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782B1 - Holder for smart pad - Google Patents

Holder for smart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782B1
KR101513782B1 KR1020120144435A KR20120144435A KR101513782B1 KR 101513782 B1 KR101513782 B1 KR 101513782B1 KR 1020120144435 A KR1020120144435 A KR 1020120144435A KR 20120144435 A KR20120144435 A KR 20120144435A KR 101513782 B1 KR101513782 B1 KR 10151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mart pad
user
presen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6176A (en
Inventor
서경열
Original Assignee
서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열 filed Critical 서경열
Priority to KR102012014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782B1/en
Publication of KR2014007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7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는 스마트 패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패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신축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본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패드가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되고,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The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surround a rim of the smart pad for fixing the smart pad; A grip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stretched and contracted to insert a user's hand; And a rotation unit provided around the grip unit to rotate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ad is fixed in the user's hand in a stable state, and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direction, There is an increasing effect.

Description

스마트 패드 거치대{HOLDER FOR SMART PAD}Smart Pad Cradle {HOLDER FOR SMART PAD}

본 발명은 스마트 패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패드가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되고,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패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ad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ad holder in which a smart pad is fixed in a user's hand in a stable state and can be turned freely.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휴대전화는 급속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근간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라 불리며 더욱 편리한 기능이 더해져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부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Mobile phones evolve rapid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and in the beginning, it is called as a smart phone (Smart phone) and more convenient functions are added, and it becomes an indispensable part in everyday life.

스마트 폰은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이다.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팩스 송수신 등이 가능하다.A smartphone is a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cell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t is common to add a PDA function to the function of a mobile phone. It can be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PC interworking,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ireless Internet, and fax transmission / reception.

기본적인 사용법은 일반 휴대전화와 비슷하다. 그러나 키패드와 전자펜 입력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문자입력이 한층 편리하다. 휴대전화에 비해 대용량 메모리를 채택하고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추가·삭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basic usage is similar to that of a regular mobile phone. However, it supports both keypad and electronic pen input method, so it is more convenient to input characters. Compared with mobile phones, it adopts a large memory, it can use various programs and data by using an operating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dd or delete programs.

두뇌 역할을 하는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PDA와 유사하지만, PDA는 개인정보관리 기능이 주가 되는 반면, 스마트폰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It is similar to a PDA in that it has an operating system that acts as a brain, but PDAs focus 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hile smartphones focus on using services on a network.

이러한 스마트 폰과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스마트 패드(Smart pad)가 있다. 스마트 패드는 키보드 없이 터치스크린 또는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휴대형 컴퓨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대응하는 명칭으로 스마트 패드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형태상으로는 일반 노트북PC보다 작고 스마트폰보다 큰 화면을 갖추고 있으며 기능면에서는 전자책, 휴대전화, PC 들의 장점을 두루 갖춘 기기로 일반 업무용과 개인 멀티미디어 기기로 활용하며 프레젠테이션, 교육, 모바일 네트워크 기기로도 활용한다. Smart pads are used with these smart phones. A smart pad refers to a portable computer operated by a touch screen or a stylus without a keyboard, and uses the term smart pad more as a name corresponding to a smart phone. It is smaller than ordinary notebook PCs in shape and has a bigger screen than smartphone. It is equipped with the advantages of e-book, mobile phone and PC in terms of function. It is used for general business use and personal multimedia device. It is used.

스마트 패드는 크기가 다소 크기 때문에 이동하며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더욱이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Since the smart pad is somewhat large in size, it is difficult to move and use it, and further,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with one han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패드를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가 선보이고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탄력적으로 고정 및 화면전환 등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various types of cradles for mounting the smart pad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cradle that can be flexibly fix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

한국공개실용번호 제 20-2012-0004193 호,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Korean Utility Model No. 20-2012-0004193, "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패드가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되고,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패드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pad holder in which a smart pad is fixed in a user's hand in a stable state and can be turned freely.

본 발명의 스마트 패드 거치대는 스마트 패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패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신축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The smart pa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surround a rim of the smart pad for fixing the smart pad; A grip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stretched and contracted to insert a user's hand; And a rotating portion provided around the grip portion to rotate the case.

상기 파지부는 복수개의 조각이 연결된 형태이며, 상기 파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piec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end of the grip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상기 회전부는 상기 파지부가 연결되며 둘레에 회전기어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ng portion may include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holding portion and having a rotating gear around the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fixed gears formed on the case and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rotating gear of the rotating body.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ase by locating the user's finger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는 스마트 패드가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되고,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The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mart pad is fixed in the user's hand in a stable state and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freely and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와 스마트 패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파지부 및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ad holder and a smar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grip part and a rotation part of a smart pad 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be fully in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와 스마트 패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파지부 및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ad holder and a smar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grip part and a rotation part of a smart pad 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100)는 스마트 패드(300)를 고정하기 위해 스마트 패드(3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102)가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스(104), 케이스(104)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신축되며, 케이스(104)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파지부(140), 파지부(140)의 주변에 구비되어 케이스(104)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120)를 포함한다.1 to 4, the smart pad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102 protruding to surround the rim of the smart pad 300 for fixing the smart pad 300, A grip portion 1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04 so as to be inserted and retracted for insertion of a user's hand and gripping and supporting the case 104; And rotates the case 104 to rotate.

케이스(104)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02)는 스마트 패드(300)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도록 돌출부(102) 전체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형태로 각각의 돌출부(102)가 연결되지 않은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0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se 104 may b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entirety of the protrusion 102 so as to cover the whole edge of the smart pad 300. [ The protrusions 102 may be form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파지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각(142)이 연결된 형태이며, 파지부(140)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탄성부재(192)가 구비되어 파지부(140)를 신축시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케이스(104)에 몰입되게 한다. 다른 방법으로 이들 조각(142)의 연결된 부분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pieces 1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end of the grip unit 14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92 to stretch and hold the grip unit 140 If not, into the case 104. Alternatively, 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at a connected portion of these pieces 142. [

또한, 파지부(140)는 양단이 연결된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rip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both ends are connected.

회전부(120)는 파지부(140)가 연결되며 둘레에 회전기어(120a)가 형성된 회전체(122), 케이스(104)에 형성되어 회전체(122)의 회전기어(122a)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기어(12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unit 120 includes a rotating body 122 having a rotating gear 120a formed around the grasping unit 140 and a rotating gear 122a formed around the case 104 to rotate the rotating body 122a of the rotating body 122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ed gears 122b.

회전체(122)의 중심부분에는 홈(180)이 형성된다.A groove 180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22.

고정기어(122b)는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어(122a)(122b)에 의해 케이스(104)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A plurality of fixed gears 122b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gears 122a and 122b enable the case 104 to freely rotate in a desired direction.

케이스(104)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122a)(122b)의 다른 형태로는 래치(latch)형태로 하여 케이스(104)를 한 방향으로만 돌릴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Another form of the gears 122a and 122b for rotating the case 104 may be a latch type so that the case 104 can be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그리고 케이스(104)의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여 케이스(104)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pper 160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ase 104 by locating the user's finger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04. [

스토퍼(16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40)에 삽입된 중지 손가락이 위치하여 케이스(104)의 회전을 제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 파지부(140)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스토퍼(160)를 형성하여 케이스(104)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다.The stop finger 160 inserted in the gripper 140 may be positioned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case 104 as shown. Alternatively, the stopper 160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thumb is inserted or not inserted into the grip portion 140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case 104. [

스토퍼(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이 얹히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홈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The stopper 160 may be protruded so as to be placed on the fingertip a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smart pad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드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FIG.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smart pa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스마트 패드(300)를 돌출부(102)에 감싸지게 하여 케이스(104)에 설치한다. 이후 사용자는 케이스(104)의 타측면에 몰입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파지부(140)를 당겨 돌출 되도록 노출시키고 그 사이로 손 및 손가락을 삽입한다.The user places the smart pad 300 on the protrusion 102 and installs the smart pad 300 on the case 104. Thereafter, the user grasps and exposes the gripper 140, which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04,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and inserts the hand and fingers between them.

손 및 손가락이 삽입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바라보기 편한 각도로 케이스(104)를 회전시킨다. 자신이 원하는 상태로 케이스(104)를 회전시키고 난 후 사용자는 스토퍼(160)에 손가락을 밀착시켜 케이스(104)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When the hand and the finger are inserted, the user rotates the case 104 at an angle that the user can view. After rotating the case 104 in a desired state, the user closely contacts the stopper 160 to prevent the case 104 from rotating.

만약, 케이스(104)를 다시 회전하고자 할 경우 스토퍼(160)에 밀착된 손가락을 살짝 들어 올린 상태에서 케이스(104)를 회전시킨 후 손가락을 스토퍼(160)에 밀착시킨다.If the case 104 is to be rotated again, the case 104 is rotated with the fingers closely attached to the stopper 160 slightly raised, and then the fing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160.

미설명 부호 102a, 102b는 스마트 패드(300)의 버튼 및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한 작동홀이다.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102a and 102b are operation holes for exposing the buttons and the camera of the smart pad 3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4...케이스
120...회전부
140...파지부
160...스토퍼
104 ... case
120 ... rotation part
140 ... grip portion
160 ... Stopper

Claims (4)

한 손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크기를 갖는 스마트 패드를 손으로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 패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패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신축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스마트 패드가 세로로 위치한 경우 파지부에 삽입된 중지 손가락이 위치하여 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고, 가로로 위치한 경우 엄지 손가락에 위치되어 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파지부가 연결되며 둘레에 회전기어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기어를 포함하는 스마트 패드 거치대.
1. A stand for holding a smart pad having a size that is hard to grasp with one hand,
A case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surround the rim of the smart pad to fix the smart pad;
A grip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stretched and contracted to insert a user's hand; And
And a rotation part provided around the grip part to rotate the case,
And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ase by locating the user's finger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The stopper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case by positioning the stop finger inserted in the gripping portion when the smart pad is vertically positioned,
Wherein the rotary part includes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grasping part and having a rotating gear around the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fixed gears formed on the case so that the rotating gear of the rotating body is engaged with the rotating g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44435A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smart pad KR1015137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35A KR101513782B1 (en)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smart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35A KR101513782B1 (en)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smart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76A KR20140076176A (en) 2014-06-20
KR101513782B1 true KR101513782B1 (en) 2015-04-20

Family

ID=5112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35A KR101513782B1 (en)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smart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7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145A (en) * 2019-11-22 2021-06-01 이현서 Cellular phone case for easy rotation and finge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54B1 (en) * 2014-09-15 2016-01-22 이용훈 Provided the fitting finger space mobile elctronics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145A (en) * 2019-11-22 2021-06-01 이현서 Cellular phone case for easy rotation and fingering
KR102260635B1 (en) * 2019-11-22 2021-06-04 이현서 Cellular phone case for easy rotation and fing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76A (en)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3366B (en) Electronic device
US9154592B2 (en) Move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213659288U (en) Protective sleeve, matching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1035810A (en) Mobile terminal holder
US20090186662A1 (en)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WO2015148586A1 (en) Peripheral device storage
US846332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US20190235356A1 (en) Device for operating a touchscreen and taking self-portraits
KR101513782B1 (en) Holder for smart pad
US8736586B2 (en) Multifunction stylus
KR101280783B1 (en)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US2010017704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non-flush general navigation buttons for a clamshell handheld device
WO2014110985A1 (en) Ergonomic rearward keyboard
TW201501616A (en) Portable electrical device
KR101586254B1 (en) Provided the fitting finger space mobile elctronics case
CA2688591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KR101498133B1 (en) Carrying terminal appointment ornament
JP2006521605A (en) Keypad for terminals that can be pulled out
US8611971B2 (en) Hinging interconnector for a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3149882U (en) Mobile phone equipment
JP2013004073A (en) Radio input device
US20110116224A1 (en) Docking station
US9385771B2 (en) Release mechanism for a smart card
CN211878569U (en) Foldable multifunctional keyboard
KR20100073201A (en) Do not fall off your mobile phone,right hand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