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75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759B1
KR101510759B1 KR20090101921A KR20090101921A KR101510759B1 KR 101510759 B1 KR101510759 B1 KR 101510759B1 KR 20090101921 A KR20090101921 A KR 20090101921A KR 20090101921 A KR20090101921 A KR 20090101921A KR 101510759 B1 KR101510759 B1 KR 10151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main body
hinge shaft
do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372A (ko
Inventor
이석민
주현태
박영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01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759B1/ko
Priority to US12/659,661 priority patent/US8328301B2/en
Priority to EP10162902.0A priority patent/EP2299213B1/en
Priority to CN201510431322.6A priority patent/CN105020958B/zh
Priority to CN201010224935.XA priority patent/CN102003862B/zh
Publication of KR2011004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저장실에 출입하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서랍식 도어는, 저장실에 전후방향으로 출입하는 바스켓과;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판상의 도어본체와;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켓부와;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포켓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01921
냉장고, 도어, 개방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의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도어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저장실 온도의 하강에 의하여 저장실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하므로 도어를 개방하는데 큰 힘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에 출입하며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전후방향으로 출입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판상의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켓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포켓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레버의 복수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 결합부 및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어본체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과 상기 레버본체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에 출입하며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전후방향으로 출입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판상의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켓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영역에 마련되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포켓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 결합부 및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어본체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과 상기 레버본체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에 출입하며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전후방향으로 출입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판상의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함몰 형성된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포켓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 결합부 및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어본체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과 상기 레버본체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00)과, 도어(200, 300, 400)를 포함한다.
본체 캐비닛(100)은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11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110)은 상하로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저장실(110)은 본체캐비닛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저장실(110a), 중간 영 역에 형성된 제2 저장실(110b) 및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3 저장실(110c)을 포함한다. 각 저장실(110a, 110b, 110c)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도어(200, 300, 400)는 저장실(110a, 110b, 110c)의 전방개구를 개폐한다. 도어(200, 300, 400)는 제1 저장실(110a)을 개폐하는 제1 도어(200), 제2 저장실(110b)을 개폐하는 제2 도어(300) 및 제3 저장실(110c)을 개폐하는 제3 도어(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어(200) 및 제2 도어(300)는 제1 저장실(110a) 및 제2 저장실(110b)에 각각 입출하며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되며, 제3 도어(400)는 본체캐비닛에 대하여 회동하며 제3 저장실(110c)을 개폐하는 회동 개폐식 도어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서랍식 도어인 제1 도어(2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도어(2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도어(200)의 절취사시도이다.
제1 도어(200)는 바스켓(210)과, 도어 본체(220)와, 포켓부(230)와, 핸들부재(240)와, 개방위치(B)와 폐쇄위치(A)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80)를 포함한다.
바스켓(210)은 상부개구를 갖는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 저장실(110a)에 전후방향으로 출입한다. 바스켓(210)의 전방영역에는 도어 본체(220)가 결합되어 있다.
도어 본체(220)는 내부에 발포제가 충진되는 판형상으로 마련되어, 바스켓(210)의 입출에 따라 제1 저장실(110a)의 전방개구를 개폐한다. 도어 본체(220)는 제1저장실측 판면 즉, 내측판면이 바스켓(210)에 결합되어 있다. 도어 본체(220)의 내측판면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가스켓(221)이 장착되어 있다. 가스켓(221)은 제1 저장실(110a)의 양 측벽(111)의 전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켓(221)은 제1 도어(200)와 제1 저장실(110a)의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어 본체(220)의 두께 면에는 포켓부(230)가 함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켓부(230)는 도어 본체(220)의 상측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어 본체(220)의 상측 벽면의 판면에 형성되어 있다.
포켓부(230)는 제1 도어(200)의 개방시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포켓부(230)는 도어 본체(22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포켓부(230)는 도어 본체(2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포켓부(230)의 전방벽면은 도어 본체(22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 전면커버(225)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포켓부(230)에는 핸들부재(240)가 수용되어 있다.
핸들부재(240)는 포켓부(230)에 수용되는 레버(250)와, 레버(250)를 도어 본체(220)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260)와, 레버(250)의 회동에 따라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레버(25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280)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가압부(270)를 포함한다.
레버(250)는 개방위치(B)에서 판면이 포켓부(230)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도어 본체(220)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 본체(251)와, 레버 본체(251)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포켓부(230)의 전방벽면과 레버 본체(251)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 커버(253)를 포함한다. . 레버(250)는 포켓부(230)의 길이 즉, 도어 본체(2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레버(250)를 도어 본체(2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함으로써, 하나의 레버(250)의 어느 영역을 작동시켜도 제1 도어(20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레버 본체(251)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포켓부(230)에 수용되어 있다. 레버 본체(251)는 판면이 도어 본체(220)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251)는 포켓부(230)의 전방벽면 즉, 도어 전면커버(225)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레버 본체(251)는 포켓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251)는 포켓부(230)의 전방벽면 즉, 도어 전면커버(225)와 비슷한 높이를 갖는다. 한편, 레버 본체(251)의 외측 단부영역 즉, 상측 단부영역에는 레버 커버(253)가 절곡 연장되어 있다.
레버 커버(253)는 레버 본체(251)의 상측 단부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포켓부(230)의 전방벽면과 레버 본체(251) 사이를 커버한다. 레버 커버(253)는 곡면으로 마련된다. 레버 커버(253)는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하는 부분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버 커버(253)는 폐쇄위치(A)에서 포켓부(230)의 전방벽면과 레버 본체(251) 사이를 커버하며, 폐쇄위치(A)에서 개방위치(B)로 이동시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 본체(2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에, 레버 커버(253)는 포켓부(230)의 전방벽면 즉, 도어 전면커버(225)와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틈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힌지부(260)는 레버(250)의 하부에 마련되어, 레버(250)를 도어 본체(22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힌지부(260)는 레버(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영역에 마련된다. 이에, 힌지부(260)가 레버(250)를 도어 본체(220)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힌지부(260)는 힌지축(261)과, 힌지축 결합부(263)를 포함한다.
힌지축(261)은 레버 본체(251)의 하부영역에 레버(250)의 길이방향 즉, 도어 본체(220)의 폭 방향과 평행한 축 방향을 갖도록 마련된다. 힌지축(261)은 레버 본체(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된다. 힌지축(261)은 힌지축 결합부(263)에 의하여 도어 본체(220)에 결합된다.
힌지축 결합부(263)는 힌지축 수용부(265) 및 체결부(267)를 갖는다.
힌지축 수용부(265)는 힌지축(261)의 외주를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265a)을 형성하도록 고리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도어본체(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 결합부(263)와 마주보며 결합하여 힌지축(261)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즉, 힌지축 결합부(263)의 힌지축 수용홈(265a)와 도어본체(220)의 힌지축 수용홈(227)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으로 마련되어 상호 맞대기 결합에 의하여 힌지축(261)의 둘레를 감싼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힌지축 수용홈(265a)이 형성된 힌지축 결합부(263)를 마련하고 도어 본체(220)에 힌지축 수용홈(227)을 형성하여 상호 맞대기 결합을 시켜 힌지축(261)의 둘레를 감싸는 결합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도어 본체(220)에 힌지축(261)이 결합되는 힌지축 삽입공(미도시)를 마련하여 힌지축(261)을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립 및 분해,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힌지축 수용홈(265a, 227)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다. 그러나, 힌지축(261)에 윤활유가 도포될 수도 있다. 이에, 레버(25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체결부(267)는 힌지축 수용부(265)로부터 도어 본체(220)의 판면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 본체(220)에 스크루 결합된다.
한편, 힌지축 결합부(263)는 힌지축 수용부(265)로부터 제1 저장실(110a)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 본체(220)의 내부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부(26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부(269)는 힌지축(261)을 도어 본체(220)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가압부(270)는 레버(250)의 회동에 따라 힌지부(260)를 중심으로 레버(25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280)를 가압 및 가압해제한다. 즉, 상하 방향을 따라 레버(250), 힌지축(261) 및 가압부(2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레버(25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270)는 레버(25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후방으로 회전된다.
가압부(270)는 도어 본체(220)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된다. 즉, 가압부(270)는 레버(250)의 양단부 영역의 하부에 한 쌍이 마련된다.
슬라이더(280)는 도어 본체(220)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된다. 즉, 슬라이더(280)는 한 쌍의 가압부(270)에 대응하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슬라이더(280)는 핸들부재(240)의 회동에 따라 도어 본체(220)로부터 돌출되어 본체 캐비닛(100)을 가압하는 개방위치(B)와, 도어 본체(220)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A)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슬라이더(280)는 가스켓(221)의 외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80)는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를 가지며, 가압부(270)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개방위치(B) 및 폐쇄위치(A) 사이를 이동한다.
개방위치(B)는 가압부(270)로부터 후방 가압력을 전달받아 도어 본체(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저장실(110a)의 양 측벽(111)의 전면을 가압함으로써 도어 본체(220)를 본체 캐비닛(1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슬라이더(280)의 위치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레버(250)가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면, 가압부(270)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가압부(270)는 슬라이더(280)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개방위치(B)로 이동시킨다.
폐쇄위치(A)는 가압부(270)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도어 본체(220)의 내부로 수용되는 슬라이더(280)의 위치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레버(250)가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면, 가압부(27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가압부(270)는 슬라이더(280)의 가압을 해제하므로 슬라이더(280)를 폐쇄위치(A)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280)는 도어 본체(220)의 동일한 판면방향을 가지고 가압부(270)와 대면하는 슬라이더 헤드(281)와 슬라이더 헤드(281)로부터 제1저장실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 스틱(285)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핸들부재(240)를 작동시켜 한 쌍의 슬라이더(280)가 제1 저장실(110a)의 양 측벽(11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어,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제1 도어(20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280)가 제1 저장실(110a)의 상부벽(113)의 전면을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양 측벽(111)의 전면을 가압함으로써, 핸들부재(240)의 회동 거리가 짧아도 제1 도어(20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200, 300, 400)는 슬라이더(280)가 폐쇄위치(A)를 유지하도록 핸들부재(240) 또는 슬라이더(28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290)는 슬라이더(280)에 전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탄성부재(290)의 일단은 도어 본체(220)에 지지되며, 타단은 슬라이더(280)에 지지된다. 여기서, 슬라이더 헤드(281)의 판면에는 탄성부재(290)의 타단을 수용 및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28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어(300)의 구성은 제1 도어(2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어(200)의 포켓부(230)가 도어 본체(220)의 상측판면 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포켓부(230)는 도어 본체(220)의 하측판면, 좌우측 판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핸들부재(240) 및 슬라이더(280)는 설치 방향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제3 도어(400)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도어(200)와 동일하게 포켓부(430)와, 핸들부재(440)와, 슬라이더(480)의 구조를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어(400)의 포켓부(430), 핸들부재(440) 및 슬라이더(480)는 제1 도어(200)와 설치 방향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세부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켓부(230), 핸들부재(240) 및 슬라이더(280)의 구조가 제1 도어(200), 제2 도어(300) 및 제3 도어(400)에 모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서랍식 도어인 제1 도어(200) 및 제2 도어(300)에만 장착될 수도 있으며, 회동 개폐식 도어인 제3 도어(400)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개폐식 도어 및 입출 개폐식 서랍식 도어를 모두 구비한 스탠드형 김치 냉장고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동 개폐식 도어 및 입출 개폐식 도어 하나 이상을 갖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포켓부(230), 핸들부재(240) 및 슬라이더(280)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도어(200)의 개폐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도어(200)의 개폐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평상시 슬라이더(280)는 탄성부재(290)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위치(A)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는 포켓부(230)에 손을 삽입하고 탄성부재(290)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크기의 힘으로 레버(250)의 판면을 바스켓(210)의 인출방향 즉, 전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레버(250)가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압부(270)가 후방으로 회전한다.
가압부(270)는 슬라이더(280)를 가압하며, 슬라이더(280)는 도어 본체(220)로부터 돌출되어 개방위치(B)로 이동한다.
슬라이더(280)의 가압력에 의하여 가스켓(221)이 본체 캐비닛(100)으로부터 이격되며, 제1 저장실(110a)의 고내압이 파괴된다.
사용자는 레버(250)의 판면을 전방으로 더욱 가압하여 바스켓(210)을 제1 저장실(110a)로부터 원하는 위치까지 인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본체(22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는 핸들부재(240) 및 핸들부재(240)의 회동에 따라 도어 본체(220)로부터 돌출되어 본체 캐비닛(100)을 가압하는 슬라이더(280)를 마련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본체(220)의 두께 면으로부터 함몰된 포켓부(230)에 핸들부재(240)를 마련함으로써, 핸들부재(240)가 도어 본체(2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의 절취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의 개폐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100 : 본체 캐비닛
110 : 저장실 200 : 제1 도어
210 : 바스켓 220 : 도어 본체
230 : 포켓부 240 : 핸들부재
250 : 레버 260 : 힌지부
270 : 가압부 280 : 슬라이더
290 : 탄성부재 300 : 제2 도어
400 : 제3 도어
A : 폐쇄위치 B : 개방위치

Claims (22)

  1.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켓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포켓부 내에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들의 전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본체캐비넷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각각은 상기 폐쇄위치에서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과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 는 힌지부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레버의 복수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 결합부 및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어본체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과 상기 레버본체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켓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영역에 마련되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포켓부 내에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들의 전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본체캐비넷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각각은 상기 폐쇄위치에서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과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 결합부 및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어본체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과 상기 레버본체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 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전방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측부에 사용자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함몰 형성된 포켓부와;
    상기 도어본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영역에 마련되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포켓부 내에 마련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들의 전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본체캐비넷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을 가압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도어본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각각은 상기 폐쇄위치에서 일부가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의 전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과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상기 도어본체에 결합하는 힌지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 결합부 및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어본체의 판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본체와;
    상기 레버본체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포켓부의 전방벽면과 상기 레버본체의 사이를 커버하는 레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090101921A 2009-08-27 2009-10-26 냉장고 KR10151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1921A KR101510759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
US12/659,661 US8328301B2 (en) 2009-08-27 2010-03-16 Refrigerator
EP10162902.0A EP2299213B1 (en) 2009-08-27 2010-05-17 Refrigerator
CN201510431322.6A CN105020958B (zh) 2009-08-27 2010-07-07 冰箱
CN201010224935.XA CN102003862B (zh) 2009-08-27 2010-07-07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1921A KR101510759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72A KR20110045372A (ko) 2011-05-04
KR101510759B1 true KR101510759B1 (ko) 2015-04-10

Family

ID=4424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1921A KR101510759B1 (ko) 2009-08-27 2009-10-2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7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20A (ko) * 2002-04-20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KR20070077841A (ko) * 2006-01-25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090179540A1 (en) 2008-01-11 200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n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90090142A (ko) * 2008-02-20 2009-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20A (ko) * 2002-04-20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KR20070077841A (ko) * 2006-01-25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090179540A1 (en) 2008-01-11 200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n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90090142A (ko) * 2008-02-20 2009-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72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301B2 (en) Refrigerator
CA2755901C (en) Refrigerator
KR101424554B1 (ko)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2634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열림장치
EP2182311B1 (en) Refrigerator with a door opening device
KR20150082065A (ko) 냉장고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KR20150102417A (ko) 냉장고
KR20120124693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US7543897B2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refrigerator
US9506685B2 (en) Refrigerator
KR20190139606A (ko) 냉장고
US20220260304A1 (en) Refrigerator
EP2638342A2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lidable door shelf with a rotating cover
KR101510759B1 (ko) 냉장고
WO2015163193A1 (ja) 箱体の扉
CN111051800A (zh) 冰箱
KR100608952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100704661B1 (ko) 김치냉장고
KR102004446B1 (ko) 냉장고
JP5606490B2 (ja) 冷蔵庫扉
EP4027085A1 (en) Refrigerator
KR20140074522A (ko) 냉장고
KR102093448B1 (ko) 냉장고
JP7449675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