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557B1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557B1
KR101513557B1 KR1020080076815A KR20080076815A KR101513557B1 KR 101513557 B1 KR101513557 B1 KR 101513557B1 KR 1020080076815 A KR1020080076815 A KR 1020080076815A KR 20080076815 A KR20080076815 A KR 20080076815A KR 101513557 B1 KR101513557 B1 KR 10151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tag
layer
processing unit
broadcast
mapp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502A (ko
Inventor
김기백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단말 내부적으로 방송 존(broadcasting zone)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 호 처리가 요청될 시, 현재 방송 중인 모든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각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에서 각 계층(layer)별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에 대한 각 계층별 네임 태그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체 방송 호 처리 지연시간(latency)과 단말 파워(power) 및 단말 처리 용량(processing capacity)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호 처리 연동 메시지 절차 및 호 처리 메시지의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무선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 매핑 테이블, 방송 채널, MCBCS, MBS

Description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APPING TABL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내부적으로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망(Wireless network)에서의 주요 서비스로는 인터넷, VoIP(Voice over IP), 비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존의 서비스 외에 실시간 방송 서비스, 예를 들어 와이맥스(WiMAX)의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 이하 'MCBCS'라 칭하며, 표준화 그룹 또는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MBS'라고 불릴 수 있음)가 새로운 킬러 어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무선망에서는 방송서비스에 적합한 대용량 및 다채널 방송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망은 유선망과 달리 기본적으로 무선자원(air resource)이 크게 제한되어 있고, 컴바이닝(combining)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무선 용량 자체가 가변적이고 예측 불가능(unpredictable)하다. 이러한 무선망의 무선 용량 조건으로 인해, 연동 절차 및 메시지 크기 최적화가 방송 서비스의 경우도 주요한 이슈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무선망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전체 방송 호 처리 지연시간을 작게 하면서도 호 처리 연동 메시지 절차 및 메시지 크기를 최적화하는 방안의 제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단말 내부적으로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전체 방송 호 처리 지연시간(latency)과 단말 파워(power) 및 단말 처리 용량(processing capacity)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호 처리 연동 메시지 절차 및 호 처리 메시지의 크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방송 호 처리가 요청될 시, 현재 방송 중인 모든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각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에서 각 계층(layer)별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에 대한 각 계층별 네임 태그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방송 호 처리가 요청될 시, MAC 계층 처리부로 기지국이 현재 방송하고 있는 모든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디코딩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응용 계층 처리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물리 계층 처리부와,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서 MAC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와 함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MAC 계층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단말 내부적으로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생성함으로써, 방송서비스를 제공 시, 전체 방송 호 처리 지연시간(latency)과 단말 파워(power) 및 단말 처리 용량(processing capacity)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호 처리 연동 메시지 절차 및 호 처리 메시지의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무선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무선 방송 서비스 사업자에 새로운 수익 모델 및 수익원을 창출하고, 이로써 해당 시스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단말 내부적으로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의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방송 호 처리를 위해 MCBCS 서버가 단말에게 전달하는 정보를 단순화하고, 호 처리를 위해 단말 내부적으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모든 MCBCS 트래픽을 수신하여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며, 매핑 테이블 생성 후에는 사용자가 호 처리를 요구한 해당 채널만을 단말 내부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일부 정보는 상기 MCBCS 서버가 응용 계층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매핑 테이블은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의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일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여러 매핑 테이블이 생성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는 멀티캐스트 커넥션 ID(Multicast Connection ID : 이하 'MCID'라 칭함), 로지컬 채널 ID(Logical Channel ID : 이하 'LCID'라 칭함), 전송 커넥션 ID(Transport Connection ID : 이하 ‘TCID’라 칭함)가 있으며,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에는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가 있다. 또한, 상기 응용 계층(L3 계층 이상을 뜻함) 네임 태그에는 콘텐츠 ID, 방송 채널 ID, 방송국 ID, SP(Service Provider) ID가 있으며, 상기 IP 계층 네임태그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용 계층은 MAC 계층 이상, 예를 들어 L7 계층의 경우, L3 (IP) 혹은 L4 (Transport) 혹은 L5 (Application) 혹은 L6 혹은 L7 중의 하나이거나 혹은 이 다섯 가지 계층의 조합(예: L3 & L5)을 말한다. 상기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위한 방송 존 네임 태그에는, MAC 계층 방송 존(와이맥스(WiMAX)의 경우 : MBS 존 ID), 응용 계층 방송 존(WiMAX의 경우 : MCBCS 트랜스미션 존 ID)이 있다.
이하 설명에서, 망 엔티티(Network Entity : NE)의 명칭은 해당 기능에 따라 정의된 것으로, 표준화 그룹 또는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RAS(Radio Access Station : 억세스 제어 라우터) 혹은 BS(Base Station)로 불릴 수 있으며, 기지국 제어기는 ACR(Access Control Router) 혹은 ASN-GW(Access Service Network-Gateway :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불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SN-GW는 기지국 제어기 기능뿐 아니라 라우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CBCS 서비스에 연관된 주체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상기 MCBCS 서비스에 연관된 주체들은 콘텐츠 공급자(Content Provider : 이하 'CP'라 칭함),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 : 이하 'SP'라 칭함), 망 운영자(Access Provider : 이하 'AP'라 칭함), 사용자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CP는 MCBCS 서비스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제작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SP는 상기 CP로부터 콘텐츠를 공급받아, 상기 콘텐츠를 무료로 혹은 일정 사용료를 받은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AP는 상기 SP의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CP, SP, AP는 각각 독립된 사업자가 될 수 있으나, 하나의 사업자가 모든 역할 혹은 2개 이상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예는 한국에서의 지상파 방송 사업자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MCBCS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구조는 보안 서버(Security Server)(150), MCBCS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 : 이하 'AS'라 칭함)(140-1, 140-2), MCBCS 서버(130), MCBCS 제어기(Controller)(120), 기지국(110) 및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MCBCS 제어기(Controller)(120)는 기지국 제어기와 함께 위치하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도 있고,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MCBCS 제어기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명칭들은 무선망의 종류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보안 서버(Security Server)(150)는 상기 SP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사용자의 MCBCS 서비스 가입을 위한 인증 및 권한 부여, 과금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MCBCS AS(140-1, 140-2)는 상기 SP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MCBCS 서비스에 가입을 한 사용자에 대한 가입 처리/관리 기능, MCBCS 서비스의 콘텐츠를 AP에게 전송하는 기능, 부정 사용자에 대한 접근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 CP로 공급받은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 다수의 사용자들의 단말기 관리 기능, MCBCS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에서, MCBCS AS 1(140-1)과 MCBCS AS 2(140-2)의 차이점은, 상기 MCBCS AS 1(140-1)은 무료 서비스를 공급하거나 혹은 부정 사용자 제어 기능 및 콘텐츠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SP를 위한 MCBCS AS이며, 상기 MCBCS AS 2(140-2)는 유료 서비스, 부정 사용자 제어 기능 및 콘텐츠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SP를 위한 MCBCS AS라는 점이다. 상기 MCBCS AS(140-1, 140-2)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MCBCS 서비스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생성 : 서비스 가이드 생성 시 MCBCS AS들 간에 상호 약속된 데이터 모델을 따름.
- 사용자의 MCBCS 서비스 수신을 위한 가입(Subscription) 절차 수행
- 상기 보안 서버(150)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및 사용권한 부여, 과금 처리 등을 수행
- MCBCS 채널 또는 MCBCS 콘텐츠 별 사용자 그룹 관리
- 그룹 별 인증 키 관리 및 배포
- 부정 사용자 접근 제어 / 멀티미디어 콘텐츠 보호(Service Protection / Content Protection) : 콘텐츠 암호화 및 복호화 키 관리 및 배포
- 스트림 전송/ 파일 전송(Stream Transmission / File Transmission) : 전송 프로토콜 정의,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MCBCS 콘텐츠를 수신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신 보고(reception report) 관리, 파일 전송(File transmission)을 위한 파일 메타데이터(File Metadata) 관리
- 사용자 상호 대화(User Interaction) : 사용자와의 상호 대화 서비스를 제공
- 통지 / 경고(Notification / Alert) : 방송 스케줄에 변화가 생기거나, 긴급 방송 등이 필요할 경우, MCBCS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한 서비스 제공
상기 MCBCS 서버(130)는 상기 SP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여러 MCBCS AS로부터의 MCBCS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가이드)의 취합 및 전송, 망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관리, 사용자 단말에 의한 데이터의 오류 없는 수신을 위한 지원 기능 등을 제공하며, 자세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 MCBCS 트랜스미션 존(Transmission Zone) 관리: SP 별로 서비스하고자 하는 지역의 기지국 관리
-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가공 : MCBCS AS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를 통합(aggregation)하고, 필요에 따라 분할(fragmentation), 네트워크 자원 소모를 줄이기 위한 서비스 가이드 압축(compression), 서비스 가이드의 유지 보수 관리
- 서비스 가이드 배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법
- 스트림 전송/ 파일 전송(Stream Transmission / File Transmission) :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MCBCS 콘텐츠를 수신했는지 확인(경우에 따라 MCBCS AS와 동일한 역할 수행)
- 사용자 위치 추적을 통한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 관리
- 수신 보고(reception report) 처리 : 사용자가 수신 보고를 통해 망 상황을 보고할 경우, 이를 반영
상기 MCBCS 제어기(120)는 상기 AP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망과 접속망의 연결 부분으로서 중심망을 통해서 전송된 MCBCS 서비스를 무선망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능 및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MCBCS 서비스의 시작을 알려줄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상세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매크로 다이버시티 이득(Macro diversity gain)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시간(data / time) 동기화(Synchronization) 수행 : 버스트 예약 할당 및 패킷 가공
- MBS 존((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_Zone : MBS_ZONE) 관리
- 통지(Notification) 등을 위한 그룹 페이징(Group paging) 정보 전달
여기서, 상기 MCBCS 제어기(120)는 상기 MCBCS 서버(130)와만 직접 인터페이스하고, 서로 다른 SP들과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MCBCS 서버(130)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110)은 유선으로 전송된 MCBCS 서비스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기 능을 담당하며, 상기 AP의 관리를 받는다.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기로서 상기 망 엔터티들을 통해서 전송된 MCBCS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책 서버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에 대한 IP 플로우 별 QoS 프로파일(profile)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은 상기 SP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MCBCS 트랜스미션 존(MCBCS Transmission Zone)은 CP 및 SP가 MCBCS 서비스 영역을 협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로 AP가 관리하는 영역인 ASN(Access Service Network)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식별자이다. SP와 AP가 서비스 영역을 협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는 MBS 존 ID인데, MCBCS 트랜스미션 존과 n:m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MBS 존(zone)은 서로 다른 CID(Connection IDentifier) 또는 서로 다른 SA(Security Association)를 통해 MCBCS 서비스 플로우가 유효한 지역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RF 수신기(200),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처리부(210),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처리부(220), IP 계층 처리부(230),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처리부(240), 매핑 테이블 저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RF 수신기(2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210)는 상기 RF 수신기(200)로부터의 신호를 물리 계층 디코딩하여 원래의 정보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210)는 변조 블럭, 채널복호 블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FDM 시스템을 가정할 경우, 상기 변조 블럭은 각 부반송파에 실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기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복호 블럭은 복조기(demodulato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채널 디코더(channel decod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는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210)로부터의 데이터를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는 상위 계층의 요청에 따라 기지국이 전송하는 모든 MCBCS 트래픽(traffic)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210)로부터의 데이터에서 MAC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를 상기 변환된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MCBCS 트래픽(traffic)은 방송 시각에 따라 해당 시간 근처에 방송되는 트래픽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는 현재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이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MAC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MAC 메시지로부터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맥스(WiMAX)의 경우, 상기 방송 존 정보는 MBS 존 ID가 될 것이고, 상기 브로드캐스팅 MAC 메시지는 MBS_MAP_IE, MBS-MAP 메시지, MBS_Data_IE,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등이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MBS_MAP_IE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MBS-MAP 메시지의 위치 정보 및 디코딩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이고, 상기 MBS-MAP 메시지는 MBS_Data_IE로 구성되는 메시지로서, 기지국은 상기 MBS_Data_IE를 통해 MCBCS 데이터 버스트들의 위치 정보 및 디코딩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한다. 상기 DCD는 기지국이 방송 존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 방송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는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로부터의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에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로 전달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는 상위 계층의 요청에 따라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모든 MCBCS 트래픽을 디코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로부터 모든 MCBCS 트래픽에 대한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와 MAC 계층 네임 태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는 상기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에서 IP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로부터의 MAC 계층 네임 태그와 상기 획득된 IP 계층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 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핑 테이블을 상기 추출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는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로부터의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존별로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부터의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신을 위한 각종 응용서비스(예 : 전자우편, FTP 등)를 제공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이 요청될 시,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를 경유하여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모든 MCBCS 트래픽을 디코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부터 방송 존별로 모든 MCBCS 트래픽에 대한 응용서비스 데이터 및 상기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의 매핑 테이블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알고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모를 경우 상기 응용서비스 데이터에서 응용계층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부터의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과 상기 획득된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후,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상기 생성된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상기 매핑 테이블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매핑 테이블은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ient program)에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에서 방송 존 내 MAC 계층 네임태그 혹은 IP 계층 네임태그는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송 존별 방송 채널별로 구성될 수 있는데, MAC 계층 방송 존(WiMAX의 경우 : MBS 존) 및 응용 계층 방송 존(WiMAX의 경우 : MCBCS 트랜스미션 존)은 n:m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서브셀에 여러 개의 MBS 존이 존재하는 경우, DCD에 해당 서브셀에서 제공하는 모든 MBS 존 ID가 있으므로 MBS 존 ID 리스트는 상기 DCD를 통해 획득가능하며, 각 MBS 존 별 CID는 단일 기지국(single-BS) MBS의 경우 MBS_MAP_IE를 읽으면 되고 다중 기지국(multi-BS) MBS의 경우 MBS_MAP_IE 및 MBS-MAP을 읽으면 된다. 이웃하는 서브셀의 MBS 존 ID 리스트는 NBR_ADV(Neighbor_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획득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사용자의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 혹은 변경 혹은 삭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 혹은 변경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여 해당 방송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 및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MAC 계층 처리부(220)는 물리 계층 처리부(210)로, 물리 포트(Physical port) 를 열어 해당 MAC 계층 네임 태그의 플로우를 수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상기 MAC 계층 처리부(220)는 버스트의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210)로 하여금 해당 버스트를 수신 및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로써 플로우 경로(flow path)가 생성되면, 수신된 데이터는 상위 계층으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모든 계층 처리부는 MBS 존 ID 및 MAC 계층 네임 태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매핑 테이블 생성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이 요청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현재 방송 중인 모든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수신하여 물리 계층 디코딩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상기 물리 계층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MAC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물리 계층 디코딩된 데이터를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7단계에서 상기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에서 IP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에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에서 상기 응용서비스 데이터에서 응용계층 헤더 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 대와 IP 계층 네임 태그 및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한 후 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의 매핑 테이블 생성에 있어서, 단말이 내부적으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모든 MCBCS 트래픽을 디코딩하여 방송 채널에 대한 전체 계층의 네임 태그를 획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말이 응용 계층 연동 절차를 통해 MCBCS 서버(130)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방송 채널에 대한 일부 계층 네임 태그 혹은 일부 계층 네임 태그들의 매핑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가이드가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내부적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응용 계층에서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 혹은 IP 계층에서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관리하여, 상기 두 매핑 테이블을 호 처리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응용 계층 처리부(240)와 MAC 계층 처리부(220)가 각각 응용 계층 네임 태그와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가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혹은 IP 계층 처리부(230)와 MAC 계층 처리부(220)가 각각 IP 계층 네임 태그와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가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내부적으로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매핑 테이블은 IP 계층 처리부(230)에서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를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로 전달하며, 상기 IP 계층 처리부(230)는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에 매핑된 MAC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핑 테이블은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응용 계층 네임 태그의 매핑 테이블 외에 여러 조합의 매핑 테이블이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가이드가, 예를 들어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내부적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이를 호 처리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응용 계층 처리부(240)와 MAC 계층 처리부(220)가 각각 응용 계층 네임 태그와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가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획득한 매핑 테이블의 내용과, 단말 내부적으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지 여부에 따른, 구체적인 단말 내부 운용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 내부적으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 혹은 변경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버퍼링하고, 인증 키를 이용하여 페이로드(payload)를 복호화(decryption)하기 시작한다. 이때, 해당 채널에 대해 생성된 커넥션은 사용자가 해당 채널의 방송 수신 중단(혹은 채널 변경)을 요청할 때까지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단말 내부적으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하위 계층으로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수신을 지시하고, 이로써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커넥션을 생성하여 각 트래픽 별 응용서비스 데이터와 각 트래픽별 MAC 계층 네임 태그 및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한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 혹은 변경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MAC 계층 네임 태그를 검출하여 해당 채널의 트래픽을 버퍼링하고, 인증 키를 이용하여 페이로드(payload)를 복호화(decryption)하기 시작한다. 이때, 해당 채널에 대해 생성된 커넥션은 사용자가 해당 채널의 방송 수신 중단(혹은 채널 변경)을 요청할 때까지 유지하고, 나머지 생성된 커넥션은 모두 삭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획득하고, 단말 내부적으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방송 호 신청 혹은 변경 요청에 따라 하위 계층으로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수신을 지시하고, 이로써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커넥션을 생성하여 각 트래픽 별 응용서비스 데이터와 각 트래픽별 MAC 계층 네임 태그 및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한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 혹은 변경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240)는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MAC 계층 네임 태그를 검출하여 해당 채널의 트래픽을 버퍼링하고, 인증 키를 이용하여 페이로드(payload)를 복호화(decryption)하기 시작한다. 이때, 해당 채널에 대해 생성된 커넥션은 사용자가 해당 채널의 방송 수신 중단(혹은 채널 변경)을 요청할 때까지 유지하고, 나머지 생성된 커넥션은 모두 삭제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른 구체적인 단말 내부 처리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응용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D)만이 존재하는 경우, 응용 계층 처리부는 IP 계층 처리부 및 MAC 계층 처리부에 현재 위치한 서브셀(subcell)에서 방송되는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 수신을 지시하고, 이에 따라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커넥션이 생성되면,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 혹은 변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의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혹은 다른 방법으로,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가 IP 계층 처리부 및 MAC 계층 처리부에 현재 위치한 서브셀(subcell)에서 방송되는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 수신을 지시하면, 각 계층 처리부는 매핑 테이블 학습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MAC 계층 처리부는 입력되는 트래픽 각각에 대해 MAC 계층 네임 태그(예, MCID)를 획득하고,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해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예, MCBCS CID)를 생성하여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를 해당 트래픽과 함께 IP 계층 처리부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IP 계층 처리부는 입력되는 트래픽 각각에 대해 IP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P)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해 상기 해당 트래픽의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와의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를 해당 트래픽과 함께 응용 계층 처리부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입력되는 트래픽 각각에 대해 응용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D)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해 상기 해당 트래픽의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와의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며, 이후, 계층 간 통신은 상기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 혹은 변경할 시, 응용 계층 처리부는 해당 채널에 대한 단말 내부 플로우 식별자를 이용하여 하위 계층으로 해당 채널의 데이터 디코딩을 지시하며, MAC 계층 처리부는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채널의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 경우, 만약 MBS 존이 변경되면, 상기와 같은 매핑 테이블 학습 과정은 재수행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응용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D) 및 MBS 존 ID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응용 계층 네임 태그만이 존재하는 경우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에 MBS 존 ID별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이 생성되고, MAC 계층 처리부가 DCD 메시지 수신을 통해 MBS 존 ID 리스트를 획득하여 응용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상기 매핑 테이블을 통해 현재 위치한 서브셀에서 방송되고 있는 모든 채널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응용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D)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P)에 대한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고, 기지국이 방송 MAC 메시지를 통해 MBS 존 ID별로 IP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P)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예, MCID)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방송하는 경우, 응용 계층 처리부는 MAC 계층 처리부로 상기 방송 MAC 메시지를 수신하여 MBS 존 ID별로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획득할 것을 명령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하위 계층으로 해당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를 디코딩할 것을 명령하며, 이에 따라 MAC계층 처리부는 해당 MAC 계층 네임 태그의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BS 존 ID별로 IP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P)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은 상기 기지국이 방송하는 방송 MAC 메시지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 초기 DSA(Dynamic Service Addition)(BS_init DSA) 절차를 통해서도 획득할 수 있다. 정리하면 매핑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은,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혹은 DSA를 통해, 혹은 단말 자체적으로, 혹은 세가지 방법을 혼합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 중 시스템은 한가지만 지원하고 단말은 모두 지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법을 단말이 획득하기 위해서는 SBC(SS Basic Capabilities) 등의 절차를 통해 능력(capability)을 협상(negotiation)해야 한다. 단말은 상기 능력 협상을 통해 시스템이 MBS 존 ID 및 MCID를 단말로 전달하는 방법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방법에 따라 동작한다. 다른 예로, 상기 콘텐츠 IP가 유니캐스트 IP(unicast IP)인 경우, 단말이 응용 계층 신호를 MCBCS 서버에 전달하면, PDF 기능을 가지는 NE(MCBCS 서버 혹은 PCRF 혹은 AAA)가 기지국 제어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방식과 동일하게 기지국 초기 DSA 절차를 통해 단말의 MAC 계층 처리부에 상기 MBS 존 ID별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MBS 존 ID별로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은, 단말의 응용 계층 처리부가 MAC 계층 처리부를 트리거하여 단말 초기 DSA(MS_init DSA) 절차를 통해서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응용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D)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예, 콘텐츠 IP)에 대한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단말의 MAC 계층 처리부가 모든 MCBCS 데이터 버스트들을 디코딩하여 IP 혹은 이더넷(Ethernet) 계층 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IP 혹은 이더넷 계층 처리부가 선택적으로 해당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 외에 MBS 존 ID가 더 존재한다면, 상기 방안들에 더하여,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에 MBS 존 ID별 응용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이 생성되고, MAC 계층 처리부가 DCD 메시지 수신을 통해 MBS 존 ID 리스트를 획득하여 응용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면,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상기 매핑 테이블을 통해 현재 위치한 서브셀에서 방송되고 있는 모든 채널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암호화 키(Content encryption key) 운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Subscription)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 전달 시, 보안(security) 및 과금을 위해 콘텐츠 암호화 키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암호화 키에 대한 수명 시간(life time)이 함께 전달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가이드 획득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단말이 응용 계층을 통해 MCBCS 서버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pull mode), 사용자가 NSP(Network Service Provider)에 전화할 때 MCBCS 서버가 해당 단말에 푸쉬(push)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존에 대한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의 응용 계층 처리부는 MAC 계층 처리부로부터 해당 서브셀이 지원하는 MBS 존 ID를 전달받아 이를 응용 계층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MCBCS 서버에 요청하면, MCBCS 서버는 해당되는 존에 대한 서비스 가이드만을 상기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말 내부적으로 효율적인 계층 간 통신을 위해, 즉 계층간 통신의 시 그널링 사이즈 오버헤드(signaling size overhead)를 줄이기 위해, 각 계층별 네임 태그와는 별도로, 계층적으로 해당 계층 네임 태그에 1:1 매핑되는 작은 사이즈의 새로운 네임 태그를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단말 내부적으로 생성된 매핑 테이블은 응용 계층 처리부(24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며, 사용자가 모든 방송 수신을 종료하였을 경우 삭제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방송 수신 종료와 관계없이 계속 유지 및 활용될 수도 있다. 한번 생성된 매핑 테이블을 계속 유지 및 활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방송 수신을 재개할 때 매핑 테이블 생성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 혹은 변경을 요청한 방송 채널의 커넥션을 제외한, 나머지 방송 채널들에 대해 생성된 커넥션들에 대한 처리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 내부적으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나머지 방송 채널들에 대해 생성된 커넥션들은 모두 삭제한다. 또한, 단말 내부적으로 상기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경우라도 처리 용량(processing capacity) 소비나 버퍼링(buffering) 최적화를 위해, 상기 나머지 방송 채널들에 대해 생성된 커넥션들을 모두 삭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 내부적으로 상기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경우, 채널 변경 시간 최적화를 위해, 사용자가 미리 예약한 채널들이나 자주 보는 채널들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버퍼링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사용자가 해당 채널을 요청할 때 해당 데이터의 복호화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응용 계층 연동절차를 통해 MCBCS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매핑 테이블에 수명 시간(life time)을 두어, 상기 MCBCS 서버로부터 상기 매핑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재생(refresh)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정액제로 운용되는 일반 유료채널에 대해서 유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말 내부적으로 사용자에게 수명 시간을 알려주어, 수명 시간이 만료(fire)될 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매핑 테이블을 재획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MAC 계층은 다시 CS(Convergence Sublayer)와 MAC CPS(Common Part Sublayer)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S는 high MAC, 상기 MAC CPS는 low MAC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구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말 내부 인터페이스가 추가될 수 있다.
1. IP 스택(stack)-CS 인터페이스
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S 인터페이스
3. CS-MAC CPS 인터페이스
여기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한 경우, 상기 IP 스택-C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CS의 선택적 폐기(Selective discarding)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IP 스택에, 상기 IP 스택은 CS에 차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를 전송하며, 이때, 상기 CS는 상기 전송 된 IP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IP 패킷을 선택(selction)하여 상기 IP 스택으로 전송하고, 나머지는 폐기(discarding)한다. 이때, 상기 IP 스택은 상기 CS로부터 수신되는 I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CS의 선택적 폐기(Selective discarding)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IP 스택과 CS에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를 전송하며, 이때, 상기 CS는 상기 전송된 IP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IP 패킷을 선택(selction)하여 상기 IP 스택으로 전송하고, 나머지는 폐기(discarding)한다. 이때, 상기 IP 스택은 상기 CS로부터 수신되는 I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CS가 IP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한 경우, 상기 CS-MAC CP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MAC CPS의 선택적 디코딩(Selective decoding)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IP 스택과 CS에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 혹은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를 전송하며, 상기 CS가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MAC 계층 네임 태그를 MAC CPS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MAC CPS는 해당 방송 채널을 선택적으로 디코딩(selective decoding)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위 계층들 역시 해당 패킷만을 위로 올려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MCBCS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매핑 테이블 생성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Claims (21)

  1.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호 처리가 요청될 시, 현재 방송 중인 모든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각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에서 각 계층(layer)별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에 대한 각 계층별 네임 태그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계층별 네임 태그는, MAC 계층 네임 태그, IP 계층 네임 태그, 응용 계층 네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AC 계층 네임 태그는 멀티캐스트 커넥션 ID(Multicast Connection ID : MCID), 로지컬 채널 ID(Logical Channel ID : LCID), 전송 커넥션 ID(Transport Connection ID : TCID) 중 하나이고,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는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이며, 상기 응용 계층 네임 태그는 콘텐츠 ID, 방송 채널 ID, 방송국 ID, SP(Service Provider) ID,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계층별 네임 태그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물리 계층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계층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MAC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물리 계층 디코딩된 데이터를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에서 IP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IP 패킷 형태의 데이터에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응용서비스 데이터에서 응용계층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각 계층별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현재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생성되는 매핑 테이블은 방송 존별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방송 호 처리가 요청될 시, MAC 계층 처리부로 기지국이 현재 방송하고 있는 모든 방송 채널의 트래픽을 디코딩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응용 계층 처리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물리 계층 처리부와,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서 MAC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MAC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와 함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MAC 계층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MAC 계층 네임 태그는 멀티캐스트 커넥션 ID(Multicast Connection ID : MCID), 로지컬 채널 ID(Logical Channel ID : LCID), 전송 커넥션 ID(Transport Connection ID : TCID)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상기 MAC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서 응용계층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응용 계층 네임 태그와 MAC 계층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MAC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계층 네임 태그는 콘텐츠 ID, 방송 채널 ID, 방송국 ID, SP(Service Provider) ID,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MCBC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서버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상기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AC 계층 처리부와 응용 계층 처리부의 사이에서, 상기 MAC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MAC 계층 네임 태그와 함께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는 IP 계층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MCBC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서버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는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는, 현재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MAC 계층 처리부는,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신호에서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존별로 상기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MAC 계층 처리부와 응용 계층 처리부의 사이에서, 상기 MAC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서 IP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MAC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 및 IP 계층 네임 태그와 함께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는 IP 계층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상기 IP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서 응용계층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응용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응용 계층 네임 태그와 IP 계층 네임 태그 및 MAC 계층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는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이고, 상기 응용 계층 네임 태그는 콘텐츠 ID, 방송 채널 ID, 방송국 ID, SP(Service Provider) ID,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는, 현재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MAC 계층 처리부는,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신호에서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존별로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MAC 계층 처리부와 응용 계층 처리부의 사이에서, 상기 MAC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서 IP 헤더를 검출하여 해당 트래픽의 IP 계층 네임 태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MAC 계층 네임 태그 및 IP 계층 네임 태그를 이용하여,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IP 계층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는, MCBC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서버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응용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IP 계층 네임 태그는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이고, 상기 응용 계층 네임 태그는 콘텐츠 ID, 방송 채널 ID, 방송국 ID, SP(Service Provider) ID, 방송 채널 IP, 콘텐츠 IP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IP 계층 처리부는 상기 MAC 계층 네임 태그 대(vs) IP 계층 네임 태그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관리하며,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한 IP 계층 네임 태그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IP 계층 네임 태그에 매핑된 MAC 계층 네임 태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MAC 계층 네임 태그에 해당하는 트래픽을 디코딩하여 상기 응용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는, 현재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MAC 계층 처리부는, 상기 물리 계층 처리부로부터의 신호에서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IP 계층 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방송 존 정보 및 방송 채널 지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존별로 상기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76815A 2008-02-04 2008-08-06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513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1171 2008-02-04
KR1020080011171 2008-02-04
KR1020080040644 2008-04-30
KR20080040644 2008-04-30
KR20080045966 2008-05-19
KR1020080045966 2008-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02A KR20090085502A (ko) 2009-08-07
KR101513557B1 true KR101513557B1 (ko) 2015-04-21

Family

ID=4120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815A KR101513557B1 (ko) 2008-02-04 2008-08-06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153A (ja) * 2006-06-05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153A (ja) * 2006-06-05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02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4473A1 (en) Unicasting and multicasting multimedia services
US80050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 gui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0935035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멀티캐스트 및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채널 신청과 삭제 및 변경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926941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493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path for broadcasting service in cellular network
US20080056219A1 (e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and methods for joining multicast broadcast service sessions within multicast broadcast service zones
US8270324B2 (en) Method for bearer control and deletion, data distribution, and modification
US84831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20080039315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서비스 제공을 위한 헤더 압축 장치 및 방법
US200900220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flow management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400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mb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2022511163A (ja) データの送信をセルラネットワークから単方向ポイントツーマルチポイントネットワークに動的に切り替え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3109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system
KR10093619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전달 장치 및 방법
KR20110124541A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송시스템에서 모바일 아이피 텔레비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13557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매핑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
Anis et al. Overview of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eMBMS)
KR101432226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이나믹 멀티캐스트 전송을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60928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0345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종 방송 존간 끊김없는방송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4147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2370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Etemad et al.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WiMAX Networks
KR20090026013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TW200930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