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578B1 -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578B1
KR101507578B1 KR1020140095991A KR20140095991A KR101507578B1 KR 101507578 B1 KR101507578 B1 KR 101507578B1 KR 1020140095991 A KR1020140095991 A KR 1020140095991A KR 20140095991 A KR20140095991 A KR 20140095991A KR 101507578 B1 KR101507578 B1 KR 10150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 insulating
pair
frame plate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봉
신형선
박노선
Original Assignee
이성봉
신형선
박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봉, 신형선, 박노선 filed Critical 이성봉
Priority to KR102014009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은, 유리 설치를 위한 단열 프레임으로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가지며 일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단열 프레임의 일 측에 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리 수용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홈이 형성되도록 선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체결 수단은 양 측부가 상기 체결 홈 내에 삽입되고 중심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의 열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 부재; 및 상기 체결 홈 중 상기 단열 부재가 채우고 남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Insulating frame for mounting glass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실내외의 온도 차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건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바로 이루어진 샤시 프레임(1)을 설치하고, 이러한 샤시 프레임(1) 내에 유리(2)를 시공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인리스 바로 이루어진 샤시 프레임(1)은 세로 바(1a)와 가로 바(1b)를 조합하여 사각 프레임을 구성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간편하며, 설치 후 외관이 미려하고, 또한 유지/보수가 수월한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샤시 프레임(1)을 이루는 세로 바(1a) 또는 가로 바(1b)에 유리(2)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2)는, 샤시 프레임(1)의 일 측에 그 모서리가 면접하거나(도 2) 샤시 프레임(1)의 일 측에 형성된 유리 삽입부(1a) 내에 삽입된 상태(도 3)로 그 모서리를 따라서 실리콘 등의 몰딩재료(3)를 이용하여 몰딩 처리를 함으로써 샤시 프레임(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시 프레임(1) 구조에 따르면, 건물의 실내/외가 스테인리스 바로 연결되어 있어 열전도 형상에 의한 열전달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단열 성능이 취약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샤시 프레임(1) 구조에 따르면, 건물 외부의 공기가 찬 경우 냉기가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내측 프레임으로 쉽게 전달되어 실내/외의 온도 차에 따라 물방울(4)이 맺히는 결로 현상을 유발하고 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144649호(공고일자: 2012.05.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의 냉기가 프레임을 통해 내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 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샤시 프레임이 설치된 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시키면서도, 그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단열 프레임의 구조 및 이러한 단열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복적인 연구를 거듭한 결과, 단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또한 제조 공정 역시 간소화 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단열 프레임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은,
유리 설치를 위한 단열 프레임으로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가지며 일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단열 프레임의 일 측에 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리 수용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홈이 형성되도록 선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체결 수단은 양 측부가 상기 체결 홈 내에 삽입되고 중심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의 열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 부재; 및 상기 체결 홈 중 상기 단열 부재가 채우고 남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단열 부재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져 프레임 플레이트 간의 열전달 현상을 최소화 함으로써 단열 프레임이 설치된 건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 및 결로 현상 방지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 수단에 의한 프레임 플레이트 간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체결 홈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 수단의 양 측부 각각은, 상기 체결 홈의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로써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은,
유리 설치를 위한 단열 프레임으로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가지며 일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단열 프레임의 일 측에 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리 수용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홈이 형성되도록 선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체결 수단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홈 및 상기 이격 공간을 채우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단열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단열 프레임 제조 방법은,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체결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b) 상기 체결 수단을 압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를 일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단열 부재를 압출하는 단계; 및 (b2) 고정 부재를 압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c)단계는 (c1) 상기 단열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체결하는 단계; 및 (c2) 상기 체결 홈 중 단열 부재가 삽입되고 남은 공간에 상기 고정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열 프레임의 구조 개선을 통해 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 패널을 매개체로 하는 열 전도를 최소화 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 차에 따른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 프레임이 적용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열 프레임의 제작을 위해 복잡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 패널을 압출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어 제작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오늘날의 건물에 적용되는 샤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샤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단면이 나타나도록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열 프레임의 체결부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 수단이 단일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프레임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단열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에 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단면이 나타나도록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열 프레임의 체결부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10), 제2 프레임 플레이트(20) 및 이러한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를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는 단열 프레임(100)의 외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단열 프레임(100)이 강성을 확보하고 또한 열 전달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10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로써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단열 프레임(100)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 열 전도율이 비교적 낮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는 상호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를 통해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 중 어느 한 쪽은 건물의 실내 측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한 쪽은 건물의 실외 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실내외의 온도 차에 따른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열효율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체결 수단(30)은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금속 재질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와 비교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 수단(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기능에 중점을 둔 단열 부재(31) 및 고정 부재(32)로 나누어진 복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열 부재(31)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는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면서도 그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기능에 중점을 두기 위해 단열 성능이 우수한 폴리아미드(PI: polyami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2)는 고정력 강화에 중점을 두기 위해 형상 유지력이 좀 더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h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10,20) 및 체결 수단(3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체결 구조 등은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프레임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단열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에 유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10,20) 각각은, 단열 프레임(100)의 일 측에 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리 수용 홈(100a)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도 7을 기준으로 볼 때, 위쪽 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호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됨).
또한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10,20) 각각은 체결 수단(30)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홈(10a,20a)이 형성되도록 선단부가 또 다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10,20) 각각은 선단부는 절곡되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ㄷ'자 형상으로 인해 형성된 체결 홈(10a,20a)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7과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 부재(31)는 일정 공간(S)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프레임 플레이트(10,20) 각각의 선단부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를 체결한다.
즉, 상기 단열 부재(31)는, 제1 측부(31a) 및 제2 측부(31b)가 각각 체결 홈(10a, 20a) 내에 삽입/고정 될 수 있도록 체결 홈(10a,20a)의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중심부(31c)는 프레임 플레이트(10,20)가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형성된 공간(S)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 부재(31)의 양 측부(31a,31b)는 체결 홈(10a,20a)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채울 수 있으며, 이 경우 나머지 공간은 단열 부재(31)보다 좀 더 강성이 높아 형상 유지 및 체결력 향상에 유리한 고정 부재(32)의 삽입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 및 이들을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30)을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100)은, 프레임 플레이트(10,20)의 절곡에 의해 일 측에 형성된 유리 삽입 홈(100a) 내에 유리(40)의 일 측을 수용하게 되며, 수용된 유리(40)는 몰딩 부재(50)에 의해 프레임 플레이트(10,20)에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100)은 적용되는 위치 등에 따라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수단(30)의 설치 위치/개수 등이 달라짐으로써 구체적인 구조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10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매우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품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건물에 유리를 설치하는 경우, 건물의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냉기가 전달됨으로 인하여 실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 프레임(100)은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를 제작함에 있어서 별도의 압출 공정을 거치지 않고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공정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러한 구조에 따르는 경우 제작 공정의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은 (a) 프레임 플레이트를 절곡 하는 단계, (b) 단열 부재를 압출하는 단계, (c) 고정 부재를 압출하는 단계 및 (d) 프레임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길쭉하게 형성된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를 복수회 절곡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수용 홈(100a) 및 체결 홈(10a,10b)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b)단계 및 (c)단계는, 상기 체결 홈(10a,10b)을 이용하여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를 체결할 수 있도록 프레임 플레이트(10,20)의 선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단열 부재(31) 및 고정 부재(32)를 각각 압출 하는 단계이다.
물론, 이러한 (b)단계 및 (c)단계는, 체결 수단(30)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를 압출하는 단일한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d)단계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10,20)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를 체결 수단(30)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체결 단계는, (d1) 마주보는 프레임 플레이트(10,20)각각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단열 부재(31)를 이용하여 프레임 플레이트(10,20) 사이를 체결하는 단계, 및 (d2) 체결 홈(10a,20a) 중 단열 부재(31)가 삽입되고 남은 공간에 고정 부재(32)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수단(30)이 단일한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러한 체결 단계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 수단(30)을 삽입하는 단일한 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된 공정 단계의 순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은, 논리적으로 당연히 선후 관계가 결정되어 있는 단계들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단계들을 포함하고 있으면 충분한 것이고, 기재된 공정의 순서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단열 프레임 100a: 유리 삽입 홈
10: 제1 프레임 플레이트 10a: 제1 체결 홈
20: 제2 프레임 플레이트 20a: 제2 체결 홈
S: 공간
30: 체결 수단
31: 단열 부재
31a: 제1 측부 31b: 제2 측부
31c: 중심부
32: 고정 부재
40: 유리
50: 몰딩 부재

Claims (10)

  1. 유리 설치를 위한 단열 프레임에 있어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단열 프레임의 일 측에 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리 수용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홈이 형성되도록 선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체결 수단은, 양 측부가 상기 체결 홈 내에 삽입되고 중심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의 열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 부재; 및 상기 체결 홈 중 상기 단열 부재가 채우고 남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단열 부재는 폴리 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체결 홈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갖고,
    상기 체결 수단의 양 측부 각각은 상기 체결 홈의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열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체결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b) 상기 단열 부재 및 고정 부재를 각각 압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열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를 체결한 다음 상기 체결 홈 중 단열 부재가 삽입되고 남은 공간에 상기 고정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95991A 2014-07-28 2014-07-28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91A KR101507578B1 (ko) 2014-07-28 2014-07-28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91A KR101507578B1 (ko) 2014-07-28 2014-07-28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78B1 true KR101507578B1 (ko) 2015-03-31

Family

ID=5302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91A KR101507578B1 (ko) 2014-07-28 2014-07-28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5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867A (ko) 2016-11-30 2018-06-08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2481245B1 (ko) 2022-06-09 2022-12-27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522087B1 (ko) 2022-06-09 2023-04-14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용 덮개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5972A (en) 1976-05-24 1978-09-26 Giovanni Varlonga Fixed and movable frame fixtures for doors and windows
KR20050084716A (ko) * 2004-02-24 2005-08-29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101144649B1 (ko) *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30063805A (ko) * 2011-12-07 2013-06-17 (주)성진지앤에스 유리벽체 설치용 샤시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5972A (en) 1976-05-24 1978-09-26 Giovanni Varlonga Fixed and movable frame fixtures for doors and windows
KR20050084716A (ko) * 2004-02-24 2005-08-29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101144649B1 (ko) *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30063805A (ko) * 2011-12-07 2013-06-17 (주)성진지앤에스 유리벽체 설치용 샤시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867A (ko) 2016-11-30 2018-06-08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2481245B1 (ko) 2022-06-09 2022-12-27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522087B1 (ko) 2022-06-09 2023-04-14 노재오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프레임용 덮개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844Y1 (ko) 유리 취부용 프레임
KR101483001B1 (ko)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커튼 월
KR101589985B1 (ko) 가변형 유리 커튼 월 구조
KR101507578B1 (ko) 유리 설치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US9419163B2 (en) Sola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11442B1 (ko)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101622957B1 (ko) 커튼월 프레임
EP3491308B1 (e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rim breaker
KR101344734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KR101543455B1 (ko) 조립식 커튼월 단열보강구조체
KR200473063Y1 (ko) 창호용 세로 단열프레임
KR101678033B1 (ko) 유리 커튼월의 설치구조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KR101511525B1 (ko) 도어
KR20110007822A (ko) 알루미늄 고정 단열창 프레임의 구조
KR101068108B1 (ko) 건물용 복합창호
KR102071319B1 (ko)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101947016B1 (ko) 커튼 월
CN215056707U (zh) 淋浴房门体组件及淋浴房
KR101278649B1 (ko) 유리벽체 설치용 샤시 프레임
KR20180132199A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제조방법
KR101587873B1 (ko) 히트싱크의 결합구조
KR102133748B1 (ko) 내, 외측 단열 성능 개선을 위한 창호
KR102108734B1 (ko)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