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79B1 -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 Google Patents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579B1
KR101508579B1 KR20140184450A KR20140184450A KR101508579B1 KR 101508579 B1 KR101508579 B1 KR 101508579B1 KR 20140184450 A KR20140184450 A KR 20140184450A KR 20140184450 A KR20140184450 A KR 20140184450A KR 101508579 B1 KR101508579 B1 KR 10150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elt
belt portion
elastic
iliac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8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892A (ko
Inventor
박윤미
Original Assignee
박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미 filed Critical 박윤미
Priority to KR2014018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7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및 조정이 편리하며 상기에서 지적한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의 입체적인 이동/골반 등의 쏠림/고관절 및 장골사이 등의 벌어짐과 같은 증상을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 있어서,
고리(10)과 제1 탄성 밸트 부분(11)과 탄성 골반 패드(15)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과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탄성 고관절 패드(16)와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은, 좌측 단부(11-1)에 상기 고리(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착용시 좌측 단부(11-1)가 골반의 쏠린 방향의 반대 방향의 고관절(4) 부근에 위치하고 우측 단부(11-2)가 복부의 대각선으로 골반의 쏠린 방향의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위를 향해 연장되어 당겨지며,
상기 탄성 골반 패드(15)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연결되고, 골반의 쏠린 방향에 있는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위를 감싸면서 당겨지며,
상기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좌우 고관절(3, 4) 높이에서 각각 둔부와 복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당겨지며,
상기 탄성 고관절 패드(16)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3 탄성 밸트 부분(13)의 우측 단부(13-2)와 제4 탄성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4-1)에 연결되고, 골반의 쏠린 방향에 존재하는 고관절(3) 부분을 감싸면서 당겨지며,
상기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우측 부분에 고리(10)와 연동되어 체결시의 밸트 길이가 조정되는 밸트 길이 고정용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Belt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Scoliosis brace}
본 발명은 간단 구조의 밴드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신체의 정중앙의 축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는 증상인데, 일반적으로 척추가 바깥쪽으로 비뚤어진 각도가 약 20°~ 40°인 경우에는 교정기를 착용하여 교정하거나 더 이상 악화되지 않게 하고 50°이상인 경우에는 수술을 받게 된다.
그런데, 도1의 신체의 전면 골격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척추가 오른쪽으로 휘는 척추 측만증의 경우에는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이 입체적으로 회전 이동하여 좌측 장골(1)이 앞으로 나오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우측 장골(2)이 뒤로 후퇴하면서 하부로 이동하는 증상이 나타나서, 도1과 같이 좌측 장골(1)이 우측 장골(2)보다 크게 보이고 좌측 장골(1)의 상부가 우측 장골(2)의 상부보다 높게 되어 높이 차이가 발생하며 좌측 장골(1)에 연결된 좌측 고관절(3)도 상부로 이동하여 좌측 다리가 약간 올라가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에 의해 형성되는 골반 뿐만 아니라 천골(26) 및 치골 결합 부분(28)이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쏠리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불균형에 의해 좌우측 고관절(3, 4) 뿐만 아니라 좌우 천장관절(27) 및 치골 결합 부분(28)도 벌어지게 된다.
또한, 척추가 왼쪽으로 휘는 척추 측면증의 경우에는 반대로, 좌측 장골(1)이 뒤로 후퇴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고 우측 장골(2)이 앞으로 나오면서 상부로 이동하며 골반/천골/치골 결합부분이 오른쪽으로 쏠리고 좌우 고관절/천장관절/치골결합 부분도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척추 측만증의 증상을 교정하기 위하여, 도2와 같은 종래기술(한국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89953호, 2010.8.13일 공개, 발명의 명칭: 척추 측만증 보조기)에서는, 겨드랑이 패드(5), 허리 패드(6) 및 골반 패드(7)를 가지고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도2와 같은 복잡한 연결 밴드(8)를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의 척추 측만증 교정기를 사용하는데, 착용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착용 후에도 보행 및 착석시에 불편하고 연결 밴드(8)를 조정하기도 어려우며, 여러 패드(5, 6, 7)와 연결 밴드(8)가 신체에 밀착되는 부분이 많아서 하절기에는 착용이 매우 불편하다.
특히, 도2의 종래기술은, 패드들(5, 6, 7)과 연결 밴드(8)에 의해 해당 부위를 모아주는 기능만 수행하여 상기와 같이 척추 측만증에서 나타나는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의 입체적인 이동(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의 앞뒤 및 상하로의 회전 이동)을 교정하지 못하고, 골반 등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도 교정하지 못한다.
또한, 도3과 같은 다른 종래기술(한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5951호, 2010.6.11일 공개, 고안의 명칭 : 신체 교정을 위한 교정 밸트)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척추 측만증 보조기 대신에 일반적인 신체 교정용 밸트(9)를 사용하여, 적절한 부위들을 단순히 감싸서 척추 측만증을 교정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이렇게 한다고 해도 해당 부위를 조여 줄 수는 있지만, 상기에서 지적한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의 입체적인 이동 및 골반 등의 쏠림을 교정하지 못한다.
결국,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는 도1과 같이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가 입체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골반 등의 쏠림을 교정하지 못하여, 도1과 같이 척추가 휘는 증상을 교정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용 및 조정이 편리하며 상기에서 지적한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의 입체적인 이동/골반 등의 쏠림/고관절 및 장골 사이 등의 벌어짐과 같은 증상을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 있어서,
고리(10)과 제1 탄성 밸트 부분(11)과 탄성 골반 패드(15)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과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탄성 고관절 패드(16)와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은, 좌측 단부(11-1)에 상기 고리(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착용시 좌측 단부(11-1)가 골반의 쏠린 방향의 반대 방향의 고관절(4) 부근에 위치하고 우측 단부(11-2)가 복부의 대각선으로 골반의 쏠린 방향의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위를 향해 연장되어 당겨지며,
상기 탄성 골반 패드(15)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연결되고, 골반의 쏠린 방향에 있는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위를 감싸면서 당겨지며,
상기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좌우 고관절(3, 4) 높이에서 각각 둔부와 복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당겨지며,
상기 탄성 고관절 패드(16)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3 탄성 밸트 부분(13)의 우측 단부(13-2)와 제4 탄성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4-1)에 연결되고, 골반의 쏠린 방향에 존재하는 고관절(3) 부분을 감싸면서 당겨지며,
상기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우측 부분에 고리(10)와 연동되어 체결시의 밸트 길이가 조정되는 밸트 길이 고정용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착용 및 조정이 편리하며 상기에서 지적한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의 입체적인 이동/골반 등의 쏠림/고관절 및 장골 사이 등의 벌어짐과 같은 증상을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를 제공하게 된다.
도1은 척추 측만증시의 증상을 나타내는 신체 골격 전면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제1실시예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제2실시예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내측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외측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서 골반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함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서 고리의 다른 제1실시예를 도시함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서 고리의 다른 제2실시예를 도시함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를 신체에 감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가 신체에 체결된 형상을 나타내는 전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가 신체에 체결된 형상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신체에 체결한 형상을 나타내는 전면도
먼저, 본 발명의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4,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4는 본 발명의 밸트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5는 외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는 긴 밸트 형태이기에 하나의 행으로는 도시가 어려워서 도4, 5와 같이 2행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2, 3, 4 밸트 부분(11, 12, 13, 14)은 탄성이 강한 밸트(바람직하게는 각 밸트 부분은 동일한 재질 및 상하폭을 가진다)를 사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쇼파 밸트, 실리콘 밸트 또는 천연고무(라텍스)밸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5센티미티 정도의 상하폭을 가진다.
그래서, 고리(10)(바람직하게는 철재 고리)가 회전가능하게 제1 밸트 부분(11)의 좌측 단부(11-1)에 결합되도록, 제1 밸트 부분(11)의 좌측 단부(11-1)를 고리(10)에 감아서 박음질 처리를 한다.
또한,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 사이에는, 올라간 장골(골반)(도1에서는 좌측 장골(1))의 상부 측면에 존재하는 전상 잔골(21)과 후상 장골(22)의 피부를 감싸는 골반 패드(15)가 있어서, 이 골반 패드(15)의 양측이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결합된다. 이때 골반 패드(15)는 장골의 상부 측면의 부드러운 피부를 감싸야 하기 때문에, 탄성의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면서 부드럽게 전상 잔골(21)과 후상 장골(22)의 피부를 감싸기 위해 제1, 2, 3, 4 밸트 부분(11, 12, 13, 14) 보다 상하폭이 넓은 것을 사용하고(예를 들면 상하폭이 8센티미터 정도), 도4처럼 상하폭이 동일한 골반 패드(15)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신체의 굴곡 구조에 적합하도록 상하부가 굴곡 형상(도6의 상부 도면에서는 상부의 중앙부가 볼록한 형상, 도6의 하부 도면에서는 상부의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등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골반 패드(15)가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결합되는 방법은 단순하게는 박음질을 하면 되지만, 착용자마다 허리나 골반치수가 크게 상이하므로 도4와 같이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결합 위치 조절용 구조(예: 후크 구조, 솔트레지 구조)를 두어서 착용자가 허리나 골반치수를 고려하여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과 제2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의 적절한 결합 위치에 골반 패드(15)의 양단이 결합되게 한다.
이때, 도4에서는,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과 제2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각각 3단계의 결합 위치를 정하는 것을 도시하였고, 작은 허리 또는 골반 치수를 가진 착용자를 위해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1)의 가장 안쪽과 제2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의 가장 안쪽에 골반 패드(15)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제2 밸트 부분(12)의 우측 단부(12-2)는 내려간 장골(도1에서는 우측 장골(2)) 하부의 고관절 부분(도1의 도면기호 4)의 측면을 강하게 감싸야 하므로, 제1, 2, 3, 4 밸트 부분(11, 12, 13, 14) 보다는 강한 탄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간단하게는 제2 밸트 부분(12)의 우측 단부(12-2)와 제3 밸트 부분(13)의 좌측 단부(13-1)을 겹쳐서 박음질하여 탄성을 2배로 하면 된다(도4, 5에서는 겹쳐서 박음질한다는 의미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물론 제2 밸트 부분(12)과 제3 밸트 부분(13)이 박음질 없이 연속된 밸트로 되게 하여 고관절 부분(도1의 도면기호 4)의 측면을 강하게 감싸게 세게 잡아당겨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3 밸트 부분(13)의 우측 단부(13-2)에는 올라간 장골(도1에서는 좌측 장골(1))의 하부에 있는 고관절 부분(도1의 도면기호3)의 측면을 강하게 감싸야 하므로 제1, 2, 3, 4 밸트 부분(11, 12, 13, 14) 보다는 강한 탄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간단하게는 제3 밸트 부분(13)의 우측 단부(13-2)과 제4 밸트 부분(14)의 좌측 단부(14-1)을 겹쳐서 박음질해도 가능하지만, 착용자의 골반 크기(고관절 부분의 둘레)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의 골반 패드(15)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관절 패드(16)를 두어서 제3 밸트 부분(12)의 우측 단부(13-2)와 제4 밸트 부분(14)의 좌측 단부(14-1)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 밸트 부분(14)의 우측 부분이 다시 고리(10)에 끼워져서 착용자에 의해 제4 밸트 부분(14)의 우측 방향으로 당겨져서 길이가 고정되므로, 제 4 밸트 부분(14)의 외측면에는 밸트 길이 고정용 구조(예: 도5와 같은 암수 밸크로 처리)를 가진다. 이때 암수 밸크로 처리의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먼지 및 밸크로 구조의 약화 등에 의해 암수 밸크로 구조의 결합력이 약화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7과 같이 고리(10)에 위치 고정용 핀(23)을 가지고 있고 제4 밸트 부분(14)에 다수의 고정 위치 조절용 구멍(24)을 가진 구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4, 5의 고리(10)의 좌측에 제4 밸트 부분(14)이 용이하게 미끄러지면서 감겨서 당겨져서 암수 밸크로 구조에 의해 고정되도록, 도8과 같이 도르래 고리(25)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4,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밸트를 척추 측면증의 신체에 감는 방법을 도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시의 편의상 제1, 2, 3, 4 밸트 부분(11, 12, 13, 14), 골반 패드(15), 고관절 패드(16)가 모두 분홍색 선으로 표시되고 전면에서 보이는 부분은 실선으로 표시하고 후면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되며, 감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삼각형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9에 많은 도면기호를 표시하면 도면이 복잡해지는 점을 고려하여 도9에서는 일부 도면기호를 생략하였으며, 아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기호는 도1, 4에 나타난 도면 기호를 함께 사용한다.
먼저, 고리(10)를 우측 고관절(4) 근처 전면에 위치시키고 제1 밸트 부분(11)이 복부를 대각선으로 상부로 가로질러서 올라가서 골반 패드(15)의 내측이 도1에 나타난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의 피부를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2 밸트 부분(12)이 둔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감싸면서 내려와서, 겹쳐서 박음질한 제2 밸트 부분(12)의 우측 단부(12-2)와 제3 밸트 부분(13)의 좌측 단부(13-1)가 우측 고관절(4)의 피부를 감싸고 제3 밸트 부분(13)이 다시 복부 하단을 거의 수평으로 가로 질러서(정확하게는 아주 약간 상부로 가로 질러서) 고관절 패드(16)가 좌측 고관절(3)을 감싸고 다시 제4 밸트 부분(14)이 뒤로 둔부를 수평으로 감싸서 고리(10)로 와서 고리(10)에 제4 밸트 부분(14)이 끼워진 후에 착용자가 뒤쪽으로 제4 밸트 부분(14)을 당겨서 암수 밸크로 처리된 부분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착용자의 허리 및 골반 크기를 감안하여 착용자가 상기에서 설명한 골반 패드(15) 및 고관절 패드(16)의 양단에서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골반 패드(15) 및 고관절 패드(16)가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골반 패드(15)는 전상 장골(21)과 후상 잔골(22)을 감싸는 위치, 고관절 패드(16)은 좌측 고관절(3)을 감싸는 위치)에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9와 같이 착용된 본 발명의 밸트가 상기에서 언급한 척추 측만증시의 다양한 증상을 교정하게 되는 원리를 도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골반 패드(15)가 상부로 이동한 좌측 장골(1)의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을 감싸면서 좌측 장골(1)을 눌러주기 때문에 상부로 이동한 좌측 장골(1)이 하부로 내려가게 되는 압력을 받게 된다.
또한, 골반 패드(15) 부분에서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이 뒤로 당겨지므로, 좌측 장골(1)의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분이 뒤쪽으로 회전하게 되는 압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제2 밸트 부분(12)의 우측 단부(12-2)와 제3 밸트 부분(13)의 좌측 단부(13-1)가 우측 고관절(4)의 피부를 감싸고 제2, 3 밸트 부분(12, 13)이 앞으로 당겨지고 있어서, 결국 우측 장골(2)는 상부로 향하면서 앞으로 나오게 되는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도9와 같이 감겨진 제1 밸트 부분(11)과 골반 패드(15)와 제2 밸트 부분(12)과 제3 밸트 부분(13)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앞으로 회전하여 나온 좌측 장골(1)은 아래로 내려가고 뒤로 물러나게 되는 압력을 받고, 아래로 내려가고 뒤로 회전하여 들어간 우측 장골(2)는 위로 올라가고 앞으로 회전하여 나오게 되는 압력을 받아서, 결국 좌측 장골(1)과 우측 장골(2)이 정상적인 상태가 되게 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고리(10)에서 고정되는 거의 수평의 제3 밸트 부분(13)과 제4 밸트 부분(14)에 의해, 고관절 패드(16) 부분에서 골반이 우측으로 당겨지는 압력과 함께 벌어진 좌우 고관절(3, 4) 및 치골 결합 부분(28)이 모아지는 강한 압력을 받기 때문에, 결국 왼쪽으로 쏠린 골반이 정상 위치로 가는 압력을 받고 벌어진 좌우 고관절(3, 4) 및 치골 결합 부분(28)이 모아지는 압력을 받는다. 즉, 척추 측만증으로 인해 벌어진 좌우 고관절(3, 4)과 치골 결합 부분(28)이 모아진 상태에서 우측으로 당겨지는 압력이 가해지고 그로 인해 골반 중심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대각선 방향의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에 의해 좌우측 장골(1, 2)이 어느 정도 모아지는 추가적인 압박 때문에, 척추 측만증에 의해 벌어진 좌우 고관절(3, 4), 좌우 천장관절(27) 및 치골 결합 부분(28)을 모아주는 힘이 증강된다.
특히, 당겨져서 고리(10)에서 고정되는 제3 밸트 부분(13)과 제4 밸트 부분(14)에 의해, 고관절 패드(16) 부분에서 골반이 뒤로 회전되는 압력도 받기 때문에, 상기의 제1 밸트 부분(11)과 골반 패드(15)와 제2 밸트 부분(12)과 제3 밸트 부분(13)에 의해 골반 패드(15) 부분에서 뒤로 회전하게 하는 압력과 함께, 앞으로 회전한 좌측 장골(1)을 효과적으로 한번 더 뒤로 회전시켜 정상 위치로 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밸트를 사용하면 척추 측만증에 의해 좌우측 장골의 상하 및 전후로의 이동, 골반 등의 쏠림, 좌우 고관절/천장 관절/치골 결합 부분의 벌어짐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단번에 교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밸트를 사용하면, 단일의 밸트를 착용하는 것이므로 착용이 편리하고, 골반 패드((15)와 고관절 패드(16)의 결합 위치 조정 구조, 밸트 길이 고정용 결합 구조(예: 도5와 같은 암수 밸크로 처리)를 가진 제4 밸트 부분(14)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 및 골반 사이즈에 맞게 착용 전후에 편리하게 조정 가능하다.
도10은 착용된 밸트의 앞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11는 후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하부의 좌우 고관절(3, 4) 및 치골 결합 부분(28)은 제3 밸트 부분(13)과 제4 밸트 부분(14)에 의해 충분히 모아주고 있지만, 도9의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과 골반 패드(15)는 대각선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당기는 힘은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척추 측만증이 심한 경우에는 상부의 좌우 장골(1, 2) 및 좌우 천장관절(27)의 벌어짐을 충분히 교정할 정도의 충분한 장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척추 측만증이 심한 경우에는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과 골반 패드(15)에 의해 좌측 장골(1)을 뒤로 회전시키는 힘이 강해야 하는데, 대각선 방향의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과 골반 패드(15)의 탄성으로는 뒤로 회전시키는 힘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12와 같은 제5 밸트 부분(29)을 추가하여 이러한 대각선 방향의 제1 밸트 부분(11)과 제2 밸트 부분(12)과 골반 패드(15)에 의한 작용을 보강하게 된다. 도12에서는 도시의 필요상 제5 밸트 부분(29)이 주황색 부분과 연두색 부분으로 분리되어 표시되어 있으나 주황색 부분과 연두색 부분은 연결된 하나의 밸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2와 같이 제5 밸트 부분(29)은, 제2 밸트 부분(12)의 중간의 적절한 위치에 한쪽 단부(30)가 고정되고(허리 및 골반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골반 패드(15)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 위치가 조절 가능함), 중간 부분(31)이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도12에 한쪽 단부(30)부터 중간 부분(31)까지가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중간 부분(3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5 밸트 부분(29)은 착용시 다른 단부(34)가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다양한 허리나 골반 크기를 고려하여 고정 위치를 가변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부분(31)부터 다른 단부(34)까지가 환형 밸트(35)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우측 장골(2)의 전상 장골(32)과 후상 장골(33)을 감싸는 부분에 추가 골반 패드(36)를 둔다(추가 골반 패드(36)의 위치는 도12처럼 위치 가변형이 바람직하고 도6의 굴곡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12에 중간 부분(31)부터 다른 단부(34)까지의 환형 밸트(35)와 추가 골반 패드(36)가 연두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래서, 착용시에 환형 밸트(35)는 좌우측 장골(1, 2)의 전상 장골(21, 32)과 후상 장골(22, 33)의 높이에서 복부와 등을 거의 수평으로 감싸기 때문에, 척추 측만증에 의해 벌어진 좌우 장골(1, 2) 및 좌우 천장관절(27)을 충분히 모아줄 수 있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2 밸트 부분(12)에 고정된 한쪽 단부(30)부터 제1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에 고정된 중간 부분(31)까지의 제5 밸트 부분(29)에 의해, 기존의 골반 패드(15)와 제2 밸트 부분(12)의 탄성을 보강해 주기 때문에, 제2 밸트 부분(12)을 당겼을 때에, 기존의 골반패드(15)와 제2 밸트 부분(12)의 탄성에 비해 휠씬 강한 힘으로 좌측 장골(1)을 뒤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중간 부분(31)과 다른 단부(34)로 시작과 마무리되는 환형 밸트(35)로 장골(26)과 좌우 천장관절(27)을 모아준 상태에서, 우측 사선으로 내려가는 중간 부분(31)부터 한쪽 단부(30)까지의 주황색 밸트가 우측 사선으로 잡아당겨지는 제2 밸트 부분(12)의 힘을 보강하므로, 좌측으로 쏠린 골반 중심을 보다 강하게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Claims (13)

  1. 척추 측만증 교정기에 있어서,
    고리(10)과 제1 탄성 밸트 부분(11)과 탄성 골반 패드(15)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과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탄성 고관절 패드(16)와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은, 좌측 단부(11-1)에 상기 고리(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착용시 좌측 단부(11-1)가 골반의 쏠린 방향의 반대 방향의 고관절(4) 부근에 위치하고 우측 단부(11-2)가 복부의 대각선으로 골반의 쏠린 방향의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위를 향해 연장되어 당겨지며,
    상기 탄성 골반 패드(15)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 연결되고, 골반의 쏠린 방향에 있는 전상 장골(21)과 후상 장골(22) 부위를 감싸면서 당겨지며,
    상기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좌우 고관절(3, 4) 높이에서 각각 둔부와 복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당겨지며,
    상기 탄성 고관절 패드(16)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3 탄성 밸트 부분(13)의 우측 단부(13-2)와 제4 탄성 밸트 부분(12)의 좌측 단부(14-1)에 연결되고, 골반의 쏠린 방향에 존재하는 고관절(3) 부분을 감싸면서 당겨지며,
    상기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우측 부분에 고리(10)와 연동되어 체결시의 밸트 길이가 조정되는 밸트 길이 고정용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와 제2 탄성 밸트 부부분(12)의 좌측 단부(12-1)에는 상기 탄성 골반 패드(15)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밸트 부분(12)의 우측 단부(12-2)와 제3 탄성 밸트 부부분(12)의 좌측 단부(13-1)는 겹쳐서 박음질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 길이 고정용 구조는 암수 밸크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 길이 고정용 구조는 상기 고리(10)에 설치된 위치 고정용 핀(23)과 상기 제4 탄성 밸트 부분(14)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 위치 조절용 구멍(2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10)는 상기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이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하는 도르레 고리(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는 후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는 솔트레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제1 탄성 밸트 부분(11)과 제2 탄성 밸트 부분(12)과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은 모두 동일한 재질 및 상하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골반 패드(15)의 상하폭은 제1 탄성 밸트 부분(11)과 제2 탄성 밸트 부분(12)과 제3 탄성 밸트 부분(13)과 제4 탄성 밸트 부분(14)의 상하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골반 패드(15)의 상부 또는 하부는 굴곡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12. 제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탄성 밸트 부분(12)의 중간에 한쪽 단부(30)가 고정되고, 중간 부분(31)이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에 고정되며, 다른 단부(34)가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에 고정되어 착용시 중간 부분(31)부터 다른 단부(34)까지가 환형 밸트(35)를 형성하는 제5 탄성 밸트 부분(29)을 더 포함하고,
    착용시, 환형 밸트(35)는 좌우측 장골(1, 2)의 전상 장골(21, 32)과 후상 장골(22, 33)의 높이에서 복부와 등을 수평으로 감싸고, 제2 탄성 밸트 부분(12)에 고정된 한쪽 단부(30)부터 제1 탄성 밸트 부분(11)의 우측 단부(11-2)에 고정된 중간 부분(31)까지의 제5 탄성 밸트 부분(29)에 의해 탄성 골반 패드(15)와 제2 탄성 밸트 부분(12)의 탄성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밸트(35)에는 전상 장골(32)과 후상 장골(33)을 감싸는 부분에 추가 골반 패드(36)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
KR20140184450A 2014-12-19 2014-12-19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KR10150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4450A KR101508579B1 (ko) 2014-12-19 2014-12-19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4450A KR101508579B1 (ko) 2014-12-19 2014-12-19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92A KR20150005892A (ko) 2015-01-15
KR101508579B1 true KR101508579B1 (ko) 2015-04-07

Family

ID=5247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4450A KR101508579B1 (ko) 2014-12-19 2014-12-19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2969B (zh) * 2015-07-14 2020-10-30 朴允美 三维身体矫正装置
KR101927594B1 (ko) * 2016-12-30 2019-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KR101886679B1 (ko) * 2017-02-01 2018-08-09 이한진 척추 측만증 교정기
CN114392024B (zh) * 2022-01-18 2024-03-15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八八医院 一种脊柱侧弯矫形支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196A (ja) * 1995-06-07 1996-12-17 Dia Kogyo Kk ひざ装着用整体具
KR200279878Y1 (ko) 2002-03-07 2002-07-02 김영옥 척추측만증 교정기
KR200343123Y1 (ko)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KR20100089953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196A (ja) * 1995-06-07 1996-12-17 Dia Kogyo Kk ひざ装着用整体具
KR200279878Y1 (ko) 2002-03-07 2002-07-02 김영옥 척추측만증 교정기
KR200343123Y1 (ko)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KR20100089953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92A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579B1 (ko)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US9161854B2 (en) Postpartum abdominal support
KR101813516B1 (ko) 3차원 신체 교정 장치
US8113911B1 (en) Maternity body support
KR101584194B1 (ko) 척추 보호 및 보정 용구
EP2797452A1 (en) Shirts and shorts having elastic and non-stretch portions and bands to provide hip and posture support
WO2009144877A1 (ja) 骨盤帯
RU2753836C2 (ru) Бандаж для торса и одежда, снабженная бандажом
US20110264021A1 (en) Adjustable orthostatic intolerance system and garment
CA2787464A1 (en) Compression sleeve
KR20170004515A (ko) 척추 측만증 교정장치
KR102095762B1 (ko) 휜 다리 변형에 대한 하부 체형 및 보행 교정용 압박 의류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JP5959123B2 (ja) 骨盤サポート装具
JP3530787B2 (ja) 骨盤矯正ベルト
FR3079136A1 (fr) Orthese correctrice de postures de la region cervico-thoraco-brachiale
US11839579B2 (en) Spinal weighting devices
CN208212114U (zh) 一种形体衣
KR101854289B1 (ko) 골반교정 기능이 마련된 에어 커프
CN214857905U (zh) 一种腿型步态矫正带
JP2016074993A (ja) 補助下着
CN210962510U (zh) 一种用于髋膝关节的活动架
CN220002061U (zh) 疝气带及包含疝气带的疝气裤
JP7379101B2 (ja) カップ付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