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268B1 -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 Google Patents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268B1
KR101512268B1 KR1020140047490A KR20140047490A KR101512268B1 KR 101512268 B1 KR101512268 B1 KR 101512268B1 KR 1020140047490 A KR1020140047490 A KR 1020140047490A KR 20140047490 A KR20140047490 A KR 20140047490A KR 101512268 B1 KR101512268 B1 KR 10151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date
visual
time
standar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희
이동주
김상혁
안영숙
Original Assignee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천문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9/00Time-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9/02Sundi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4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 G04B19/243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ate indic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해시계의 한 특징은 표준시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의 남중 시각에서 균시차의 변화를 반영하여 표시한 '8'자 형태를 갖고 있고 매달 초하루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월점을 구비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매달 초하루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월점,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상기 월점 간의 중앙에 각 달의 15 또는 16일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중간점,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24절기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절기점, 그리고 남쪽과 북쪽을 연결하는 남북선을 구비한 날짜 눈금판,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타원 형상으로 위치하여 설치지역의 경도와 표준자오선 경도의 차이인 경도차를 시간으로 환산한 값만큼을 보정하여 표준시의 시각점을 표시하는 표준시 시각판, 그리고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타원 형상으로 위치하여 경도차 보정을 하지 않고 반시진마다 시각점을 표시하고, 상기 남북선의 북쪽에 오정(午正) 시각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시각점을 표시한 진태양시 시각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SUNDIAL CAPABLE OF MEASURING STANDARD TIME}
본 발명은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에 관한 것이다.
해시계는 태양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자를 이용하여 시각을 측정하는 관측기구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해시계는 주로 진태양시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그림자를 만드는 영침과 시각이 그려진 시반(時盤, dial plate)을 구비한다.
고대의 해시계는 해시계의 영침으로 수직하게 세운 표(表, gnomon)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의 오벨리스크(obelisk)나 동아시아의 규표(圭表)가 영침으로써 표를 이용한 해시계의 일종이었다.
해시계는 영침의 그림자가 생기는 시반면에 시각선을 그려놓아, 영침의 그림자가 시각선에 일치하면 그 순간의 시각을 측정하였다.
해시계의 시반면에는 시각선 외에도 절기선(또는 날짜선)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해시계마다 영침의 방향과 시반면의 형태가 다양하다. 대부분 해시계는 영침이 고정되어 있고, 시반면이 평면 또는 구면으로 되어 있다.
시반면이 평면인 해시계는 평면 해시계라고 하며, 시반면이 구면인 해시계는 반구면 해시계(scaphe sundial)라고 한다.
이때, 평면 해시계에서 시반면이 적도와 일치하는 것은 적도 해시계, 지평(수평)에 일치하는 것은 지평 해시계라고 한다. 평면 해시계에서 시반면은 시각선이 그려진 시각판이라고도 한다.
지구의 자전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적도 해시계는 일정한 각도로 시각선을 그릴 수 있고, 적도해시계의 영침은 북극이나 남극을 향해 있다. 이는 해시계의 기본원리가 극을 축으로 일정하게 회전하는 지구 자전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에 유럽에서 유행한 지평 해시계가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 이 지평 해시계는 영침이 북극을 향해 있는데, 시각판의 시각선의 각도가 서로 일정하지 않다.
반구면 해시계는 천구의 모습을 그대로 따왔다는 특징이 있다. 앙부일구는 대표적인 반구면 해시계로서, 북극을 향해 고정되어 있는 영침과 구면의 시반면을 가지고 있었다.
해시계는 설치된 지역의 위도에 따라 영침의 방향이 결정되고, 시각선의 형태가 변한다. 일반적으로 영침이 고정되어 있는 지평 해시계는 다른 해시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시각판을 가지는데, 이는 시각판에 시각선과 함께 때때로 계절선을 표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평 해시계의 시각판에 시각선과 계절선을 그리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림자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확인 할 때, 시각 확인을 위한 그림자를 발생시키는 시각 확인부가 서 있는 위치를 세분화하여 측정된 현재 시각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표준시뿐만 아니라 진태양시도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교육적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는 표준시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의 남중 시각에서 균시차의 변화를 반영하여 표시한 '8'자 형태를 갖고 있고 매달 초하루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월점을 구비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과 남쪽과 북쪽을 연결하는 남북선을 구비한 날짜 눈금판,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타원 형상으로 위치하여 설치지역의 경도와 표준자오선 경도의 차이인 경도차를 시간으로 환산한 값만큼을 보정하여 표준시의 시각점을 표시하는 표준시 시각판, 그리고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타원 형상으로 위치하여 경도차 보정을 하지 않고 반시진마다 시각점을 표시하고, 상기 남북선의 북쪽에 오정(午正) 시각점이 위치하도록 시각점을 표시한 진태양시 시각판을 포함한다.
이 때, 측정일에 해당하는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시각 확인부가 위치될 경우, 상기 시각 확인부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각이 현재의 표준 시각으로 측정되고, 측정일에 해당하는 상기 남북선 위에 시각 확인부가 위치될 경우, 상기 시각 확인부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각이 현재의 진태양시로 측정된다.
날짜 눈금판은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위치하고 매달 초하루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월점,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위치하고 상기 월점 간의 중앙에 각 달의 15 또는 16일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중간점 및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위치하고 24절기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절기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짜 눈금판이 상기 절기점을 포함할 때, 상기 절기점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춘분점과 상기 추분점은 동서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춘분점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상기 추분점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날짜 눈금판이 상기 절기점을 포함할 때, 상기 절기점은 동지점와 하지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지점은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의 남단에 위치하고, 상기 하지점은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의 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날짜 눈금판이 상기 절기점을 포함할 때, 상기 절기점은 24 절기를 각각 나타내는 24개의 절기점을 포함할 수 있고, 동지와 하지를 각각 나타내는 동지점과 하지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22절기를 나타내는 22개의 절기점은 상기 날짜 눈금의 남북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두 절기점씩 쌍을 이루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쌍을 이루는 두 절기점은 동일한 태양의 적위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과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과 상기 남북선 또는 동서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극좌표값(r, θ)으로 결정되고, 상기 극좌표값(r, θ)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다.
[수학식]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1
이고,
기준축이 남북선일 때, θ = tan-1(x/y)이고, 기준축이 동서선일 때, θ = tan-1(y/x)이며, x = RsinHA이고 y = RsinφcosHA이다.
(여기서, R은 표준시 시각판의 장반경이고, φ는 해시계가 설치된 지역의 위도이며, HA은 자오선에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태양의 시간각이다)상기 표준시 시각판과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 중 하나는 나머지 하나보다 상기 날짜 눈금판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하나를 타원 형상으로 에워싸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과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각각 설치면에 양각 방식, 음각 방식, 돌출 방식, 그리고 인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유토, 철재, 석재,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유토, 철재, 석재,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남북선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남북선 상에서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하여 남쪽에 위치하여 남쪽을 표시하는 남점과 상기 날짜 눈금판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하여 북쪽에 위치하여 북쪽을 표시하는 북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해시계에서 시각 확인부가 위치하여 현재 시각을 확인할 때, 시각 확인부가 위치하는 위치가 세분화되므로, 측정된 시각의 정확성이 증가한다.
또한, 날짜 눈금판에 진태양시를 측정하는 진태양시 시각판과 표준시를 표준시 시각판이 함께 설치되므로, 표준시뿐만 아니라 진태양시도 측정할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24절기 또한 날짜 눈금판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용이하고 친근하게 24절기를 접할 수 있고 교육적인 효과는 더욱더 높아진다.
표준시 시각판과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을 산출하여 해시계에 표시할 때, 중심점에서 동서 좌표값과 남북 좌표값을 이용하는 방식이나 극좌표값 방식을 이용하여 시각점을 산출한 후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검증 동작이 행해지므로, 산출된 시각판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날짜 눈금판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를 제작할 때,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중심점을 기준하여 직교 좌표값 방식을 이용하여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남북선을 기준으로 극좌표값 방식을 이용하여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의 해시계에 사용된 날짜 눈금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이하, '해시계'라 함)는 날짜에 따라 현재 시각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자를 발생시키는 시각 확인부가 위치하여 현재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날짜 눈금판(110), 날짜 눈금판(110)의 둘레에 위치하는 표준시 시각판(120), 그리고 표준시 시각판(120)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진태양시 시각판(130)을 구비한다.
또한, 본 예에 따른 해시계는 동쪽과 서쪽을 직선으로 가로지는 동서선(EW)을 더 구비한다.
날짜 눈금판(11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8'자 형태의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상에 매달 초하루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복수의 월점(12),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상에 서로 인접한 두 월점 사이의 중앙이 되는 위치에 점을 표시하여 각 달의 15일 또는 16일을 표시하는 복수의 중간점(13),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상에 24절기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복수의 절기점(14), 그리고 남쪽과 북쪽을 직선으로 가로지르며, '8'자 형태의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에서 가로방향(즉, 단축 방향 또는 8자 형태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 측면을 직선으로 연결한 연결선)의 중심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남북선(SN)을 포함한다.
또한, 본 예에 따른 해시계는 날짜 눈금판(110)의 남북선(SN)으로부터 직선으로 외부까지 연장하여 그려진 가상의 선(L1) 상에서 남쪽을 표시하는 남점(S)(140)과 북쪽을 표시하는 북점(N)(150)을 더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남점(S)과 북점(N)은 날짜 눈금판(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선(L1)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남점(S)과 북점(N)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남점(S)과 북점(N)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남쪽 방향과 북쪽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게 되고, 또한 동서선(EW)에 의해 동쪽 방향과 서쪽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게 된다.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은 1년을 주기로 날짜에 따른 시각 확인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들을 이은 곡선으로, 표준시를 측정하고자 하는 해당 지역의 남중시각(transit time)에서 균시차[즉, 진태양시와 평균 태양시(mean solar time)의 차이]의 변화를 반영하여 표시한 '8' 형태의 눈금선이다.
본 예에서, 월점(12)은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을 따라서 1월에서부터 12월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므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상에는 모두 12개의 월점을 구비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1월을 나타내는 시각점이 대략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의 최하단부쪽, 즉, 대략 최남단쪽에 위치하고, 7월을 나타내는 시각점이 대략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의 최상단부쪽, 즉, 대략 최북단쪽에 위치한다.
복수의 절기점(14)은 각각 대한민국의 24절기(즉, 소한, 대한,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를 알려주는 표시기이다
이러한 절기점(14) 역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을 따라서, 차례대로 1월부터 12월에 속해 있는 절기를 표시하게 된다.
절기점(14) 중 하지와 동지에 해당하는 하지점과 동지점은 각각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의 북단과 남단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에서, 춘분을 표시하는 춘분점을 지나는 곡선과 추분을 표시하는 추분점을 지나는 곡선은 9월을 표시하는 시각점 근방에서 서로 교차하며, 춘분점과 추분점은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본 예에서, 동서선(EW)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직선으로 지나는 선이고, 남북선(SN)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잇는 직선의 가운데를 직각 또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선이다
따라서, 본 예에서, 동서선(EW)과 남북선(SN)이 교차하는 점(C1)(이하,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이라 함)은 본 예에서, 날짜 눈금판(110)뿐만 아니라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중심을 이룬다.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에서, 중심점(C1)을 기준으로 하여 춘분점은 동쪽에 위치하며 추분점은 서쪽에 위치한다.
또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에서, 하지와 동지에 각각 해당하는 하지점과 동지점은 각각 북단과 남단에 위치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복수의 절기점(14)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동지점과 하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22절기에 해당하는 22개의 절기점 중 절반의 절기점은 중심점(C1)을 기준으로 하여 동쪽에 위치하고 나머지 절반의 절기점은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에 위치한다.
이때, 남북선(SN)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절기점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서로 짝을 이루고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절기점(예, 입동과 입춘)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직선, 즉 절기선(L11-L19, L110-L111)은 모두 11개이다.
이렇게 형성된 11개의 절기선(L11-L19 및 L110-L111)은 동서선(EW)과 서로 평행하다.
이와 같이,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절기점은 태양의 적위가 서로 같은 절기를 나타내는 절기점이다. 이로 인해, 쌍을 이루는 두 절기점은 동일한 태양의 적위를 갖는다.
이처럼, 날짜 눈금판(110)에 대한민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에 고유하게 존재하는 24절기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아이들과 같이 24절기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는 사람일 경우, 24절기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되므로, 교육적인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계절적인 면 등에서 서로 짝을 이루는 두 절기를 서로 연결한 절기선에 의해 좀더 용이하게 각 계절에 속한 절기를 기억하게 되고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하게 되므로, 교육적인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본 예에서 날짜 눈금판(11)은 월점(12), 중간점(13) 및 절기점(14)을 모두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적인 예에서, 중간점(13)과 절기점(1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로 하면,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예에 따른 해시계에는 두 종류의 시각판(120, 130)을 구비하는데, 두 시각판(120, 130) 각각은 손목시계의 다이얼과 같이 복수의 시각점(20, 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이들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은 각각 날짜 눈금판(110)을 중심으로 하여 타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시각판(120, 130) 중 날짜 눈금판(110)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시각판은 표준시 시각판(120)이고, 표준시 시각판(120)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날짜 눈금판(110)에 좀더 멀게 위치하는 시각판은 진태양시 시각판(130)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판(120, 130)의 배열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적인 예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표준시 시각판(120)은 시각 확인부에 의해 형성된 그림자를 이용하여 현재의 표준시(예, 한국 표준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표준시를 측정하기 위해 표준시 시각판(120)에 설치된 시각점(20)은 표준시의 시(5시 내지 20시)를 나타내는 복수의 시침용 시각점(21)과 인접한 두 시침용 시각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여 해당 시의 약 30분을 나타내는 복수의 분침용 시각점(22)으로 나눠진다.
본 예에서, 각 분침용 시각점(22)은 30분을 나타내어, 인접한 두 시침용 시각점 사이에 한 개 존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한 두 시침용 시각점 사이에 두 개 이상 존재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표준시 시각판(120)은 한국 표준시를 표시하는 표준시 시각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나라, 다른 지역의 표준시를 표시하는 시각판일 수 있다.
진태양시 시각판(130)은 시각 확인부에 의해 형성된 그림자를 이용하여 현재의 진태양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진태양시 측정을 위해 진태양시 시각판(130)에 설치된 시각점(30)은 진태양시인 12개의 12시진(時辰)[즉, 해(亥), 술(戌), 유(酉), 신(申), 미(未), 오(午), 사(巳), 진(辰), 묘(卯), 인(寅), 축(丑), 자(子) 중 일부의 12시진을 표시하는 복수의 12시진 시각점(31)과 각 인접한 두 12시진 시각점(31) 사이의 가운데 위치하여 각 시진마다 정(正)을 표시한 복수의 반시진 시각점(321-327)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진은 대략 2시간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진태양시 시각판(130)에는 반시진(대략 1시간)마다 12시진 시각점(31)과 반시진 시각점(321-327)이 교대로 위치하며, 어느 지역에서나 남북선(SN)의 북쪽에 오정(午正) 시각점(324)이 위치한다.
복수의 반시진 시각점(321-327)은 묘정을 나타내는 묘정 시각점(321), 진정을 나타내는 진정 시각점(322), 사정을 나타내는 사정 시각점(323), 오정을 나타내는 오정 시각점(324), 미정을 나타내는 미정 시각점(325), 신정을 나타내는 시정 시각점(326), 그리고 유정을 나타내는 유정 시각점(327)을 구비한다. 도 1에서, 진태양시 시각판(130)에서, 정오 12시는 오정 시각점(324)과 일치한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형상은 생략하고 시각점(21, 22, 31, 32)만이 표시된다.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30)은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곡선보다 크게 큰 타원 형상을 갖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배열은 경도차 보정을 행하지 않고 표시되는 12시진 시각점(31)과 인접한 12시진 시각점(31) 사이에 위치한 반시진 시각점(321-327)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예에 따른 해시계는 평면 해시계이므로, 이러한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이 지평면(地平面)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될 때, 각 시각판(120, 130)의 시각점(20, 30)은 양각 방식, 음각 방식, 돌출 방식 그리고 인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설치되고, 각 시각점(20, 30)의 재료는 유토, 철재, 석재 그리고 목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은 모두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설치되거나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1, 22, 31, 32) 재료 역시 모두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 따른 날짜 눈금판(110)은 도 4에 비해 월을 표시하는 월점(12)뿐만 아니라 절기점(14)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24절기에 대한 정보를 좀더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다음, 설치면에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30)을 표시하기 위해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30)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양의 적위(赤緯)의 연간 변위에 따른 날짜 눈금판(110)의 연간 변위는 날짜 눈금판(110)의 중심점(C1)의 좌표를 산출할 때 사용된다.
먼저, 연간 범위가 날짜 눈금판(110)의 남북선(SN)에 표시되어 남북선(SN)이 위치하는 X축 상의 좌표값을 나타낼 때, 이 때의 연간 범위(DY)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2
여기서, R은 표준시 시각판(120)의 장반경을 나타내며, δ는 태양의 적위이고, φ는 해시계가 설치된 지역의 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북반구에서, 동서선(EW)을 중심으로 하여 북쪽에 위치하는 날짜에서 측정된 연간 변위(DY)는 양(+)의 값을 갖고 남쪽에 위치하는 날짜에서 측정된 연간 변위(DY)는 음(-)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연간 변위(DY)가 양(+)으로 갈수록 날씨가 더워지고, 음(-)으로 갈수록 날씨가 추워진다.
또한, 날짜 눈금판(110)은 평균 태양시를 사용하고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진태양시와 평균 태양시의 차이인 균시차(E)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3
여기서, TTrue는 진태양시이고, TMean는 평균 태양시이다.
본 예에 따른, 해시계의 날짜 눈금판(110)에서 연간변위(DY)가 Y축과 평행한 남북선(SN)이 위치하는 X축 상의 좌표값을 나타낸다면, 균시차는 X축과 평행한 동서선(EW)이 위치하는 Y축 상의 좌표값이 되고 연간 균시차의 변화량이다.
이러한 균시차를 반영하는 값(Dx)을 구하는 식은 [수학식3]과 같다.
[수학식 3]에서, 균시차를 반영하는 값(Dx)에서 균시차(E)의 크기는 천구의 크기(무한대)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사인(sin) 연산은 무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4
북반구에서, 남북선(SN)을 중심으로 하여 동쪽에 위치하는 날짜에서의 균시차(E)는 음(-)으로 균시차를 반영한 값(Dx)이 양(+)의 값을 갖고 서쪽에 위치하는 날짜에서의 균시차(E)는 양(+)으로 균시차를 반영한 값(Dx)이 음(-)의 값을 갖는다.
본 예에서, 중심점(C1)을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측량되는(즉, 이격된) 거리를 x라 하고 거리(x)의 끝단인 x 지점[즉, 중심점(C1)에서부터 연장된 거리의 단부]에서 X축 방향에 수직하게 Y축 방향으로 측량되는 거리를 y라 하고 이때의 좌표값(x, y)을 직교 좌표값이라 할 때, 이 직교 좌표값(x, y)은 타원의 시각판(120, 130)에서 각 시각점을 결정하는 좌표값으로서,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5
여기서, HA은 자오선에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태양의 시간각(hour angle)이다.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된 좌표값(x, y)은 중심점(C1)이 위치한 지역의 지역시(즉, 지방시)(local time)를 나타내는 좌표값이면서 남북선(SN)을 자오선으로 하는 진태양시의 시각점을 나타내는 좌표값이 된다.
따라서, 진태양시 시각판(130)을 이용하여 진태양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람이나 막대기와 같은 시각 확인부(도시하지 않음)를 날짜 눈금판(110)의 남북선(SN) 위의 해당 위치에 위치시킨 후 복수의 시각점(30) 중에서 이 시각 확인부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가 가리키는 시각점에 해당하는 시간이 현재의 진태양시의 시각이 된다.
이때, 시각 확인부는 남북선(SN) 상에서, 진태양시를 측정하고자 하는 날짜의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2014년 01월 22일에 진태양시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시각 확인부는 01월과 02월 사이에서 대한 절기가 지난 위치(C21)를 지나면서 남북선(SN)과 직교하는 점(C22)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측정점(C22)에 위치한 시각 확인부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가 가리키는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위치를 이용하여 진태양시를 측정하게 된다.
해시계의 진태양시 시각판(130)이 나타내는 진태양시는 설치된 지역의 지역시이므로 해시계가 측정된 지역, 예를 들어, 한국의 표준시와 차이를 가진다.
진태양시와 한국 표준시의 시각 차이는 한국의 표준 자오선 경도와 해시계가 설치된 지역의 경도 차이와 비례하고, 진태양시와 한국 표준시의 시각 차이인경도차 보정을 실시하여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에 반영해야 시각 확인부의 그림자를 이용한 표준시 측정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도 1에 도시한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은 경도차 보정을 실시하여 산출된 시각점으로서, 한국 표준시의 시각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위에 표시된 월점(12), 중간점(13) 및 절기점(14)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당일의 날짜에 해당하는 아날레마 날짜눈금선(11) 위에 시각 확인부를 위치시킨 후, 시각 확인부에 의해 발생된 그림자는 가리키는 표준시 시각판(120)의 위치에 의해 표시된 시각이 현재의 표준 시각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시각 확인부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한 시각점(20)을 이용하여 현재의 표준 시각을 측정하게 된다.
태양의 시간각(HA)에 대한 경도차를 보정하여 보정된 태양의 시간각(HA')을 산출하는 방식은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6
여기서 L은 해시계가 설치된 지역의 경도이고, LSM은 표준 자오선 경도이며, 동경일 때 LSM값은 양(+), 서경일 때 LSM값은 음(-)이다.
이와 같이, 보정된 태양의 시간각(HA')이 산출되면, [수학식 4]에서 산출된 보정된 태양의 시간각(HA')을 보정 전 태양의 시간각(HA) 대신 적용하여 경도차 보정이 행해진 (x, y)가 산출되고, 이 산출된 x값만큼 중심점(C1)으로부터 X 방향으로 이동한 후 y값만큼 X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한 지점(x, y)이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으로 산출된다(도 3a 참조).
따라서,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된 x와 y값을 중심점(C1)을 기준하여 측량한 지점(x, y)이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30)이 되고, 보정 전 태양의 시간각(HA)을 대신하여 [수학식 5]의 보정된 태양의 시간각(HA')을 [수학식 4]에서 적용하여 산출된 x, y값을 중심점(C1)을 기준으로 하여 측량한 지점(x, y)이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이 된다.
동서선(EW), 남북선(SN) 및 중심점(C1)을 설정한 상태에서 해시계를 제작할 때,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측량할 때, 이미 설명한 직교 좌표값(x, y)을 이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극좌표(polar coordinate)값(r, θ)을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θ'는 기준선인 남북선(SN) 또는 동서선(EW)과 해당 시각점(20, 30)이 이루는 각도이고, 'r'은 중심점(C1)에서부터 해당 시각점(20, 30)까지의 거리이다.
직교 좌표값(x, y)에 의한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측정하는 방식은 3단계의 측량을 거쳐 측정된다.
도 3a와 같이,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먼저 중심점(C1)에서 x값을 측량하고, 둘째, 측량한 x값에서 직각인 90도를 측량한 뒤, 셋째, x값에서 측량한 90도 방향으로 y값을 측량하여, 얻고자 하는 시각점(20, 30)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측량의 오차는 위 3번의 과정에서 각각 발생한다.
반면, 극좌표값(r, θ)을 이용하여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측정하는 방식은 2단계의 측량을 거친다.
즉, 도 3b와 같이, 첫째로, 남북선(SN)을 기준으로 하여 θ를 측량하고, 둘째 θ의 방향을 따라 거리 r을 측량하여, 얻고자 하는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표시한다. 따라서, 측량의 오차는 θ를 측량하고 r를 측량하는 2번의 과정에서만 발생한다. 이때, 극좌표값(r, θ)은 세오돌라이트(theodolite)나 대형 각도기 등과 같은 측량기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특히, 표준시 시각판(120)의 장반경(R)이 커지면 커질수록 극좌표값(r, θ)에 의한 2단계의 시각점(20, 30) 측량이 직교 좌표값(x, y) 방식을 이용한 3단계의 시각점(20, 30) 측량보다 측량 오차가 적어져, 극좌표값(r, θ)을 이용한 방식이 직교 좌표값(x, y)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제작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극좌표값(r, θ)을 이용하여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산출할 때, 극좌표값(r, θ)은 다음의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이미, [수학식 4]에 의해 중심점(C1)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x, y)을 알고 있으므로, r은 [수학식 6]와 같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7
여기서 ROOT()는 제곱근을 나타낸다.
도 3b와 같이, 각도(θ) 측정을 위한 기준축이 남북선(SN)일 때, 각도(θ)는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8
Figure 112014037762914-pat00009
[수학식 7]에서, 각도(θ)는 기준축(SN)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될 때, 양(+)의 값을 갖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될 때 음(-)의 값을 갖는다
반면, 각도(θ) 측정을 위한 기준축이 동서선(EW)일 때, 각도(θ)는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14037762914-pat00010
Figure 112014037762914-pat00011
이 경우, [수학식 7]의 경우와 반대로, 각도(θ)는 기준축(EW)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될 때 양(+)의 값을 갖고,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될 때 음(-)의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예의 경우, 해시계를 제작할 때,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의 시각점(20, 30)을 측량할 때 직교 좌표값(x, y)이외에도 [수학식 6]과 [수학식 7]을 이용하거나 [수학식 6]과 [수학식 8]을 이용한 극좌표(polar coordinate)값(r, θ)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두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준시 시각판(120)과 진태양시 시각판(130)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판(120, 130)의 시각점(20, 30)을 산출한 후 나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 산출된 시각점(20, 30)의 정확도를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증 동작에 의해 표준시 시각판(120)의 시각점(20)의 위치와 진태양시 시각점(30)의 위치를 좀더 정확하게 측량하므로, 해시계에 의해 측정된 표준시와 진태양시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날짜 눈금판 120: 표준시 시각판
130: 진태양시 시각판 140, 150: 남북점
11: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12: 월점
13: 중간점 14: 절기점
20, 30: 시각점 21, 시침용 시각점
22: 분침용 시각점 31: 12시진 시각점
321-327: 반시진 시각점 EW: 동서선
SN: 남북선 C1: 중심점
L11-L19, L110, L111: 절기선

Claims (12)

  1. 표준시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의 남중 시각에서 균시차의 변화를 반영하여 표시한 '8'자 형태를 갖고 있고 매달 초하루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월점을 구비한 아날레마 날짜눈금선과 남쪽과 북쪽을 연결하는 남북선을 구비한 날짜 눈금판,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타원 형상으로 위치하여 설치지역의 경도와 표준자오선 경도의 차이인 경도차를 시간으로 환산한 값만큼을 보정하여 표준시의 시각점을 표시하는 표준시 시각판, 그리고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타원 형상으로 위치하여 경도차 보정을 하지 않고 반시진마다 시각점을 표시하고, 상기 남북선의 북쪽에 오정(午正) 시각점이 위치하도록 시각점을 표시한 진태양시 시각판
    을 포함하고,
    측정일에 해당하는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시각 확인부가 위치될 경우, 상기 시각 확인부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각이 현재의 표준 시각으로 측정되고,
    측정일에 해당하는 상기 남북선 위에 시각 확인부가 위치될 경우, 상기 시각 확인부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각이 현재의 진태양시로 측정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2. 제1항에서,
    상기 날짜 눈금판은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위치하고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위치하고 상기 월점 간의 중앙에 각 달의 15 또는 16일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중간점 및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 위에 위치하고 24절기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한 절기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3. 제2항에서,
    상기 날짜 눈금판이 상기 절기점을 포함할 때, 상기 절기점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포함하고 상기 춘분점과 상기 추분점은 동서선 상에 위치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4. 제3항에서,
    상기 춘분점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상기 추분점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쪽에 위치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5. 제2항에서,
    상기 날짜 눈금판이 상기 절기점을 포함할 때, 상기 절기점은 동지점와 하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동지점은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의 남단에 위치하고, 상기 하지점은 상기 아날레마 날짜눈금선의 북단에 위치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6. 제2항에서,
    상기 날짜 눈금판이 상기 절기점을 포함할 때, 상기 절기점은 24 절기를 각각 나타내는 24개의 절기점을 포함하고,
    동지와 하지를 각각 나타내는 동지점과 하지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22절기를 나타내는 22개의 절기점은 상기 날짜 눈금의 남북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두 절기점씩 쌍을 이루어 위치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7. 제6항에서,
    쌍을 이루는 두 절기점은 동일한 태양의 적위를 갖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8. 제1항에서,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과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중심점과 상기 남북선 또는 동서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극좌표값(r, θ)으로 결정되고,
    상기 극좌표값(r, θ)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수학식]
    Figure 112014037762914-pat00012
    이고,
    기준축이 남북선일 때, θ = tan-1(x/y)이고, 기준축이 동서선일 때, θ = tan-1(y/x)이며,
    x = RsinHA이고 y = RsinφcosHA인
    (여기서, R은 표준시 시각판의 장반경이고, φ는 해시계가 설치된 지역의 위도이며, HA은 자오선에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태양의 시간각이다)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9. 제1항에서,
    상기 표준시 시각판과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 중 하나는 나머지 하나보다 상기 날짜 눈금판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하나를 타원 형상으로 에워싸게 위치한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10. 제1항에서,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과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각각 설치면에 양각 방식, 음각 방식, 돌출 방식, 그리고 인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된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11. 제1항에서,
    상기 표준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유토, 철재, 석재,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진태양시 시각판의 시각점은 유토, 철재, 석재,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12. 제1항에서,
    상기 남북선은 상기 날짜 눈금판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남북선 상에서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하여 남쪽에 위치하여 남쪽을 표시하는 남점과 상기 날짜 눈금판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날짜 눈금판을 중심으로 하여 북쪽에 위치하여 북쪽을 표시하는 북점을 포함하는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KR1020140047490A 2014-04-21 2014-04-21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KR10151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490A KR101512268B1 (ko) 2014-04-21 2014-04-21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490A KR101512268B1 (ko) 2014-04-21 2014-04-21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268B1 true KR101512268B1 (ko) 2015-04-17

Family

ID=5305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490A KR101512268B1 (ko) 2014-04-21 2014-04-21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11A (ko) * 2017-11-08 2019-05-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시차를 보정한 해시계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2474769B1 (ko) 2022-09-22 2022-12-05 임헌규 아날렘마 해시계 시공 방법
KR20230088017A (ko) * 2021-12-10 2023-06-19 한국 천문 연구원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위도 및 경도를 보정하고, 균시차 보정을 제공하는 해시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85Y1 (ko) * 1983-11-10 1985-10-07 이은성 만국 오목해시계
JPH0390398U (ko) * 1989-12-28 1991-09-13
JPH0738994U (ja) * 1993-12-24 1995-07-14 博 福本 日時計
JP3090398B2 (ja) 1994-09-02 2000-09-1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発泡ブロー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368091Y1 (ko) * 2004-09-03 2004-11-17 은연수 해시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85Y1 (ko) * 1983-11-10 1985-10-07 이은성 만국 오목해시계
JPH0390398U (ko) * 1989-12-28 1991-09-13
JPH0738994U (ja) * 1993-12-24 1995-07-14 博 福本 日時計
JP3090398B2 (ja) 1994-09-02 2000-09-1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発泡ブロー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368091Y1 (ko) * 2004-09-03 2004-11-17 은연수 해시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11A (ko) * 2017-11-08 2019-05-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시차를 보정한 해시계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2071980B1 (ko) * 2017-11-08 2020-01-3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시차를 보정한 해시계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30088017A (ko) * 2021-12-10 2023-06-19 한국 천문 연구원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위도 및 경도를 보정하고, 균시차 보정을 제공하는 해시계
KR102645474B1 (ko) 2021-12-10 2024-03-08 한국 천문 연구원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위도 및 경도를 보정하고, 균시차 보정을 제공하는 해시계
KR102474769B1 (ko) 2022-09-22 2022-12-05 임헌규 아날렘마 해시계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268B1 (ko) 표준시 측정 가능한 해시계
RU2223525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хрономет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широты и долготы
CN101324435A (zh) 一种获得方向信息的方法与装置
US5425178A (en) Solar compass
CN201094021Y (zh) 电子日晷罗盘
US3971915A (en) Sun angle calculator
CN212846381U (zh) 一种日晷
CN102494664B (zh) 太阳方位测量仪及其测量方法
CN100383683C (zh) 时节赤道日晷
US4194306A (en) Planetarium educational device
US3947973A (en) Navigation teaching aid
US358957A (en) Sun-dial
US3133359A (en) Tellurian
Aterini The astrolabe: A mechanism for reading the stars
Gaspar Using empirical map projections for modeling early nautical charts
Čechurová et al. Cartometric analysis of the Czechoslovak version of 1: 75 000 scale sheets of the Third Military Survey (1918–1956)
Ingram Geodetic surveying and the adjustment of observations (method of least squares)
JPH0310193A (ja) 日時計
RU95865U1 (ru) Солнечный календарь-часы (варианты)
CN203587983U (zh) 十字窥管透明圆柱形时间节气日晷
Pattenden A late sundial at Aphrodisias
KR100301767B1 (ko) 경도 측정가능한 만국 시계
US6449854B1 (en) Universal solar chart shadow plotter and method for plotting a shadow
KR200368091Y1 (ko) 해시계
CN2185913Y (zh) 晨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