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143B1 -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143B1
KR101509143B1 KR20130012552A KR20130012552A KR101509143B1 KR 101509143 B1 KR101509143 B1 KR 101509143B1 KR 20130012552 A KR20130012552 A KR 20130012552A KR 20130012552 A KR20130012552 A KR 20130012552A KR 101509143 B1 KR101509143 B1 KR 10150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imensional
scann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2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9756A (en
Inventor
서희석
박현철
조인제
Original Assignee
(주)다인디지컬처
(주)다인조형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인디지컬처, (주)다인조형공사 filed Critical (주)다인디지컬처
Priority to KR2013001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1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9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36Level of det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등고 색상 레벨, 이미지 표면 레벨을 제공함으로써 단순 이미지만으로도 깊이 및 형태 크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종의 프로그램 상에서도 호환 가능한 파일로 제작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3차원 데이터로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와; 추출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각 층별 레벨을 등고선으로 나누어 추출하는 등고 레벨 표시 단계와; 각 층별 색상 레벨을 등고선 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이미지 표면 레벨 표시 단계와; 이미지 표면 레벨이 처리된 데이터의 단면 추출, 라인 추출, 이미지 추출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프로그램 상에서 호환 가능한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th and shape size can be easily grasped by providing a uniform color level and an image surface level by utilizing three-dimensional data,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mpatible file even in a heterogeneous program.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image of a scene as three-dimensional data; An equal level display step of extracting the level of each layer of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data by contour lines; An image surface level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color levels of each layer separately for each contour line; And a fil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image surface level into a file compatible on a program to be reproduced so that the processed image data can be subjected to a section extraction, a line extraction, and an image extracti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is provided.

Description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a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굴 현장의 이미지로 추출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도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편집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investigating cultural properties and analyzing ero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by u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extracted from an image of a digging si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cessing a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archaeological survey and archaeological analysis.

일반적으로 문화재 관련 고고학 연구의 첫 단계로 발굴지 및 유구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게 된다. In general, the first step in the study of archaeological artefacts related to cultural properties is to carry out an investigation of the excavated sites and estuaries.

이때, 발굴지 및 유구 조사는 단순히 유물을 건져내는 작업이 아니라 유물이 유적 안에서 어떤 상황 아래 놓여 있는지, 유물과 다른 유물과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 밝혀야 하며, 유적 전체의 성격과 문화, 역사적인 사실을 고려하면서 조사되어야 한다. At this time, it is not a task to rescue artifacts, but to reveal how artifacts are located under what conditions in the remains, how they relate to artifacts and other artifact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 culture, and historical facts of the entire remains Should be investigated.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위해 많은 기록과 자료를 남길 수 있도록,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에 있어서 실측을 하고 사진촬영 등을 한 후, 이를 기록화하여 연구에 필요한 자료로 제공하여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make a lot of records and data for this research, it should be measured and photographed in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eternity, and then it should be recorded and provided as the data necessary for the research.

기존의 발굴 방법을 살펴보면 바둑판식 및 사분법과 계단식 발굴 등을 통해 발굴 구덩을 벗겨내는 방식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층이 어떻게 쌓이고 서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분석하여 유물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Existing excavation methods were carried out by peeling off excavation pits through tile, quadrature, and cascade excavation. Through this analysis, how the strata were piled up and how they connected with each other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통한 보고서 작성 내용에는 발굴경위 및 경과, 역사적 환경 및 발굴조사 등을 포함하도록 작성되며, 조사 성과 이외에 도면, 사진 등이 포함되어 학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토록 하고 있다. The contents of the report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and analyzes are written to include excavation history, progress, historical environment,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In addition to the survey results, drawings and photographs are included as basic data for academic research.

특히 도면 작성에 대한 기존 방법을 살펴보면, 발굴 현장에서 일정한 바둑판 형식으로 나누어 모눈종이에 그리는 방법과, 항공사진이나 스틸 사진을 바탕으로 3차원 스캐닝을 생성하여 학예 연구원 및 학예사가 일러스트를 이용해 드로잉을 수행하여 도안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In particular, if you look at the existing methods of drawing creation, you can draw on a grid paper by dividing it into a regular checkerboard form at the excavation site, and create 3D scanning based on aerial photographs or still photographs. And there is a method of performing a drawing ope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진이나 2D 사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일러스트 및 캐드 화면에 백그라운드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라인을 드로잉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적절한 스케일 및 치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 정확한 자료로 사용되기가 어렵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a line is drawn by drawing an aerial photograph or a 2D photo image with the background open on the illustration and CAD screen.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an appropriate scale and dimensions is included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n accurate data.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 스케일 및 실측 정보를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이미지화하여 백그라운드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라인을 드로잉하여 제작하게 되므로, 디자인 전문 소프트웨어인 일러스트를 이용하게 되면 라인 드로잉 추출이 어렵고, 학예 연구원 및 학예사가 작업할 경우 3차원 데이터의 이해 부족과 3차원 데이터의 평면상의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워 정확한 라인 추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utilizing three-dimensional data, scale and actual information remain intact. However, in this case as well, since a line is drawn by being drawn with the background open, It is difficult to extract the line drawing by using the professional software,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boundary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from the three-dimensional data becaus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when the researcher and the curator are working. It takes a lot.

또한 정밀 실측을 통한 3차원 데이터는 치수 입력과 형태 분석이 가능한 정보와 더불어 평면, 입면, 단면 등 여러 가지 활용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도안 및 도면 작업과정은 3차원 데이터를 캡처 또는 이미지로 변환하여 2D 이미지 상에서 일러스트와 캐드를 이용하여 드로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연구보고를 위해 발굴 기관 등 당사자가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필요한 자료를 만들고 추출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용역 기관에서 납품 형태로 제공받는 도면의 수정이나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추출은 사실상 매우 어렵다.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data through precision measuremen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lane, elevation, and section, as well as information capable of inputting dimensions and analyzing the shape. However, to date, drawing and drawing work processes have been performed by capturing or converting three-dimensional data into an image and using drawing and CAD drawing on a 2D image, It is very difficult to modify the drawings and to extract the data that is required in the form of delivery from the service organiza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necessary data is to be created and extracted.

따라서 상기의 방법으로는 3D 스캐닝 업체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며 발굴 기관이나 문화재 기관에서는 이미지의 깊이 및 높낮이를 확인하기 어려워 바로 그리지 못하는 어려운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굴기관의 전문가의 도면과 비전문가의 도면은 그 자체로 많은 수준 차이가 있고 각 기관마다의 요구하는 성격도 상이하여 재수정 요구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work only by a 3D scanning company,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depth and height of images in excavation or cultural institutions, and there are difficulties that can not be drawn. In addition, drawings of experts of excavation institutions and drawings of non- There are many levels of difference in itself, and the demands of each institution are also different.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이미지의 깊이 및 높낮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추출된 3차원 스캐닝 데이터에 색상 등고선과 색상 레벨을 표시하도록 이미지 편집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And to provide a 3D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analysis and analys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 요구사항에 따른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추출할 수 있도록, 이미지 편집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3차원 PDF 파일로 생성하도록 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scanned data from three-dimensional PDF files for the purpose of extracting data according to a necessary requirement by a user, And a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3차원 데이터로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와; 추출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각 층별 레벨을 등고선으로 나누어 추출하는 등고 레벨 표시 단계와; 각 층별 색상 레벨을 등고선 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이미지 표면 레벨 표시 단계와; 이미지 표면 레벨이 처리된 데이터의 단면 추출, 라인 추출, 이미지 추출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프로그램 상에서 호환 가능한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image of an excavation site as three-dimensional data; An equal level display step of extracting the level of each layer of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data by contour lines; An image surface level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color levels of each layer separately for each contour line; And a fil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image surface level into a file compatible on a program to be reproduced so that the processed image data can be subjected to a section extraction, a line extraction, and an image extracti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는,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캔 단계와; 개별 취득된 복수개의 스캐닝 데이터들을 하나의 절대좌표로 정합하는 정합 단계와; 정합되어 생성된 초기 원시데이터인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 표면화를 통해 폴리곤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변환된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서 도면에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으로 나누어 메시구조화하는 영역설정 단계와; 각각의 메쉬구조 동일화 단계를 거친 데이터를 하나의 속성을 갖고 있는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병합 단계와; 병합된 데이터의 수직 값 및 수평 값을 좌표에 맞추어 정각 뷰를 설정하는 전체 수직수평 설정 단계와; 드로잉하기 위한 정각 뷰에 맞추어 육면도 및 입체도를 고해상도 이미지로 추출하는 정각 뷰 캡처 단계와; 추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실제 대상체와의 크기를 일치시켜 주는 이미지 스케일 맞춤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step may include: a scanning step of scanning an image of a digging site; A matching step of matching a plurality of individually acquired scanning data with one absolute coordinate; 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point data, which is initial raw data generated by matching, into polygon data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An area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converted polygon data into a part necessary for the drawing and an unnecessary part; A merging step of converting the data having undergone each mesh structure identification step into one data having one attribute; A full vertical and horizontal setting step of setting a vertical view by match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alues of the merged data to the coordinates; A full-size view capturing step of extracting a cube and a stereoscopic view into a high-resolution image in accordance with a full-size view for drawing; And an image scale fitting step of matching the extracted high resolution image with the size of the actual obj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캔 단계는, 물체의 형상을 스캐닝하기 위한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광범위한 지역을 스캐닝하도록 GPS와 연동한 광파기로 스캐닝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nning step generates a scanning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for scanning the shape of an object and a light wave synchronized with the GPS to scan a wide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고 레벨 표시 단계는, 이미지에 맞는 등고선을 추출하는 등고선 추출단계와; 추출된 등고선 레벨에 따른 색상을 매핑하는 색상 매핑 단계와; 색상이 부여된 등고 라인을 3차원 데이터 이미지와 병합하는 이미지 병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al level display step may include: a contour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 contour line corresponding to the image; A color mapping step of mapping colors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ntour lev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mage merging step of merging the colored contour lines with the three-dimensional data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고선 추출 단계는, 유구에 대한 최고 및 최저 높이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요구사항에 맞는 등고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등고 간격에 따라 등고 라인을 표식하는 단계와; 표식된 등고 라인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our extracting step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maximum height and a minimum height for the etchant; Setting an equal spacing according to each requirement; Marking the contour lines according to the set contour intervals; And extracting only the labeled contour lines.

본 발명의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에 의하면, 3D 데이터를 활용한 이미지, 등고 색상 레벨, 이미지 표면 레벨을 제공하여 단순 이미지만으로 깊이 및 형태 크기를 바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CAD 및 일러스트 외에도 모든 드로잉 프로그램에서 2D 이미지만을 가지고 쉽게 드로잉할 수 있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Adobe Acrobat에서 3D 데이터를 호환 제공함으로써 여러 기능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oring cultural heritage and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analysis of etchan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epth and shape size with a simple image only by providing an image using 3D data, In addition to CAD and Illustrations, all drawing program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draw with only 2-D images, as well as providing compatibility with 3D data in easy-to-use Adobe Acrobat.

또한 본 발명의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에 의하면, 3D PDF(3차원 데이터)를 동시에 보면서 필요 부분, 필요 단면 및 필요 라인을 직접 추출하여 유구 실측 및 발굴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발굴 기관 및 조사 기관이 직접 작업을 함으로써 재수정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기간을 단축하여 단가 및 전체 공정시간은 줄이고 품질은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searching for cultural properties and analyzing erosion can directly extract necessary parts, necessary sections and necessary lines while simultaneously viewing 3D PDF (three-dimensional data)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work efficiently, and there is no need of re-checking because the excavation agency and the investigation agency do the work directly,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period can be shortened, the unit price and the whole process time can be reduced and the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2차원 사진 이미지를 백그라운드로 열어 놓은 상태로 드로잉하는 화면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3차원 데이터를 백그라운드로 열어 놓은 상태로 라인을 드로잉하는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의 전체 순서도,
도 4는 도 3의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의 세부 순서도,
도 5는 스캐너로 취득한 파노라마 이미지 예시도,
도 6은 도 5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컬러값 데이터 예시도,
도 7은 정합된 스캐닝 데이터 이미지의 예시도,
도 8은 폴리곤 데이터로 변환된 이미지의 예시도,
도 9는 필요 부분을 영역 설정한 이미지의 예시도,
도 10은 메쉬 구조 동일화 단계를 거친 데이터를 병합한 이미지 예시도,
도 11은 병합된 이미지를 하나의 속성을 가진 데이터로 변환시킨 이미지 예시도,
도 12는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을 나누어 좌표에 맞추어 정각을 잡은 이미지 예시도,
도 13은 필요 부위의 고해상도 이미지가 추출된 예시도,
도 14는 필요에 따른 부위의 다른 각도 및 확대 이미지들을 각 뷰(view)에 따라 추출한 예시도,
도 15는 실제 호환 가능한 프로그램 상에서 재생된 화면 예시도,
도 16은 등고 레벨 표시 단계의 세부 순서도,
도 17은 유구에 대한 최고 및 최저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8은 각 요구 사항에 맞는 등고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9는 설정된 등고 간격에 따라 등고 라인을 표식하는 화면 예시도,
도 20은 표식된 등고 라인만을 추출하는 화면 예시도,
도 21은 입면도 등고 라인을 매핑한 화면 예시도,
도 22는 평면도 등고 라인을 매핑한 화면 예시도,
도 23은 추출된 등고 라인을 3차원 데이터 이미지와 병합하는 화면 예시도,
도 24는 이미지 표면 레벨을 위해 각 층별 10단계로 나누어 표현한 화면 예시도,
도 25는 이미지 표면 레벨 처리에 따른 입면도,
도 26은 3차원 PDF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의 재생 화면 예시도.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nventional two-dimensional photographic image is drawn in a state of being opened in the backgroun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rawing a line in a state wher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data is opened in the background,
FIG. 3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cultural property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erosion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of FIG. 3,
Fig. 5 is an exemplary panoramic image acquired by a scanner,
FIG. 6 is an illustration of color value data of the panoramic image of FIG. 5,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matched scanned data image,
8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age converted into polygon data,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n area in which a necessary portion is set,
FIG. 10 is an exemplary view of merg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mesh structure equalization step, FIG.
11 is an example of an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a merged image into data having one attribute,
12 is an example of an image in which a necessary portion and an unnecessary portion are divided to obtain a positive angle in accordance with coordinates,
FIG. 13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high-resolution image of a necessary site is extracted,
FIG. 14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different angles and enlarged images of a part as needed are extracted according to each view,
Fig. 15 is an example of a screen reproduced on an actually compatible program,
16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equal level display step,
Fig. 17 is an exemplary screen for setting the maximum and minimum heights with respect to the etalon;
Fig. 18 is a screen example for setting the contour interval according to each requirement,
Fig. 19 is an exemplary screen for marking contour lines according to the set contour intervals;
Fig. 20 is an exemplary screen for extracting only the marked contour lines,
21 i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n elevation equalization line is mapped,
22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image in which a topographic map is mapped,
23 is a screen example of merging extracted contour lines with a three-dimensional data image,
FIG. 24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vided into 10 steps for each layer for the image surface level, FIG.
25 is an elevation view according to the image surface level processing,
FIG. 26 is an exemplary view of a reproduction screen of data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PDF file;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는, 우선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3차원 데이터로 추출하기 위한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S100)를 수행하게 된다.3, i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cultural property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ero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step for extracting an image of a digging site as three-dimensional data S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S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캔 단계(S110)를 수행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S100 performs a scanning step S110 of scanning an image of a digging site.

상기 스캔 단계(S110)에 사용되는 3D Laser Scan은 주로 물체의 형상을 3차원 데이터로 얻어내는 작업으로, 스캐너에서 레이저 빔을 물체를 향해서 발사하면 그 빔은 물체에서 반사되어서 다시 레이저 스캐너로 돌아온다. The 3D laser scan used in the scanning step (S110) is mainly a process of obtaining the shape of an object as three-dimensional data. When a laser beam is emitted from a scanner toward an object, the beam is reflected from an object and returns to the laser scanner.

레이저 스캐너는 빔이 발사되어서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하여 스캐너와 물체와의 거리를 알아낸다. The laser scanner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ner and the object by calculating the return time of the beam.

Leica Scanstation C10 스캐너는 1초에 약 50,000point를 가져올 수 있으며, 대상의 형상을 3차원 데이터로 얻어낼 수 있다.The Leica Scanstation C10 scanner can fetch approximately 50,000 points per second, and the shape of the object can be obtained as three-dimensional data.

레이저는 직진성을 가지므로 보이지 않는 면은 측정할 수 없어, 물체를 여러 방향에서 스캐닝하여 전체의 데이터를 얻어내도록 한다. Since the laser has a linearity, it can not measure the invisible surface, so it scans the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to obtain the whole data.

또한 광범위한 지역을 측량(스캔)할 때에는 GPS와 연동한 광파기(측량장비 스캐너)로 촬영하게 되며 이때는 절대좌표 값을 입력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여야 한다. In addition, when surveying (scanning) a wide area, it is photographed with a light source (measurement equipment scanner) linked with GPS. In this case, preparation for inputting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should be performed.

이때, 새로운 측량점을 얻기 위해서는 GPS를 측량장비 스캐너 본체 위에 장착하여 얻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a new measurement point can be obtained by mounting the GPS on the main body of the surveying equipment scanner.

광범위의 면적을 측량(스캔)하기 위해서 여러 지역을 이동하면서, 파노라 마 형태로 측량(스캔)을 한다. 넓은 지역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번 이동하며 측량을 하도록 한다.Survey (scan) in the form of a panorama, moving several areas to survey (scan) a large area. To obtain large area data, move several times and perform surveying.

도 5는 상기의 파노라마 형태로 스캔된 이미지이며, 도 6은 파노라마 형태의 이미지를 컬러값 데이터로 변환한 이미지이다.FIG. 5 is an image scanned in the above panoramic form, and FIG. 6 is an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a panoramic image into color value data.

상기 스캔 단계(S110)를 수행한 후, 개별 취득된 스캔 데이터들을 하나로 정합하게 되는 정합 단계(S120)를 수행하게 된다.After performing the scanning step (S110), the matching step (S120) for matching the individually acquired scan data to one is perform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registration) 단계는 넓은 발굴 현장을 다중 측량(스캔)한 데이터를 하나의 절대좌표에 정합하는 작업이다.As shown in FIG. 7, the registration step is a task of matching data obtained by multi-surveying (scanning) a wide excavation site to one absolute coordinate.

상기 정합 단계(S120)를 수행하여 생성된 초기 원시데이터 정보인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화를 통해 폴리곤 데이터로 변환(convert)하는 변환 단계(S130)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nversion step S130 of converting point data, which is initial raw data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atching step S120, into polygon data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is performed.

상기 변환 단계(S130)를 수행하여 변환된 폴리곤 데이터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으로 나누어 메시구조화하는 영역설정(area search) 단계(S140)를 수행하게 된다.The area conversion step S140 is performed to convert the converted polygon data into a necessary part and unnecessary part of the polygon data as shown in FIG.

상기 영역설정 단계(S140)는 추후 PDF 및 이미지 핸들링이 가볍도록 처리하기 위함이다.The area setting step S140 is to process the PDF and image handling lightly in the future.

각각의 메쉬구조 동일화 단계를 거친 데이터는 하나의 속성을 갖고 있는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되는 병합(merge) 단계(S150)를 수행하게 된다.The data having undergone the respective mesh structure identification steps is subjected to a merge step (S150) in which the data are converted into one data having one attribute.

도 10은 메쉬구조 동일화 단계를 거친 데이터를 병합한 이미지 예시도이며, 도 11은 병합된 이미지를 하나의 속성을 가진 데이터로 변환시킨 이미지 예시도이다.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obtained by merg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mesh structure equalization step, and FIG. 11 illustrates an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a merged image into data having one attribute.

상기 병합 단계(S150)를 수행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값 및 수평 값을 좌표에 맞추어 정각 뷰(view)를 설정하는 전체 수직수평 설정 단계(S160)를 수행하게 된다. After performing the merging step S150, an entire vertical and horizontal setting step S160 is performed to set a regular view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and horizontal values as shown in FIG.

이때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으로 나누어 좌표에 맞추어 정각을 잡도록 한다.At this time, divide the necessary part and the unnecessary part and arrange the correct angle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상기 전체 수직수평 설정 단계(S160)를 수행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하기 위한 정각 뷰에 맞추어 평면도 및 입면도 등을 고해상도 이미지로 추출하는 정각 뷰 캡처 단계(S170)를 수행하게 된다.After performing the entire vertical and horizontal setting step S160, a punctual view capturing step S170 is performed in which a flat view and an elevation view are extracted as a high resolution image according to a punctual view for drawing, as shown in FIG. 13 .

상기 정각 뷰 캡처 단계(S170)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위별로 중요 부분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단계별 및 섹터별로 구분하여 추출하게 되며, 필요에 따른 부위의 다른 각도 및 확대 이미지를 각 뷰에 따라 추출하게 된다.In the pertinent-view-capturing step S170, as shown in FIG. 14, in order to individually extract high-resolution images of important parts by each part, they are extracted for each step and for each sector, The image is extracted according to each view.

상기 정각 뷰 캡처 단계(S170)를 수행한 후, 추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실제 대상체와의 크기를 일치 시켜주는 이미지 스케일 맞춤단계(S180)를 수행하게 된다.After performing the pertinent view capturing step (S170), an image scale fitting step (S180) is performed to match the extracted high resolution image with the actual object size.

상기 단계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해상도 이미지를 실제 크기에 맞추어서 일러스트 또는 CAD 외의 프로그램에서 쉽게 호환이 되도록 하며 어느 프로그램에서도 가동되도록 크기가 일정하게 변동이 없게 설정한다.In the above step, as shown in FIG. 15, the high-resolution image is adjusted to the actual size so as to be easily compatible with programs other than illustration or CAD, and the size is set to be constant so as to be operated in any program.

상기와 같이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S100)를 모두 수행한 후, 발굴기관 및 조사기관의 연구원이 직접 드로잉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후 처리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After performing all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S100 as described above, the post-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data processing to edit the image so that the researchers of the excavation institution and the research institute can directly draw it is performed.

즉, 상기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S100)에 의해 생성된 3차원 데이터의 각 층별 레벨을 등고선으로 나누어 추출하는 등고 레벨 표시 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That is, an equal level display step (S200) for extracting the level of each layer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generated by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step (S100) by contour lines is performed.

상기 등고 레벨 표시 단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에 맞는 등고선을 추출하는 등고선 추출단계(S210)와, 추출된 등고선 레벨에 따른 색상을 매핑하는 색상 매핑 단계(S220)와, 색상이 부여된 등고 라인을 3차원 데이터 이미지와 병합하는 이미지 병합 단계(S230)로 수행된다.As shown in FIG. 16, the equal level display step includes a contour extracting step S210 for extracting a contour corresponding to an image, a color mapping step S220 for mapping a color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ntour level, (S230) merging the contour lines with the three-dimensional data image.

상기 등고선 추출 단계(S2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구에 대한 최고 및 최저 높이를 설정하는 단계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용구사항에 맞는 등고 간격을 설정(10등분, 10cm, 구역)하는 단계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등고 간격에 따라 등고 라인을 표식하는 단계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된 등고 라인만을 추출하는 단계로 수행된다.As shown in FIG. 17, the contour line extracting step S210 includes setting a maximum height and a minimum height for the etchant, and setting a contour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tool as shown in FIG. 18 (10, Marking the contour lines according to the contour intervals set as shown in FIG. 19, and extracting only the contour lines marked as shown in FIG. 20.

상기와 같이 등고 라인이 추출된 상태에서 추출된 등고선 레벨에 따른 색상 을 매핑하게 되는데, 도 21은 입면도 등고 라인을 매핑한 도면이며, 도 22는 평면도 등고 라인을 매핑한 도면이다.FIG. 21 is a diagram mapping the elevation contour lines, and FIG. 22 is a diagram mapping the contour lines of the plan view. In FIG.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등고 라인을 3차원 데이터 이미지와 병합함으로써, 전체 부위를 단계별로 등고를 나누어 유구를 드로잉할 때 깊이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 및 형태도 쉽게 파악할 수가 있다.Also, as shown in FIG. 23, when the extracted contour lines are merged with the three-dimensional data image, the depths can be distinguished when drawing the eternal parts by dividing the entire area in stages, and the overall size and shape can be easily grasped .

상기와 같이 등고 레벨 표시 단계(S200)를 수행한 후, 각 층별 색상레벨을 등고선으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표면 레벨 표시 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equal level display step S200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an image surface level display step S300 is performed in which the color levels of each layer are divided into contour lines and extracted.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표면 레벨 단계는 전체 부위를 단계별로 색상으로 나누어 유구를 드로잉할 때 컬러 레벨 값에 따라 깊이를 구분할 수 있으며 도면의 우측에 있는 레벨바의 치수로 정확한 크기 및 높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4, the image surface level step may divide the entire area into colors and divide the depth according to the color level value when drawing the eternity, and the dimension of the level bar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shows the correct size and The height can be easily grasped.

도 24는 이미지 표면 레벨을 위해 각 층별 10단계로 나누어 표현한 것이다.FIG. 24 shows the image surface level divided into 10 steps for each layer.

또한 도 25는 이미지 표면 레벨 처리에 따른 입면도를 도시하고 있다.25 also shows an elevation view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surface level processing.

상기와 같이 이미지 표면 레벨 처리 단계(S300)를 수행한 후, 이미지 표면 레벨이 처리된 데이터의 단면 추출, 라인 추출, 이미지 추출이 가능하도록 3차원 PDF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 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 After performing the image surface level processing step S300 as described above, a file conversion step S400 of converting the image surface level into a three-dimensional PDF file so that the processed data can be subjected to section extraction, line extraction, and image extraction .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PDF 파일로 변환된 데이터는 2D 이미지가 아닌 3D Data로 핸들링이 가능하며, 확대, 축소 등의 필요 부분에 대한 캡처 후 각 뷰(view)에 대한 주석을 추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6, data converted into a 3D PDF file can be handled as 3D data, not as a 2D image, and after capturing a necessary portion such as enlargement and reduction, annotations on each view are added .

또한 보이는 뷰에 따른 일러스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필요부분에 대한 각 X,Y,Z 축에 따른 단면 추출 및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필요부분에 대해 구간 및 길이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Also, you can see the illustr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view, and you can extract and confirm the cross section along each X, Y, Z axis for the required part, and check the section and length for each required part.

3차원 PDF 파일은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쉽게 핸들링할 수 있으며 스캔업체나 발굴기관의 모든 요구에 충족할 수 없는 부분을 발굴기관 및 조사기관이 직접 필요한 부분을 획득함으로써 기관과 업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The 3D PDF file can easily handle the above three-dimensional data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institutions and companies by acquiring parts directly required by excavation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can not meet all the needs of scanners and excavation agencies do.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삭제delete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3차원 데이터로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S100)와;
추출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각 층별 레벨을 등고선으로 나누어 추출하는 등고 레벨 표시 단계(S200)와;
각 층별 색상 레벨을 등고선 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이미지 표면 레벨 표시 단계(S300)와;
이미지 표면 레벨이 처리된 데이터의 단면 추출, 라인 추출, 이미지 추출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프로그램 상에서 호환 가능한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3차원 데이터 추출 단계(S100)는,
발굴현장의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캔 단계(S110)와;
개별 취득된 복수개의 스캐닝 데이터들을 하나의 절대좌표로 정합하는 정합 단계(S120)와;
정합되어 생성된 초기 원시데이터인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 표면화를 통해 폴리곤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S130)와;
변환된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서 도면에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으로 나누어 메쉬구조화하는 영역설정 단계(S140)와;
각각의 메쉬구조 동일화 단계를 거친 데이터를 하나의 속성을 갖고 있는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병합 단계(S150)와;
병합된 데이터의 수직 값 및 수평 값을 좌표에 맞추어 정각 뷰를 설정하는 전체 수직수평 설정 단계(S160)와;
드로잉하기 위한 정각 뷰에 맞추어 육면도 및 입체도를 고해상도 이미지로 추출하는 정각 뷰 캡처 단계(S170)와;
추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실제 대상체와의 크기를 일치시켜 주는 이미지 스케일 맞춤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S100) of extracting an image of an excavation site as three-dimensional data;
An equal level display step (S200) of extracting the level of each layer of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data by contour lines;
An image surface level display step (S300) of displaying color levels for each layer separately for each contour line;
(S400) for converting the image surface level into a file compatible on the program to be reproduced so that the processed data can be subjected to section extraction, line extraction, and image extraction,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step (SlOO)
A scanning step (S110) of scanning an image of an excavation site;
A matching step (S120) of match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ly acquired scanning data to one absolute coordinate;
A conversion step (S130) of converting point data, which is initial raw data generated by matching, into polygon data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An area setting step (S140) of dividing the converted polygon data into a necessary part and an unnecessary part in the drawing to mesh structure;
A merging step (S150) of converting the data having undergone each mesh structure identification step into one data having one attribute;
An entire vertical and horizontal setting step (S160) of setting a vertical view by match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alues of the merged data to the coordinates;
(S170) a stereoscopic-view capturing step of extracting a flat surface and a stereoscopic view as a high-resolution image in accordance with a stereoscopic view for drawing;
And an image scale fitting step (S180) of matching the extracted high resolution image with the size of the actual object. The method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archaeological survey and etch analysi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단계(S110)는,
물체의 형상을 스캐닝하기 위한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광범위한 지역을 스캐닝하도록 GPS와 연동한 광파기로 스캐닝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canning step S110,
A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for scanning the shape of an object, and a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and archaeological analysis, wherein a scanning image is generated by a light wave interlocking with GPS to scan a wide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12552A 2013-02-04 2013-02-04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KR101509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552A KR101509143B1 (en) 2013-02-04 2013-02-04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552A KR101509143B1 (en) 2013-02-04 2013-02-04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756A KR20140099756A (en) 2014-08-13
KR101509143B1 true KR101509143B1 (en) 2015-04-07

Family

ID=5174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2552A KR101509143B1 (en) 2013-02-04 2013-02-04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1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88B1 (en) 2017-10-26 2018-06-01 (주)아세아항측 Method for con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3D models
KR20230095700A (en) 2021-12-22 2023-06-29 솔브케이 주식회사 Method for building of cultural heritage's digital mod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48B1 (en) 2015-01-27 2021-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heritage modeling
KR101858035B1 (en) * 2017-10-26 2018-05-16 (주)아세아항측 Method for building of high precision 3D cultural heritage and web service
CN112395373A (en) * 2019-08-14 2021-02-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elevation data in plane contour map
CN111739122B (en) * 2020-06-23 2023-12-08 武汉数文科技有限公司 Plan view synthesis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6719959B (en) * 2023-08-04 2023-10-20 西安云图信息技术有限公司 Map service method and device for multiple-time-state tile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185A (en) 2005-08-12 2007-02-22 Kokusai Kogyo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olor altitude and inclination map
KR100890962B1 (en) 2006-10-24 2009-03-27 (주)한국해양과학기술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undersea terrain in three dimensions
KR20110127517A (en) * 2010-05-19 2011-11-25 (주)넥스지오 Method for geological investigation of large scaled found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185A (en) 2005-08-12 2007-02-22 Kokusai Kogyo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olor altitude and inclination map
KR100890962B1 (en) 2006-10-24 2009-03-27 (주)한국해양과학기술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undersea terrain in three dimensions
KR20110127517A (en) * 2010-05-19 2011-11-25 (주)넥스지오 Method for geological investigation of large scaled found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천연 기념물 화석 산지의 3차원 디지털 기술 적용 (20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88B1 (en) 2017-10-26 2018-06-01 (주)아세아항측 Method for con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3D models
KR20230095700A (en) 2021-12-22 2023-06-29 솔브케이 주식회사 Method for building of cultural heritage's digital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756A (en)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143B1 (en) Method for Handling 3-Dimensional Scanning Data for Excav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ssets
Galantucci et al. Advanced damage detection techniques in historical buildings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3D surface anlysis
Javernick et al. Modeling the topography of shallow braided rivers using Structure-from-Motion photogrammetry
Risbøl et al. Monitoring cultural heritage by comparing DEMs derived from historical aerial photographs and airborne laser scanning
US11105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rill core samples
Moyano et al. Semantic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and archaeological geometries: Point cloud segmentation for HBIM parameterisation
Lerma et al. Evaluating the 3D documentation of an early Christian upright stone with carvings from Scotland with multiples images
Moyano et al. Operability of point cloud data in an architectural heritage information model
Doneus et al. 3D laser scanners on archaeological excavations
Rüther et al. From point cloud to textured model, the zamani laser scanning pipeline in heritage documentation
Biber et al.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a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 analog using a hybrid lidar-gigapixel imaging approach
JP2024009279A (en) Shape measuring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object
CN1282040A (en) Auxiliary method for repairing and protecting ancient ruined site and cultural relic being in imminent danger based information technology
Ulvi Using UAV photogrammetric technique for monitoring, change detection, and analysis of archeological excavation sites
Papadaki et al. Accurate 3D scanning of damaged ancient Greek inscriptions for revealing weathered letters
Ravanelli et al. A high-resolution photogrammetric workflow based on focus stacking for the 3D modeling of small Aegean inscriptions
Giżyńska et al. The comparison of photogrammetric and terrestrial laser scanning methods in the documentation of small cultural heritage object–case study
Grussenmeyer et al. 3D multi-scale scanning of the archaeological cave “Les Fraux” in Dordogne (France)
Al-Ruzouq et al. Integrated archaeological modeling based on geomatics techniques and Ground-Penetrating Radar
Burens et al. Benefits of an accurate 3D documentation in understanding the status of the Bronze Age heritage cave “Les Fraux”(France)
Djuricic et al. High-resolution 3D surface modeling of a fossil oyster reef
Mitka et al. Integration of photogrammetric and 3D laser scanning data as a flexible and effective approach for heritage documentation
Zhang et al. Primitive-based building reconstruction by integration of Lidar data and optical imagery
Sahin Planar segmentation of indoor terrestrial laser scanning point clouds via distance function from a point to a plane
Romero et al. Analytical applications of fine-scale terrestrial lidar at the imperial Inca site of Caranqui, northern highland Ecu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