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520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520B1
KR101514520B1 KR1020130073609A KR20130073609A KR101514520B1 KR 101514520 B1 KR101514520 B1 KR 101514520B1 KR 1020130073609 A KR1020130073609 A KR 1020130073609A KR 20130073609 A KR20130073609 A KR 20130073609A KR 101514520 B1 KR101514520 B1 KR 10151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regulator
voltage level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205A (ko
Inventor
김재국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520B1/ko
Priority to US14/035,296 priority patent/US20150006932A1/en
Publication of KR2015000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 상태에 따라 메인 전원 공급 제공에 사용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스탠바이 전원을 제공하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의 전원 변환 동작에 사용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동작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 변환 효율이 증가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하는 전자 장치들이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해당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력 변환 효율, 소형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 종류로는 서버와 같은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한 전자 장치에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메인 전원과 메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 전원 및 스탠바이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출력단에서 부하단에 전원을 공급하나, 이러한 전원은 메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 전원의 경우 부하 상태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압 레벨을 유지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또는 제어 회로에 높은 전압 스트레스를 인가할 수 있고, 전력 변환 효율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0668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하 상태에 따라 메인 전원 공급 제공에 사용되는 동작 전원의 상태를 가변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입력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스탠바이 전원을 제공하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의 전원 변환 동작에 사용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동작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은 상기 메인 전원의 부하가 기준 부하 이상인 경우 제1 레벨을 가지고, 상기 메인 전원의 부하가 상기 기준부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을 가지며,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의 전원 변환 동작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들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저항비에 따라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동작 전원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는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력 전원이 스위칭된 전원이 입력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제1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해서 상기 스탠바이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이차 권선과, 센터탭에 의해 분할 권선되고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제2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한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출력하는 제2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이차 권선의 센터탭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다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이차 권선의 일단과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에 전원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의 저항비를 설정하는 상기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제어에 따라 입력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메인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 변환을 제어하는 메인 전원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 제어부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메인 전원 제어 회로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메인 전원 제어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고, 전원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가 채용된 서버용 전원 공급 장치.
도 3은 종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전기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와 동작 전원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는 입력 전원(Vin)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스탠바이 전원(VSTB)을 공급할 수 있다.
스탠바이 전원(VSTB)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가 채용된 전원 회로에서 메인 전원이 공급되기 전에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대기 모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는 전원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 변환단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단은 입력 전원(Vin)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Qs)와 트랜스포머(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스포머(T)는 일정 권선수를 가지며 스위치(Qs)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Np)과, 일정 권선수를 각각 가지며 일차 권선(Np)과 자기 결합되어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각각 형성하는 제1 이차 권선(Ns)과 제2 이차 권선(N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차 권선(Ns)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의 스탠바이 전원(VSTB) 공급에 채용될 수 있고, 제2 이차 권선(NA)는 동작 전원 공급부(120)의 동작 전원(VCC) 공급에 채용될 수 있다.
제2 이차 권선(NA)는 센터탭을 구비하여 분할 권선(NA1,NA2)될 수 있다.
동작 전원 공급부(120)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와 전원 변환단을 공유하여 메인 전원을 제공하는 메인 전원 회로에 전원 제공에 필요한 동작 전원(VCC)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가 채용된 서버용 전원 공급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용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 공급부(100)와, 메인 전원 공급부(200) 및 메인 전원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공급부(200)는 스위칭부(210), 트랜스포머(T1), 정류부(220), 안정화부(230) 및 필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10)는 하프 브리지 또는 풀 브리지의 스위칭 소자(Q1,Q2,Q3,Q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 전원(DC)을 스위칭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T1)은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에 의해 스위칭 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Np)과, 일차 권선(Np)과 자기 결합되어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가지며, 권선비에 따라 일차 권선(Np)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이차 권선(Ns)를 구비할 수 있다.
정류부(220)는 동기 스위치(SR1,SR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에 동기되어 이차 권선(Ns)으로부터의 전원을 정류할 수 있다.
안정화부(230)는 인덕터(Lo) 및 캐패시터(Co)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정류부(220)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LC 필터링하여 안정화시킨 후 메인 전원(Vo)를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입력 전원(DC)의 전자기 간섭을 필터링하여 스위칭부(210)에 전달하는 필터부(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전원 제어부(300)는 제1 스위칭 제어부(310) 및 제2 스위칭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위칭 제어부(310) 및 제2 스위칭 제어부(340) 간에는 일이차 절연 상태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일대일 트랜스포머 또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등과 같은 아이솔레이터(3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스위칭 제어부(310)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스위칭을 제어하는 PWM 컨트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제어부(310) 및 제2 스위칭 제어부(340)는 전원 공급 장치(100)로부터 동작 전원(VCCP,VCCS)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제1 스위칭 제어부(310)는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스위칭 제어부(340)는 정류부(220)의 동기 정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제어부(310)와 제2 스위칭 제어부(340) 간의 스위칭 동기는 아이솔레이터(330)에 의해 동기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서버용 전원 장치 내부에서 메인 전원 공급부(200)의 스위칭부(210)의 스위칭 소자(Q1,Q2,Q3,Q4)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전원 제어부(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와 동작 전원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전원 공급부(120)의 경우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110)와 전원 변환단, 특히 트랜스포머(T)를 공유하며 동작 전원(VCC) 공급에 있어서 보조 전원(VA)의 크로스 레귤레이션(cross regulation) 특성이 좋지 않을 수 있어서 레귤레이터(121)를 채용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작 전원(VCC)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 상태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압 레벨의 동작 전원(VCC)을 메인 전원 제어부(300)에 공급하는 경우 높은 전압 레벨에 의해 전압 스트레스가 인가되고 전원 손실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동작 전원 공급부(120)는 설정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설정부(122)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트랜스포머(T)로부터의 전원 전달 경로를 가변하여 레귤레이터(121)에 입력되는 전원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부(122)는 제1 및 제2 스위치(QA,QR)와, 제1 및 제2 다이오드(DA1,D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QA)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어 레귤레이터(121)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121)는 설정되는 저항비에 따라 전압 레벨을 가변할 수 있는데, 제2 스위치(QR)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레귤레이터(121)의 저항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항 그룹(R1,R2,R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QR)의 스위칭에 따라, 제3 저항(R3)의 연결 유무가 결정되어 저항비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A1)는 제2 이차 권선(NA)의 센터탭과 레귤레이터(121) 사이에 연결되어, 레귤레이터(121)에 입력되는 전원의 다른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A2)는 제2 이차 권선(NA)의 일단과 제1 스위치(QA)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QA)에 전원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설정부(122)의 전원 전달 경로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제어부(130)는 메인 전원 공급부(200)의 메인 전원(Vo)의 부하 상태에 따라 설정부(122)의 전원 전달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부하 이상에서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 스위치(QA)가 스위칭 온되어 제2 다이오드(DA2)를 통해 전원이 파워링(powering)을 할 뿐만 아니라 제2 스위치(QR)를 스위칭 오프하여 레귤레이터(121)에 입력되는 보조 전원(VA)은 제2 이차 권선(NA1+NA2)에 의한 전압에 의해 전압 레벨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121)는 전압 레벨이 높은 동작 전원(VCC)을 제공하기 때문에, 메인 전원 공급부(200)의 스위칭부(210)의 스위칭 소자(Q1~Q4)의 도통 손실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반면에, 경부하에서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 스위치(QA)가 스위칭 오프되고 제1 다이오드(DA1)를 통해 전원이 파워링(powering)될 뿐만 아니라 제2 스위치(QR)를 스위칭 온하여, 레귤레이터(121)에 입력되는 보조 전원(VA)은 제2 이차 권선의 센터탭과 일단 간의 권선(NA2)에 의한 전압에 의해 전압 레벨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121)는 전압 레벨이 낮은 동작 전원(VCC)을 제공하게 된다.
즉, 경부하에서는 보조 전원(VA)와 동작 전원(VCC)의 전압 레벨을 낮추어 메인 전원 제어부(300)의 제1 스위칭 제어부(310)의 게이트 드라이브(gate-drive) 손실과 PWM 제어부(320)의 전원 손실을 최소화하여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레귤레이터(121)에 흐르는 전류 레벨도 낮아지기 때문에 레귤레이터(121)에서 발생하는 전원 손실도 줄어든다.
도 3은 종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전기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전기적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은 38~75V이고 정상 입력전압은 48V이며 출력전압은 12V, 출력전력은 720W으로 설정하였다.
메인 전원 공급부에는 위상 천이 풀 브리지 컨버터(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를 이용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 부하 상태에 관계없이 메인 전원 제어부의 제1 및 제2 스위칭 제어부(310,340)와 PWM 컨트롤러(320)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VCCP, VCCS)의 전압 레벨은 13V인 경우이고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 상태가 30% 이하에서 동작 전원(VCCP, VCCS)의 전압 레벨을 각각 8V, 7V로 낮춘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10% 부하조건에서 약 1.5%의 효율 개선을 이루었고 그 이하의 부하조건에서는 훨씬 큰 효율 개선을 달성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종래의 전원 장치의 경우 경부하에서 도통 손실보다 gate-drive 손실 및 제어기 손실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한다. 종래의 전원 장치는 부하조건에 상관없이 예를 들어 13V의 높은 gate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 방법의 경우 도통 손실을 작게 할 수 있지만 gate-drive 손실은 크기 때문에 경부하에서는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메인 전원 제어 회로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메인 전원 제어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고, 전원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전원 공급 장치
110: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
120: 동작 전원 공급부
121: 레귤레이터
122: 설정부
200: 메인 전원 공급부
210: 스위칭부
220: 정류부:
230: 안정화부
240: 필터부
300: 메인 전원 제어부
310: 제1 스위칭 제어부
320: PWM 컨트롤러
330: 아이솔레이터
340: 제2 스위칭 제어부
QA: 제1 스위치
QR: 제2 스위치
DA1: 제1 다이오드
DA2: 제2 다이오드

Claims (11)

  1. 입력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스탠바이 전원을 제공하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의 전원 변환 동작에 사용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동작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은 상기 메인 전원의 부하가 기준 부하 이상인 경우 제1 레벨을 가지고, 상기 메인 전원의 부하가 상기 기준부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을 가지며,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의 전원 변환 동작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들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이 결정되는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저항비에 따라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동작 전원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이 스위칭된 전원이 입력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제1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해서 상기 스탠바이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이차 권선과, 센터탭에 의해 분할 권선되고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제2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한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출력하는 제2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이차 권선의 센터탭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다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이차 권선의 일단과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에 전원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의 저항비를 설정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어에 따라 입력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메인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 변환을 제어하는 메인 전원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 제어부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전원 제어부는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전압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상기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인가하고,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은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가 기준 부하 이상인 경우 제1 레벨을 가지고,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가 상기 기준 부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을 가지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입력된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스탠바이 전원을 제공하는 스탠바이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동작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저항비에 따라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동작 전원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이 스위칭된 전원이 입력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제1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해서 상기 스탠바이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이차 권선과, 센터탭에 의해 분할 권선되어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제2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한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출력하는 제2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이차 권선의 센터탭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다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이차 권선의 일단과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에 전원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의 저항비를 설정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30073609A 2013-06-26 2013-06-26 전원 공급 장치 KR101514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609A KR101514520B1 (ko) 2013-06-26 2013-06-26 전원 공급 장치
US14/035,296 US20150006932A1 (en) 2013-06-26 2013-09-24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609A KR101514520B1 (ko) 2013-06-26 2013-06-26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205A KR20150008205A (ko) 2015-01-22
KR101514520B1 true KR101514520B1 (ko) 2015-05-04

Family

ID=5211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609A KR101514520B1 (ko) 2013-06-26 2013-06-26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06932A1 (ko)
KR (1) KR101514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478B2 (ja) * 2013-12-26 2018-02-07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電源装置、電源装置の制御方法、及び電源装置を含む通信装置
US20180239406A1 (en) 2017-02-23 2018-08-23 Quanta Computer Inc. Smart power supply management for high standby power system background
US20180315860A1 (en) * 2017-04-28 2018-11-01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Vertical thin-film transistor with multiple-junction chan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508A (en) 1991-10-15 1993-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tandby boost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552B2 (en) * 2001-05-25 2003-11-18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with series connected converter circuits
US7441137B1 (en) * 2005-07-25 2008-10-21 Nvidia Corporation Voltage regulator with internal controls for adjusting output based on feed-forward load information
TWI358188B (en) * 2008-09-17 2012-02-11 Delta Electronics Inc Forward-flyback converter with active-clamp circui
US8369111B2 (en) * 2010-08-02 2013-02-05 Power Integrations, Inc. Ultra low standby consumption in a high power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508A (en) 1991-10-15 1993-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tandby boost conver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력전자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목: 대기전력저감을 위한 SMPS), 논문발표 2008년 10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6932A1 (en) 2015-01-01
KR20150008205A (ko)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735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CN104009641B (zh) 谐振转换器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US6807073B1 (en) Switching type power converter circuit and method for use therein
US9030049B2 (en) Alternating current (AC) to direct current (DC) converter device
US20070285952A1 (en) Resonant converter and voltage stabilizing method thereof
EP2432105A2 (en) Power factor correct current resonance converter
JP5905689B2 (ja) Dc/dcコンバー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45520B1 (ko) 대칭형 양방향 공진형 컨버터
US20090097291A1 (en) Universal power supply for a laptop
US2015019489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US10199865B2 (en) High efficiency wireless power system
KR101514520B1 (ko) 전원 공급 장치
US20010019492A1 (en) Efficient, dual-source, wide-input range, isolated DC-DC converter with effective current limit
TW201421887A (zh) 交換式電源轉換電路及其所適用之電源供應器
KR101397728B1 (ko) 전원 공급 장치
KR100666829B1 (ko) 다중출력 전원장치 구현을 위한 스위칭장치
KR20150050119A (ko) 전원 공급 장치
JP7155150B2 (ja) Led照明ドライバ及び駆動方法
KR20120072659A (ko)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200824544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208656646U (zh) 一种驱动用辅助电源和驱动电路
KR102640741B1 (ko) 다출력 플라이백 컨버터
KR101493520B1 (ko) 이중출력 에스엠피에스 장치
CN217388544U (zh) 供电电路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