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16B1 -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16B1
KR101512316B1 KR1020130081580A KR20130081580A KR101512316B1 KR 101512316 B1 KR101512316 B1 KR 101512316B1 KR 1020130081580 A KR1020130081580 A KR 1020130081580A KR 20130081580 A KR20130081580 A KR 20130081580A KR 101512316 B1 KR101512316 B1 KR 10151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iaphragm
acoustic sensor
piezoresistiv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8249A (en
Inventor
장성필
차두열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16B1/en
Publication of KR2015000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2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3Diaphragms comprising ceramic-like materials, e.g. pure ceramic, glass, boride, nitride, carbide, mica and carb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음향의 발생 위치에 따른 복수의 압저항 소자 간에 저항 차이를 통해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특정할 수 있는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capable of specifying a direction in which an external sound is generated through a resistance dif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piezoresistive devices .

Description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음향의 발생 위치에 따른 복수의 압저항 소자 간에 저항 차이를 통해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특정할 수 있는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capable of specifying a direction in which an external sound is generated through a resistance dif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piezoresistive devices .

일반적으로, 음향센서는 물리적인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로서, 대표적인 음향센서로는 마이크로폰이 있으며, 동작원리에 따라 다이내믹형과 콘덴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Generally, an acoustic sensor is a sensor for converting physical sound into an electric signal. As a typical acoustic sensor, there is a microphone, and it can be divided into a dynamic type and a condenser typ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inciple.

또한, 다이내믹형 음향센서는 소리에 의해 진동하는 다이아프램에 부착된 도체코일이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안에서 이동할 때 전자유도에 의해 도체코일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측정함으로써 소리를 감지하는 무빙코일 다이내믹형 음향센서 구조가 대표적이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ynamic acoustic sensor is a dynamic acoustic sensor that detects a sound by measuring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a conductor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a conductor coil attached to a diaphragm vibrates by a sound moves in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The sensor structure will be representative.

또한, 콘덴서형 음향센서는 강한 전기장을 인가하여 잔류 영구 전하를 갖는 고분자 박막(일렉트릿)이 부착된 다이아프램이 소리에 의해 진동할 때 고정된 백플레이트(back-plate)와의 간격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소리를 감지하는 일렉트릿 콘덴서형 음향센서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denser type acoustic sensor is a type of a condenser type acoustic sensor in which a diaphragm with a polymer thin film (electret) having a residual permanent electric charge by applying a strong electric field vibrates by a sound, An electret condenser type acoustic sensor that senses a sound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또한, 음향센서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달되는 소리를 추적하여, 소리의 발생 방향을 추적 및 인식하게 하는 음향센서 어레이 기술도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Also, an acoustic sensor array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developed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acoustic sensors to track sound transmitted from different directions, and to track and recognize the direction of sound generation.

또한, 음향센서 어레이는 소리의 방향을 추적하기 위해 복수의 음향센서를 일직선 또는 원의 형태로 배열한 것으로, 일직선 형태의 음향센서 어레이는 180°범위 내에서 소리의 방향을 추적할 수 있으며, 원 형태의 음향센서 어레이는 360°범위 내의 소리의 방향을 추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coustic sensor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or a circular shape in order to track the direction of sound, and a linear acoustic sensor array can track the direction of sound within a range of 180 [deg.], Type acoustic sensor arrays are known to be able to track the direction of sound within a range of 360 degrees.

한편,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소리의 방향을 추적 또는 인식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음향센서 어레이를 구성하여야 하므로, 복수 개의 음향센서가 요구되며 A/D 변환기와 같은 하드웨어 소자 및 신호 처리를 위한 계산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rack or recognize the direction of a sound by using an acoustic sensor, a plurality of acoustic sensors are required, and a hardware element such as an A / D converter and a calculation cost for signal processing are increased .

또한, 기존의 음향센서는 대체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는 있으나, 제조 공정을 매우 복잡하고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conventional acoustic sensors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generally inexpensive, there are problems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본 발명자들은 하나의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소리의 발생 방향을 추적 또는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제조 공정의 간소화 및 제품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efforts to make it possible to track or recognize the direction of sound generation by using one acoustic sensor and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miniaturize the product. As a result,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의 방향을 특정하는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that specifies the direction of soun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소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facilitate miniaturiza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공이 구비된 기판; 상기 기판의 음공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고, 외부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외부 음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진동하면 상기 진동에 의한 저항 변화가 발생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지향성 음향센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phragm provided on the substrate to cover the sound holes of the substrate, the diaphragm vibrating by external sound; And a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which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when the diaphragm vibrates due to the external sound, the resistance changes due to the vibration.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 상부에 이산화규소(SiO2), 질화 규소(Si3N4), 캡톤(Kapton),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아미드(Polyim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다이어프램 구조체로 성장시키는 성장단계;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의 상부에 폴리실리콘(polysilicon), 게르마늄(germanium),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및 탄화규소(Si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압저항 소재로 증착시키는 증착단계;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압저항 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단계; 및 상기 실리콘 기판 내측을 식각하여 음공을 형성하는 식각단계;를 포함하는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silicon dioxide (SiO2), silicon nitride (Si3N4), Kapton,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imide on a silicon substrate, A growing stage of growth; A deposition step of depositing a polysilicon, germanium, amorphous silicon, and silicon carbide (SiC)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structure using a piezoresistive material; A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through a lithography process; And etching the inside of the silicon substrate to form a sound hol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는 상기 위부 음향이 발생한 방향에 가까운 특정 압저항 소자의 저항 변화가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are characterized in that a resistance change of a specific piezoresistive element neares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ound is generated is the larges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단계에서 증착되는 압저항 소재는,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 상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로 증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iezoresistive materials deposited in the deposition step are deposi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diaphragm structur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각단계는 반응이온에칭(Reactive Ion Etching) 또는 습식 식각을 통해 상기 음공을 식각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tching step etches the tone holes through reactive ion etching or wet etching.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의 저항 변화를 통해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음향센서 또는 음향센서 어레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외부 음향이 발생할 방향을 특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generation of external sound can be specified through resistance change of a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can be specifi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증착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이어서, 별도의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량 생산 및 제작공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acoustic acoustic sens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y using the deposition and etching processe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1 illustrates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the meaning described or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part of the invention The meaning must be grasp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는, 외부 음향인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음향센서 어레이를 구축하지 않고도 소리가 발생한 방향을 특정하도록 구비되며, 기판(110), 다이어프램(120) 및 압저항 소자(130)를 포함한다.1 to 3,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n external acoustic sound into an electric signal. The directional acoustic sensor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sound is generated without constructing a separate acoustic sensor array And includes a substrate 110, a diaphragm 120, and a piezoresistive element 130.

상기 기판(110)은 후술할 다이어프램(120) 및 압저항 소자(1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에는 내측으로 비어있는 공간인 음공(111)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음공(111)은 상기 기판(110)의 중앙부를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 기둥의 형태로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supports the diaphragm 120 and the piezoresistive elemen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a silicon substrate. In addition, a tone hole 111 is formed in the substrate 110 as an empty space. The tone hole 111 may be formed by etching a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110. For example, To form an empty space.

또한, 상기 기판(110)의 음공(111)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다이어프램(120)의 보호를 위해 상기 기판(110)의 밑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소정 두께의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otect the diaphragm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bstrate 11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ickness)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기판(110)에 형성된 음공(111)은 후술할 다이어프램(120)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 음향이 상기 음공(111)을 통해서 전달될 수도 있게 한다.The sound holes 111 formed in the substrate 11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diaphragm 120 may vibrate as described later, and external sou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holes 111.

상기 다이어프램(120)은 외부 음향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기판(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소정 넓이의 박막 형태로 상기 기판(110) 및 상기 음공(111)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기판(110)에 형성된 음공(111)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121)이 외부 음향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The diaphragm 120 is provided to be vibrated by an external sound and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o cover the substrate 110 and the sound hole 111 in the form of a thi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predetermined region 121 corresponding to the sound hole 111 formed in the substrate 110 is vibrated by the external sound.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120)은 상기 기판(110)에 상기 음공(111)을 형성하기 이전에,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는 다이어프램(120) 구조체를 상기 기판(110) 상부에서 성장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120) 구조체는 질화 규소(Si3N4), 캡톤(Kapton),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아미드(Polyimide)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diaphragm 120 may be formed by growing a diaphragm structure 120 including silicon dioxide (SiO 2) on the substrate 110 before forming the sound holes 111 in the substrate 110 . The diaphragm 120 may be formed of silicon nitride (Si 3 N 4), Kapton, polydimethylsiloxane (PDMS), or polyimide.

상기 압저항 소자(130)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에 의해 저항이 변화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20) 상부로 구비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20)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저항 소자(130)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 게르마늄(germanium),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탄화규소(SiC)로 구비할 수 있다.The piezoresistive element 130 is provided on the diaphragm 120 so as to change its resistance by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20. The piezoresistive element 130 is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120 . The piezoresistive element 130 may be formed of polysilicon, germanium, amorphous silicon, or silicon carbide (SiC).

여기서, 상기 압저항 소자(130)는 외부 음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120)이 진동할 때, 상기 다이어프램(120)의 진동에 의해 소정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때 저항이 변화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압저항 소자(130)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정 영역(121)과 동시에 진동하면서 진동 폭만큼의 저항 변화가 발생한다 할 수 있다.When the diaphragm 120 vibrates due to external sound, the piezoresistive element 130 is de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20 and changes its resistance. That is, the piezoresistive element 130 vibrates at the same time as the predetermined region 121 of the diaphragm, and a resistance change corresponding to a vibration width may occur.

또한,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는 상기 다이어프램(120)이 외부 음향에 의해서 진동할 때, 상기 외부 음향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각각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에서 발생하는 저항 변화가 다르게 발생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에는 배선이 연결되어 발생한 저항 변화를 외부의 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감지하도록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may be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0a, 130b, and 130c,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sound when the diaphragm 120 is vibrated by external sounds. And 130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may be connected to a wiring to detect a resistance change generated by an external device or a microprocessor.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들은 미엔더(meander) 형태를 갖도록 구비하여 진동에 의한 저항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의 경로를 길어지게 하였을 때 저항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may have a meander shape to sensitively sense changes in resistance due to vibration, but may be polygonal or circular. . That is, when the paths of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are made long, the sensitivity to resistance changes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가 짝수 개로 구비된 경우에는 서로 대칭된 구조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수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압저항 소자(130) 간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are provided in an even nu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piezoresistors 130a, 130b, 130c, and 130d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the sam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는 상기 위부 음향이 발생한 방향에 가까운 특정 압저항 소자의 저항 변화가 가장 크도록 구비되어 저항 변화가 가장 큰 특정 압저항 소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리의 발생 방향을 특정할 수 있게 한다.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are provided so as to maximize a resistance change of a specific piezoresistor ne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ound is generated, So that the direction of sound generation can be specified.

여기서, 외부 음향에 의해서 상기 다이어프램(120)이 진동할 때 소정 영역(121)은 국부적인 부분에서 진동 폭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다이어프램(120)의 소정 영역(121)은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에 가까울수록 진동 폭이 크므로 상기 위부 음향이 발생한 방향에 가까운 특정 압저항 소자의 저항 변화도 크게 나타나게 된다.Here, when the diaphragm 120 vibrates due to external sound, a difference in vibration width occurs in a local area of the predetermined area 121. The predetermined area 121 of the diaphragm 120 generates external sound Resistance variation of the specific piezoresistive element clo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sound is generated is also large.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각각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의 저항 변화에 따라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서 상기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추적 및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change in resistance of the plurality of piezoresistors 130a, 130b, 130c, and 130d is detected and the direction of occurrence of the external sound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change of the piezoresistors 130a, 130b, 130c, and 130d A mathematical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to track and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또한, 상기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정확하게 특정하고 음향센서 자체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의 갯수 및 배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는 4개의 압저항 소자(130)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를 대칭되는 구조를 배치하였다.It is important to set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piezoresistors 130a, 130b, 130c and 130d in order to accurately specify the genera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sound and lower the complexity of the acoustic sensor itself. The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four piezoresistive elements 130 and a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 arranged symmetrically.

물론,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는 4개 이하로 구비하여 음향센서 자체의 복잡도를 낮출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구비하여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더 정확하게 특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number of the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may be four or less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acoustic sensor itself, or to provide more than four piezoresistors 130a, 130b, .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는 상기 기판(110)에 형성된 음공(111)의 경계선(111a)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음공(111)의 경계선(111a)은 상기 기판(110) 상부 면에 형성된 음공(111)의 테두리를 뜻한다. 여기서, 상기 음공(111)의 경계선(111a)은 상기 다이어프램(120)이 진동할 때 진동 폭의 변화를 가장 차이가 큰 영역이라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130a, 130b, 130c and 130d are arranged on the boundary 111a of the sound hole 111 formed in the substrate 110 and the boundary 111a of the sound hole 111 Refers to the rim of the sound hol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 Here, the boundary line 111a of the sound hole 111 can be regarded as a region having the largest difference in vibration width when the diaphragm 120 vibrates.

여기서, 상기 기판(110)에 형성된 음공(111)이 원 기둥 형태이면 상기 음공(111)의 경계선(111a)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130a, 130b, 130c, 130d)는 원 형태의 경계선(111a)부터 상기 다이어프램(120)의 모서리까지 연결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If the tone holes 111 formed in the substrate 110 are in a circular column shape, the boundary 111a of the tone holes 1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piezoresistors 130a, 130b, 130c, And the diaphragm 120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diaphragm 120 by a circular shap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은, 먼저, 다이어프램 구조체를 성장시키게 되는데, 실리콘 기판을 준비하여 상기 실리콘 기판의 상부에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를 성장시키켜서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rowing a diaphragm structure by preparing a silicon substrate, growing the diaphragm structure on the silicon substrate, .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는 이산화규소(SiO2), 질화 규소(Si3N4), 캡톤(Kapton),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또는 폴리아미드(Polyimide)로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structure may be formed of silicon dioxide (SiO 2), silicon nitride (Si 3 N 4), Kapton, polydimethylsiloxane (PDMS), or polyimide.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는 건식산화 공정 또는 습식산화 공정을 이용하여 성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실리콘 기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S1100).In addition, the diaphragm structure may be grown using a dry oxidation process or a wet oxid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diaphragm is formed in the form of a very thin film relatively to the silicon substrate (S1100).

다음, 압저항 소재를 증착시키게 되는데, 상기 압저항 소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증착되며, 상기 압저항 소재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 게르마늄(germanium),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탄화규소(SiC)로 구비하여 증착할 수 있다.The piezoresistive material is then deposited on top of the diaphragm, and the piezoresistive material may be deposited on a substrate such as polysilicon, germanium, amorphous silicon, or silicon carbide (SiC ) Can be deposited.

또한, 상기 압저항 소재를 증착할 시, Sputtering, evaporation 또는 Thermal process를 포함하는 증착 공정을 통해서 상기 압저항 소재를 상기 다이어프램 상부에 증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저항 소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 전체면에 증착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증착할 수 있다(S1200).In addition, whe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is deposited, the piezoresistive material may be deposited on the diaphragm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including sputtering, evaporation, or a thermal process. In additio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may be deposi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or may be deposited to form a plurality of piezoresistors at different positions (S1200).

다음, 상기 압저항 소재에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압저항 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패턴이 형성된 압저항 소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에 의한 저항 변화를 전기신호 또는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압저항 소자로 작동하게 된다. Next, a pattern is formed o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A predetermined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by using a lithography process. The piezoresistive material having a pattern can be formed by patterning a resistive change due to vibration of the diaphragm, Or a piezoresistive elemen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이때, 상기 압저항 소자는 하나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로 형성하여 각각의 압저항 소자에서 저항 변화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는 한 쌍이 대칭된 구조로 배치되거나, 각각의 압저항 소자 간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배치되게 된다.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may be arrang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may be arrang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다이어프램이 진동할 때 저항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미엔더(meander) 형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0).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or circular pattern,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pattern in a meander shape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to resistance change when the diaphragm is vibrated S1300).

다음, 실리콘 기판을 식각하게 되는데, 상기 실리콘 기판의 중앙부를 식각하여 비어있는 공간인 음공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음공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음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게 된다.Next, the silicon substrate is etche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licon substrate is etched to form a hollow space, and the sound holes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columnar shape. As the sound holes are formed, the diaphragm structure A space capable of vibrating is provided.

또한, 상기 실리콘 기판은 반응이온에칭(Reactive Ion Etching) 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서 식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기판은 내측 공간에 상기 음공을 형성하되, 밑면은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면이 형성되도록 식각된다.The silicon substrate may be etched through reactive ion etching or wet etching. At this time, the silicon substrate is etched so as to form the sound holes in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또한, 상기 실리콘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음공을 형성할 때, 상기 음공과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 간의 경계선이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상기 음공의 직경을 조절하여 식각하게 된다. When the silicon substrate is etched to form the acoustic holes, the diameter of the acoustic holes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so that a boundary between the acoustic hol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licon substrate is etched.

따라서,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는 상기 음공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가 대칭된 구조를 갖거나 각각의 압저항 소자 간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을 갖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S1400).Accordingly,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are locat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sound holes, and the plurality of piezoresistive elements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or the piezoresistive elements have the same interval (S140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지향성 음향센서는, 외부 음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진동하면 상기 복수 개의 압저항 소자의 저항이 변화하며, 각각의 압저항 소자의 저항 변화는 외부 음향의 발생위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특정 압저항 소자가 가장 크게 출력되는 구조를 갖는다. In the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aphragm is vibrated by an external sound, the resistance of the plurality of piezoresistors changes, The resistance change of the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ecific piezoresistive element relatively close to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external sound is outputted the largest.

따라서, 저항 변화가 가장 큰 특정 압저항 소자를 통해 외부 음향의 발생 방향을 특정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조립공정을 실시하지 않고도 증착 및 식각 등의 공정을 통해서 지향성 음향센서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소형화 및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generation direction of external sound through the specific piezoresistive element having the largest resistance change,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directional acoustic sensor through processes such as deposition and etching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assembly process, And facilitates miniaturization and mass produc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10 : 기판 120 : 다이어프램
130 : 압저항 소자
110: substrate 120: diaphragm
130:

Claims (5)

실리콘 기판 상부에 이산화규소(SiO2), 질화 규소(Si3N4), 캡톤(Kapton),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아미드(Polyim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다이어프램 구조체로 성장시키는 성장단계;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의 상부에 폴리실리콘(polysilicon), 게르마늄(germanium),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및 탄화규소(Si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압저항 소재로 증착시키는 증착단계;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압저항 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단계; 및
상기 실리콘 기판 내측을 식각하여 음공을 형성하는 식각단계;를 포함하는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Growing a silicon dioxide (SiO2), silicon nitride (Si3N4), Kapton, polydimethylsiloxane (PDMS) or polyimide on a silicon substrate to form a diaphragm structure;
A deposition step of depositing a polysilicon, germanium, amorphous silicon, and silicon carbide (SiC)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structure using a piezoresistive material;
A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through a lithography process; And
And etching the inside of the silicon substrate to form a sound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단계에서 증착되는 압저항 소재는,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체 상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ezoresistive material deposited in the deposition step is deposi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diaphragm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단계는 반응이온에칭(Reactive Ion Etching) 또는 습식 식각을 통해 상기 음공을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tching step comprises etching the sound holes through reactive ion etching or wet etch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81580A 2013-07-11 2013-07-11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12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580A KR101512316B1 (en) 2013-07-11 2013-07-11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580A KR101512316B1 (en) 2013-07-11 2013-07-11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249A KR20150008249A (en) 2015-01-22
KR101512316B1 true KR101512316B1 (en) 2015-04-16

Family

ID=5257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580A KR101512316B1 (en) 2013-07-11 2013-07-11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3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95B1 (en) 2018-10-22 2019-07-2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underwater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11317197B2 (en) 2020-01-13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ectional acoustic 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901A (en) * 2005-02-21 2006-08-31 Denso Corp Ultrasonic e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901A (en) * 2005-02-21 2006-08-31 Denso Corp Ultrasonic el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95B1 (en) 2018-10-22 2019-07-2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underwater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11317197B2 (en) 2020-01-13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ectional acoustic sensor
US11627410B2 (en) 2020-01-13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ectional acoustic sensor
US11632623B2 (en) 2020-01-13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ectional acoustic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249A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1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icrophone
US98094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fferential comb drive MEMS
JP7173784B2 (en) Sound direction finding sensor
US8989411B2 (en) Differential microphone with sealed backside cavities and diaphragms coupled to a rocking structure thereby providing resistance to deflection under atmospheric pressure and providing a directional response to sound pressure
US10057684B2 (en) Integrated electroacoustic MEMS transducer with improved sensitivit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10111021B2 (en) MEMS device and process
EP2565153A1 (en) Acoustic transducers with perforated membranes
US20120299130A1 (en) Accelerometer and production method
US11254559B2 (en) FET based sensory systems
US20160137486A1 (en) Mems microphone with tensioned membrane
TWI659923B (en) Mems device and process
WO2018040259A1 (en) Sensitive membrane and mems microphone
CN106996827B (en) Sensing diaphragm and MEMS microphone
KR101512316B1 (en) Directional sou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50606B (en) Microphone (CN)
US9668064B2 (e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icrophone
CN107529120B (en) Microphone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210314718A1 (en) Process of fabricating lateral mode capacitive microphone including a capacitor plate with sandwich structure
JP4396975B2 (en) Capacitor-type acoustic trans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2219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ducer substrate
WO2022039596A1 (en) Mems-based microphone and microphone assembly
JP4586425B2 (en) Vibrating transducer
Mastropaolo et al. Bimaterial electromechanical systems for a biomimetical acoustic sensor
KR101300749B1 (en) Acoustic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oyagi et al. Development of a capacitive ultrasonic sensor having parylene diaphragm and characterization of receiving performance of array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