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900B1 -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900B1
KR101506900B1 KR1020140002564A KR20140002564A KR101506900B1 KR 101506900 B1 KR101506900 B1 KR 101506900B1 KR 1020140002564 A KR1020140002564 A KR 1020140002564A KR 20140002564 A KR20140002564 A KR 20140002564A KR 101506900 B1 KR101506900 B1 KR 10150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rizontal
bundle
vertica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석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
박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 박흥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
Priority to KR102014000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00B1/ko
Priority to PCT/KR2014/010338 priority patent/WO20151052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7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Abstract

본 발명은 망상 구조이며, 상부 및 하부는 열린 구조이고, 측면은 닫힌 구조인 네트부; 상기 네트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하부 묶음부; 및 상기 네트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를 제공하며, 상기 매립재 운반용 돌망태는, 큰 하중의 매립재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고, 하중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Reuseable Gabion for Carrying Reclaiming Materials}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천이나 해안, 수변의 세굴 방지, 사면 안정 및 외관 정비 목적으로 콘크리트 포설 대신 친환경적 공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망태는 철선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철선을 이용한 망태는 재질의 특성상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 만을 투하시키지 못하고, 망태 내부에 채움재를 넣은 채로 이동시켜 적층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72100호는 자갈, 쇄석, 폐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담아 안전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와 신축성, 내구성이 뛰어난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 합성섬유 재질의 망태를 제조하고, 같은 소재로 망태 입구를 묶는 보조로프, 인양로프, 인양로프를 거는 탄소철강재 운반링으로 구성된 섬유 돌망태를 개시하고 있다.
앞서 언급된 선행기술은 자갈, 쇄석, 폐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담아 섬유망태를 하천제방 축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섬유 돌망태는 높은 강도가 요구되지 않아도 되는 구조로서, 많은 량과 중량의 채움재를 운반하여 투하하는 돌망태형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갖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72100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중 강도가 우수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직로프와 수평로프가 교차된 망상 구조이며, 상부 및 하부는 열린 구조이고, 수평 로프의 제1 말단은 측면 묶음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로프의 제2 말단은 제1 말단의 측면 묶음 고리와 체결되어 측면이 닫힌 구조인 네트부; 네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 묶음부; 네트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하부 묶음부; 및 상기 각 수직 로프의 상부측 3줄 사이에 반대쪽의 수직 로프를 끼워넣어 원형으로 오링 고리를 각각 형성하고, 리프팅 로프가 상기 오링 고리에 삽입되어 네트부와 체결되며, 상기 리프팅 로프는 별도의 리프팅 장치와 체결되는 구조인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로프 위쪽 끝단은 상부 묶음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묶음 고리에 상부 묶음 로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부 묶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로프 아래쪽 끝단은 하부 묶음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묶음 고리에 하부 묶음 로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묶여져 하부가 밀폐된 하부 묶음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묶음부는 하부 묶음 로프를 당김으로써 하부 묶음부가 개방되는 구조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큰 하중의 매립재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고, 하중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태의 요부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7는 도 1의 "C"부분의 확대 구성도로서, 수직 로프의 사이에 수평 로프가 순차적으로 매듭으로 연결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수평 로프의 측면 묶음 고리에, 반대쪽의 수평 로프를 순차적으로 끼워 묶은 상태도이다.
도 9는 수직 로프의 하부 묶음 고리에 하부 묶음 로프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풀림이 용이하도록 묶고, 수직 로프의 상부 묶음 고리에 상부 묶음 로프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느슨하게 묶었으며, 수직 로프의 오링 고리에 리프팅 로프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느슨하게 묶은 상태도이다.
도 10은 하부 묶음 로프를 조여서 묶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묶여진 하부 묶음 로프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체 운반용 망태는,
망상 구조이며, 상부 및 하부는 열린 구조이고, 측면은 닫힌 구조인 네트부;
네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 묶음부;
네트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하부 묶음부; 및
네트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재 운반용 망태에서, 상기 네트부는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가 교차된 망상구조일 수 있다.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내지 보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부 묶음부는,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 묶음 로프를 당김으로써 풀리는 구조이다. 하부 묶음부가 묶여진 상태에서 매립재를 적재하고,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게 된다. 운반된 매립재는 하부 묶음부를 풀어서 투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묶음부는, 수직 로프 아래쪽 끝단은 하부 묶음 고리를 형성하고, 하부 묶음부는 상기 하부 묶음 고리에 하부 묶음로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구조이고, 상기 하부 묶음부는 하부 묶음 로프를 당김으로써 풀리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 묶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부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묶게 되면, 선적 및 하적이 용이하고, 운반시 매립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묶음부는 수직 로프 위쪽 끝단은 상부 묶음 고리를 형성하고, 상부 묶음부는 상기 상부 묶음 고리에 상부 묶음 로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는, 수직 로프의 일측에 오링 고리가 형성되고, 리프팅 로프가 상기 오링 고리에 삽입되어 네트부와 체결되고, 상기 리프팅 로프는 별도의 리프팅 장치와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네트부의 측면은 닫힌 구조이며, 수평 로프의 제1 말단은 측면 묶음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로프의 제2 말단은 제1 말단의 측면 묶음 고리와 체결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별 수평 로프에 대해서 제1 말단은 측면 묶음 고리를 형성하고, 반대편 제2 말단은 상기 제1 말단과 체결함으로써 네트부 전체적으로는 측면이 닫힌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네트부의 측면이 닫힌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위의 측면 묶음 고리를 이용한 체결방식 외에도, 단순 묶음 처리하는 경우, 클램프에 의한 체결 혹은, 원형의 수평 로프를 이용하여 네트부를 형성하는 구조 등 다양한 방식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로프 제1 말단의 측면 묶음 고리 구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수평 로프는 3가닥 이상의 가는 로프가 꼬여서 형성된 구조이고, 수평 로프를 형성하는 가는 로프의 각 끝단은, 수평 로프의 끝단이 아닌 영역을 형성하는 부분의 가는 로프들 사이에 함입되어 꼬임으로써 측면 묶음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네트부를 형성하는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의 교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의 클램프로 고정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클램프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철,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예를 들어, 십자 형태로 교차부를 조임으로써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네트부를 형성하는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의 교차부 모두가 클램프로 고정된 구조일 수 있으나, 일부는 다른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네트부에서 리프팅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바로 위 및 아래에 형성된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의 교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 간의 묶음 방식으로 체결되어 보강매듭을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리프팅부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이 걸릴 수 있으며,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 간의 묶음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네트부는 형상 내지 크기는 운반하고자 하는 매립재의 종류, 하중 및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수평 로프와 수직 로프가 형성하는 망눈의 가로 및 세로의 평균 간격은,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45 cm 범위, 혹은 15 내지 25 cm 범위일 수 있다. 매립 공사에 사용하기 적합한 매립제를 운반하기에 적합한 간격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운반 대상이 되는 매립제의 평균 직경이 30 내지 40 cm 인 경우에, 이를 효과적으로 운반하기 위해서 로프 간격을 20 cm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묶음부는 당기면 풀리는 구조이다. 그러나,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하부 묶음부를 구성하는 로프 또는 하부 묶음부의 연장 로프를 당기게 되면, 마찰에 의해 당겨지지 않거나 심한 경우에는 로프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하부 묶음 로프의 부분 또는 전체는 윤활 처리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묶음 로프에 파라핀 등의 윤활제를 처리함으로써, 로프를 당기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하부 묶음 로프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묶음 로프의 당겨지는 부분에, 고무, 비닐,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를 덧씌우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하나의 예로서, 무선 제어부를 이용하여 하부 묶음 로프를 당기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제어부가 연결된 윈치에 하부 묶음 로프를 연결하고,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제어부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하중 강도가 12 톤 이상, 구체적으로는 20 톤 이상, 혹은 12 내지 30 톤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하중 강도는 각형 철괴를 해당 중량까지 적재한 상태에서 망태를 구성하는 로프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육안 검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제 운반용 망태는 12톤의 하중이 적재된 상태에서 망태에 손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높은 매립재를 운반할 수 있으며, 하부가 개폐 가능한 구조이므로 필요한 위치에 매립재를 효과적으로 투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망태 내에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네트부는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가 교차된 망상구조이고, 9 톤 하중의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50회 상하 운동시 망태의 상하방향 길이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02115390-pat00001
수학식 1에서,
L1은 상하 운동 전 측정된 네트부에 연결된 리프팅부 아래의 수평 로프로부터 최하단 수평 로프까지의 길이이며,
L2는 상하 운동 후 측정된 네트부에 연결된 리프팅부 아래의 수평 로프로부터 최하단 수평 로프까지의 길이이고,
L1 및 L2은 각각 30 kg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상기 망태의 상하 운동은,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망태의 하단이 지면에서 50 cm 이상 이격된 거리까지 들어 올린 후, 다시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을 1회 상하 운동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큰 하중의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반복 이동시에도 견딜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높고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매립재 운반용 망태의 구조는, 매립재를 운반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가 교차된 망상구조의 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망상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망태 자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원하는 크기의 매립재를 선별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네트부를 형성하는 수직 로프 및 수평 로프의 인장 강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100 kg/mm2 이상이며, 구체적으로는 120 kg/mm2 이상, 200 kg/mm2 이상, 또는 100 내지 500 kg/mm2 범위일 수 있다.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의 인장 강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한 결과, 로프의 인장 강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목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다. 상기 인장 강도는 만능재료 시험기(Instron)를 이용하여, 미국재료시험규격 ASTM D 2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망태는 9 톤 하중의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50회 상하 운동시 리프팅 로프의 길이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2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4002115390-pat00002
수학식 2에서,
L3은 상하 운동 전 측정된 리프팅 로프의 길이이며,
L4는 상하 운동 후 측정된 리프팅 로프의 길이이며,
L3 및 L4는 각각 30 kg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상기 망태의 상하 운동은,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망태의 하단이 지면에서 50 cm 이상 이격된 거리까지 들어 올린 후, 다시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을 1회 상하 운동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제 운반용 망태는 9 톤 하중의 매립재를 적재한 후, 상부 묶음부 및 하부 묶음부가 묶여진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한다.
[수학식 3]
B/A ≥1.1
A는 매립재가 적재된 망태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수직 길이이고,
B는 매립재가 적재된 망태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수평 길이이다.
상기 B/A의 비율은 매립제가 적재된 상태의 망태를 효과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B/A의 값이 1.1 보다 작은 경우에는, 운반과정에서 망태가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A의 값은 1.1 내지 3, 1.2 내지 1.5 범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태의 요부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확대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7은 각각 도 1의 "C"부분의 확대 구성도로서, 수직 로프의 사이에 수평 로프가 순차적으로 매듭으로 연결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망태의 요부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재 운반용 망태의 네트부는 상부와 하부에 상부 묶음 고리(12) 및 하부 묶음 고리(14)가 각각 구비되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3줄을 꼬아 형성된 다수의 수직 로프(10)와; 수직 로프(10)의 3줄 사이에 끼워져 격자형으로 연결되고, 좌측 또는 우측에 측면 묶음 고리(22)가 각각 구비되며, 3줄을 꼬아 형성된 다수의 수평 로프(20)와; 격자형으로 끼워져 연결된 수직 로프(10)와 수평 로프(20)에 격자형이 유지되도록 X자로 고정된 클램프(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로프(10)와 수평 로프(2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로 이루어지고, 망태 내부에 매립재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수직 로프(10)와 수평 로프(20)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망태의 경량성을 확보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수평 로프(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묶여져 구비된 다수의 측면 묶음 고리(22)에, 측면 묶음 고리(22) 반대쪽의 수평 로프(20)를 순차적으로 끼워 섬유 돌망태의 둘레를 구성하게 되고, 수직 로프(10) 상부에 묶여져 구비된 상부 묶음 고리(12)에는 7mm로 이루어지며, 수직 로프(10)와 동일 재질의 상부 묶음 로프(30)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채움재(석재)가 채워지는 섬유 돌망태의 주둥이를 구성하게 되고, 수직 로프(10) 하부에 묶여져 구비된 하부 묶음 고리(14)에는 16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로프(10)와 동일 재질의 하부 묶음 로프(40)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풀림이 용이하도록 묶어 망태의 매립재 배출구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하부 묶음 로프(40)의 일단에는 묶음고리(42)가 매듭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수직 로프(10)의 상부측 3줄 사이에 반대쪽의 수직 로프(10)를 끼워넣어 원형으로 다수의 오링 고리(16)를 각각 형성하고, 이 오링 고리(16)를 통하여 24mm로 이루어지고, 수직 로프(10)와 동일 재질의 리프팅 로프(50)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망태를 들어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60)는 수직 로프(10)와 수평 로프(20)를 x자로 고정하고, 그 재질은 금속 재질로서 수직 로프(10)와 수평 로프(20)에 x자로 체결 고정되어 메시가 유지되는 동시에 연결부위가 풀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기중기로 들어올리거나 매립재의 투하시 전단 강도가 우수한 것이다.(도 2참조)
한편,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오링 고리(16)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망태를 들어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리프팅 로프(50) 하부 또는 상하부의 수직 로프(10)에 수평 로프(20)를 수평으로 교차되게 보강매듭(80)을 형성하면서 엮어 리프팅 로프(50)와의 체결 강도를 보강시키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리프팅 로프(50) 하부 또는 상하부의 수직 로프(10)의 3줄 사이에 수평 로프(20)를 끼워넣은 다음,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수평 로프(20) 끝을 교차되게 끼우고, 도 7에서와 같이 완전히 묶게 되면, 강도가 보강되는 보강매듭(80)이 형성된다. 이러한 순서로써 리프팅 로프(50) 하부 또는 상하부의 수직 로프(10)에 수평 로프(20)를 수평으로 교차되게 엮으면서 보강매듭(8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돌망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하부에 상부 묶음 고리(12) 및 하부 묶음 고리(14)가 각각 구비되고, 3줄을 꼬아 형성된 수직 로프(10)를 등간격을 유지하여 수직으로 배치한 다음, 이 수직 로프(10)의 3줄 사이에 좌측 또는 우측에 측면 묶음 고리(22)가 구비된 다수의 수평 로프(20)를 15 내지 30 cm 간격이 유지되도록 순차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 로프(10)와 수평 로프(20) 사이에 15 내지 30 cm 간격이 유지되도록 금속재질의 고정클램프(60)를 순차적으로 x자로 체결하여 메시가 유지되는 동시에 연결부위가 풀리는 것이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평 로프(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묶여져 구비된 다수의 측면 묶음 고리(22)에, 측면 묶음 고리(22) 반대쪽의 수평 로프(20)를 순차적으로 끼워 섬유 망태의 둘레를 개략 원통형으로 구성한 다음, 수직 로프(10) 하부에 묶여져 구비된 하부 묶음 고리(14)에 16mm로 이루어진 하부 묶음 로프(40)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은 다음, 풀림이 용이하도록 묶어 망태의 매립재의 배출구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 로프(20)의 상부 영역에 3줄 사이에 반대쪽의 수직 로프(20)를 끼워넣어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오링 고리(16)를 통하여 24mm로 이루어진 리프팅 로프(50)를 순차적으로 끼워 넣은 다음, 양끝을 묶어 마무리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직 로프(20) 상부에 묶여져 구비된 상부 묶음 고리(22)에 7mm로 이루어진 상부 묶음 로프(30)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으면 매립재가 채워지는 망태의 주둥이가 구성되어 망태의 제작이 완료된다(도 9참조).
도 10은 하부 묶음 로프를 묶는 중간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1은 묶여진 하부 묶음 로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에서 묶여진 하부 묶음 로프를 잡아 당기게 되면, 매듭이 풀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수직 로프, 12 : 상부 묶음 고리,
14 : 하부 묶음 고리, 16 : 오링 고리,
20 : 수평 로프, 22 : 측면 묶음 고리,
30 : 상부 묶음 로프, 40 : 하부 묶음 로프,
42 : 묶음고리, 50 : 리프팅 로프,
60 : 클램프, 80 : 보강매듭

Claims (18)

  1. 수직로프와 수평로프가 교차된 망상 구조이며, 상부 및 하부는 열린 구조이고, 수평 로프의 제1 말단은 측면 묶음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로프의 제2 말단은 제1 말단의 측면 묶음 고리와 체결되어 측면이 닫힌 구조인 네트부;
    네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 묶음부;
    네트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하부 묶음부; 및
    상기 각 수직 로프의 상부측 3줄 사이에 반대쪽의 수직 로프를 끼워넣어 원형으로 오링 고리를 각각 형성하고, 리프팅 로프가 상기 오링 고리에 삽입되어 네트부와 체결되며, 상기 리프팅 로프는 별도의 리프팅 장치와 체결되는 구조인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로프 위쪽 끝단은 상부 묶음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묶음 고리에 상부 묶음 로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부 묶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로프 아래쪽 끝단은 하부 묶음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묶음 고리에 하부 묶음 로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묶여져 하부가 밀폐된 하부 묶음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묶음부는 하부 묶음 로프를 당김으로써 하부 묶음부가 개방되는 구조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로프는 3가닥 이상의 가는 로프가 꼬여서 형성된 구조이고,
    수평 로프를 형성하는 가는 로프의 각 끝단은, 수평 로프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가는 로프들 사이에 함입되어 꼬임으로써 측면 묶음 고리가 형성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의 교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의 클램프로 고정된 구조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9. 제 1 항에 있어서,
    리프팅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바로 위 및 아래에 형성된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의 교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 간의 묶음 방식으로 체결된 구조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10.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로프와 수직 로프가 형성하는 망눈의 가로 및 세로의 평균 간격은,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45 cm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묶음 로프의 부분 또는 전체는 윤활 처리된 구조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묶음 로프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
  1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묶음 로프를 당기는 것은 무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재 운반용 망태는,
    각형 철괴를 적재된 상태에서 하중 강도 측정시,
    하중 강도가 12톤 이상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15.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부는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가 교차된 망상구조이고,
    9 톤 하중의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50회 상하 운동시 망태의 상하방향 길이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
    [수학식 1]
    Figure 112014002115390-pat00003

    수학식 1에서,
    L1은 상하 운동 전 측정된 네트부에 연결된 리프팅부 아래의 수평 로프로부터 최하단 수평 로프까지의 길이이며,
    L2는 상하 운동 후 측정된 네트부에 연결된 리프팅부 아래의 수평 로프로부터 최하단 수평 로프까지의 길이이고,
    L1 및 L2은 각각 30 kg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상기 망태의 상하 운동은,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망태의 하단이 지면에서 50 cm 이상 이격된 거리까지 들어 올린 후, 다시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을 1회 상하 운동으로 한다.
  16.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부는 수직 로프와 수평 로프가 교차된 망상구조이고,
    수직 로프 및 수평 로프의 인장 강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100 kg/mm2 이상인 매립재 운반용 망태.
  17. 제 1 항에 있어서,
    9 톤 하중의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50회 상하 운동시 리프팅 로프의 길이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
    [수학식 2]
    Figure 112015005417300-pat00004

    수학식 2에서,
    L3은 상하 운동 전 측정된 리프팅 로프의 길이이며,
    L4는 상하 운동 후 측정된 리프팅 로프의 길이이며,
    L3 및 L4는 각각 30 kg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상기 망태의 상하 운동은, 매립재가 적재된 상태에서 망태의 하단이 지면에서 50 cm 이상 이격된 거리까지 들어 올린 후, 다시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을 1회 상하 운동으로 한다.
  18. 제 1 항에 있어서,
    9 톤 하중의 매립재를 적재한 후, 상부 묶음부 및 하부 묶음부가 묶여진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재 운반용 망태:
    [수학식 3]
    B/A ≥1.1
    A는 매립재가 적재된 망태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수직 길이이고,
    B는 매립재가 적재된 망태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수평 길이이다.
KR1020140002564A 2014-01-08 2014-01-08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KR10150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64A KR101506900B1 (ko) 2014-01-08 2014-01-08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PCT/KR2014/010338 WO2015105266A1 (ko) 2014-01-08 2014-10-31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64A KR101506900B1 (ko) 2014-01-08 2014-01-08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900B1 true KR101506900B1 (ko) 2015-03-30

Family

ID=5302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564A KR101506900B1 (ko) 2014-01-08 2014-01-08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6900B1 (ko)
WO (1) WO2015105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1415B1 (ja) * 2018-04-05 2018-10-10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926A (ja) * 1996-10-11 1998-05-06 Maeda Kousen Kk ふとん篭
KR200349607Y1 (ko) * 2003-07-21 2004-05-10 주식회사 시내 & 들 긴급 수방자재 화이바 스톤 유니트
KR100873158B1 (ko) * 2008-09-08 2008-12-10 (주)에코원 강화 섬유 돌망태
KR20120008147A (ko) * 2010-07-16 2012-01-30 문용식 구분선이 구비되는 돌망태 및 그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00Y1 (ko) * 2004-10-28 2005-01-29 김상문 화물 운반용 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926A (ja) * 1996-10-11 1998-05-06 Maeda Kousen Kk ふとん篭
KR200349607Y1 (ko) * 2003-07-21 2004-05-10 주식회사 시내 & 들 긴급 수방자재 화이바 스톤 유니트
KR100873158B1 (ko) * 2008-09-08 2008-12-10 (주)에코원 강화 섬유 돌망태
KR20120008147A (ko) * 2010-07-16 2012-01-30 문용식 구분선이 구비되는 돌망태 및 그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5266A1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6389B2 (ja) 水中構造物の洗掘防止材と洗掘防止工法
US20010000464A1 (en) Reusable, flexible, liftable and dumpable container system and methods for units of bulk cargo
US20120321392A1 (en) Ballast-filled pipeline weight
CA2844346C (en) Pipeline ballast device
US20100290887A1 (en) Soft-Sided Container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oft-Sided Containers
KR101506900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매립재 운반용 망태
KR100918308B1 (ko)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시공방법
JP5100513B2 (ja) 補強土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617898B1 (ko) 오탁방지막 앵커블록
KR101998509B1 (ko) 톤백 옹벽 적재용 포크레인용 버킷 및 포크레인용 버킷을 이용한 톤백 옹벽 적재 방법
CN205802764U (zh) 水泥浆吊运兜袋
CA3047970A1 (en) In-trench pipeline ballast device
CN208647111U (zh) 防风浪水上装置
CN207525752U (zh) 抗滑桩混凝土浇筑防护装置
KR100614907B1 (ko)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CA2651488C (en) Ballast-filled pipeline weight
CN112513375B (zh) 带有多级构造的形状保持型提升式长方体袋
EP3816066B1 (en) Bag material and crushed stone placement method using bag material
CN215876028U (zh) 一种烟包装卸高空防坠装置
US9067710B2 (en) Remotely openable containmen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BR102017021770A2 (pt) lona retrátil contra queda de granéis sólidos, para evitar desperdício de material durante carga e descarga de navios
WO2023243113A1 (ja) 土木工事用袋体の型枠装置
RU171942U1 (ru) Полимерконтейнерная балластиру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CN209428001U (zh) 一种施工现场钢筋吊升防窜动保护套
EP14902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