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645B1 - 데이터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645B1
KR101512645B1 KR1020130130433A KR20130130433A KR101512645B1 KR 101512645 B1 KR101512645 B1 KR 101512645B1 KR 1020130130433 A KR1020130130433 A KR 1020130130433A KR 20130130433 A KR20130130433 A KR 20130130433A KR 101512645 B1 KR101512645 B1 KR 101512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transfer
unit
job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화
이재영
박성열
박근태
최승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 전달 장치를 개시한다.
데이터 전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생성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까지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달 장치 {Apparatus For Data Transferring}
본 발명은 데이터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복수의 호스트(Host)에서 대용량의 데이터가 발생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로 인해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할 경우 이를 다시 회복하기는 곤란하다. 이러한 입력 또는 생성된 대용량의 데이터(예: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2001-00582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데이터를 전송하고 저장하는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의 중단 없이 시스템의 일부 호스트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시스템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 새로운 호스트를 추가할 수 있고,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가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필터(Filter)나 로직(Logic)을 적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중단 없이 추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데이터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전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생성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까지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전달 장치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상기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등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생성자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상기 데이터 생성자가 수행할 작업을 등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생성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작업을 수행할 데이터 전달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이터 전달자 선택 과정; 상기 데이터 전달자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할 작업을 상기 데이터 전달부에 등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전달자가 상기 데이터 생성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경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생성자로부터 데이터 전달자를 거쳐 데이터 저장부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도중 데이터 전달자나 데이터 저장부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처할 수 있다. 데이터 전달부 내의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중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전달 관리자가 기 설정한 시간 간격과 기 설정된 횟수를 곱한 시간 동안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데이터 전달자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데이터 전달자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전달자 및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전달자의 순서를 등록하면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시스템을 운영하는 도중 갑자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소를 변경할 경우에도 서비스의 중단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데이터 전달자의 처리 용량이 문제가 될 경우에도 서비스의 중단 없이 확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시실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생성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작업을 등록 과정 및 작업 지시를 받은 데이터 전달자가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부에 데이터 전달부 및 데이터 생성부가 등록된 내용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24시간 중단 없이 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지향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장치의 구성도이다.
데이터 전달 장치(100)는 데이터 생성부(200),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데이터 전달부(400), 데이터 저장부(500)를 포함한다. 데이터 생성부(200)는 사용자 로그 정보처럼 대용량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경로, 데이터 전달부(300), 데이터 생성부(400) 및 데이터 저장부(5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는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 호스트(Hos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전달부(400)은 데이터 생성부(200)으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500)까지 전달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불필요한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500)는 데이터 생성부(200)에서 생성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데이터 전달부(400)를 거쳐 수신하고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장치(100)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Tablet),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게임 콘솔,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전달 장치(200)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장치(200)는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장치(100)는 각기 (i)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ii)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iii)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는 복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를 포함 할 수 있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2a처럼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320), 제3 데이터 전달 관리자(330)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전달부(400)는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a의 데이터 전달부(400)는 제1 데이터 전달자(410), 제2 데이터 전달자(420), 제3 데이터 전달자(430)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데이터 전달자의 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작업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는 DNS(Domain Name Server) RR(Round Robin) 타입의 주소를 가진다. 이에 의해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320), 제3 데이터 전달 관리자(330)는 각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갖지만 동일한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주소를 가진다.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접속하는 데이터 전달부(400), 데이터 생성부(200), 데이터 저장부(500)는 도메인 네임으로 접속을 하게 되며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내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
데이터 전달부(400) 내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접속을 시도하면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접속하게 된다. 데이터 전달자와 접속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는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정보 및 데이터 전달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전달자를 위한 특정한 디렉토리에 저장한 후, 데이터 전달자와 접속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내 모든 데이터 전달 관리자가 동일한 정보를 보유하도록 한다.
데이터 전달부(400) 내의 제1 데이터 전달자(410)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의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접속하고 제1 데이터 전달자(310)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정보와 제1 데이터 전달자(31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이 정보를 수신한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320)는 데이터 전달자를 위한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한다(예를 들면, /P1).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320)가 수신한 작업 정보를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 및 제3 데이터 전달 관리자(330)에 전송하면,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 및 제3 데이터 전달 관리자(330)는 이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와 동일하게 특정한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이 때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 또는 제3 데이터 전달 관리자(330) 중 어느 하나가 등록 작업을 실패하더라도 제1 데이터 전달자(410)의 작업 등록은 성공으로 처리된다. 하지만, 양자가 모두 등록에 실패한다면 제1 데이터 전달자(410)의 작업 등록은 실패가 되어 데이터 전달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제2 데이터 전달자(420), 제3 데이터 전달자(430)도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 전달 관리부(400)에 작업을 등록한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데이터 저장부(500)는 복수의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제1 데이터 저장소(510) 및 제2 데이터 저장소(5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저장소를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해야 한다.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는 등록된 데이터 저장소를 감시하여 데이터 저장소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어느 한 데이터 저장소에 장애가 발생한다면 다른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생성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작업을 등록 과정 및 작업 지시를 받은 데이터 전달자가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데이터 생성부(200) 내의 데이터 생성자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작업 등록을 하고 데이터 전달부(400)에 작업을 지시하면, 데이터 전달부(400)는 자신이 수행할 작업을 다시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하여야 한다.
도 3a의 데이터 생성부(200)가 데이터 전달 관리자(300)에 작업을 등록하고 데이터 전달부(400)에 작업을 지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b는 제1 데이터 전달자(410)를 /P1의 디렉토리에, 제2 데이터 전달자(420)를 /P2 디렉토리에, 제3 데이터 전달자(430)를 /Q1 디렉토리에 등록한 예이고, 제1 데이터 전달자(410)와 제2 데이터 전달자(420)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데이터 생성부(300)에서는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a에서 제1 데이터 생성자(210)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내의 제1 데이터 전달 관리부(310)에 접속하고, 작업을 등록한다(/Job1). 이 때 작업은 2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기 설정된 작업의 순서인 데이터 전달자의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 경로 정보는 /POrder/PGroup/GRoup/이고, 작업 그룹 PGroup에 대해서는 P1을(/PGroup/P1), 작업 그룹 QGroup에 대해서는 Q1이 지정된다(/QGroup/Q1). 이에 따라 제1 데이터 생성자(210)가 생성한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전달자(410)가 수신하여 제3 데이터 전달자(430)에 전송되고 다시 데이터 저장부(500)로 전송된다.
이하, 데이터 전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데이터 생성자(210)가 작업의 등록을 마치면 자신의 작업 제1 데이터 전달자(410)에 작업할 것을 지시한다. 작업 지시를 받은 제1 데이터 전달자(410)는 자신이 수행할 작업을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300)에 등록하고(/Job1/P1), 나머지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게도 전송하여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내의 모든 데이터 전달 관리자가 동일한 정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때 제1 데이터 생성자(210)은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를 감시하고, 제1 데이터 전달자(210)은 제2 데이터 전달 관리자(220)를 감시한다. 제1 데이터 생성자(21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T초)으로 감시 메시지(Ping)을 전송하고 연속으로 일정한 횟수만큼 응답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 내의 다른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접속을 시도하여 데이터 전송 상태를 감시할 수도 있고,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생성자(210)가 작업 등록을 마치면,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으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달부(400) 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 지시를 전송한다. 도 3a에서 제1 데이터 생성자(210)는 제1 데이터 전달자(410)와 제2 데이터 전달자(420) 중 제1 데이터 전달자(410)을 선택하여 작업 지시를 전송한다.
제1 데이터 생성자(210)로부터 작업 지시를 받은 제1 데이터 전달자(410)와 접속한 제1 데이터 전달 관리자(31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T초)과 기 설정된 횟수를 곱한 시간 간격 내에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작업 지시를 받은 데이터 전달자가 등록한 모든 정보를 삭제하고 이를 제1 데이터 생성자(210)에게 보고한다.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P1 및 작업 그룹에서 /PGroup/P1이 삭제된다.
만약, 제1 데이터 전달자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 이벤트가 제1 데이터 생성자(210)에 전달되고, 제1 데이터 생성자(210)는 데이터 전달을 다시 수행하기 위해 제1 데이터 전달자(210)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데이터 전달자(220)를 지정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전달 도중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별도의 조치나 시스템의 중단 없이도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500)까지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전달자(410)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작업 도중 새로운 데이터 전달자가 추가되고,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P3와 작업 그룹 /PGroup에 등록되고, 이 이벤트가 제1 데이터 생성자(210)에 전달된다면, 제1 데이터 전달자(410)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제1 데이터 생성부(210)는 제2 데이터 전달자(220) 또는 새롭게 추가된 데이터 전달자를 통해 중단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경로를 통해 중단 없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고, 이종의 대용량 데이터 생성자가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달자를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하기만 하면 중단 없이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등록된 작업에 대한 예시도이다.
제1 데이터 전달자가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P1에 등록하고, 제2 데이터 전달자가 /P2에 등록하며, 제3 데이터 전달자가 /P3에 등록한 것이다. /P1, /P2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데이터 생성부에서 작업을 등록할 때에는 /P1, /P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PGroup에 작업 그룹으로 등록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의 구성도이다.
도4에 대한 설명은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데이터 전달자(410), 제2 데이터 전달자(420), 제3 데이터 전달자(430)은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한다. 데이터 생성부(200) 내의 제1 데이터 생성부(210)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 전달자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데이터 전달자(410)가 선택된 경우 제1 데이터 생성자(210)으로부터 작업 지시를 수신한 제1 데이터 전달자(410)는 자신이 수행할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한다.
또한 제1 데이터 전달자(410)가 작업 지시에 대응하는 작업의 수행을 마치면, 제1 데이터 생성자는 다음 데이터 전달자인 제3 데이터 전달자(430)에게 작업을 지시한다. 제3 데이터 전달자(430)은 자신의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자(300)에 등록하고, 제1 데이터 전달자(41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저장부(500)의 제1 데이터 저장소(510)에 전송한다. 제1 데이터 전달자(410) 및 제3 데이터 전달자(43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제1 데이터 저장소(510)에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면, 제2 데이터 저장소(5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데이터 전달부(400) 내의 데이터 전달자는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한다(S510). 데이터 생성부(200) 내의 데이터 생성자는 자신이 생성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하고(S520),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등록된 데이터 전달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생성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전달할 데이터 전달자를 선택한다(S530). 선택된 데이터 전달자는 데이터 생성자로부터 작업 지시를 수신하고, 직업 지시에 근거하여 수행할 작업을 데이터 전달 관리자(300)에 등록하고(S540),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500) 또는 다른 데이터 전달자에게 전송하고, 이 때 불필요한 일부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550).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를 거쳐야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500)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다음 데이터 전달자가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S560). 더 이상의 데이터 전달자가 필요하지 않다면 데이터 저장부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한다(S570). 만약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달자가 필요하다면, 다음으로 데이터를 전달 받을 데이터 전달자에게 작업 지시를 보내고, 작업 지시를 수신한 데이터 전달자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300)에 수행할 작업을 등록하고(S530),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S550) 과정을 반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데이터 전송 장치 200 데이터 생성부
300 데이터 전달 관리부 400 데이터 전달부
500 데이터 저장부

Claims (16)

  1. 데이터 전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생성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까지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는 DNS(Domain Name Server) RR(Round Robin) 타입의 주소를 가지며, 상기 주소에 복수의 IP(Internet Protocol)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달자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 내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전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전달부 내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작업 그룹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 그룹 내에 상기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하는 작업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달부 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자는,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 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접속하여 작업에 대한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자로부터 작업 수행 가능한 데이터 전달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 수행 가능한 데이터 전달자가 하나인 경우 상기 작업 수행 가능한 데이터 전달자를 작업데이터 전달자로 선택하거나, 상기 작업 수행 가능한 데이터 전달자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작업 수행 가능한 데이터 전달자를 작업데이터 전달자로 선택하여 상기 작업데이터 전달자에게 작업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자는,
    상기 데이터 생성자가 접속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로부터 작업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에 대한 수정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데이터 전달자 중 상기 작업데이터 전달자의 삭제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작업 그룹에 등록된 상기 데이터 생성자와 접속한 데이터 전달자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전달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작업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자로부터 작업 지시를 수신한 데이터 전달자는 수행할 작업을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 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게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는 상기 등록 요청을 상기 데이터 관리부 내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를 수신한 데이터 전달자는,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게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감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여, 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기 설정 횟수만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작업 지시를 수신한 데이터 전달자의 상기 작업 지시에 대응하는 작업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한 데이터 전달 관리자는 상기 작업 지시를 수신한 데이터 전달자로부터 기 설정된 횟수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곱한 시간 동안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작업 지시를 수신한 데이터 전달자가 등록한 작업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생성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에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데이터 전달자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생성자는 각 제K(K는 1부터 N-1까지의 자연수) 데이터 전달자에게 작업을 지시하고, 상기 제K 데이터 전달자가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제K+1 데이터 전달자에게 작업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소는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 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 접속하여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소는
    상기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에게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감시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작업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과 기 설정된 횟수를 곱한 시간 동안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소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 내 상기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관리자와 접속한 나머지 데이터 저장소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16. 데이터 전달 장치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달자가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상기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등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생성자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상기 데이터 생성자가 수행할 작업을 등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생성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데이터 전달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작업을 수행할 데이터 전달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이터 전달자 선택 과정;
    상기 데이터 전달자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데이터 전달자가 수행할 작업을 상기 데이터 전달부에 등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전달자가 상기 데이터 생성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경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KR1020130130433A 2013-10-30 2013-10-30 데이터 전달 장치 KR10151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433A KR101512645B1 (ko) 2013-10-30 2013-10-30 데이터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433A KR101512645B1 (ko) 2013-10-30 2013-10-30 데이터 전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645B1 true KR101512645B1 (ko) 2015-04-16

Family

ID=5305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433A KR101512645B1 (ko) 2013-10-30 2013-10-30 데이터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435A (ja) * 1996-03-15 1997-09-22 Nec Corp データ階層配信処理方式
JP2000267994A (ja) * 1999-03-15 2000-09-29 Hitachi Ltd 統合制御端末における端末自動切替え方式
JP2008141361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Ltd データ配信方法、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
JP2008206046A (ja) * 2007-02-22 2008-09-04 Nec Corp 配信システム、配信制御装置および配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435A (ja) * 1996-03-15 1997-09-22 Nec Corp データ階層配信処理方式
JP2000267994A (ja) * 1999-03-15 2000-09-29 Hitachi Ltd 統合制御端末における端末自動切替え方式
JP2008141361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Ltd データ配信方法、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
JP2008206046A (ja) * 2007-02-22 2008-09-04 Nec Corp 配信システム、配信制御装置および配信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874B1 (ko)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로케이션 서버를 이용한 사용자의로그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363449B2 (en) Software agent-based architecture for data relocation
CN103607428B (zh) 一种访问共享内存的方法和装置
CN102769529A (zh) Dnssec签名服务器
JP4190455B2 (ja) 負荷分散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164487A (ja) サーバ、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55035B2 (ja) フェイルオーバシステム、記憶処理装置及びフェイルオーバ制御方法
CN109150745A (zh) 一种报文处理方法及装置
CN106027356B (zh) 一种隧道标识的转换方法及装置
CN108027802A (zh) 死点网络架构中的两次写数据交换
JP7046983B2 (ja) パケット伝送方法及び装置
CN108390954A (zh) 一种报文传输方法和设备
CN100563263C (zh) 在网络存储业务中实现系统高可用性的方法和系统
CN103685426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1379105B1 (ko)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239776B (zh) 多控存储系统单点登录方法及多控存储系统
CN101640608A (zh) 网络行为监控方法
CN107710218A (zh) 死点网络架构
WO2018032499A1 (zh) 一种负载均衡的方法及相关装置
CN108123955A (zh) 安全表项的管理方法、装置、设备及机器可读存储介质
CN106664317A (zh) 管理和访问数据存储系统
CN103138961B (zh) 服务器控制方法、被控服务器及中心控制服务器
KR101512645B1 (ko) 데이터 전달 장치
CN105227422B (zh) 一种基于聚合网口的视频数据传输方法和装置
JP2012108909A (ja) モバイル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におけるファイル送信をサポートするファイル送信管理システム及びファイル送信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