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284B1 - 헤어 아이론 - Google Patents

헤어 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284B1
KR101515284B1 KR1020130043953A KR20130043953A KR101515284B1 KR 101515284 B1 KR101515284 B1 KR 101515284B1 KR 1020130043953 A KR1020130043953 A KR 1020130043953A KR 20130043953 A KR20130043953 A KR 20130043953A KR 101515284 B1 KR101515284 B1 KR 10151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hair
tongues
handle
lower tong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13A (ko
Inventor
김성기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성기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기, 김현철 filed Critical 김성기
Priority to KR102013004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2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아이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은, 일단이 개구되고 양측에 레버슬롯을 각각 갖는 손잡이와,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을 가지며 손잡이의 한쪽 레버슬롯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레버를 일단에 갖는 상부 텅과,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을 상부 텅의 열판과 대향되게 가지며 손잡이의 다른쪽 레버슬롯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레버를 일단에 갖는 하부 텅과, 상부 및 하부 텅의 열판들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부 및 하부 텅을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 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 텅의 회동레버들과 손잡이가 상호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부 및 하부 텅은 손잡이에 대해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유동된다.
본 발명은 모발 성형 시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시종일관 균일한 압력으로 시술할 수 있고, 모발의 시술위치와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자의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아이론{Hair Iron}
본 발명은 헤어 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상부 및 하부 텅(tung)이 모발을 적절한 압력으로 파지할 수 있어 머리 손질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장시간의 시술 작업에도 시술자의 손목과 어깨 관절 등의 피로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헤어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아이론은 히터(heater)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모발에 여러 형태의 웨이브(wave)을 성형해 주거나, 반대로 곱슬머리 또는 웨이브 상태의 모발을 스트레이트(straight)로 펴 주는 등 모발의 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변형시켜 장시간 유지시키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미용기구의 일종이다.
특히, 모발이 긴 여성들이 전문 미용업소의 도움 없이도 자신의 모발을 비교적 간편하게 직접 손질하여 양호한 헤어스타일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약액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시술해야 하는 퍼머와 달리 비교적 짧은 시간에 헤어스타일을 간편하게 변경하고 원하는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롯드를 사용하는 일반 퍼머의 웨이브보다도 컬(curl) 상태가 자연스러워서 우아한 분위기의 헤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등 여성 미용기구로서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
이러한 헤어 아이론은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도1a에 그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13)을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갖는 막대 모양의 한 쌍의 텅(11)(12)이 양자 간에 모발을 파지할 수 있도록 힌지(hinge:14)에 의해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탄성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적당히 벌어진 집게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U)가 상부 및 하부 텅(11)(12)의 힌지(14) 부위를 손으로 잡고 양자가 오므라들도록 외력을 가해 두 열판들 사이에 적당량의 모발(H)을 집은 상태에서, 아이론(10)을 직선으로 또는 회전시키면서 당겨줌으로써 모발(H)을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헤어 아이론(10)은 상부 및 하부 텅(11)(12)에 외력을 가해서 모발(H)을 파지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모발(H)을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성형하기 위해서는 모발(H)을 파지한 상부 및 하부 텅(11)(12)에 적절한 외력을 가해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데, 시술자(U)에 따라 외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술하는 동안 외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는 더욱 어려웠다.
이로 인해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모발(H)을 성형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특히 시술자(U)의 숙련도에 따라 모발(H)의 성형편차가 심하게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둘째, 상부 및 하부 텅(11)(12)에 대한 균일한 외력전달이 어렵기 때문에 시술 중 상부 및 하부 텅(11)(12)이 벌어질 우려도 많고, 이 경우 모발(H)에 열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모발(H)에 부분적인 성형불량이 발생하기도 쉽다.
셋째, 아이론(10)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U)가 팔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손으로 상부 및 하부 텅(11)(12)을 적당한 힘으로 잡고 아이론(10)을 당겨줘야 하는 바, 장시간 시술할 경우 시술자(U)의 손목과 어깨 관절 등에 무리가 따라 쉽게 피로해지고 장기간 지속될 경우 질병으로 이어질 우려도 매우 많다.
넷째, 상부 및 하부 텅(11)(12)이 직선 형태로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는 바, 시술할 모발(H)의 위치에 따라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론(10)과 모발(H) 간에 각(θ)이 형성됨으로써 균일한 성형이 곤란하다.
다섯째, 이에 따라 균일한 성형을 위해서는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텅(11)(12)이 모발(H)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시술자(U)의 팔을 더욱 들어 올리고 손목을 과도하게 꺾은 상태로 시술할 수밖에 없으므로 시술이 대단히 어렵고 시술자(U)의 피로가 극심할 뿐 아니라 질병으로 이어지기도 쉽다.
결국,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문 미용업소를 제외한 일반 자가 사용자의 이용기피를 불러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도1d에는 종래 헤어 아이론(2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손잡이(21)의 전단에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원형의 가열봉(22)이 구비되고, 이 가열봉(22)의 외주 일부를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원호형의 집게판(23)을 힌지(24)로 연결한 구성이다.
이러한 형태의 헤어 아이론(20)은, 시술 시 집게판(23)에 구비된 누름편(23a)을 눌러서 집게판(23)을 회동시켜 가열봉(22)과 벌려주고, 가열봉(22)과 집게판(23) 사이에 적당량의 모발을 끼운 뒤 집게판(23)에 가한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모발을 탄성적으로 집어 보다 편리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어 아이론(20)은 가열봉(22)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그 일부만 집게판(23)이 감싸주기 때문에 시술 시 노출된 가열봉(22)에 시술자의 손이나 기타 신체부위가 닿아 화상을 입을 위험이 대단히 높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아이론(10)과 마찬가지로 가열봉(22)이 손잡이(21)과 직선형태로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시술할 모발의 위치에 따라 모발과 각이 형성되어 균일한 성형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술자의 팔과 손목을 과도하게 들어 올리고 꺾은 상태로 시술할 수밖에 없어 극심한 피로에 의한 질병유발의 우려도 그대로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 텅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그 열판들이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모발을 원하는 형태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는 헤어 아이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발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부 및 하부 텅이 모발과 대체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시술자가 과도하게 팔을 들어 올려 손목을 꺾지 않고서도 모발을 균일하고 안정되게 시술할 수 있는 헤어 아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이 일측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회동레버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힌지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텅;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이 상기 상부 텅의 열판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텅의 힌지보스와 조립되는 힌지보스가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회동레버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부 텅; 상기 상부 및 하부 텅의 열판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 텅의 각 회동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상부 텅과 하부 텅의 힌지 결합부분 및 회동레버들을 수납하면서 일측이 개구되어 상부 텅과 하부 텅이 길게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텅 및 하부 텅의 힌지보스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각 회동레버의 후단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레버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 헤어 아이론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손잡이의 레버슬롯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 텅이 손잡이에 대해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발의 아이론 시술 시 시술자가 과도하게 팔을 들어 올리고 손목을 꺾지 않고서도 모발의 시술위치에 관계없이 상부 및 하부 텅이 모발과 대체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형태로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탄성수단은 상부 및 하부 텅의 힌지부에 개재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거나, 각각의 회동레버를 개별적으로 탄발시키는 2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다만, 탄성수단이 2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텅이 손잡이에 대해 유동될 수 있도록 그 자중의 합이 코일스프링의 탄성보다는 크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 텅이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시술 시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모발을 안정적으로 집어 시종일관 균일한 압력으로 간편하게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라도 모발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손목과 어깨 등의 관절에 미치는 피로도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은 상부 및 하부 텅이 손잡이에 대해 일정각도만큼 상하로 유동되는 바, 모발의 시술위치에 관계없이 상부 및 하부 텅이 모발과 대체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시술자가 팔을 과도하게 들어 올리고 손목을 꺾지 않더라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어 아이론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전문 미용업소 뿐 아니라 일반 자가 시술자의 구매력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헤어 아이론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종래 헤어 아이론의 문제점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1d는 종래 헤어 아이론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a 및 도9b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 제2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100)의 제1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양자 사이에 모발을 파지하여 가열하는 막대 모양의 상부 텅(110)과 하부 텅(12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의 대응하는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된 힌지브래킷(113)(123)들이 힌지축(13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집게 형태의 구성을 갖는다.
상부 텅(110)과 하부 텅(120)에는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되는 상부 및 하부열판(111)(121)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의 후단부에는 이들을 벌려주기 위한 손잡이로서의 누름편(112)(122)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부 텅(110)과 하부 텅(120)의 고정단 쪽에는 아이론(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 등이 내장된 본체(150)가 힌지축(13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텅(110)(120)과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본체(150)의 한 쪽 단부로는 전원코드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힌지축(13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텅과 힌지 연결되고, 본체(150)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이 상부 텅(110) 및 하부 텅(120)의 내부로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각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의 내측면 일단에 인입구(16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텅(110)과 하부 텅(120) 사이의 힌지부위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의 열판(111)(121)들이 상호 밀착되도록 양자를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으로써 토션스프링(140)이 개재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140)은 1개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보다 안정된 작동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5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부 텅(110)과 하부 텅(120)의 열판(111)(121)들은 항상 일정한 탄성력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술 시 종래와 달리 상부 및 하부 텅(110)(120)에 외력을 가할 필요 없이 집게와 같이 가볍게 쥐고 편안하게 시술할 수 있다.
즉, 시술 시에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이 토션스프링(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후단에 구비된 누름편(112)(122)를 가볍게 쥐어 내측으로 눌러주면,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이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각각 외측으로 회동하여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텅(110)(120) 사이에 적당량의 모발을 끼우고 누름편(112)(122)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토션스프링(140)의 복원탄성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이 모발을 일정한 압력으로 고르게 파지하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라도 모발을 원하는 모양으로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시술도중 상부 및 하부 텅(110)(120)이 벌어져 부분적으로 성형불량이 발생될 우려도 전혀 없다.
또한, 시술 시 외력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손목과 어깨 등에 가해지는 무리가 최소화되어 장시간 시술에도 피로누적이 적어 전문 미용업소는 물론이고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열판(111)(121)이 노출되지 않아 화상의 우려도 전혀 없어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아이론(200)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는 막대 모양의 상부 및 하부 텅(210)(220)과,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을 밀착시키는 토션스프링(240)과,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을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은 내장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는 상부열판(211)과 하부열판(221)을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일단에는 토션스프링(240)에 의해 밀착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을 벌려주기 위한 회동레버(212)(222)가 각각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이들 회동레버(212)(222)의 고정단에 각각 구비된 힌지보스(213)(223)들이 힌지축(230)에 의해 일체적으로 조립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텅(210)과 하부 텅(220)의 회동레버(212)(222)는 그 자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구성되어 후술한 손잡이(250)의 두 레버슬롯(253)(254)을 통해 손잡이(250)의 측면 외부로 돌출되고, 각 회동레버(212)(222)의 단부에는 누름편(214)(224)이 부착된다.
토션스프링(240)은 상부 텅(210)과 하부 텅(220)의 회동레버(212)(222) 사이의 힌지부위에 개재되어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열판(211)(221)들을 일정탄성으로 밀착시킨다.
손잡이(250)는 예컨대 상부 및 하부몸체(251)(2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고정단부가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다. 그리고 이 개구부 쪽의 양 측면에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회동레버(212)(222)들이 각각 외부로 돌출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레버슬롯(253)(25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이들 손잡이(250) 레버슬롯(253)(254)의 개구 쪽 내단은 도 7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50)와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일직선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회동레버(212)(222)들과 일정간격만큼 각각 이격된다.
이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텅(212)(222)이 손잡이(250)에 대해 그 벌어지는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여유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손잡이(250)의 개구부 역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밀착된 상태에서 벌어지는 양 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유동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을 밀착시키는 탄성수단이 토션스프링(240)으로 구성되는 바,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무분별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250)의 내부에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을 각각 받쳐주는 판스프링(243)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판스프링(243)의 탄성은 토션스프링(240)의 탄성보다 작게 구성되어 필요시에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자중에 의해 적절히 기울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실시예는, 손잡이(250)를 가볍게 파지한 상태에서 도 7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으로 돌출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누름편(214)(224)을 안쪽으로 눌러주면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던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하여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히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벌어진 상부 및 하부 텅(210)(220) 사이에 적당량의 모발을 끼운 뒤 회동레버(212)(222)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토션스프링(240)의 복원탄성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초기위치로 복원됨으로써 모발을 일정한 탄성으로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시술 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고, 손잡이(250)를 가볍게 쥔 채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되며, 열판(211)(221)이 노출되지 않아 화상의 위험도 거의 없다.
더욱이, 제2실시예는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손잡이(250)에 대해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유동 가능한 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자중에 의해 적절히 회동됨으로써 모발과 대체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발의 시술위치에 관계없이 매우 간편하고 안정되게 시술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시술자의 팔을 과도하게 들어 올리거나 손목을 꺾지 않고서도 용이한 시술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9a 및 도 9b에는 이러한 본 발명 헤어 아이론(200) 제2실시예의 다른 형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을 밀착시키는 탄성수단이 토션스프링 대신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회동레버(212)(222)들을 각각 손잡이(250)과 연결시키는 2개의 코일스프링(241)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들 코일스프링(241)의 탄성은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의 자중의 합보다 작게 구성되어, 시술 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자중에 의해 손잡이(250)에 대하여 적절히 기울어질 수 있음을 허용한다.
코일스프링(241)은 회동레버(212)(222)들을 손잡이(25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적당한 텐션을 가지면서 상부 및 하부 텅(210)(220)이 자중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부 텅(210)과 하부 텅(220)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본 발명 헤어 아이론(200) 역시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바, 편의상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힌지부분의 형상이나 구조 그리고 손잡이나 회동레버 등의 구조는 전체적인 아이론의 디자인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토션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 역시 임의적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 헤어아이론
110, 210 : 상부 텅
111, 211 : 상부열판 112, 122 : 누름편
120, 220 : 하부 텅
121, 221 : 하부열판
130, 230 : 힌지축 140, 240 : 토션스프링
150 : 본체 212, 222 : 회동레버
214, 224 : 누름편 243 : 판스프링
250 : 손잡이 253, 254 : 레버슬롯

Claims (9)

  1.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이 일측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회동레버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힌지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텅;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이 상기 상부 텅의 열판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텅의 힌지보스와 조립되는 힌지보스가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회동레버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부 텅;
    상기 상부 및 하부 텅의 열판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 텅의 각 회동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상부 텅과 하부 텅의 힌지 결합부분 및 회동레버들을 수납하면서 일측이 개구되어 상부 텅과 하부 텅이 길게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텅 및 하부 텅의 힌지보스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각 회동레버의 후단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레버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텅이, 상기 손잡이에 대해 상하로 일정각도만큼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내부에 상기 탄성수단보다 작은 탄성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텅의 각 회동레버를 받쳐주는 판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텅의 회동레버들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보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텅의 자중의 합이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KR1020130043953A 2013-04-22 2013-04-22 헤어 아이론 KR10151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953A KR101515284B1 (ko) 2013-04-22 2013-04-22 헤어 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953A KR101515284B1 (ko) 2013-04-22 2013-04-22 헤어 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13A KR20140126013A (ko) 2014-10-30
KR101515284B1 true KR101515284B1 (ko) 2015-04-24

Family

ID=5199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953A KR101515284B1 (ko) 2013-04-22 2013-04-22 헤어 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133A (ko) * 2021-11-09 2023-05-16 이성준 전기 고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391B (zh) * 2018-09-13 2024-04-09 蚌埠市兰天模具科技股份有限公司 接发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91Y1 (ko) 2005-06-07 2005-08-30 이만택 헤어아이론
KR101067391B1 (ko) * 2009-06-11 2011-09-23 주식회사크레오 헤어아이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91Y1 (ko) 2005-06-07 2005-08-30 이만택 헤어아이론
KR101067391B1 (ko) * 2009-06-11 2011-09-23 주식회사크레오 헤어아이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133A (ko) * 2021-11-09 2023-05-16 이성준 전기 고데기
KR102564674B1 (ko) 2021-11-09 2023-08-07 이성준 전기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13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661B2 (en) Hair styling appliance
JP636010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US6386206B2 (en) Hair iron
CA2448504C (en) Multi-function hair styling iron device
US8567414B2 (en) Electrical apparatus for hair styling
JP6204991B2 (ja) ストレートヘアアイロン
US20060037625A1 (en) Hair straightening appliance with flocked arms
JP6410947B2 (ja) 製品の塗布を調節するための頭髪処理用装置
US20120138081A1 (en) Electric curling iron
US20140353301A1 (en) Hair styling appliance
JP2016163699A (ja) まつげカーラーおよび加熱式まつげカーラーシステム
KR100718978B1 (ko) 헤어 아이론
KR101515284B1 (ko) 헤어 아이론
WO2005067760A1 (ja) ヘアーアイロン
BR112020023806A2 (pt) dispositivo de modelagem de cabelo e método para formar um friso no cabelo
KR200456457Y1 (ko) 헤어 아이론
RU2641080C2 (ru) Парикмахер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лучшенной эргономичностью
KR200393691Y1 (ko) 헤어아이론
KR101842932B1 (ko) 다용도 헤어 미용 기구
CN100376183C (zh) 头发成型装置
KR20080000386U (ko) 헤어아이론 전열판 지지구조
KR101528054B1 (ko) 구조가 개선된 고데기
JP5818054B2 (ja) 耐熱弾性ヘア係合面を備えるヘアスタイリング電気器具
US20170245613A1 (en) Curling iron with independently pivoting cylindrical clip
TWM515319U (zh) 燙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