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966B1 -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 Google Patents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66B1
KR101507966B1 KR20140045185A KR20140045185A KR101507966B1 KR 101507966 B1 KR101507966 B1 KR 101507966B1 KR 20140045185 A KR20140045185 A KR 20140045185A KR 20140045185 A KR20140045185 A KR 20140045185A KR 101507966 B1 KR101507966 B1 KR 101507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time
amplifier
water met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수
김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유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체기술(주) filed Critical 한국유체기술(주)
Priority to KR2014004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대별로 다른 유체의 흐름량을 시간대별로 다른 증폭율을 적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미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낮시간대와 밤시간대를 미리 설정하고 이들 시간대별로 측정된 데이터의 증폭율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미세한 유량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량에 상응하는 요금부과의 정확성을 높이고 관로의 불량으로 인한 누수 등을 검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Electromagnetic water meter for automatic measuring flow rate at several time slots and available multi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시간대별로 다른 유체의 흐름량을 시간대별로 다른 증폭율을 적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미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낮시간대와 밤시간대를 미리 설정하고 이들 시간대별로 측정된 데이터의 증폭율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미세한 유량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량에 상응하는 요금부과의 정확성을 높이고 관로의 불량으로 인한 누수 등을 검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 내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미터에 관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수도미터는 그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구분되어 왔다.
기계식 수도미터는 임펠러 또는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량을 직접 표시하여 사용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임펠러 또는 로터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임펠러 또는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기계식 기어에 부착된 영구자석이 회전하여 기계식 기어의 회전수를 적산하여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계식 수도미터는 다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물리적 부하에 따라 기어가 마모되어 기어의 맞물림이 어긋나게 되고, 또한 기어 사이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기어의 회전수가 부정확해지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한 유체의 양과 수도미터를 통해 측정한 값 사이에 점차 큰 오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식 수도미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식 수도미터는 임펠러 또는 로터 상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그 외부에 영구자석 또는 센서 등을 설치하여 자석의 자기력 또는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수를 측정하여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수도 관로를 측정하는 수도미터는 통상적으로 수도 사용량이 많은 낮시간과 수도 사용량이 적은 밤시간에 대하여 동일한 측정범위로 유량을 측정하여 저유량 특성이 좋지 못한 일반적인 수도미터의 특성으로는 상대적으로 수도 사용량이 적은 밤시간대의 저유량대는 측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유량이라 하더라도 감지되는 량이 실제로 사용에 의해 감지되는 것인지 혹은 관로의 불량으로 인한 누수로 인한 것인지를 뚜렷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구체적인 종래 누수감지시스템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관(10), 유량계(21,22), 누수감지장치(30)로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송수관(10)은 수돗물 등의 유체(12)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13) 사이를 수십 또는 수백 킬로미터의 긴 구간에 걸쳐 연결하고, 연결된 송수관(10)의 중간지점에는 가압소(14)가 있어 긴 구간을 지나면서 떨어지는 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유량계(20)는 저장장치(13) 또는 가압소(14)의 송수지점 또는 입하지점에 설치할 수도 있고, 송수관(10) 중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최소한 유체(12)가 흘러 나가는 송수지점과 유체(12)가 흘러 들어오는 입하지점의 2곳 이상에는 설치되어야 한다. 송수지점(A)의 유량계(21)와 입하지점(B)의 유량계(22)는 유량(QA, QB)을 측정하여 누수감지장치(30)로 전송한다. 유량계(20)는 소정간격으로 유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누수감지장치(30)로 측정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감지장치(30)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유량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한편, 유량(Q)에 대한 모니터링 시간 간격이 1초보다 큰 경우, 즉, 1분, 10분, 1시간 등의 경우에는 그 시간 동안 측정된 유량(Q)을 모두 평균한 값을 사용한다. 그러나 측정오차 등을 줄이기 위해 그 시간 동안 최대값이나 최소값, 또는 다른 측정치보다 편차가 크게 나는 측정치 등을 제외하여 평균할 수도 있다. 누수감지장치(30)는 상기와 같이 구한 유량(Q)정보를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누수 여부의 판단은 유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송수관(10) 내에 유체(12)가 흐르는 경우에 한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송간격은 유량계(21,22)의 측정시간과 누수감지장치(30)와 유량계(21,22)간의 통신선로의 속도, 누수감지장치(30)의 수신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정책적으로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시스템은 도 1에서의 두 지점, 즉, 송수지점 A와 입하지점 B에서 측정한 유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만약 송수지점 A와 입하지점 B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지점 C가 있으면 송수지점 A의 유량에 비해 입하지점 B의 유량이 적어질 것이다. 따라서 A지점에서 측정된 유량과 B지점에서 측정된 유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나면 누수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유량계(20)에서 측정한 유량의 측정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유량계(20)에 의해 측정한 유량의 오차는 유량계 자체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도 있는 반면, 송수관(10)의 환경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입하지점 B에서 유량계(22)로 측정한 유량(QB)이 송수지점 A에서 유량계(21)에서 측정한 유량(QA)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누수감지장치(30)는 이에 대한 보정을 하여 유량을 비교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4851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률적인 측정량 적용으로 인해 시간대별로 나타날 수 있는 유량 차이에 따른 측정의 부정확성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량 측정시간대를 낮시간대와 밤시간대로 구분 설정하여 각기 다른 증폭율을 적용하고 이에 상응하는 유량 교정변수를 적용하여 유량을 환산함으로써 유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정 방법에 따라 유량을 검지함에 있어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측정된 유량을 전송함에 있어 기기의 부하 없이 전송토록함으로서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는,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량을 검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된 유량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안정화증폭기;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에 대한 설정 시간을 입력하는 시간연산기; 상기 안정화증폭기에서 증폭된 유량신호의 검지 시각을 파악하며, 해당 유량신호를 상기 시간연산기에 의해 설정된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로 구분하는 시간대별 선택기;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에서의 구분에 따라 낮시간대에 검지된 유량신호를 낮시간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하는 낮시간대 증폭기;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에서의 구분에 따라 밤시간대에 검지된 유량신호를 밤시간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하는 밤시간대 증폭기;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 또는 밤시간대 증폭기의 증폭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 상기 A/D변환기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신호를 연산하여 수돗물 사용량을 판단하되,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 및 밤시간대 증폭기에서 각각 다른 증폭율로 증폭된 유량신호를 각각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별로 유량교정변수를 적용하여 교정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연산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시간연산기에 의해 입력되는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의 설정 시간은 계절별로 가변적인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에는 케이싱이 구성되되, 상기 케이싱에는 폴리아크릴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상기 탄산칼슘 분말 보다 입경이 작은 세라믹나노분말 20 내지 50중량부, 시트레이트 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코팅층에는 카프르산, 카프릴산, 폴리글리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0.1 내지 2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기는 연산된 유량신호와 기설정된 기준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관로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는 인성향상을 위해 친수성 섬유로 구성되며 소수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보강섬유는 아라미드로 구성된 보강섬유와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보강섬유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되,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보강섬유가 아라미드로 구성된 보강섬유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거더모듈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형 교량 상부구조물.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연산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지정된 설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설정 장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단말부와,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기 GPS단말부로부터 파악된 위치데이터를 조합하여 고정측정정보로 가공하는 데이터로거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가공된 고정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고정측정유닛; 및 운행 중인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 여부에 따라 구동되며, 운행 구간에서 근접하는 각각의 고정측정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정측정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이동저장부와,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수집유닛;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동수집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수도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각각의 설정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측정 대상지역에 대한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관제센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제센터와 연계되어 관제센터에서 출력되는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 및 이를 통한 수돗물 사용량 예측정보를 사용자의 요청 시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웹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에 따르면, 유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유량 측정이 가능하므로 수도 관내에 밤시간 저유량 대역에 대해서도 정확한 과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야 불문하고 수도관의 미세한 누수까지 검지하여 쓸데없이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누수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측정유닛 및 이동수집유닛을 포함하는 전송수단과 관제 센터를 구비함으로써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정보 측정 및 가공을 각각 분담토록 하며, 이러한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을 분담토록 하여, 경제적인 구성이 가능하고 넓은 공간적 커버리지가 가능하며 기기부하의 방지에 의해 정확한 측정치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누수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종래 수도미터의 측정범위와 본 발명의 수도미터의 측정범위 비교도.
도 4는 유량 측정에 요구되는 최소 데이터량에 따른 과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폭율과 유량교정변수 적용의 상관 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교정변수 적용으로 해결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유량측정방법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수단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송수단의 실시 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측정유닛 및 이동수집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시간대별로 유체의 흐름량이 상이한 것을 감안하여 시간대별로 다른 증폭율을 적용하고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도미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도미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 안정화증폭기(20), 시간연산기(80), 시간대별 선택기(30), 낮시간대 증폭기(40), 밤시간대 증폭기(50), A/D변환기(60)를 포함하고, 이들로부터 처리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하여 최종적인 유량 즉, 수돗물 사용량을 측정하게 되는 제어기(7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기(70)에서 측정된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관련부처로 전송하는 전송수단(90)을 포함하여 상기 관련부처에서 모니터링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10)는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량을 검지한다. 이때 상기 센서(10)는 유량 즉, 관로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흐름량(이하 '유량신호'라 칭함)을 검지하고 이러한 검지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공지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 및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정화증폭기(20)는 상기 센서(10)에 의해 검지된 유량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것으로, 최초 검지된 유량신호의 판단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간연산기(80)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에 대한 시간 설정을 입력하는 것으로, 시간 설정의 입력은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것일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연산기(80)는 상기 제어기(70)에 대해 수돗물 사용량이 많은 낮시간대로 설정한 시간과 상대적으로 수돗물 사용량이 적은 밤시간대로 설정한 시간이 시간대별 선택기(30)에 의해 선택 구분되도록 실시간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연산기(80)에서 입력되는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는 항상 고정된 시간이 아니라, 계절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이 계절별로 다르므로 이를 감안할 수도 있으며, 여름철에는 밤늦은 시간에도 더위를 식히기 위해 샤월 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는 상기 안정화증폭기(20)에서 증폭된 유량신호의 검지 시각을 파악한다. 이때, 유량신호의 검지 시간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어기(70)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데이터를 통해 판단하게 되며, 파악된 검지 시각에 따라 해당 유량신호를 상기 시간연산기(80)에 의해 설정된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로 구분하게 된다.
즉,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는 검지 시각에 따라 유량신호를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 두 가지 중 하나의 시간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40)는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에서의 구분에 따라 낮시간대에 검지된 유량신호를 낮시간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한다.
그리고, 상기 밤시간대 증폭기(50)는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에서의 구분에 따라 밤시간대에 검지된 유량신호를 밤시간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한다.
여기서, 수돗물의 사용이 적은 밤시간대의 유량신호가 낮시간대의 유량신호보다 상대적으로 미소한 바, 상기 밤시간대의 증폭율은 낮시간대의 증폭율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적용됨이 타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제시하는 증폭기는 제 1단 증폭부(100)와, 제 2단 증폭부(200)로 구분되는 바, 상기 안정화증폭기(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0)로부터 검지된 유량신호를 상기 제어기(70)에서 판단이 용이하도록 일정 레벨로 1차 증폭하는 제 1단 증폭부(100)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 낮시간대 증폭기(40) 및 밤시간대 증폭기(50)는 상기 제 1단 증폭부(100)의 안정화증폭기(2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센서(10)의 검지된 유량신호를 시간대별로 구분하고, 각기 다른 증폭율을 적용함으로써 검지된 유량신호의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이 정확하게 일어지도록 일정 레벨로 2차 증폭하는 제 2단 증폭부(20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A/D변환기(60)는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40) 또는 밤시간대 증폭기(50)에 의해 증폭된 증폭신호를 제어기(70)에서 연산 처리 가능하도록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A/D변환기(6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신호를 연산하여 수돗물 사용량을 판단하되,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40) 및 밤시간대 증폭기(50)에서 각각 다른 증폭율로 증폭된 유량신호를 각각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별로 유량교정변수를 적용하여 교정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센서(10)에서 검지된 유량신호를 상기 시간연산기(80)의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 설정에 따라 저장 관리되는 제 2단 증폭부(200)에서의 증폭율에 상응하는 유량 교정변수를 적용하여 디지털신호를 환산하는 방식으로 유량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70)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누수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 관리하는 바, 낮시간대에는 수돗물 사용량이 많아 대부분 실제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반면에, 밤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수돗물의 사용량이 많지 않아 실제 사용에 따른 것인지, 또는 누수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기가 어려우므로 밤시간대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와 누수로 인한 데이터를 별도로 만들어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검지된 유량이 일정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실제 사용된 유량으로 판단하여 과금에 적용토록 하고,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관로의 손상 등으로 인한 누수로 판단하여 과금에 적용하지 않고 누수지점을 신속히 파악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들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싱(400)에 의해 내재될 수 있는데, 상기 케이싱(400)에는 그 외연에 코팅층(410)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410)은 폴리아크릴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상기 탄산칼슘 분말 보다 입경이 작은 세라믹나노분말 20 내지 50중량부, 시트레이트 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우선 상기 코팅층(410)에는 주제로 폴리아크릴산 수지가 사용되는 바, 이는 수용성 바인더로서 코팅층에 수성을 부가하여 과도한 결로 발생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며, 과도한 결로가 발생되면 동절기 등에 있어 결로가 얼어 상기 구성들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주제로 폴리아클릴산 수지가 사용됨이 타당하다.
상기 탄산칼슘 분말은 충진제로서 상기 코팅층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산칼슘은 상기 코팅층(410)에서 프레임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이 상기 탄산칼슘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에 충진되도록 하여 밀실한 구조에 의해 방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싱(400)의 부식 등에 의한 내부 구성의 고장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은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탄산칼슘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충진되어 밀실한 구조를 유도토록 하는 것은 물론 세라믹 나노분말 자체가 열팽창계수가 낮아 열차단 기능을 상기 코팅층(410)에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이렇게 세라믹 나노분말이 배합됨으로써 외부의 냉기 등이 상기 케이싱(40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수도미터의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세라믹 나노분말로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로 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나노분말의 경우도 배합범위를 한정하는 이유는 20중량부 미만의 경우 방청성 및 열차단성 증진의 기능을 발현시키기 어려우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며 오히려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에 기인한 것이다.
상기 코팅층(410)에는 시트레이트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시트레이트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탄산칼슘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에 입자가 작은 세라믹 나노분말이 전체 코팅층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균일한 물성(밀실한 구조 및 열차단성)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입자가 작은 세라믹 나노분말의 경우 입자가 작아 상호간에 응집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배합하는 경우 불균일한 충진에 의해 균일한 물성의 확보를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시트레이트를 더 배합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시트레이트가 세라믹 나노분말의 균일한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유는 입자 간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입자 간의 응집을 제어함으로써 균일한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세라믹 나노분말 사이에서 반발 정전기력을 우세하게 함으로써 입자 간의 응집을 야기하는 반데르발스 힘에 반작용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코팅층(410)에는 폴리아크릴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카프르산, 카프릴산, 폴리글리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0.1 내지 2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한다.
폴리카프르산, 카프릴산, 폴리글리콜은 일정한 상전이온도(phase transition temp)에서 상변화에 필요한 열량을 외부에서 흡수하거나 방출되도록 하는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코팅층에 있어 각각 물질의 상전이온도에 따라 잠열특성을 발휘하여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수도미터가 동절기시에 상기 코팅층(410)이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에 의해 열차단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동파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내부 동파방지를 위해 세라믹 나노분말의 첨가량을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비용적인 문제, 코팅층(410) 전체의 물성저하 문제가 있어 폴리카프르산, 카프릴산, 폴리글리콜의 혼합물을 더 배합토록 하여 동절기에 있어 케이싱(400)의 과냉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도미터는 코팅층(410)이 도포된 케이싱(400)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방청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동절기에 있어 과냉을 방지하여 동파에 의한 기기고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증폭율 및 유량 교정변수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수도미터의 경우 센서(10)로부터 측정되는 미세 전압 신호를 측정하여 VF(Voltage to Frequency) 컨버터를 통해 주파수 신호를 변환함으로써 유량을 측정 판단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유량이 적은 경우 센서(10)로부터 측정되는 전압 신호가 매우 미세하고 이에 따라 변환된 주파수 신호 역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이를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시간을 늘려 일정량 이상의 검지데이터를 확보하여야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0.1% 이상의 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1000개 이상의 데이터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 입력분해능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데이터 확보를 위한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어 응답시간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시간을 늘리는 대신 증폭기의 증폭율을 올리는 방법으로 카운터값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생성된 카운터값 = (변경된 증폭율/기존 증폭율) × (기존에 얻었던 ADC값)
상기 수식에서 (변경된 증폭율/기존 증폭율) 〉1이면, 카운터값은 증가 형태로 나타나고 동일한 시간에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종래 응답지연으로 인해 측정할 수 없었던 미세 유량에서도 측정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일시간에 측정된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종래 측정방법에 비해 측정분해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측정정도도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수도미터는 센서(10)로부터 측정되는 미세 전압 신호를 측정하여 증폭하고 교정변수의 곱을 통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유량 단위로 정량화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사용량이 적은 밤시간대에는 센서(10)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압신호는 매우 적다. 반면에 물 사용량이 많은 낮시간대에서 얻어지는 전압신호를 상대적으로 매우 크므로 밤과 낮시간대에 센서(10)에서 얻을 수 있는 전압시간의 차이는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감안하지 않고 종래의 전자 수도미터는 낮시간대의 물 사용량을 포함하는 큰 범위에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밤시간대의 미세한 전압신호인 미세 유량은 제대로 측정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밤시간대에 미세 유량 센서신호를 측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를 축적해야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입력으로부터 출력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수도미터의 입력신호의 데이터량이 측정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만약 데이터량이 100개라면 1개 이하의 오류를 처리할 수 있는 회로를 구성하여 최대 ±1%의 정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신호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의 데이터량을 얻을 수 있도록 밤 시간대의 증폭율을 낮시간대 보다 크게 하여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시간대 구분설정으로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수도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낮시간대와 밤시간대를 각각 구분하여 설정한 후,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항상 시간연산기(80)를 통해 제어기(70)에 입력하도록 세팅한다.
상기 센서(10)에 의해 관로를 흐르는 유량이 검지되고, 이 검지된 신호는 유량을 분석하기에 매우 미약한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 1단 증폭부(100)의 안정화 증폭기(20)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한다.
증폭된 유량 검지신호는 제 2단 증폭부(200)로 입력되어 처리되는 바, 먼저 시간대별 선택기(30)에서는 상기 유량 감지신호가 검지된 시간이 언제인지를 제어기(70)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판단하여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의 두 가지 중 하나의 시간대를 선택하게 된다.
이후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에 의해 낮시간대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량 검지신호는 낮시간대 증폭기(40)로 입력되고,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40)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다.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40)는 유량이 많은 것을 센서(10)가 검지한 것이므로 검지신호의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30)에 의해 낮시간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밤시간대인가를 판단하게 되고 맞으면 유량 검지신호는 상기 밤시간대 증폭기(50)로 입력되어 이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다.
상기 밤시간대 증폭기(50)는 밤시간인 것을 감안하여 유량이 적은 것을 센서(10)가 검지한 것이므로 검지신호의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많은 것으로 보아 상기 낮시간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에서의 소정 레벨 증폭 과정은 밤시간대 유량 검지신호를 증폭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낮시간대보다 밤시간대에 사용되는 유량이 적어 검지신호가 매우 미약한 신호일 수 있으므로 고증폭기를 사용하며 유량 측정의 정확성을 위하여 제어기(70)에서는 다시 증폭율에 상응하는 교정변수를 적용하여 유량을 환산 판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시간대별로 증폭율을 달리하여 증폭된 유량 검지신호는 A/D변환기(60)로 입력되고 상기 A/D변환기(60)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검지신호를 최종적으로 제어기(7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기(70)에서는 자체적으로 메로리에 저장 관리되고 있는 유량측정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유량을 판단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어기(70)에서는 입력된 디지털신호가 낮시간대 유량 검지신호에 대한 것인지 또는 밤시간대 유량 검지신호에 대한 것인지를 구분하며 각기 다른 교정변수를 적용하여 낮시간대 유량 또는 밤시간대 유량으로 구분 연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연산 결과 검지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많을 경우, 즉 검지된 유량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클 경우에는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의 실제 사용량으로 판단하여 이를 DB에 저장 관리하면서 물 사용에 따른 과금 정보로 활용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단계에서의 측정 결과, 검지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적을 경우, 즉, 검지된 유량신호가 기준신호보다 작을 경우에는,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에 실제 사용된 유량이 아니라 예를 들어 관로의 파손 등으로 인한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DB에 저장 관리하면서 관로 보수 등의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관련 부처에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70)에서 산출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송수단(90)은 두 가지 실시 예로 제시될 수 있는 바, 먼저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전송수단(9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데이터의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포트는 외부로부터 USB의 연결을 감지하게 되며, USB의 연결 시 자동으로 상기 제어기(70) 등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연결된 USB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송수단(90)은 다종의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의 통신 방식을 파악하게 되며, USB의 통신 방식이 무선 통신 예를 들면, WIFI, BLUE TOOTH 및 WIBRO 통신 방식이면, 해당 무선 통신을 적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상기 제어기(70) 등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말기 역시 동일한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송수단(9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70)의 데이터를 관련부처 즉, 수도사업관리관청의 관제센터(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전송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손실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수단(90)은 복수의 고정측정유닛(900)과 이동수집유닛(910)으로 구성되어 이들을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으로 구축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측정유닛(900)은 상기 제어기(70)와 연동되는 것으로 각 수도미터가 설치된 지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바, 복수 개가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측정유닛(900)은 상기 제어기(70)로부터 연산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901)와, 지정된 설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설정 장소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GPS 단말부(902)와,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기 GPS 단말부(902)로부터 파악된 위치데이터를 조합하여 고정측정정보로 가공하는 데이터로거(903)와, 상기 데이터로거(903)에서 가공된 고정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904) 및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9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수도미터는 각기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GPS 단말부(902)로부터 출력되는 위치데이터를 식별번호로 구성하여 위치와 함께 수도미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측정유닛(900)에서 저장 및 전송하는 고정측정정보는 최소한의 가공이 가미된 데이터이다.
상기 저장부(904)는 상기 데이터로거(903)로부터 가공된 고정측정정보를 저장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렇게 저장부(904)에 저장된 고정측정정보는 근접하는 이동수집유닛(910)의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부(905)를 통해 상기 이동수집유닛(910)으로 전송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통신부(905)는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근접하는 이동수집유닛(910)으로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통신부(905)에 의한 무선 통신방식은 공지기술로서 일 예로 RFIS, DSR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통신부(905)는 상기 이동수집유닛(910)으로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되, 중계노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도 상기 고정측정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중계노드는 고정측정유닛(900)이 복수로 마련됨에 따라 복수의 고정측정유닛(90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수집유닛(910)은 차량을 포함하는 이동수단(911)에 탑재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측정유닛(900)을 통과할 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측정유닛(900)에서 전송하는 고정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고정측정정보를 상기 관제센터(300)로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중계유닛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이동수집유닛(910)은 단순히 원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관제센터(300)로 수집한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측정수단과 통신수단을 별도로 구성함에 의해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기능이 경제적인 구성에 의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수집유닛(910)은 운행 중인 이동수단(911)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911)의 이동 여부에 따라 구동되며, 운행 구간에서 근접하는 각각의 고정측정유닛(900)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정측정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이동저장부(912)와,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부(913)를 포함하는 이동수집유닛(9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이동통신부(913)는 근거리 통신부와 장거리 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고정측정유닛(9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이고, 장거리 통신부는 상기 관제센터(3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장거리 통신부는 공지기술로서 3G, 4G 등의 무선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 이동수집유닛(910)이 복수인 경우 소수의 유닛에만 관제센터(300)와 통신 가능한 수단을 마련하고 나머지는 해당 소수의 유닛과 통신하면 충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관제센터(300)와 통신 가능한 수단이 마련된 소수의 유닛이 중계 노드일 수 있다. 중계노드는 별도로 마련되거나, 이동수집유닛(910)이 해당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송수단(90)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관제센터(300)에서 가공되어 관리자의 요청 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관제센터(300)는 무선 전송된 고정측정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고정측정유닛(900)이 구성된 측정 대상지역의 수돗물 사용량을 산출 및 정리하게 되는 것으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정보 등을 수돗물 사용량 정보로 가공을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제센터(300)에서 취합된 정보를 가공토록 하여 관리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돗물 사용량 정보로 생성토록 하는 것으로, 데이터 가공 및 저장의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300)는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취합하여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로 재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러한 재가공에 의해 미래 수돗물 사용량 정보를 예측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관제센터(300)는 고정측정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고정측정유닛(900)이 구성된 측정 대상지역의 수돗물 사용량을 산출 및 정리함으로써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로 재가공을 하는 바, 이렇게 재가공된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는 웹서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는 상기 관제센터(300)와 연계되어 관제센터(300)의 DB(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 및 이를 통한 수돗물 사용량 예측정보를 관리자의 요청 시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술한 정보들을 특정 웹페이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나 웹서비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관리 응용 프로그램 내지 실행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서비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형태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센서 20 : 안정화증폭기
30 : 시간대 별선택기 40 : 낮시간대 증폭기
50 : 밤시간대 증폭기 60 : A/D변환기
70 : 제어기 80 : 시간연산기
90 : 전송수단 100 : 제 1단 증폭부
200 : 제 2단 증폭부 300 : 관제센터
900 : 고정측정유닛 910 : 이동수집유닛

Claims (7)

  1.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량을 검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된 유량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안정화증폭기;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에 대한 설정 시간을 입력하는 시간연산기;
    상기 안정화증폭기에서 증폭된 유량신호의 검지 시각을 파악하며, 해당 유량신호를 상기 시간연산기에 의해 설정된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로 구분하는 시간대별 선택기;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에서의 구분에 따라 낮시간대에 검지된 유량신호를 낮시간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하는 낮시간대 증폭기;
    상기 시간대별 선택기에서의 구분에 따라 밤시간대에 검지된 유량신호를 밤시간대 증폭율을 적용하여 증폭하는 밤시간대 증폭기;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 또는 밤시간대 증폭기의 증폭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
    상기 A/D변환기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신호를 연산하여 수돗물 사용량을 판단하되, 상기 낮시간대 증폭기 및 밤시간대 증폭기에서 각각 다른 증폭율로 증폭된 유량신호를 각각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별로 유량교정변수를 적용하여 교정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로부터 연산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 및
    상기 센서, 안정화증폭기, 시간연산기, 시간대별 선택기, 낮시간대 증폭기, 밤시간대 증폭기, A/D변환기 및 제어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폴리아크릴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상기 탄산칼슘 분말 보다 입경이 작은 세라믹나노분말 20 내지 50중량부, 시트레이트 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연산기에 의해 입력되는 낮시간대 및 밤시간대의 설정 시간은 계절별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에는 카프르산, 카프릴산, 폴리글리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0.1 내지 2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연산된 수돗물 사용량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지정된 설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설정 장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단말부와, 상기 측정데이터에 상기 GPS단말부로부터 파악된 위치데이터를 조합하여 고정측정정보로 가공하는 데이터로거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가공된 고정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고정측정유닛; 및
    운행 중인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 여부에 따라 구동되며, 운행 구간에서 근접하는 각각의 고정측정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정측정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이동저장부와,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수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집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정측정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수도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각각의 설정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측정 대상지역에 대한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관제센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와 연계되어 관제센터에서 출력되는 3차원 공간 내 수돗물 사용량 정보 및 이를 통한 수돗물 사용량 예측정보를 사용자의 요청 시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KR20140045185A 2014-04-16 2014-04-16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KR101507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185A KR101507966B1 (ko) 2014-04-16 2014-04-16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185A KR101507966B1 (ko) 2014-04-16 2014-04-16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966B1 true KR101507966B1 (ko) 2015-04-08

Family

ID=5303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185A KR101507966B1 (ko) 2014-04-16 2014-04-16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96B1 (ko) 2016-02-29 2016-09-12 (주)효성파워택 스마트 유량 관제 시스템
KR2018012116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디앤샤인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유류탱크의 유량 측정 시스템
CN117664281A (zh) * 2024-01-29 2024-03-08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超声波水表故障检测与自动校准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844B1 (ko) * 2006-08-03 2007-03-08 주식회사 엔지이엔 관거의 침입수, 유입수, 누수의 실시간 감지 및 분석 방법및 시스템
KR20110117275A (ko) * 2010-04-21 2011-10-27 한국수자원공사 Gps를 이용한 수도검침시스템
KR101184726B1 (ko) * 2012-02-16 2012-09-24 한국유체기술(주) 시간대를 구분설정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844B1 (ko) * 2006-08-03 2007-03-08 주식회사 엔지이엔 관거의 침입수, 유입수, 누수의 실시간 감지 및 분석 방법및 시스템
KR20110117275A (ko) * 2010-04-21 2011-10-27 한국수자원공사 Gps를 이용한 수도검침시스템
KR101184726B1 (ko) * 2012-02-16 2012-09-24 한국유체기술(주) 시간대를 구분설정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96B1 (ko) 2016-02-29 2016-09-12 (주)효성파워택 스마트 유량 관제 시스템
KR2018012116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디앤샤인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유류탱크의 유량 측정 시스템
KR101971650B1 (ko) * 2017-04-28 2019-04-23 주식회사 디앤샤인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유류탱크의 유량 측정 시스템
CN117664281A (zh) * 2024-01-29 2024-03-08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超声波水表故障检测与自动校准方法和系统
CN117664281B (zh) * 2024-01-29 2024-04-09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超声波水表故障检测与自动校准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49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a pipeline network
US107502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water utilization
KR102263543B1 (ko) 온도의 측정값을 판독하고 전송하는 장비
NL2007770C2 (en) Determining a quantity of transported fluid.
CN110274669B (zh) 一种大口径电子水表在线检定方法
CA281934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ass of a fluid flowing through a flow rate meter in a consumption time interval
KR101507966B1 (ko) 시간대별 유량의 자동 측정 변경과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식 수도미터
US7039529B2 (en) Consumption meter
KR101540247B1 (ko) 수도계량기 자동시험장치
KR101134514B1 (ko) 온도센서 이상 진단기능을 구비한 적산열량계 및 이상 진단방법
Farah et al. Smart water technology for leakage detection: feedback of large-scale experimentation
KR20210140787A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CN115552168A (zh) 基于流量的计量系统中的可变速率监测
KR101440924B1 (ko) 비접액식 유량측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63836B1 (ko) 적산 열량계
KR101382231B1 (ko) 음의 연속성을 이용한 누수진단 시스템
CN104568061A (zh) 多探头无源核子料位计
KR101342691B1 (ko) 유량계 원격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계 고장 판단장치 및 방법
KR101184726B1 (ko) 시간대를 구분설정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KR100363835B1 (ko) 수도미터
KR20140119139A (ko) 센서 디바이스
CN104990132B (zh) 一种基于上分摊的供热计量远程智能控制系统
KR20150025328A (ko) 터빈을 이용한 질량유량측정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KR20140124292A (ko) 온압 보정에 의한 가스 요금 부과 시스템 및 방법
FI12471U1 (fi) Vedenmittausjärjes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