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342B1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Synthetic Plastic RawMaterial by Using Dry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humidifying Synthetic Plastic RawMaterial by Using Dry 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5342B1 KR101515342B1 KR1020150015824A KR20150015824A KR101515342B1 KR 101515342 B1 KR101515342 B1 KR 101515342B1 KR 1020150015824 A KR1020150015824 A KR 1020150015824A KR 20150015824 A KR20150015824 A KR 20150015824A KR 101515342 B1 KR101515342 B1 KR 101515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raw material
- air circulation
- hole
- drying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drying the moulding material before injection, e.g. b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료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원료 제습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 소모량을 줄임과 아울러 원료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료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and improving a drying time of a raw material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흡습성을 갖추어서 대기 중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재질에 따라서는 일정한 량의 수분을 항상 함유한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은 사출 또는 압출 성형기에 펠렛(Pellets) 형태의 원료로서 공급되며, 가열 성형되어 원하는 형태의 플라스틱 제품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사출 또는 압출 성형기를 통하여 완제품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원료에 과도하게 수분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원료가 가수분해를 일으키거나, 원료 자체가 열화되어 성형 후의 플라스틱 제품의 강도 또는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plastic is hygroscopic and absorbs moisture from the atmosphere and always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water depending on the material. Such plastics are supplied to the injection or extruder as raw materials in the form of pellets, which are then thermoformed into a desired form of plastic. When excessive water is contained in the plastic raw material in the course of molding into the finished product through the injection or extrusion molding machine, the plastic raw material may undergo hydrolysis or the raw material itself may deteriorate and the strength or toughness of the plastic product after molding may deteriorate .
따라서 성형기로 공급되는 플라스틱 원료는 그 수분 함량이 일정량 이하로 유지되도록 사전에 건조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ry the plastic raw material supplied to the molding machine in advance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thereof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mount or less.
이와 같이 플라스틱 원료를 사전에 건조시키는 공정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로터리(Rotary) 제습기와 같은 제습 장치로 공기를 통과시켜 제습시키고, 히터를 통하여 가열한 다음 합성수지에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로터리 제습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은 별도의 제습장치가 필요하고,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장치가 복잡하고, 운전에 많은 전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process of drying the plastic raw material in advance is a method of dehumidifying by passing air through a dehumidifying device such as a rotary dehumidifier, heating through a heater, supplying the synthetic resin to the synthetic resin, and drying. However, such a drying method using a rotary dehumidifier requires a separate dehumidifying device and has a structure for circulating the heated air, which complicates the apparatus and requires a lot of electric power for operation.
이와는 다른 방식의 플라스틱 원료의 건조공정은 진공건조 방식이다. 이는 진공 챔버(Vacuum Chamber)내에 합성수지 원료를 넣고서 가열하여 제습하는 구조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진공건조 방식은 배치(Batch) 공정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원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보다는 크게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작업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A different method of drying the plastic raw material is a vacuum drying method.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laced in a vacuum chamber and is dehumidified by heating. However, since such a vacuum drying method is performed in the form of a batch proces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work efficiency is lowered and work productivity is lower than the method of continuously supplying raw materials.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른 한 가지 방식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공기보다 수분 함유율이 적은 질소가스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흡인하는 압축기(200)의 후방 측에 공기로부터 질소가스를 분리하는 질소 발생기(210)를 갖추고, 그 후방 측에 히터(220)를 구비하여 플라스틱 원료가 담긴 호파(230)에 고온 고압의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nventional method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This system uses a nitrogen gas having a water content lower than that of air and includes a
그리고 호파로부터 질소가스의 일부분을 회수하여 재순환시키고, 연속적으로 고온 고압의 질소가스를 호파에 공급하여 제습기 없이 플라스틱 원료를 호파 내에서 건조시키도록 된 것이다.Then, a portion of the nitrogen gas is recovered from the hopper and recirculated, and nitrogen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hopper to dry the plastic raw material in the hopper without the dehumidifier.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는 별도의 이송장치(240)들을 통하여 성형기(250)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Also, the dried plastic raw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공기로부터 질소를 분리시키기 위한 고가(高價)의 질소 발생기(210)와 질소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기계 장치들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치를 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초기 투자비가 증가되어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requires a high-priced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외부에 히터를 구비하고,내부에 에어순환부와 원료건조탱크를 설치하여 원료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전기소모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를 콤팩트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ter on the outside of the body, an air circulation part and a raw material drying tank are installed therein to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raw material and reduc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To provide an improved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며, 상,하부에 에어배출공과 에어유입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공과 에어배출공에 연통되어 에어의 이동을 유도하는 에어순환홈이 포함된 에어순환부와; 상기 에어순환부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일측에 배출관이 구비된 원료건조탱크와; 상기 몸체의 에어배출공에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원료건조탱크내에 설치되는 가열에어공급관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roved raw material dehumidifying apparatus comprising: a case; A body provided in the case and having an air discharge hole and an air inlet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reof; An air circulation part installed in the body and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troduction hole and the air discharge hol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ir; A raw material drying tank inserted into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installed in the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ipe at one side; And a heating air supply pipe communicated with the air discharge hole of the body and installed in the raw material drying tank.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는 몸체의 외부에 히터를 구비하고,내부에 에어순환부와 원료건조탱크를 설치하여 원료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전기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를 콤팩트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improved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ter on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n air circulation part and a drying tank for raw materials can be installed therein to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raw material and reduce electricity consump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원료 제습 건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제습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제습장치를 보인 일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제습장치의 에어순환부를 보인 다른실시예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lastic raw material dehumidifying and drying apparatu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w material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irculation unit of the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내에 설치되며, 상,하부에 에어배출공(46)과 에어유입공(44)이 형성된 몸체(40)와, 상기 몸체(40)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공(44)과 에어배출공(46)에 연통되어 에어의 이동을 유도하는 에어순환홈(52)이 포함된 에어순환부(50)와, 상기 에어순환부(50)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40)에 설치되며, 일측에 배출관(62)이 구비된 원료건조탱크(60)와, 상기 몸체(40)의 에어배출공(46)에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원료건조탱크(60)내에 설치되는 가열에어공급관(70)으로 구성된다.2 and 3, the improved raw material dehumidif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케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 일부가 개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원료 제습장치를 콘트롤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되며, 상부에 덮개(30)가 결합된다.A
상기 몸체(4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체(41)와, 상기 통체(4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랜지(43)와, 상기 통체(4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플랜지(45)로 이루어진다.A
상기 통체(41)는 상,하단에 상기 상,하부플랜지(45,43)에 대응되게 결합편(42)이 형성된다.The
상기 하부플랜지(43)에는 측면과 상부로 연통되게 에어유입공(44)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공(44)에 에어호스 및 니플이 연결된다.An
상기 상부플랜지(45)는 일측에 관통되게 에어배출공(46)이 형성된다.The
상기 통체(41)의 외측을 감싸도록 히터(80)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80)는 세라믹밴드히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상기 에어순환부(50)는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 돌기(5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나선형 돌기(51) 사이에 에어순환홈(52)이 형성된다.The
상기 에어순환홈(52)은 상,하부플랜지(43,45)의 에어유입공(44)과 에어배출공(46)에 연통되게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나선형 돌기(51)는 통체(41)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에어순환홈(52)을 따라 유입된 에어가 나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원료건조탱크(60)는 내부가 중공되며 상부에 결합부재(6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배출관(62)이 형성된다.The raw
그리고 상기 원료건조탱크(60)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플랜지(43)에 결합된다.A lower end of the raw material drying tank (60) is coupled to the lower flange (43).
상기 가열에어공급관(70)의 일측은 상부플랜지(45)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랜지(45)의 에어배출공(46)에 연통되며, 타측은 원료건조탱크(60)내로 설치된다.One side of the heating
그리고 상기 가열에어공급관(70)은 상부플랜지(45)에 결합되게 연결편(71)이 형성된다.The heating air supply pipe (70)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iece (71) to b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45).
한편, 상기 하부플랜지(43)의 저면에는 원료배출구(9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raw material discharge port (9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4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체(41)와, 상기 에어순환부(50)와, 상기 가열에어공급관(70)와, 상기 상,하부플랜지(45,43)와, 상기 원료배출구(90)는 고정수단(100)에 의해 결합,고정된다.3, the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료 제습장치는 먼저 상기 원료건조탱크(60)의 결합부재(61)는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고, 상기 원료배출구(90)는 사출성형기측에 설치된다.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원료건조탱크(60)로 원료가 유입되면, 전원을 인가받은 상기 히터(80)에 의해 상기 통체(41), 에어순환부(50), 원료건조탱크(60)측에 순차적으로 열이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에어유입공(44)측으로 소정압력의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에어유입공(44)을 거쳐 상기 에어순환부(50)의 에어순환홈(52)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히터(80)의 열에 의해 에어의 온도가 상승되고, 이어 상기 상부플랜지(45)의 에어배출공(46)을 통해 상기 가열에어공급관(70)을 따라 상기 원료건조탱크(60)내로 공급되어 원료를 건조시키게 된다. 가열된 에어에 의해 원료의 수분이 제거되면서 상기 원료건조탱크(60)의 배출관(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above, in the dehumidif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ing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0)에서 에어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원료건조탱크(60)내로 원료 건조에 필요한 고온의 에어를 단시간내 보상받을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그리고 상기 히터(80)의 열이 상기 통체(41), 에어순환부(50), 원료건조탱크(60)측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원료의 건조시간을 단축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에어순환부(50)를 통과하면서 에어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단시간내 원료의 건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e heat of the
도 4은 본 발명의 원료 제습장치의 에어순환부(50)를 보인 다른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에어순환부(50)의 외측면 상,하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돌기(51)와 에어순환홈(52)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공(44)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순환홈(52)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배출공(46)을 통해 상기 가열에어공급관(7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 케이스 20: 제어부
40: 몸체 44: 에어유입공
46: 에어배출공 50: 에어순환부
60: 원료건조탱크 70: 가열에어공급관
80: 히터 90: 원료배출구10: Case 20:
40: body 44: air inflow hole
46: air discharge hole 50: air circulation part
60: Raw material drying tank 70: Heating air supply pipe
80: heater 90: material outlet
Claims (4)
상기 케이스(10)내에 설치되며, 상,하부에 에어배출공(46)과 에어유입공(44)이 형성된 몸체(40)와;
상기 몸체(40)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공(44)과 에어배출공(46)에 연통되어 에어의 이동을 유도하는 에어순환홈(52)이 포함된 에어순환부(50)와;
상기 에어순환부(50)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40)에 설치되며, 일측에 배출관(62)이 구비된 원료건조탱크(60)와;
상기 몸체(40)의 에어배출공(46)에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원료건조탱크(60)내에 설치되는 가열에어공급관(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
A case 10;
A body 40 provided in the case 10 and having an air vent hole 46 and an air inlet hole 44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 air circulation unit 50 installed in the body 40 and having an air circulation groove 52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hole 44 and the air outlet hole 4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ir;
A raw material drying tank 60 inserted into the air circulation unit 50 and installed in the body 40 and having a discharge pipe 62 at one side;
And a heating air supply pipe (70) communicated with the air discharge hole (46) of the body (40) and installed in the raw material drying tank (60).
상기 몸체(4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체(41)와, 상기 통체(41)의 하부에 결합되며 에어유입공(44)이 형성된 하부플랜지(43)와, 상기 통체(41)의 상부에 결합되며, 에어배출공(46)이 형성된 상부플랜지(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flange 43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41 and having an air inlet hole 44 formed thereon and a lower flange 43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41, , And an upper flange (45) which is coupled to the air discharge hole (46) and has an air discharge hole (46) formed therein.
상기 에어순환부(50)의 에어순환홈(52)은 나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irculation groove (52) of the air circulation unit (5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상기 에어순환부(50)의 에어순환홈(52)은 에어순환부(50)의 상,하측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원료 제습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irculation groove (52) of the air circulation unit (50) is formed in a zigzag shape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ir circulation unit (5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824A KR101515342B1 (en) | 2015-02-02 | 2015-02-02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Synthetic Plastic RawMaterial by Using Dry Air |
CN201620084608.1U CN205522083U (en) | 2015-02-02 | 2016-01-28 | Through modified raw materials dehydrat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824A KR101515342B1 (en) | 2015-02-02 | 2015-02-02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Synthetic Plastic RawMaterial by Using Dry 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5342B1 true KR101515342B1 (en) | 2015-04-24 |
Family
ID=5305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5824A KR101515342B1 (en) | 2015-02-02 | 2015-02-02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Synthetic Plastic RawMaterial by Using Dry Ai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5342B1 (en) |
CN (1) | CN205522083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631B1 (en) | 2020-06-22 | 2021-01-20 | (주)디에스에스 | Dehumidifying device provided in manufacturing device for high rigidity packaging band |
KR102236528B1 (en) | 2020-11-05 | 2021-04-06 | (주)디에스에스 | Dehumidifying device provided in manufacturing device for high rigidity packaging ban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5349U (en) * | 1989-07-24 | 1991-03-15 | ||
JPH066892Y2 (en) * | 1986-09-22 | 1994-02-23 | 大登機械株式会社 | Dehumidifying dryer for resin pellets |
JPH066891Y2 (en) * | 1986-09-22 | 1994-02-23 | 大登機械株式会社 | Dehumidifying dryer for resin pellets |
KR20110014280A (en) * | 2009-08-05 | 2011-02-11 | 주식회사 엘티오피 | Dehumidifier of plastic resin for hopper injection machine |
-
2015
- 2015-02-02 KR KR1020150015824A patent/KR10151534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28 CN CN201620084608.1U patent/CN205522083U/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892Y2 (en) * | 1986-09-22 | 1994-02-23 | 大登機械株式会社 | Dehumidifying dryer for resin pellets |
JPH066891Y2 (en) * | 1986-09-22 | 1994-02-23 | 大登機械株式会社 | Dehumidifying dryer for resin pellets |
JPH0325349U (en) * | 1989-07-24 | 1991-03-15 | ||
KR20110014280A (en) * | 2009-08-05 | 2011-02-11 | 주식회사 엘티오피 | Dehumidifier of plastic resin for hopper injection machi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631B1 (en) | 2020-06-22 | 2021-01-20 | (주)디에스에스 | Dehumidifying device provided in manufacturing device for high rigidity packaging band |
KR102236528B1 (en) | 2020-11-05 | 2021-04-06 | (주)디에스에스 | Dehumidifying device provided in manufacturing device for high rigidity packaging ba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5522083U (en) | 2016-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619923B (en) | Environmental-friendly efficient hot air circulating system and recycling method | |
CN104374176A (en) | Novel tunnel drying line | |
CN104015291B (en) | A kind of latex pillow production line | |
KR101515342B1 (en)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Synthetic Plastic RawMaterial by Using Dry Air | |
CN105783476A (en) | Hot air injection type and electromagnetic heating belt type continuous drying machine system | |
CN103538181A (en) | A vacuum vulcanization setting machine | |
CN204880977U (en) | Vacuum decompression formula desiccator | |
CN204460951U (en) | A kind of electric heating circulating drying box | |
CN206339041U (en) | A kind of microwave drier of simple plastics particulate material | |
CN207711125U (en) | A kind of plastic processing materal drier | |
CN204263399U (en) | A kind of injection machine material drying device | |
CN207147088U (en) | One kind injection particle drying device | |
KR20100131762A (en) | A condensing dry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and waste heat | |
CN201700523U (en) | Shoe-making infrared drying forming production line | |
CN104924484A (en) | Waste heat recycling and baking device of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injection machine | |
CN212482011U (en) | Heated air circulation formula drying device | |
CN107305090A (en) | A kind of flash drying machine | |
CN203841082U (en) | Cocoa-bean drying device | |
CN204869528U (en) | Wet injection molding machine is taken out in vacuum | |
CN107655274A (en) | A kind of hot air drier for preventing cross pollution | |
CN207789489U (en) | A kind of built-in pipe formula rubber vulcanizing tank | |
CN206390411U (en) | A kind of dryer processed for plastic shoes | |
CN207388145U (en) | A kind of energy-efficient heat supply pipeline and EPP mouldings curing chambers | |
CN105953557A (en) | Energy-saving plastic particle dryer | |
JPS59204510A (en) | Hopper dr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