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298B1 - Water filter - Google Patents

Water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298B1
KR101515298B1 KR1020130096536A KR20130096536A KR101515298B1 KR 101515298 B1 KR101515298 B1 KR 101515298B1 KR 1020130096536 A KR1020130096536 A KR 1020130096536A KR 20130096536 A KR20130096536 A KR 20130096536A KR 101515298 B1 KR101515298 B1 KR 10151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ousing
main housing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9525A (en
Inventor
김국준
Original Assignee
김국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준 filed Critical 김국준
Priority to KR1020130096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298B1/en
Publication of KR2015001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워터필터(100)는 원통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하부 일측에 흡기관(114)을 결합하여 연통하며 내부에 적정량의 필터링수를 주입하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좌우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을 부착하고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보조가이드편(112)을 수직으로 부착한 메인하우징(110)과;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단에 안치하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공(121)을 형성하고 메인가이드편(111) 사이 상부측을 차단하는 차단편(124)을 하향으로 돌출시킨 상부플레이트(120)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는 하부덮개(131)를 일체화시키되 하부에 하부덮개(131)의 중앙을 관통한 흡기공(132)을 형성하고 상부에 배기공(136)을 형성한 상부덮개(135)를 결합시킨 상부하우징(130); 및 상기 상부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하여 흡기공(132)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흡수구(140)로 구성하므로; 물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양질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간편하게 수시로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water fil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n intake tube 114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filter 1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filtering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filter 100, A main housing 110 to which a guide piece 111 is attached and an auxiliary guide piece 112 is vertically attached between a pair of main guide pieces 111; An exhaust hole 121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110 and positioned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and a blocking piece 124 blocking the upper side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is protruded downward An upper plate (120); An intake hole 132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lid 13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10 to integrate a lower lid 131 for sealing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110, An upper housing 130 coupled to the upper cover 135, And a pressure absorbing port 14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130 to absorb the pressure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take holes 132; By using wat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o continuously supply high-quality air. In addition, it can be formed into a simple structure to minimize the cost, and it can be cleaned at any time and used hygienically and semi-permanently .

Description

워터필터{WATER FILTER}Water filter {WATER FILTER}

본 발명은 워터필터에 관한 것으로 물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처리하여 정화된 양질을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필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filter that filter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by using water to efficiently supply purified air with high quality.

일반적으로 먼지와 같이 이물질 등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나 공기정화기 등을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양질의 공기를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general, air purifiers are installed in places where man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generated, so that contaminated air can be purified and high quality air can be supplied again.

종래에는 부직포나 여과지 등으로 된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필터의 사용 초기에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어느 정도 여과처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필터에 부착되어 여과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거나 또는 새것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데, 필터의 청소작업이나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내부 환경을 정청하게 또 위생적인 환경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는 심지어 질병 원인으로 이어지게 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large number of air purifiers using a filt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a filter paper have been used. However, in the early stage of use of the filter, it is expected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air are filtered to some degree. However,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filter and lowers the filtration fun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clean the filter periodically or to replace the filter with a new one. Often, the cleaning or replacement of the filter is very troubleso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environment can not be managed in a precise and hygienic environment, and such a problem is pointed out as a fatal disadvantage that it may lead even to cause of disease.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기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세척하거나 또는 필터를 자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는 필터가 깨끗하게 세척되어 있지 아니할 경우에는 각종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어 사육가축들에게 세균으로 오염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Also, it is pointed out that the ai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filter is periodically washed or the filter is frequently exchanged, and thus it takes a lot of cost to manage. In addition, when the filter is not cleanly clean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taminated air may be supplied to the breeding livestock by bacteria.

그리고 종래에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물을 뿌려주는 방법으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처리하는 공기정화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와 물을 펌핑하여 뿌려 주는 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송풍기와 펌프를 동시 가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력사용량이 많아져 운전유지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공기정화기를 사용해야 하는 각종 사업장 등의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108965호(명칭: 액체를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와 특허공개 제2009-117851호(명칭: 액체 필터기) 등이 있다.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proposed an air purifi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by spraying water to the outside air sucked by using a blower. However, since the air purifier for sucking the outside air and the water pump Since the pump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to purify the 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sumption for operating the blower and the pump simultaneously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economic burden of various business sites that use the air purifier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Conventional related arts include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08965 (name: air purifying device using liquid) and Patent Publication No. 2009-117851 (name: liquid filter machine).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물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양질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filter which can efficiently remov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by using water and continuously supply high-quality 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간편하게 수시로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filter which can be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to minimize the cost and can be easily cleaned at any time for hygienic use and semi-permanent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워터필터는 원통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하부 일측에 흡기관을 결합하여 연통하며 내부에 적정량의 필터링수를 주입하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좌우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을 부착하고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 사이에 보조가이드편을 수직으로 부착한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단에 안치하되 메인가이드편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공을 형성하고 메인가이드편 사이 상부측을 차단하는 차단편을 하향으로 돌출시킨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는 하부덮개를 일체화시키되 하부에 하부덮개의 중앙을 관통한 흡기공을 형성하고 상부에 배기공을 형성한 상부덮개를 결합시킨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하여 흡기공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흡수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wate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cylinder,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n intake tub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filter to communicate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filtering water. A main housing in which a guide piece is attached and an auxiliary guide piece is vertically attached between a pair of main guide pieces; and an exhaust hol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and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And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to seal the inside of the main housing, wherein an intake hole penetrating a center of the lower cover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That the pressure absorption port configurations to absorb the pressure of the group shall be based on the feature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워터필터는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공기를 효율적으로 폭기시켜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물질이 필터링하되 메인가이드편(111)와 보조가이드편(112) 및 차단편(124)에 의해 배기공(121)으로 필터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단플레이트(141)에 배출공기가 부딪혀 직접적인 충격이 내부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워터필터(1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물 등의 필터링수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므로 양질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간편하게 수시로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wate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filters air inside the main housing 110 to filter ou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main guide piece 111, the auxiliary guide piece 112, and the blocking piece 124, To prevent the filtered water from flowing out to the exhaust hole 121 and to prevent the direct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100 due to the impact of the exhaust air against the blocking plate 141 , Water and so on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high-quality air, and it can be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to minimize the cost, and is cleaned and sanitized at any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필터를 일부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필터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필터를 분리하여 나타낸 반단면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필터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필터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some incisions.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 4 is a half 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워터필터(100)는 원통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고 하부 일측에 흡기관(114)을 결합하여 연통하며 내부에 적정량의 필터링수를 주입하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좌우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을 부착하고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보조가이드편(112)을 수직으로 부착한 메인하우징(110)과;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단에 안치하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공(121)을 형성하고 메인가이드편(111) 사이 상부측을 차단하는 차단편(124)을 하향으로 돌출시킨 상부플레이트(120)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는 하부덮개(131)를 일체화시키되 하부에 하부덮개(131)의 중앙을 관통한 흡기공(132)을 형성하고 상부에 배기공(136)을 형성한 상부덮개(135)를 결합시킨 상부하우징(130); 및 상기 상부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하여 흡기공(132)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흡수구(140)로 구성한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water fil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opens at its upper part, communicates with an intake tube 114 at a lower part thereof, and injects an appropriate amount of filtering water into the water filter 100, A main housing 110 having a pair of right and left main guide pieces 111 vertically mount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vertically attaching auxiliary guide pieces 112 between a pair of main guide pieces 111; An exhaust hole 121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110 and positioned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and a blocking piece 124 blocking the upper side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is protruded downward An upper plate (120); An intake hole 132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lid 13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10 to integrate a lower lid 131 for sealing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110, An upper housing 130 coupled to the upper cover 135, And a pressure absorption port 14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130 to absorb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take hole 132.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원통으로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하되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내부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main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main housing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ith an upper portion opened, so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side the main housing 110 can be visually confirmed easily.

나아가, 메인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는 흡기관(114)을 결합하여 연통시키되 흡기관(114)의 토출단의 토출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측면에 경사지게 분사하도록 하여 필터링수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ction tube 11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10 so that the discharged air at the discharge end of the intake tube 114 is injected obliquely onto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fil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더불어, 흡기관(114)의 토출단에는 벤투리관으로 형성하여 토출압력을 상승시켜 분사한 공기를 필터링수에 효율적으로 폭기하도록 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Venturi tube at the discharge end of the intake tube 114 to increase the discharge pressure so that the injected air is efficiently aerated to the filtered water,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an be effectively filtered.

특히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는 수직으로 좌우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을 부착하고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의 보조가이드편(112)을 수직으로 부착하여 흡입공기의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터링수가 메인가이드편(111) 사이 공간의 상향으로 지나치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A pair of right and left main guide pieces 111 a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110 and the auxiliary guide pieces 112 are vertically attached between the pair of main guide pieces 111, And at the same time, the filtering water is excessively raised up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보조가이드편(112)의 상단에는 걸림돌출편(113)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an engaging projection 11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guide piece 11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120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set.

또한, 메인하우징(110)의 외주연에 복수의 체결부재(116)를 구비하여 상부하우징(130)을 견고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16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housing 110 so that the upper housing 130 can be firmly and easily coupled.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메인가이드편(111) 사이 상부측을 수용하는 차단편(124)을 하향으로 돌출시켜 필터링수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공(121)을 천공하고 배기공(121)에 세팅홈(122)을 형성하여 보조가이드편(112)의 걸림돌출편(113)을 끼워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shut-off piece 124 for receiving the upper side of the main guide pieces 111 so as to protrude downward to efficiently block the filtered water, 121 are formed in the exhaust hole 121 and a setting groove 122 is formed in the exhaust hole 121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113 of the auxiliary guide piece 112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ct position.

아울러, 상부플레이트(120)의 상면 중앙에는 가이드홈(123)을 형성하여 상부하우징(130)의 위치를 정확하고 세팅하여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groove 12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housing 130 can be accurately set so that the upper housing 120 can be easily coupled.

상기 상부하우징(130)은 메인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는 하부덮개(131)를 일체로 결합하되 하부에 하부덮개(131)의 중앙을 관통하여 흡기공(132)을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구(133)을 형성하여 가이드구(133)에 흡기공(132)을 L형으로 연통하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시킨 가이드구(133)를 상부플레이트(120)의 가이드홈(123)에 대응하도록 한다.The upper housing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10 and integrally joins the lower lid 131 to seal the inside of the main housing 110. The lower lid 13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lid 131 to form an intake hole 132 And a guide hole 133 protruding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hole 133 in an L-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123.

이때, 가이드구(133)의 L형 흡기공(132) 단부는 상부플레이트(120)의 배기공(121)과 반대편 쪽으로 위치하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L-shaped intake hole 132 of the guide hole 133 is positioned to be opposite to the exhaust hole 121 of the upper plate 120.

또한, 하부덮개(131)는 메인하우징(110)의 체결부재(116)로 결합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ver 131 is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upling member 116 of the main housing 110.

더불어, 상부하우징(130)의 상부에 배기공(136)을 형성하고 배기공(136)에 배기관(137)을 결합한 상부덮개(135)를 결합하되 상부덮개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an exhaust hole 136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30 and the upper cover 135 is coupled to the exhaust hole 136 through an exhaust pipe 137 so that the upper cover can be detachably coupled.

상기 압력흡수구(140)는 상부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하여 흡기공(132)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플레이트(141)를 구비하되 차단플레이트(14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간격유지용 지지대(143)를 다수개 부착하여 차단플레이트(141)와 흡기공(132)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차단플레이트(141)의 테두리와 상부하우징(13)의 내주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토출하는 공가가 먼저 차단플레이트(141)에 부딪히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The pressure absorbing port 140 has a blocking plate 141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130 to absorb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let 132, A plurality of spacing support supports 143 are vertically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upper housing 13 so a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shield plate 141 and the intake holes 132 and to maintain a space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shield plate 141 and the inner periphery distance So that the air bubble for ejecting collides against the blocking plate 141 to absorb the shock.

여기서 차단플레이트(141)의 외주연에는 하향으로 가이드편(142)을 형성하여 부딪힌 공기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piece 142 is formed downwar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locking plate 141 so that impact of the collided air can be efficiently absorbed.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흡기관(114)으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메인하우징(110) 내부에 주입시킨 필터링수를 메인하우징(11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하면서 폭기되고 이로 인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물질이 필터링수에 부착되어 여과된다.First, when air is introduced from the intake pipe 114, the filtered water injected into the main housing 110 is augmented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main housing 110. As a result, dust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filtered Attached to water and filtered.

이때 필터링수는 회전과 유입된 공기의 폭기로 수위가 어느 정도 상승하게 되지만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와 보조가이드편(112) 및 차단편(124)에 의해 배기공(121)으로 필터링수가 유출되는것 효율적으로 차단한다.At this time, the filtered water is filtered by the exhaust hole 121 by the pair of main guide pieces 111, the auxiliary guide pieces 112, and the blocking pieces 124 due to the rotation and the aeration of the introduced air. Efficiently blocks the leakage of water.

또한, 메인가이드편(111)와 보조가이드편(112)에 의해 폭기를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main guide piece 111 and the auxiliary guide piece 112 efficiently guide the aeration to improve the filtering effect.

여기서 필터링된 공기는 배기공(124)에 통해 상부플레이트(120) 상측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배기공(124)의 반대 측에 위한 흡기공(132)의 단부를 통해 보조하우징(130)으로 이동한다.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20 through the exhaust hole 124 and the discharged air is discharged to the auxiliary housing 130 through the end of the intake hole 132 for the opposite side of the exhaust hole 124 Move.

이때 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압력흡수구(140)의 차단플레이트(141)에 부딪혀 직접적인 충격이 내부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워터필터(1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with a strong pressure is struck against the blocking plate 141 of the pressure absorbing port 140 to prevent a direct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inside,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water filter 100.

또한, 차단플레이트(141)에 부딪친 공기는 가이드편(142)에 부딪힌 다음 차단플레이트(141)와 상부하우징(13)의 내주연 사이 공간을 거쳐 배기공(136)을 통해 외부로 필터링된 양질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The air bumped against the blocking plate 141 collides with the guide piece 142 and then passe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blocking plate 14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housing 13 to be filtered out through the exhaust hole 136 Allow air to escape.

100 : 워터필터 110 : 메인하우징
111 : 메인가이드편 112 : 보조가이드편
113 : 걸림돌출편 114 : 흡기관
115 : 흡기공 116 : 체결부재
120 : 상부플레이트 121 : 배기공
122 : 세팅홈 123 : 가이드홈
124 : 차단편 130 : 상부하우징
131 : 하부덮개 132 : 흡기공
133 : 가이드구 134 : 걸림턱
135 : 상부덮개 136 : 배기공
137 : 배기관 140 : 압력흡수구
141 : 차단플레이트 142 : 가이드편
143 : 간격유지용 지지대
100: water filter 110: main housing
111: main guide piece 112: auxiliary guide piece
113: stumbling block 114: intake pipe
115: air intake hole 116: fastening member
120: upper plate 121: exhaust hole
122: setting groove 123: guide groove
124: block 130: upper housing
131: lower cover 132: intake air
133: guide member 134: latching jaw
135: upper cover 136: exhaust hole
137: exhaust pipe 140: pressure absorbing port
141: blocking plate 142: guide piece
143: Support stand for spacing

Claims (5)

상부를 개구하고 하부 일측에 흡기관(114)을 결합하여 연통하며 내부에 적정량의 필터링수를 주입하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좌우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을 부착하고 한 쌍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보조가이드편(112)을 수직으로 부착한 메인하우징(110)과,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단에 안치하되 메인가이드편(111)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공(121)을 형성하고 메인가이드편(111) 사이 상부측을 차단하는 차단편(124)을 하향으로 돌출시킨 상부플레이트(120)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는 하부덮개(131)를 일체화시키되 하부에 하부덮개(131)의 중앙을 관통한 흡기공(132)을 형성하고 상부에 배기공(136)을 형성한 상부덮개(135)를 결합시킨 상부하우징(130), 및
상기 상부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하여 흡기공(132)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흡수구(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필터.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guide pieces 111 a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a pair of main guide pieces 111 are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the main guide piece 111, A main housing 110 having an auxiliary guide piece 112 vertically attached between the main housing 110 and the main housing 110,
An exhaust hole 121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110 and positioned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and a blocking piece 124 blocking the upper side between the main guide pieces 111 is protruded downward An upper plate 120,
An intake hole 132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lid 13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10 to integrate a lower lid 131 for sealing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110, An upper housing 130 coupled to the upper cover 135,
And a pressure absorption port (14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130) to absorb the pressure of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hole (1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원통형의 투명재질로 형성하고 흡기관(114)의 토출단의 토출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측면에 경사지게 분사하도록 하며 보조가이드편(112)의 상단에 걸림돌출편(113)을 형성하되 외주연에 복수의 체결부재(116)를 구비하여 상부하우징(1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housing 110 is formed of a cylindrical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ischarged air at the discharge end of the intake tube 114 is injected obliquely onto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113),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16) are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housing (130) to fix the upper housing (13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배기공(121)에 세팅홈(122)을 형성하여 보조가이드편(112)의 걸림돌출편(113)을 끼워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필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late 120 is formed by setting grooves 122 in the exhaust hole 121 and engaging the engaging protrusions 113 of the auxiliary guide piece 112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30)은 저면 중앙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구(133)를 형성하여 가이드구(133)를 흡기공(132)에 L형으로 연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housing (130)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33) protruding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guide hole (133) communicates with the intake hole (132) in an 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흡수구(140)는 차단플레이트(141)를 구비하되, 차단플레이트(14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간격유지용 지지대(143)를 다수개 부착하고 차단플레이트(14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가이드편(14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absorbing port 140 is provided with a cutoff plate 141 and a plurality of spacing support supports 143 a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utoff plate 141 and downward And a guide piece (14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filter.
KR1020130096536A 2013-08-14 2013-08-14 Water filter KR101515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536A KR101515298B1 (en) 2013-08-14 2013-08-14 Water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536A KR101515298B1 (en) 2013-08-14 2013-08-14 Water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525A KR20150019525A (en) 2015-02-25
KR101515298B1 true KR101515298B1 (en) 2015-04-24

Family

ID=5257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536A KR101515298B1 (en) 2013-08-14 2013-08-14 Water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2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6917A (en) * 2016-09-21 2016-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Pipeline machine water tank and pipelin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525A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076B1 (en) a dust clearing device
KR20180001395A (en) Wet type air cleaner
CN211676713U (en) Dust removing device
JP2017042381A (en) Air purifier with water filtration medium
KR101515298B1 (en) Water filter
KR102067737B1 (en) Air purifier with water filter
KR102131658B1 (en) The wet and dry type deodorizing apparatus
KR101236503B1 (en) Air purification equipment
KR101504550B1 (en) Mattress Structure Having Air Purification Function
KR20160071081A (en) Air purifying device
CN205310070U (en) A dust removal integral type workstation for burnishing machine
KR100766491B1 (en) Air cleaner having water filter
CN216023370U (en) Sewage treatment grid cleaner
KR20160135471A (en) Air cleaner with bacteria removal function
KR20070106847A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using silver solution
KR101018471B1 (en) Automatic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JP5766676B2 (en) Filtration device
KR20210133450A (en) Air cleaner device using liquid
CN215027105U (en) Organic waste gas treatment device
CN210045013U (en) Water filtering type air purifying equipment
CN216825389U (en) Environment purification disinfection and isolation device
CN211913143U (en) Dust removal device of textile machinery
CN211290364U (en) Air circulation purifies dust collecting device inside and outside big-arch shelter
CN219462940U (en) Dust removal environmental protection equipment for waste gas treatment
KR102180588B1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ground fountain with air cleaning and ground dr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