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91B1 -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 Google Patents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91B1
KR101512491B1 KR1020140113330A KR20140113330A KR101512491B1 KR 101512491 B1 KR101512491 B1 KR 101512491B1 KR 1020140113330 A KR1020140113330 A KR 1020140113330A KR 20140113330 A KR20140113330 A KR 20140113330A KR 101512491 B1 KR101512491 B1 KR 10151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ateway
home network
home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필순
권종만
김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링크
Priority to KR102014011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network system by a smart phone for a gateway. The home network system by the smart phone for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and facilitat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system by operating the system by using the smart phone as the gateway of the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the home network on the smart phone and remarkably reduces system construction costs. The home network system by the smart phone for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maintenance costs of the system and simultaneously monitors the image of a home and performs the home network. The home network system by the smart phone for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network device unit, the smart phone for the gateway, a smart phone which a user carries, and a push server.

Description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phone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대중화되어 일상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는 스마트폰을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로 사용하고, 스마트폰에 홈네트워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시스템을 운용함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축과 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시스템 구축비용도 현저하게 절감되며, 특히 스마트폰의 빠른 교체주기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는 구형 스마트폰을 게이트웨이로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하거나 스마트폰에서 가능한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를 활용하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활용도와 시스템 유지비용의 절감이 도모되고, 더불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정 내 CCTV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에 따라 홈네트워크와 가정 내부 영상모니터링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by a smartphone for a gateway, and more specifically, a smartphone that is popularized and easily available everyday is used as a gateway of a home network system, and an application for a home network is installed The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is simple and easy, while the cost of system construction is remarkably reduced. In particular, in order to quickly replace the smart phone, the old smartphon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gateway smartphone and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by making it possible to utilize it as a gateway or utilizing the data sharing plan available in the smartphone, thereby reducing the utiliz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smartphone for a gateway, in which home CCTV functions are perform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smart phone and a home network and home intra-image monitor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홈서버를 구축하여 각종 가전제품을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전제품의 자동 제어시스템으로, 사용자가 홈서버를 통해 각종 가전제품의 동작 등을 제어하고 또한 외부에서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홈서버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하게 된다.
The home network system i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household appliances that enables home appliances to be centrally controlled by building a home server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The home network system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home appliances through a home server, Or a portable terminal, the home server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2688호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 등록번호 제10-0805265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A technology relating to such a home network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52688 entitled " Interphone System Including an Interphone for Easily Building a Home Network and a Smart Phone for Controlling It, 10-0805265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home network system"

이와 같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서버와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게이트웨이 장비를 구비하게 되는데, 게이트웨이 장비의 단가가 높아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시장진입장벽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 has a separate gateway device for linking a home server and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The gateway device has a high unit price, which increases the burden on the user. In addition, .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2688호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52688 "Interphone system including an interphone capable of easily building a home network and a smart phon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ame"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5265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ra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5265 "Control Method of Home Network System and Home Network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대중화되어 일상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는 스마트폰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로 사용되고,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한편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에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서 시스템이 운용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구축과 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시스템 구축비용도 현저하게 절감되는 새로운 형태의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phone capable of being widely used and readily available on a daily basis as a gateway for a network system,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smartphone for a new gateway system in which a system is operated while a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is installed, so that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are simple and easy and the system construction cost is remarkably reduced. do.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빠른 교체주기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보관되는 구형 스마트폰이 게이트웨이로 활용될 수도 있도록 하거나 스마트폰에서 가능한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를 활용하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활용도와 시스템 유지비용의 절감이 도모되는 새로운 형태의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n old smartphone which is not used in a home and can be utilized as a gateway according to a quick replacement cycle of the smartphone, or a smartphone for a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smartphone for a new type of gateway in which the utilization of a smart phone and the cost of system maintenance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에 의해 가정 내 CCTV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홈네트워크와 가정 내부 영상모니터링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져 활용성이 증대되는 새로운 형태의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ome network system by a new type of gateway smart phone in which a home CCTV function is performed by a built-in camera of a smart phone for a gatewa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정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 기기로 이루어지되, 각 전자제어 기기에 구비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모듈에 의해 BLE기반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과;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이 위치하는 가정 내에 배치되고, BLE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각 전자제어 기기와의 BLE기반 무선통신에 의해 각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수신과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수신을 수행하고,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각 전자제어 기기에 대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홈네트워크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각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수신과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모니터링과 관리 및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을 수행하게 되는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 which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control device located in a home, A home network device unit for allowing communication to be performed; A BLE communication module is disposed in a home where the home network equipment unit is located and performs reception of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by BL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A gateway smartphone for receiv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stalling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to manage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carries out reception of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the gateway smartphone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portable smartphone for monitoring and manag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푸쉬메시지의 생성, 관리, 전송을 수행하는 푸쉬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상기 푸쉬 서버로 푸쉬메시지 생성을 요청하게 되고, 상기 푸쉬 서버는 푸쉬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된다.
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ush server connected to the gateway smartphone and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erforming generation,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a push message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gateway smartphone requests the push server to generate a push message when the set event occurs, and the push server generates a push message and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전송받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현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정보로서 업데이트하게 된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transmits the smartphone IP change information for the gateway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of the home gateway updates the received smartphone IP change information for the gateway as the smartphone IP information for the current gatewa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전송받은 이벤트정보의 출력과 관리 및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transmits event information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when the set event occurs, The network client application can perform output and management of the received event information, and generate and transmit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vent inform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은 데이터쉐어링 요금제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부터 데이터 쉐어링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is driven by a data sharing fee, and the gateway smartphone performs data sharing from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이 고정 배치된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내장 카메라 제어모듈, 촬영 영상을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이 고정 배치된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대한 영상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하는 영상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한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a home where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is fixedly arranged through the built- And a video monitoring module for performing video monitoring on a set point in the home where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is fixedly plac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은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거치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거치대는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고정베이스에 좌우 회전(패닝)과 상하 회전(틸팅)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형 고정체 및; 상기 이동형 고정체의 좌우 회전을 유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way smartphone is detachably fixed to a cradle fixed to a set point in a home, the cradle being fixed to a set point in a home, ; A mobile fixed body to which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is detachably fixed, connected to the fixed base so as to be able to pivot, pivot, tilt, and tilt; And an actuator for induc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moving type fixing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거치대를 이루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은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의 전원공급은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접속된 연결케이블을 통해 수행된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iving of the actuator constituting the cradle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gateway smartphone and a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And power supply to the actuator is performed through a connection cabl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본 발명에 의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일상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는 스마트폰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로 사용되고,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한편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에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서 시스템이 운용될 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에 의해 가정 내 CCTV 기능이 수행되는 구성의 제공으로, 시스템 구축과 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시스템 구축비용도 현저하게 절감되며, 홈네트워크와 가정 내부 영상모니터링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져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easily obtainable in everyday life is used as a gateway of a network system,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gateway smart phone, In addition to operating the system with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installed, it also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CCTV functions are carried out by the built-in camera of the smartphone for gateway, so that the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are simple and easy, The home network and home intra-image monitor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빠른 교체주기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보관되는 구형 스마트폰이 게이트웨이로 활용될 수도 있도록 하거나 스마트폰에서 가능한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를 활용하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는 구성의 제공으로, 스마트폰의 활용도와 시스템 유지비용의 절감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n old smartphone, which is not used in a home, to be used as a gateway according to a quick replacement period of the smartphone, or to utilize a data sharing plan , The gateway smartphone and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can perform the data transmission, thereby reducing the utiliz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ystem.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긱 유닛을 포함될 수 있는 전자제어 기기들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와 (b)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 간 정보 송수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 간 데이터 쉐어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재의 구성과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의 (a)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 및 거치대 제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의 (b)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 및 거치대 제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system by a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electronic control devices that may include a home network gee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diagrams for showing transmission / reception of information between a gateway smartphone and a user portable smartphone;
5 is a diagram for showing data sharing between a smartphone for a gateway and a user portable smartphone;
FIGS.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oun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a built-in camera and a cradle of a smartphone for a gateway;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a built-in camera and a cradle of a smartphone for a gatewa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 서버, 게이트웨이, 클라이언트, 전자제어 기기, BLE(Bluetooth Low Energy),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동통신망,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9. Meanwhile,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workers in this field can easily access from general home network systems, servers, gateways, clients, electronic control devices, Bluetooth low energy (BLE), smart phones, application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known structures and operations are briefly or omitt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there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nd only the technical featur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or described only briefly.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10),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 푸쉬 서버(60), 거치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and 2, the home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network device unit 10, a gateway smartphone 20, a user portable smartphone 40 A push server 60, and a cradle 70, as shown in Fig.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10)은 가정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 기기(11)로 이루어진다. 전자제어 기기(11)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도어락, 도어센서, 가스감지기, 가스밸브, 전원제어 콘센트, 전등 제어스위치, 화재감시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 전자제어가 가능한 보일러, 에어컨, 환풍기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The home network appliance unit 10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onic control device 11 located in the home. 3,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1 may include a door lock, a door sensor, a gas detector, a gas valve, a power control socket, a light control switch, a fire monitoring sensor, And the lik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각 전자제어 기기(11)에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모듈(111)이 구비되어 BLE기반 무선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home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 111 is provided in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11 so that BL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은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10)이 위치하는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에도 BLE 통신모듈(21)이 구비되어 각 전자제어 기기(11)와의 BLE기반 무선통신에 의해 각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수신과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에는 이동통신모듈(22)이 구비되므로,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과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에는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홈서버 기능을 가지면서 각 전자제어 기기(11)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The gateway smartphone 20 is fixedly disposed at a set point in the home where the home network appliance unit 10 is located. The smartphone 20 for gateway is also provided with a BLE communication module 21, 11 to receiv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state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 signal by BL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since the smartphone 20 for a gateway is equipp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2, it receives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In the gateway smartphone 20,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is installed to perform management of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11 while having a home server function.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은 홈네트워크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는 것으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각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수신과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에는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과 연동되는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이 설치되어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모니터링과 관리 및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을 수행하게 된다.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is carried by a home network user, and receives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the gateway smartphone 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is provided with a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interlocked with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to monitor and manag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to generate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do.

푸쉬 서버(60)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푸쉬메시지의 생성, 관리,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The push server 60 is connected to the gateway smartphone 20 and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generates, manages and transmits a push message.

한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IP 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은 전송받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현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정보로서 업데이트하게 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푸쉬 메시지나 SMS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P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may be changed. In this case,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as shown in FIG. 4 (a)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updates the transmitted smartphone IP change information for the gateway as the current smartphone IP information for the gateway . Here, the smartphone 20 for gateway may transmit the smartphone IP change information for the gateway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or an SMS message.

그리고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은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10)을 이루는 각 전자제어 기기(11)의 동작이나 상태에 관련되어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도 4의 (b)에서와 같이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은 전송받은 이벤트정보의 출력과 관리 및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는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푸쉬 메시지나 SMS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f the smartphone 20 for a gateway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4B when an event set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r state of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11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appliance unit 10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transmits and receives the ev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40 corresponding to the ev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transmit control signals. Here, the smartphone 20 for a gateway may transmit a push message or an SMS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when a set event occurs.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나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은 푸쉬 서버(60)로 푸쉬메시지 생성을 요청하게 되고, 푸쉬 서버(60)는 푸쉬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게 된다. 푸쉬메시지가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을 실행하여 이벤트 정보의 확인, 관리,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 등을 수행하게 된다.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requests the push server 60 to generate a push message and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push server 60, The server 60 generates a push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smartphone 40 of the user. When the push message is output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the user executes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to check and manage the event information, and generate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vent information.

여기서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와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은 스마트폰의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10)을 이루는 전자제어 기기(11)에 대한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제어 기기(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불꺼"라는 음성신호를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나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이 인식하게 되면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이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은 형광등 소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형광등이 소등 동작되도록 할 수 있음}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ar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f the home network appliance unit 10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1 by generat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 signal fo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1. For example,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r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fluorescent lamp so that the fluorescent lamp is turned off.

한편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이 데이터쉐어링 요금제에 의해 구동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은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과 데이터 쉐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is driven by the data sharing charge, the gateway smartphone 20 may perform data sharing with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내장 카메라(23)을 통해 가정 내 CCTV 기능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거치대(7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70)를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거치대(70)는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71), 고정베이스(71)에 좌우 회전(패닝)과 상하 회전(틸팅)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형 고정체(72), 이동형 고정체(72)의 좌우 회전을 유도하는 액추에이터(7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형 고정체(72)의 좌우 회전을 통해 넓은 구역에 대한 영상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The home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ome CCTV function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through the built-in camera 23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To this end, the smartphone 20 for a gateway may be detachably fixed to a cradle 70 fixed to a set point in a home as shown in FIGS. The smartphone 20 for a gateway can be easily and easily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cradle 70. [ Such a cradle 70 is composed of a fixed base 71 fixed to a set point in a home, a pivotable base 71 connected to the fixed base 71 so as to pivot, tilt and tilt, A movable fixed body 72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movable fixed body 72, and an actuator 73 that drives the movable fixed body 72 to rotate left and right. The image of the wide area can be monitored through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movable fixture 72.

여기서 고정베이스(71)에는 거치대(70)의 동작 유무를 제어하는 전원버튼(711), 전원 상태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71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 고정체(72)의 상하 회전이나 기울기 조절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거치대(7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73)의 구동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이나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에 의해 제어되고, 액추에이터(73)로의 전원공급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에 접속된 연결케이블(24)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fixed base 71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7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adle 70, and an LED 712 for displaying the power state or the operation state. The vertical rotation and tilt adjustment of the movable fixture 72 may be per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rough an actuator. The driving of the actuator 73 constituting the cradle 70 is controlled by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or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Power supply to the actuator 73 can be performed through a connection cable 24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그리고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이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은 도 9의 (a)와 (b)에서와 같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내장 카메라(23)를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이 고정 배치된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대한 영상(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촬영되도록 하는 내장 카메라 제어모듈(31)(51), 촬영 영상을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이 고정 배치된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대한 영상 모니터링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영상 모니터링모듈(32)(52), 거치대(70)의 액추에이터(73) 구동을 제어하는 거치대 액추에이터 제어모듈(33)(53)을 포함하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내장 카메라(23)을 통한 가정 내 CCTV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or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is connected to the gateway smartphone 20 through the built-in camera 23 of the gateway smartphone 20 as shown in FIGS. 9 (a) and 9 (b) The built-in camera control module 31 (51) for allowing a video (image or moving picture) to be set in real time to be taken for a set point in the home in which the gateway smartphone 20 is fixedly arranged, An image monitoring module 32 for performing image monitoring on a set point in the home in real time and a cradle actuator control module 33 and 5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ctuator 73 of the cradle 70 The intra-home CCTV function through the built-in camera 23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is performed smooth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대중화되어 일상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는 스마트폰이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로 사용되고,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에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는 한편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에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0)이 설치되면서 시스템이 운용되므로, 시스템 구축과 운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시스템 구축비용도 현저하게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스마트폰의 빠른 교체주기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보관되는 구형 스마트폰이 게이트웨이로 활용될 수도 있도록 하거나 스마트폰에서 가능한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를 활용하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40)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어 스마트폰의 활용도와 시스템 유지비용의 절감이 도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20)의 내장 카메라(23)에 의해 가정 내 CCTV 기능이 수행되므로, 홈네트워크와 가정 내부 영상모니터링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져 활용성이 증대된다.
The home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so that a smart phon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in everyday life is used as a gateway of the network system 100,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0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smartphone 40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50 is installed in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so that the system is operated and thus the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are simple and easy, System construction costs a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ld smartphone, which is stored without being used in a normal home, may be utilized as a gateway according to a quick replacement period of the smart phone, The smartphone 20 for a gateway and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40 can perform data transmission using a data sharing service charge available in the smartphone 20, thereby reducing the utiliz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cost of maintaining the system. In the home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me CCTV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built-in camera 23 of the smartphone 20 for the gateway, Monitor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utilization is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
11 : 전자제어 기기
111, 21 : BLE 통신모듈
20 :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22 : 이동통신모듈
23 : 내장카메라
24 : 연결케이블
30 :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
31, 51 : 내장 카메라 제어모듈
32, 52 : 영상 모니터링모듈
33, 53 : 거치대 액추에이터 제어모듈
40 :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
50 :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60 : 푸쉬 서버
70 : 거치대
71 : 고정베이스
711 : 전원버튼
712 : LED
72 : 이동형 고정체
73 : 액추에이터
100 :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0: Home network device unit
11: Electronic control device
111, 21: BLE communication module
20: Smartphone for gateways
2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3: Built-in camera
24: Connecting cable
30: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31, 51: Built-in camera control module
32, 52: image monitoring module
33, 53: Cradle actuator control module
40: User Portable Smartphone
50: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60: push server
70: Cradle
71: Fixed base
711: Power button
712: LED
72:
73: Actuator
100: Home network system by smartphone for gateway

Claims (8)

가정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 기기로 이루어지되, 각 전자제어 기기에 구비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모듈에 의해 BLE기반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과;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 유닛이 위치하는 가정 내에 배치되고, BLE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각 전자제어 기기와의 BLE기반 무선통신에 의해 각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수신과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수신을 수행하고,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각 전자제어 기기에 대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홈네트워크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각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수신과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자제어 기기 상태정보의 모니터링과 관리 및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을 수행하게 되는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 및;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푸쉬메시지의 생성, 관리, 전송을 수행하는 푸쉬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상기 푸쉬 서버로 푸쉬메시지 생성을 요청하게 되고, 상기 푸쉬 서버는 푸쉬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되는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전송받은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 변경정보를 현재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 IP정보로서 업데이트하게 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전송받은 이벤트정보의 출력과 관리 및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어 기기 제어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되,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이 고정 배치된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내장 카메라 제어모듈, 촬영 영상을 통해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이 고정 배치된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대한 영상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하는 영상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은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거치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거치대는 가정 내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고정베이스에 좌우 회전(패닝)과 상하 회전(틸팅)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형 고정체 및; 상기 이동형 고정체의 좌우 회전을 유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를 이루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은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의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의 전원공급은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접속된 연결케이블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A home network device unit configured to perform BL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by one or more electronic control devices located in the home, the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 being provided in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A BLE communication module is disposed in a home where the home network equipment unit is located and performs reception of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by BL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A gateway smartphone for receiv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stalling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to manage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carries out reception of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through the gateway smartphone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portable smartphone installed to perform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control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generation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A push server connected to the gateway smartphone and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generation,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a push message,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gateway smartphone requests the push server to generate the push message when the set event occurs, and the push server generates the push message and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for gateway transmits the smartphone IP change information for gateway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transmits the changed smartphone IP change information for gateway It is updated as smartphone IP information for the current gateway,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gateway smartphone transmits event information to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when the set event occurs,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of the portable smartphone of the user outputs the event information,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A built-in camera control module for allowing a selected one of the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and the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to photograph an image of a set point within a home in which a smartphone for a gateway is fixedly disposed through a built-in camera of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And an image monitoring module for performing image monitoring on a set point in a home where a smartphone for a gateway is fixedly arranged through an image,
The smartphone for a gateway is detachably fixed to a cradle fixed to a set point in a home, the cradle including a fixed base fixed to a set point in a home; A mobile fixed body to which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is detachably fixed, connected to the fixed base so as to be able to pivot, pivot, tilt, and tilt; And an actuator for induc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movable fixture,
Wherein driving of the actuator constituting the cradle is controlled by any one of a home network server application of the gateway smartphone and a home network client application of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and the power supply to the actuator is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for the gateway Wherein the home network system is implemented through a connection cabl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은 데이터쉐어링 요금제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스마트폰으로부터 데이터 쉐어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용 스마트폰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is driven by a data sharing plan,
Wherein the gateway smartphone performs data sharing from the user portable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13330A 2014-08-28 2014-08-28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KR101512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30A KR101512491B1 (en) 2014-08-28 2014-08-28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30A KR101512491B1 (en) 2014-08-28 2014-08-28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91B1 true KR101512491B1 (en) 2015-04-16

Family

ID=5305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330A KR101512491B1 (en) 2014-08-28 2014-08-28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846A (en) * 2011-04-29 2012-11-07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Contents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push server
KR20140081642A (en)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or external apparatus
KR20140082541A (en)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846A (en) * 2011-04-29 2012-11-07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Contents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push server
KR20140081642A (en)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or external apparatus
KR20140082541A (en)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잠자는 구형 스마트폰 활용방법 모두 따라 해보기 (출처: 창원세무서), 2014.02.26. http://blog.naver.com/hj112818/110186081026 *
잠자는 구형 스마트폰 활용방법 모두 따라 해보기 (출처: 창원세무서), 2014.02.26. http://blog.naver.com/hj112818/1101860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39B1 (e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equipment
KR101274146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table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0238572A (e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JP2016100733A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monitoring system
JP2016100790A (en) Hom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home monitoring system
KR102195882B1 (en) APPARATUS FOR IoT BASED SMART LIGHTING CONTRO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201993A1 (en) Access control monitoring system
CN203788397U (e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LED lamp
JP2015046842A (en) Video monitoring system, mobile terminal for use therefor, and program
EP3069333B1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US9578444B1 (en) Automatic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witch
KR101512491B1 (en) Home network system by gateway smart phone
JP2015204102A (en) monitoring system and setting method
KR20030063810A (en) Repeating instellation of watch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US10274136B2 (en) Communications device
KR20150096057A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KR200432463Y1 (en)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sensing and control using sensor network
KR101849270B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ome network control function
KR101402796B1 (en)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used mobile device and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160110872A (en) Cloud system based wall-embedded light switch supporting IEEE 802.3af standard(PoE)
JP6145905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JP2005318445A (en) Home device of remote monitor system
KR101401952B1 (en) Remote controller and security system having thereof
KR20120065168A (en) System for control the home-network using the mobile device
JP5887542B2 (en)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