mu m and the thickness is generally 1 to 200 mu m. Such separation membranes include, for example, olefinic polymers such as polypropylene, which are chemically resistant and hydrophobic; A sheet or nonwoven fabric made of glass fiber, polyethylene or the like is used. When a solid electrolyte such as a polymer is used as an electrolyte, the solid electrolyte may also serve as a separation membrane.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a multilayer film produced by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or a combination of these films, a polyvinylidene fluoride, a polyethylene oxide, a polyacrylonitrile, A 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or a polymer film coated with a gel-type polymer electroly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미코팅부를 포함하고 전지케이스가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uncoated portion and the battery case is deformable into a shape attenuating the external force, so that it can be easily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에 전극조립체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미코팅부가 적용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가 구부러지는 수직 단면도이다.
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a conventional battery cell;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to which an uncoate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artial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미코팅부가 적용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to which an uncoate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2개의 미코팅부들(200)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조립체(30), 전극조립체(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40, 50), 전극 탭들(40, 50)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60, 70), 및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하고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이를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전지케이스(2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having two uncoated portions 200 that are no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electrode tabs 30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30, The electrode leads 60 and 70 welded to the electrode tabs 40 and 50 and the electrode assembly 3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ies 40 and 50 and deformable into a shape attenuating the external force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20).

전극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전극단자 방향(전지의 길이방향)으로 미코팅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극조립체(30)는 미코팅부(200)에 의해 휨 모멘텀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전지케이스(20)와 동시에 이를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The electrode assembly 30 is a power generation element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uncoated portion 200 is formed in an electrode term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have. 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bending moment is applied by the uncoated portion 200, the electrode assembly 30 deforms at the same time as the battery case 20 so as to attenuate it.

전극 탭들(40, 50)은 전극조립체(3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60, 7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60, 7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필름(80)이 부착되어 있다.The electrode tabs 40 and 50 extend from each electrode plate 30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the electrode leads 60 and 70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40 and 50 extending from each electrode plate, Respectively, and a part of the battery case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insulating film 80 is attached to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s 60 and 70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sealing with the battery case 20 and at the same time to secure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전지케이스(20)는 수지층 및 금속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battery case 20 is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and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has a pouch shape as a whole.

적층형 전극조립체(30)의 경우, 다수의 양극 탭들(40)과 다수의 음극 탭들(50)이 전극리드(60, 7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20)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In the stacked electrode assembly 30,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se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60 (or 70) so that a plural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s 40 and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tabs 50 can be coupled together. 30).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0a)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을 하나의 층으로 구성하여 다수개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a), 및 전극조립체(30a)를 내장하며 외력의 인가시 상기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전지케이스(20a)를 포함하고 있다.3, the secondary battery 100a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a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de assembly 30a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30a and a battery case 20a which can be deformed to attenuate the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또한, 외력이 휨 모멘텀일 때, 외력에 대응하여 전극조립체(30a)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30a)에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2개의 미코팅부들(200a)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 bending moment, two uncoated portions 200a are formed on the electrode assembly 30a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30a can be ben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30a)는 양극 집전체의 상하면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110), 음극 집전체의 상하면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120), 및 분리막(130)으로 구성된 하나의 적층 전극이 다수 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30a includes a cathode 110 coated with a cathode active material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a cathode 120 coated with an anode active material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parator 130 A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s are stacked.

미코팅부들(200a)은 전극단자 방향인 전지의 길이방향(W1)에 대하여 전극조립체(30a)의 중심점(A)을 기준으로 약 25%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Uncoated portions (200a) is formed at a position of about 25%, based on the center point (A) of the electrode assembly (30a)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 1) of the cell of the electrode terminal direction.

또한, 미코팅부들(200a)의 폭(W2)은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코팅부(W3)에서 전극단자 방향을 기준으로 약 3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Further, the width (W 2) of the non-coated portions (200a) are formed to a size of about 30%, based on the electrode tab direction in the coating unit (W 3) which is coated electrode coating.

미코팅부들(200a)은, 전극조립체(30a)의 전극이 적층된 구조에서, 각각의 적층 전극들(110, 120)에 형성되어 있고, 적층된 상하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The uncoated portions 200a are formed in the stacked electrodes 110 and 120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30a are laminated and have the same size in the stacked up and down directions.

또한, 미코팅부들(200)은 각각의 적층 전극들(110, 120)에서 상하 방향(H)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차전지(100c)가 외력인 휨 모멘텀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구부러진다. The uncoated portions 200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H in the respective laminated electrodes 110 and 120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100c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is easily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an external bending momentum.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적층 전극들(112, 122)에서 미코팅부들(200b)은 상하 방향(H)에서 교번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except that the uncoated portions 200b are formed at the alternate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H in the stacked electrodes 112 and 12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s omit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Claims (13)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고 외력의 인가시 상기 외력을 감쇠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력이 휨 모멘텀일 때, 상기 외력에 대응하여 전극조립체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에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미코팅부가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형 구조, 또는 풀셀 또는 바이셀의 단위셀들을 분리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이 적층된 구조에서, 미코팅부는 각각의 적층 전극들에 형성되어 있고, 적층된 상하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적층 전극들에서 미코팅부들은 상하 방향에서 교번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 battery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deformable into a shape that attenuates the external force upon application of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t least one uncoated portion that is no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response to the external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 bending moment,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acked structure or a stack / folding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of a pull cell or a bi-cell are wound in a separation film,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are laminated, the uncoated portions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laminated electrodes, have the same size in the stacked up and down directions,
Wherein the uncoated portions of the stacked electrodes are formed at alternate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 및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ase comprises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코팅부는 전극단자 방향(전지의 길이 방향)에서 전극조립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전지의 길이에 대해 0 내지 35%의 상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coated portion is located within a range of 0 to 35%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batte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electrode term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코팅부의 폭은 전극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코팅부에서 전극단자 방향의 폭을 기준으로 5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is 5 to 50% of a width of the coating portion coated wit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being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코팅부의 폭은 1 내지 5 mm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coated portion has a width of 1 to 5 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적층 전극들에서 미코팅부들은 상하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coated portions of the stacked electrode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적층 전극은 2개의 미코팅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laminated electrodes includes two uncoated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2 이상의 단위셀들이 분리필름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are wound by a separation film.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의 수는 3 내지 15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number of the unit cells is 3 to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is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KR1020120056469A 2012-05-29 2012-05-29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KR101515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69A KR101515778B1 (en) 2012-05-29 2012-05-29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69A KR101515778B1 (en) 2012-05-29 2012-05-29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2A KR20130133332A (en) 2013-12-09
KR101515778B1 true KR101515778B1 (en) 2015-05-04

Family

ID=4998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69A KR101515778B1 (en) 2012-05-29 2012-05-29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7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828B1 (en) 2014-10-02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Flexibl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electrode assembli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KR102303827B1 (en) 2014-10-06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lex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complex electrod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8103A (en) * 1998-08-04 2000-02-25 Nissan Motor Co Ltd Battery
JP2002343340A (en) * 2001-05-21 2002-11-29 Sony Corp Electrode and battery
JP2005011660A (en) * 2003-06-18 2005-01-13 Nissan Motor Co Lt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8103A (en) * 1998-08-04 2000-02-25 Nissan Motor Co Ltd Battery
JP2002343340A (en) * 2001-05-21 2002-11-29 Sony Corp Electrode and battery
JP2005011660A (en) * 2003-06-18 2005-01-13 Nissan Motor Co Lt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2A (en)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199B1 (en) Electrode Assembly of Novel Struct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101014817B1 (en) stack/folding-typed Electrode Assembly Containing Safety Membe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101543065B1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KR102234993B1 (en) Batte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28027B1 (en) Fabricat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KR101475734B1 (en)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KR20140103083A (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JP2016509338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09037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JP658715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86615B1 (en) Press-In Device for Preventing Wrinkles on Anode Active Material-non-coated Portion of Battery
KR101543055B1 (en) Stack and Folding-Typed 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Safety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101487092B1 (en)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484369B1 (en)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chemical cell having the same
US20230010746A1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15778B1 (en)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KR101476040B1 (en) Pouch-type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eparator coated with a gas-adsorbent, large-size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US10971783B2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heat stability
KR20140022531A (en) Electrode assembly and fabricating method of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electrochemical cell
EP4044331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increased energy dens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163388B1 (en) Secondary Battery with Excellent Insulation Resistance
KR20140034340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and cell moudle with the same
EP4033635A1 (en) Jig for charging/discharging battery cell
KR102014458B1 (en) Electrode assembly with directional thick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30099241A (en) Welding method of electrode tab and electro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