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470B1 -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470B1
KR101508470B1 KR20140164440A KR20140164440A KR101508470B1 KR 101508470 B1 KR101508470 B1 KR 101508470B1 KR 20140164440 A KR20140164440 A KR 20140164440A KR 20140164440 A KR20140164440 A KR 20140164440A KR 101508470 B1 KR101508470 B1 KR 10150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tion
control target
moving objec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세범
허문범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2014016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은,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Access Point)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은 항법 인프라가 사전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내 재난 현장에서 구조대원(이동체)의 위치 추적을 위해 사용되는 AP(Access Point) 장치에 대해, 간편하게 전원을 투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884277호(2009.02.10), "이동용 무선 중계기".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1820호(2008.02.11),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1058호(2014.08.19), "정전으로 인한 재난 방지용 자동 제어 장치".
화재 및 붕괴 사고 등의 현장에서 구조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구조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구조대원의 실내/외 위치 추적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전에 구축된 인프라가 없는 구조 현장에서 적어도 하나의 AP 장치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fingerprint) 정보 없이 근접 정보와 보행 항법 정보의 통합만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연구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사고 현장에서 구조대원의 위치 추적을 위해 사용되는 AP 장치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해, 사고 현장에서 인명 구조 활동을 하고 있는 구조대원이 직접 해당 AP 장치의 전원 투입용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AP 장치에는 스위치 조작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되어, 방수를 저해하고 고장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한 구조대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을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한 구조대원(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AP 장치에 근접한 이동체로부터 선정된 모션을 감지하거나, 기준치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경우, AP 장치에 전원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재난 환경에서 구조대원(이동체)의 스위치를 이용한 물리적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위한 개구부를 AP 장치에 설비하지 않게 하여 AP 장치에 대한 방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기계적인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은,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방법은,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한 구조대원(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AP 장치에 근접한 이동체로부터 선정된 모션을 감지하거나, 기준치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경우, AP 장치에 전원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재난 환경에서 구조대원(이동체)의 스위치를 이용한 물리적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위한 개구부를 AP 장치에 설비하지 않게 하여 AP 장치에 대한 방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기계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과,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AP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모션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과,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실내 재난 환경(110)에 설치된 복수의 AP(Access Point) 장치(111 내지 114)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예컨대, '1m')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120)로부터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의 회전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AP 장치(111)에 장착된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120)가 AP 장치(111)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정된 횟수 이상의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AP 장치(111)에 장착된 터치패널을 통해, 이동체(120)가 AP 장치(111)에 대해 '1초' 이내에 2회 터치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 중,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111)를 제어대상 AP 장치(111)로 결정하고, 제어대상 AP 장치(111)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전원 투입 시스템(100)은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제어대상 AP 장치(111)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동체(120)는 지진, 홍수, 화재, 가스폭발 등 사고, 재난재해가 발생한 건물 내부, 지하도 등과 같은 실내 재난 환경(110)에 진입하여, 생존자나 다친 사람을 구조하는 구조대원, 응급구조대, 인명 구조 로봇 등일 수 있다.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는 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이동체(120)의 위치 결정을 위한 측정 정보를, 위치 추적 장치(미도시함)에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각 AP 장치(111 내지 114)는 상기 이동체(120) 이전에 실내 재난 환경(110)에 진입한 제1 이동체에 의해, 진입 경로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구조대원(제1 이동체)은 AP 장치(111 내지 114)를 휴대하여 실내 재난 환경(110)으로 진입해 통신취약지역에 AP 장치(111 내지 114)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AP 장치(111 내지 114)의 위치는 설치 당시의 구조대원(제1 이동체)의 위치일 수 있다. 이후로 진입하는 구조대원(이동체, 120)은 최초 구조대원이 설치한 AP 장치(111 내지 114)를 이용하여 항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한 구조대원(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AP 장치에 근접한 이동체로부터 선정된 모션을 감지하거나, 기준치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경우, AP 장치에 전원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재난 환경에서 구조대원(이동체)의 스위치를 이용한 물리적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위한 개구부를 AP 장치에 설비하지 않게 하여 AP 장치에 대한 방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기계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배터리부(23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는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Access Point)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한다.
즉,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를 기준으로 예컨대, '1m' 이내의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는 지진, 홍수, 화재, 가스폭발 등 사고, 재난재해가 발생한 건물 내부, 지하도 등과 같은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하여, 생존자나 다친 사람을 구조하는 구조대원, 응급구조대, 인명 구조 로봇 등일 수 있다.
복수의 AP 장치는 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이동체의 위치 결정을 위한 측정 정보를, 위치 추적 장치(미도시함)에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각 AP 장치는 상기 이동체 이전에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한 제1 이동체(최초의 구조대원)에 의해, 진입 경로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체는 AP 장치를 휴대하여 실내 재난 환경으로 진입해 통신취약지역에 AP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AP 장치의 위치는 설치 당시의 제1 이동체의 위치일 수 있다. 이후에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하는 이동체(구조대원)은 제1 이동체(최초 구조대원)이 설치한 AP 장치를 이용하여 항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의 회전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10)는 각 AP 장치에 장착된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AP 장치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ⅰ)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210)는 이동체가 AP 장치(410)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정된 횟수 이상의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10)는 AP 장치에 장착된 터치패널이 이동체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210)는 AP 장치에 장착된 터치패널 상에서 이동체에 의해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210)는 AP 장치에 장착된 터치패널을 통해, 이동체가 AP 장치에 대해 '1초' 이내에 2회 터치(더블 클릭)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한다.
일례로,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고, 프로세서(220)는 상기 회전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실내 재난 환경(110)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 중에서, AP 장치(111)를 기준으로 '1m'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120)로부터 회전 모션이 감지될 경우, AP 장치(111)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정된 횟수 이상의 터치 모션을 감지하고, 프로세서(220)는 상기 터치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실내 재난 환경(110)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 중에서, AP 장치(111)를 기준으로 '1m'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120)로부터 터치 모션이 감지될 경우, AP 장치(111)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프로세서(220)는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AP 장치는 이동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는 유휴 모드로 동작하다가, 이동체가 근접하여 모션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하면, 유휴 모드를 해제하고 전원 온(on) 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배터리부(230)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220)는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배터리부(230)에 유지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상기 이동체와의 근접된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AP 장치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1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AP 장치에 대한 근접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제1 신호의 강도, 예를 들어 RSSI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신호의 억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제1 억세스 AP 장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1 신호의 수신 강도에 따라 이동체와의 근접된 정도를 판단하여, 근접할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전원 공급량을 제어대상 AP 장치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제어대상 AP 장치가 복수일 경우, 이동체와의 근접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제어대상 AP 장치로 더 많은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기준치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고, 프로세서(220)는 상기 충격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모션의 감지와 무관하게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ⅱ)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210)는 AP 장치(420)에 장착된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AP 장치(420)에 가하는 충격을 감지하고,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어 도 4의 (ⅱ)와 같이 AP 장치(420)가 위치 이동해버릴 경우, AP 장치(420)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상기 충격의 감지된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기준치가 '10'이고, 충격의 감지된 정도가 '12'로 약간 초과한 경우에는 소량의 전원 공급량을 공급하고, 충격의 감지된 정도가 '20'으로 상기 기준치를 배 이상 초과한 경우에는 대량의 전원 공급량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소량의 전원 공급량은 예컨대, 배터리부(230)에 유지된 전원의 30%로 사전에 지정되고, 대량의 전원 공급량은 예컨대, 배터리부(230)에 유지된 전원의 80%로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즉, 이동체(구조대원)는 AP 장치에 가하는 충격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AP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한 구조대원(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AP 장치에 근접한 이동체로부터 선정된 모션을 감지하거나, 기준치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경우, AP 장치에 전원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재난 환경에서 구조대원(이동체)의 스위치를 이용한 물리적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위한 개구부를 AP 장치에 설비하지 않게 하여 AP 장치에 대한 방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기계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AP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P 장치(300)는 통신 모듈(310), 제어 모듈(320) 및 센서 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310)은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310)은 선정된 통신범위 이내에 제1 신호를 송신하여, 본 발명의 전원 투입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강도를 통해 이동체와의 근접 정도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10)은 상기 제1 신호를 송신을 통해, 위치 추적 장치(미도시함)에서 상기 실내 재난 환경 내 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는 비콘(beacon) 신호 또는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일 수 있다.
제어 모듈(320)은 이동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는 AP 장치(300)를 유휴 모드로 동작하고, 본 발명의 전원 투입 시스템으로부터 전원 투입 명령이 수신되면 유휴 모드를 해제하고 전원 온(on) 할 수 있다.
제어 모듈(320)은 상기 전원 투입 명령에 따라 본 발명의 전원 투입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AP 장치(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모듈(320)은 AP 장치(300)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AP 장치(30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센서 모듈(330)은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모듈(330)은 모션 감지 센서(331) 및 충격 감지 센서(332)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331)는 AP 장치(300)를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예, '1m')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회전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감지 센서(331)는 이동체에 의해 AP 장치(300)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330)은 터치패널(미도시함)을 더 포함하고, 터치패널 상에서 이동체에 의해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330)은 이동체가 터치패널 상에서 '1초' 이내에 2회 터치(더블 클릭)하는 터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330)은 AP 장치(300) 부근으로 이동체(구조대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미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 감지 센서(332)는 AP 장치(300)를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예, '1m')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가 AP 장치(300)에 가하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이 감지된 정도(충격량)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에 있어서, AP 장치에 대해 모션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ⅰ)을 참조하면, 전원 투입 시스템은 AP 장치(410)에 장착된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AP 장치(410)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모션을 감지하여, AP 장치(410)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ⅱ)를 참조하면, 전원 투입 시스템은 AP 장치(420)에 장착된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AP 장치(420)에 가하는 충격을 감지하고,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어 AP 장치(420)가 위치 이동할 경우, AP 장치(420)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투입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투입 방법은 상술한 전원 투입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Access Point)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한다.
즉,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상기 복수의 AP 장치를 기준으로 예컨대, '1m' 이내의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각 AP 장치에 장착된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AP 장치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AP 장치에 장착된 터치패널을 통해, 이동체가 AP 장치에 대해 '1초' 이내에 2회 터치(더블 클릭)하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는 지진, 홍수, 화재, 가스폭발 등 사고, 재난재해가 발생한 건물 내부, 지하도 등과 같은 실내 재난 환경에 진입하여, 생존자나 다친 사람을 구조하는 구조대원, 응급구조대, 인명 구조 로봇 등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단계(530)에서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투입 시스템(100, 200)은 실내 재난 환경(110)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111 내지 114) 중에서, AP 장치(111)를 기준으로 '1m'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120)로부터 회전 모션이 감지될 경우, AP 장치(111)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AP 장치는 이동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는 유휴 모드로 동작하다가, 이동체가 근접하여 모션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하면, 유휴 모드를 해제하고 전원 온(on) 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배터리부에 유지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상기 이동체와의 근접된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 투입 시스템(200)은 AP 장치에 장착된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AP 장치에 가하는 충격을 감지하고,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될 경우,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전원 투입 시스템
210: 인터페이스
220: 프로세서
230: 배터리부

Claims (12)

  1.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Access Point)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되,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AP 장치를, 상기 모션의 감지와 무관하게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원 투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배터리부에 유지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투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와의 근접된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공급량을 조정하는
    전원 투입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격의 감지된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공급량을 조정하는
    전원 투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전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는
    전원 투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정된 횟수 이상의 터치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는
    전원 투입 시스템.
  8. 실내 재난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AP 장치 각각을 기준으로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이동체로부터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되,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AP 장치를, 상기 모션의 감지와 무관하게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의 전원 투입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원 투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투입 명령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배터리부에 유지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원 투입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의 회전 모션이 감지될 경우,
    상기 회전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원 투입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P 장치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정된 횟수 이상의 터치 모션이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 모션의 감지와 연관된 AP 장치를, 상기 제어대상 AP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원 투입 방법.
KR20140164440A 2014-11-24 2014-11-24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KR10150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440A KR101508470B1 (ko) 2014-11-24 2014-11-24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440A KR101508470B1 (ko) 2014-11-24 2014-11-24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470B1 true KR101508470B1 (ko) 2015-04-07

Family

ID=5303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4440A KR101508470B1 (ko) 2014-11-24 2014-11-24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4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89B1 (ko) * 2006-11-27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저전력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95773A (ko) * 2008-03-06 2009-09-10 이점식 위치추적 장치
KR100979507B1 (ko) 2008-02-28 2010-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위치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신호전송방법
KR20110093232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오너스커뮤니케이션 내장형 무선카메라장치 및 안전을 위한 위치추적 모니터링을 위한 대피등(유도등)내장 지그비 에이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89B1 (ko) * 2006-11-27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저전력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9507B1 (ko) 2008-02-28 2010-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위치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신호전송방법
KR20090095773A (ko) * 2008-03-06 2009-09-10 이점식 위치추적 장치
KR20110093232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오너스커뮤니케이션 내장형 무선카메라장치 및 안전을 위한 위치추적 모니터링을 위한 대피등(유도등)내장 지그비 에이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939B2 (en) Emergency services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a mesh communications network,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nd a plurality of personal tags
CN109952713B (zh) 具有相关范围的信标广播的系统和方法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CN104199050A (zh) 救灾现场人员运动轨迹精确跟踪监测系统、装置及跟踪监测方法
EP3422039B1 (en) First responder tracking breadcrumbs
JP2015230665A (ja) 障害物情報管理装置
WO2016142045A1 (en) Tracking in an indoor environment
KR101352488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JP6080568B2 (ja) 監視システム
KR20190000482A (ko) 재난 대응 드론을 이용한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057A (ko) 드론을 이용하는 화재진압 시스템 및 방법, 재난 정보 취득 시스템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KR101650774B1 (ko) 안전 대피 경로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48625B1 (ko) 날아다니는 비행 센서로봇 플랫폼 장치 및 방법
KR101223456B1 (ko) 실내 작업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에 이용되는 무선수신장치
KR20170101657A (ko)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7815A (ko) 관성 센서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KR101508470B1 (ko) 전원 투입 시스템 및 전원 투입 방법
KR101529443B1 (ko) 비상 탈출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비상 탈출 경로 제공 방법
CN103912312B (zh) 一种具有辅助定位节点的工作面操作人员定位方法
JP2020042600A (ja) ロボット群管理システム
KR101164712B1 (ko) 미아추적시스템 및 그의 방법
JP2008165289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KR102124353B1 (ko) 지하공간내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신호 송수신시스템
KR101627617B1 (ko) Rf 레이더를 이용한 위치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