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296B1 - 단방향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단방향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296B1
KR101510296B1 KR20140157073A KR20140157073A KR101510296B1 KR 101510296 B1 KR101510296 B1 KR 101510296B1 KR 20140157073 A KR20140157073 A KR 20140157073A KR 20140157073 A KR20140157073 A KR 20140157073A KR 101510296 B1 KR101510296 B1 KR 10151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iving
transmitting
data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형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드
Priority to KR2014015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4Adaptation or special uses of UDP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2Queue service order
    • H04L47/6225Fixed service order, e.g. Round Rob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방향 통신 장치로서,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신뢰성 있는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거나 버퍼링 송신하는 송신단;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수신단; 상기 수신단의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단에 송신하는 수신 상태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방향 통신 장치{Unidirectional Communication Gateway}
본 발명은 단방향 통신 장치로서,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신뢰성 있는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반의 통신 서비스들은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상위에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해 주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비 신뢰성 통신을 제공해 주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TCP 통신은 다양한 제어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전송한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 속도의 조절을 통해 수신측에서 안정적으로 메시지의 수신을 보장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TCP는 신뢰성 있는 메시지의 수신을 보장해 주지만, 다양한 제어 메시지의 교환을 위해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자료의 재전송을 위해서 일대일 전송만 지원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은 비 신뢰성을 가지는 전송 서비스로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좋으며,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및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이 가능한 통신 서비스이다.
그러나 UDP 통신은 송신측에서 수신측의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단 PC(10)와 수신단 PC(20)가 UDP 통신을 하는 경우, 송신단 PC(10)는 수신단 PC(20)의 상태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송신하게 되고, 따라서 송신단 PC(10)에서 데이터 수신 상태에 대한 확인과 이로 인한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UDP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UDP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함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같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수신자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복잡한 전송 매커니즘이 아니라 신뢰성을 가지면서도 단순화된 매커니즘을 가지는 UDP 기반의 전송 방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6852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신뢰성을 가지면서도 단순화된 단방향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송신측(Tx)과 수신측(Rx) 사이에 RS-232C 케이블과 같은 물리적인 연결없이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거나 버퍼링 송신하는 송신단;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수신단; 상기 수신단의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단에 송신하는 수신 상태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상태 전송 수단은,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수신 상태를 제공받아 상기 수신 상태에 따른 발광 결정값을 생성하는 발광 결정값 생성부; 상기 발광 결정+값을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센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발광 결정값에 따른 광 출력이 이루어지는 발광 센서; 상기 발광 센서에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방향 수신하여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UDP 수신 모듈; 상기 UDP 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신 처리부; 상기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를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에 제공하는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포트는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와 USB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는,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의 인가 여부와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에 따라서 상기 발광 결정값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는,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이 제공되지 않거나,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 상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는,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에 전력이 인가되고,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인 경우, 상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온(ON)으로 결정하며,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에 전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상기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 상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은, 상기 UDP 수신 모듈과 수신 처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UDP 수신 모듈을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상기 수신 처리부에 제공하는 수신단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단은,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는 송신단 버퍼;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상태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상태가 수신 불능 상태이면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신단 버퍼에 저장하고, 수신 가능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송신단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방향 송신하는 UDP 송신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방향 통신 장치는,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 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UDP 송신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단에 전달하는 송신단 스위칭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블과 같은 물리적인 연결없이 송신측(Tx)과 수신측(Rx) 사이에 광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단방향 통신에서 수신 상태 확인을 위한 수단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Tx)에 버퍼링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송신측(Tx)과 수신측(Rx) 사이의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UDP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송신단 PC와 수신단 PC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DP 단방향 통신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DP 단방향 통신 장치에서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세부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DP 단방향 통신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DP 단방향 통신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DP 단방향 통신 장치에서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세부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DP 단방향 통신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네트워크 보안 관련하여 시스템의 안정화를 바탕으로 이중화된 네트워크를 구성(내부망/외부망의 망분리)하는 추세에 따라서 내부망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외부망으로 전송 처리함에 있어서 외부망의 수신단(210)(Rx) 측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같은 단방향 통신의 경우 수신단(210)(Rx) 측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송신단(110)(Tx) 측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결국, 전송되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방향 통신 장치는 송신단(110) 및 수신단(210)을 이용하여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질 때, 송신단(110)에서 수신단(210)의 수신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상태 전송 수단(300)을 별도로 구비하도록 한다.
수신 상태 전송 수단(300)은, 수신단(210)의 수신 상태를 송신단(110)에 무선 송신한다. 수신단(210)의 수신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이 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신 상태 전송 수단(300)은 수신단(210)의 수신 상태를 송신단(11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별도의 케이블없이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수신 상태 전송 수단(300)은, 수신단(210)으로부터 수신 상태를 제공받아 수신 상태에 따른 발광 결정값을 결정하는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와, 발광 결정값을 복원하는 발광 결정값 복원부(310), 결정된 발광 결정값을 송신단(110)에 제공하는 센서 수단(320,330)을 포함한다.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USB To I/O)는 수신단(210)의 USB 포트(214)(universal serial bus port)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상태에 따라서 발광 결정값을 생성하는데, 이를 위해 USB 포트(214)(universal serial bus port)와 연결된다.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와 USB 포트(214)는 USB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USB 포트(214)는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없이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에 연결된 USB 통신 라인을 USB 포트(214)에 꽂음으로써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는 수신단(210)의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로 구동 전력의 인가되었는지와,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로 출력되는 출력값의 종류에 따라서 발광 결정값을 결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로 구동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단말기(200)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아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로 구동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수신 단말기(200)의 프로그램이 멈추어서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는,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이 제공되지 않거나,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여 생성한다. 수신 단말기(200)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정상적인 상태가 아닌 비정상 상태임을 알리도록,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이밖에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는,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이 제공되고, 아울러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인 경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온(ON)으로 결정한다. 정상적으로 수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공급되며, 또한 수신 단말기(200)의 동작 프로그램이 동작되고 있어 데이터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리도록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온(ON)으로 결정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반면에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이 제공되더라도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에는,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한다.
한편, 수신 상태 전송 수단(300)은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에서 생성한 발광 결정값을 송신단(110)에 제공하는 센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수단은, 발광 결정값에 따른 광 출력이 이루어지는 발광 센서(330)와, 발광 센서(330)에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 센서(33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하여 송신단(110)에 제공하는 수광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결정값이 발광 온(ON)인 경우, 발광 센서(330)는 광을 발광하며, 마주보며 대향된 수광 센서(320)는 이를 수렴하여 송신단 스위칭 허브(120)를 거쳐서 송신단(110)에 제공된다. 이러한 발광 센서(330) 및 수광 센서(320)로 구현함으로써, RS-232C 케이블과 같은 별도의 물리적 연결없이도 수신단(210)의 수신 상태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참고로, 발광 센서(330)는 LED 광원, 레이저빔 광원,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이 발광하는 다양한 소자가 발광 센서(33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상태 설정 수단은 발광 결정값 복원부(310)를 구비한다. 발광 결정값 복원부(310)는 수광 센서(320)에서 광의 수광(검출) 여부에 따라서 그 결과를 수치화하여 송신단(11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광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1'을 생성하여 송신단(110)에 제공하며, 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생성하여 송신단(110)에 제공한다.
한편, 수신단(210)은, 수신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송신단(11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200)에 제공하며, 수신 단말기(200)의 수신 상태를 송신단(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수신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디코딩(docoding) 복원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롬(ROM)이나 램(RAM)에 상주하여 OS(Operating System)의 관리하에 동작한다. 수신 단말기(2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수신단(210)은, UDP 수신 모듈(213), 수신 처리부(211), USB 포트(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수신단 버퍼(212), 수신단 스위칭 허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UDP 수신 모듈(213)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방향 수신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은 비 신뢰성을 가지는 전송 서비스로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좋으며,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및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이 가능한 단방향 통신 서비스이다. 따라서 UDP 수신 모듈(213)은 UD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UDP 수신 모듈(213)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수신 단말기(200)에 제공될 때, 수신되는 즉시 실시간으로 직접 제공할 수 있지만, 별도의 수신단 버퍼(212)를 거쳐서 제공될 수 있다. 수신단 버퍼(212)는, UDP 수신 모듈(213)과 수신 처리부(211) 사이에 위치하여, UDP 수신 모듈(213)을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수신 처리부(211)에 제공할 수 있다. 수신단 버퍼(212)를 둠으로써, 수신단(210)을 통한 수신 속도와 수신 단말기(200)의 데이터 처리 속도간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손실없이 처리 가능하게 된다.
수신단 스위칭 허브(220)는, 다수의 수신단(210)을 네크워크로 그룹핑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수신단(220)에 연결되는 여러대의 수신 단말기(200)가 수신단 스위칭 허브(22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USB 포트(214)는, 수신 단말기(200)의 수신 상태를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에 제공한다. 수신 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어 수신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수신 가능 상태임을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에 제공한다. 반면에 수신 단말기(200)가 전원 오프(power off)되어 있거나 구동 오프(off)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수신 불능 상태임을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수신 가능 상태, 수신 불능 상태 등을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에 제공하기 위하여, USB 포트(214)는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와 USB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USB 포트(214)는 데이터 단자 이외에도 주변 기기에 전력(5V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단자를 구비한다. USB 포트(214)가 VCC(+), D-, D+, GND(-)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수신 단말기(200)가 전원 오프(power off)되어 있는 경우 USB 포트(214)의 VCC(+) 단자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수신 단말기(200)의 전력선과 USB 포트(214)의 VCC(+) 단자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수신 단말기(200)가 전원 오프(power off)될 시에 USB 포트(214)의 VCC(+) 단자 역시 전력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또한 수신 단말기(200)의 OS나 동작 프로그램이 정지된 경우에는 수신 처리부(211)는 D-, D+ 단자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으로 설정한다. 수신 처리부(211)는, 수신 단말기(200)에 지속적으로 ACK(Acknowledge) 등의 신호를 보내 수신 단말기(200)가 이에 응답(response)할 경우 데이터 단자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인가되도록 하며, 수신 단말기(200)에 ACK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 단자에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을 인가하지 않는다.
참고로, 수신 처리부(211)는 OS, 수신 단말기(200)와 지속적으로 확인 메시지(ACK)를 주고 받아 수신 단말기(200)가 죽지 않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을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에 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214)가 VCC(+), D-, D+, GND(-)의 4개의 단자로 이루어진 경우, 수신 처리부(211)는 USB 포트(214)의 D-, D+ 데이터 단자에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예컨대, 미리 설정된 '11' 또는 '10')을 싣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USB 포트(214)가 VCC(+), D1-, D1- D1+, D2+ GND(-)의 6개의 단자로 이루어진 경우, 수신 처리부(211)는 USB 포트(214)의 D1-, D1- D1+, D2+의 데이터 단자에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예컨대, 미리 설정된 '1111' 또는 '1010')을 싣는 것이다. 만약, 수신 단말기(200)의 구동 프로그램이 정지된 경우라면,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에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실리지 않고 임의의 쓰레기값(garbage data)이 실리게 된다.
한편, 송신단(110)은 송신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수신 단말기(200)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거나 버퍼링 송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기(200)가 전원 오프(Power OFF)되어 꺼져 있거나, 수신 단말기(200)의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동작이 멈춘 구동 오프(Operating OFF)되어 꺼져 있는 경우, 수신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수신 불능 상태에 놓인다. 수신 단말기(200)가 이러한 수신 불능 상태에 놓인 경우, 송신 단말기(100)가 송신단(110)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수신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해 전송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200)의 수신 상태가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전원 오프(Power OFF) 또는 동작이 멈춘 구동 오프(Operating OFF) 상태인 경우, 송신단(110)은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수신단(210)으로 전송하지 않고 대신에 송신단 버퍼(112)에 저장한다.
송신단(110)은 송신단 버퍼(112), 송신 처리부(111), UDP 송신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단 버퍼(112)는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한다. 수신 단말기(200)가 전원 오프(power off) 또는 구동 오프(operating off)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송신단 버퍼(112)는 선입선출(FIFO;First Input First Output) 방식으로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먼저 제공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고, 수신이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되면 먼저 버퍼링된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하게 된다.
송신 처리부(111)는 수광 센서(32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상태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수신 상태가 수신 불능 상태이면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송신단 버퍼(112)에 저장하고, 수신 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 송신단 버퍼(112)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에 전력이 인가되고,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인 경우,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가,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온(ON)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발광 센서(330)는 발광하게 되고, 수광 센서(320)는 이러한 광을 수신하여 광이 검출되었음을 송신 처리부(111)로 전달한다. 광이 검출됨을 전달받은 송신 처리부(111)는, 수신 단말기(200)의 수신 상태가 수신 가능 상태로 판단하고,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단(210)으로 전송한다.
반대로, USB 포트(214)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이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USB 포트(214)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 발광 결정값 생성부(340)는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발광 센서(330)는 아무런 광을 발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광 센서(320)는 광이 검출되지 않음을 발광 결정값 복원부(310)에 전달하고, 발광 결정값 복원부(310)는 송신단 스위칭 허브(120)을 거쳐서 송신 처리부(111)로 전달한다. 광이 검출되지 않음을 전달받은 송신 처리부(111)는, 수신 단말기(200)의 수신 상태가 수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고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송신단 버퍼(112)에 저장한다. 그 후 지속적으로 광이 검출되는지를 파악하여, 광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 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송신단(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단(210)에 송신한다.
한편, UDP 송신 모듈(113)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단(210)으로 단방향 송신한다. UDP 송신 모듈(113)은 단방향 통신 서비스로서 UD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UDP 송신 모듈(113)과 UDP 수신 모듈(213)은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별도의 송신단 스위칭 허브(120)를 통하여 UDP 수신 모듈(213)과 연결될 수 있다.
송신단 스위칭 허브(120)는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허브로서, 수신단(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상태를 송신 처리부(111)에 전달하며, 반대로 UDP 송신 모듈(113)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단(210)의 UDP 수신 모듈(213)로 전송한다. 또한 송신단 스위칭 허브(120)는 여러대의 송신단(110)을 네트워크로 그룹핑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러대의 송신단(110)이 송신단 스위칭 허브(12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UDP 단방향 통신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으로서, 송신단(110)과 수신단(210)이 발광 센서 및 수광 센서로 이루어진 수신 상태 전송 수단(300)에 의해 수신 상태를 수신받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송신 단말기 110:송신단
120:송신단 스위칭 허브 210:수신단
220:수신단 스위칭 허브 300:수신 상태 전송 수단

Claims (11)

  1.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거나 버퍼링 송신하는 송신단;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수신단; 및
    상기 수신단의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단에 무선 송신하는 수신 상태 전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상태 전송 수단은,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수신 상태를 제공받아 상기 수신 상태에 따른 발광 결정값을 생성하는 발광 결정값 생성부; 상기 발광 결정값을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센서 수단; 상기 발광 결정값에 따른 광 출력이 이루어지는 발광 센서; 및 상기 발광 센서에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송신단에 제공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는 송신단 버퍼;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상태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상태가 수신 불능 상태이면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신단 버퍼에 저장하고, 수신 가능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송신단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방향 송신하는 UDP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방향 수신하여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UDP 수신 모듈;
    상기 UDP 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신 처리부;
    상기 수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를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에 제공하는 USB 포트;
    를 포함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와 USB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단방향 통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는,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의 인가 여부와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에 따라서 상기 발광 결정값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는,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의 구동 전력이 제공되지 않거나,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 상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광 결정값 생성부는,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에 전력이 인가되고,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인 경우, 상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온(ON)으로 결정하며,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에 전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단자의 출력값이 상기 프로그램 구동 알림값이 아닌 경우, 상기 발광 결정값을 발광 오프(OFF)로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UDP 수신 모듈과 수신 처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UDP 수신 모듈을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상기 수신 처리부에 제공하는 수신단 버퍼;
    를 포함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통신 장치는,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상태를 상기 송신 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UDP 송신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단에 전달하는 송신단 스위칭 허브;
    를 포함하는 단방향 통신 장치.
KR20140157073A 2014-11-12 2014-11-12 단방향 통신 장치 KR10151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073A KR101510296B1 (ko) 2014-11-12 2014-11-12 단방향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073A KR101510296B1 (ko) 2014-11-12 2014-11-12 단방향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296B1 true KR101510296B1 (ko) 2015-04-10

Family

ID=5303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7073A KR101510296B1 (ko) 2014-11-12 2014-11-12 단방향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2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926B1 (ko) 2016-03-17 2016-08-01 주식회사 에이드 Gps 시간 동기화를 적용한 단방향 통신 장치
KR101842489B1 (ko) * 2018-01-23 2018-03-27 (주)온리정보통신 브로드캐스팅 단방향 통신 장치
KR102010572B1 (ko) 2018-05-31 2019-08-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독립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한 일방향 자료전달 장치
KR102014714B1 (ko) 2018-07-13 2019-08-27 류창욱 지피에스 수신기를 활용한 타임 서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48B1 (ko) * 2006-03-13 2007-04-2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망 분리 구조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94839A (ja) * 2006-01-18 2007-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伝送システム
KR20090123431A (ko) * 2008-05-28 2009-12-02 (주)케이티엔에프 외장형 fod 장치
US20100275031A1 (en) 2009-04-23 2010-10-28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securely transmitting control data from a secure network
KR20130011751A (ko) *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알에프정보 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839A (ja) * 2006-01-18 2007-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伝送システム
KR100710648B1 (ko) * 2006-03-13 2007-04-2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망 분리 구조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3431A (ko) * 2008-05-28 2009-12-02 (주)케이티엔에프 외장형 fod 장치
US20100275031A1 (en) 2009-04-23 2010-10-28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securely transmitting control data from a secure network
KR20130011751A (ko) *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알에프정보 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926B1 (ko) 2016-03-17 2016-08-01 주식회사 에이드 Gps 시간 동기화를 적용한 단방향 통신 장치
KR101842489B1 (ko) * 2018-01-23 2018-03-27 (주)온리정보통신 브로드캐스팅 단방향 통신 장치
KR102010572B1 (ko) 2018-05-31 2019-08-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독립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한 일방향 자료전달 장치
KR102014714B1 (ko) 2018-07-13 2019-08-27 류창욱 지피에스 수신기를 활용한 타임 서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296B1 (ko) 단방향 통신 장치
US9941748B2 (en) Optical communication and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use
EP370968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06031055A (zh) 具有可见光通信和基于ip的射频连接的多功能智能led系统
EP4462239A3 (en) Electronic device sharing peripheral device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EP3706449A3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US116067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storage medium
CN101490974B (zh) 通信设备和限制通信设备传输的电力和数据的量的方法
CN106155944B (zh) 设备配置方法、装置和系统
KR20190083214A (ko)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데이터 송수신 방법
Sonawane et al. Complete Data Transmission using Li-Fi Technology wit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640926B1 (ko) Gps 시간 동기화를 적용한 단방향 통신 장치
US20160080894A1 (en) Bluetooth device, project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JP6152020B2 (ja) デバイス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6012827A (ja) 光送受信装置
JP2018056619A (ja) 電子機器
KR101842489B1 (ko) 브로드캐스팅 단방향 통신 장치
US7647442B2 (en) Series-connected control system
CN204364869U (zh) 带蓝牙接收器的蓝牙游戏手柄
CN111930662A (zh) 一种扫描枪底座
CN108984222A (zh) 一种云台固件升级方法及系统
JP2018190256A (ja) データ転送装置
KR200488268Y1 (ko)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전원 개별 제어 장치
RU2016149623A (ru)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оптический кабель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вета
CN107103826A (zh) 激光通讯演示装置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