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86B1 -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 Google Patents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86B1
KR101506186B1 KR1020140025982A KR20140025982A KR101506186B1 KR 101506186 B1 KR101506186 B1 KR 101506186B1 KR 1020140025982 A KR1020140025982 A KR 1020140025982A KR 20140025982 A KR20140025982 A KR 20140025982A KR 101506186 B1 KR101506186 B1 KR 10150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nfrared
infrared rays
broadband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2B13/14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with corrections for use in multiple wavelength bands, such as infrared and visible light, e.g. FLI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로서,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을 모두 통과시키는 광대역 적외선 어셈블리 및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0.5㎛ 이상 1.5㎛ 미만에 속하는 근적외선 대역의 광과, 1.5㎛ 이상 6㎛미만에 속하는 중간 적외선 대역의 광을 동일한 광경로로서 투과시키면서 수차를 보정하는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상기 투과되는 광대역 적외선을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으로 분할하는 광속 분할부; 상기 분할된 근적외선을 검출하는 근적외선 검출부; 상기 분할된 중간 적외선을 검출하는 중간 적외선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Lens assembly and optical system for shortwave and midwave infrared}
본 발명은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로서,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을 모두 통과시키는 광대역 적외선 어셈블리 및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광학계는 물체 및 물체의 배경에서 나오는 미약한 에너지 차이를 영상화하는 장비로서, 적외선 에너지 차이는 보통 물체가 갖는 온도 차이에 비례하므로 오도가 다른 물체를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절대온도 0K 이상의 모든 물체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는데, 통상적으로 적외선 광학계는 물체에서 방사하는 전자기파 중에서 적외선만을 센서 상에 결상시켜 광학적인 변조를 거쳐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표적의 시계상의 상대 위치를 알아내고 표적을 추적하는 기능을 갖는다.
적외선 광학계는 물체 및 물체의 배경에서 나오는 미약한 에너지 차이를 영상화하는 장비로서, 적외선 에너지 차이는 보통 물체가 갖는 온도 차이에 비례하므로 온도가 다른 물체를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광학계는 가시(visible) 광학계 및 중간파장(mid wave) 및 장파장(long wave) 광학계를 통하여 탐지할 수 있는 거리나 영상의 질 및 선명도가 대기중의 시계 상태나 온도 상태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거나 눈이 오는 대기 상태에 따른 시계의 변화에 안정적인 이미지 관리로 대응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흐린 날씨에 멀리 있는 타겟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렵거나, Visible 영역의 대기중 투과율에 따라 한계성을 갖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동시에 고려한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구성시에, 아연(Zinc) 계열의 렌즈와, 실리콘(silicon), 칼슘(calcium), 불소(fluoride) 계열의 렌즈를 사용하였으나, 불소 계열의 렌즈를 적용시에 광학계 내부에 공기를 빼내어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야 하는 주입부로 인하여 광학계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7121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간 및 야간 모두 사용 가능한 적외선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하나의 광학계에서 동시에 검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0.5㎛ 이상 1.5㎛ 미만에 속하는 근적외선 대역의 광과, 1.5㎛ 이상 6㎛미만에 속하는 중간 적외선 대역의 광을 동일한 광경로로서 투과시키면서 수차를 보정하는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상기 투과되는 광대역 적외선을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으로 분할하는 광속 분할부; 상기 분할된 근적외선을 검출하는 근적외선 검출부; 상기 분할된 중간 적외선을 검출하는 중간 적외선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는,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모두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과 회절 비구면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순서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오목면으로 된 회절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2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의 전면과 후면이 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렌즈는 셀렌화아연(zinc selenide), 상기 제2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는 황화아연(zinc sulfide)의 재질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속 분할부는, 상기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의 후단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중심축에서 45도 기울어져 위치한다.
상기 광속 분할부는, 상기 광대역 적외선 중에서 중간 적외선을 투과시키며 근적외선을 반사시키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상기 광속 분할부는, 스플리터 미러, 스플리터 프리즘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순서대로 배열된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오목면으로 된 회절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2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의 전면과 후면이 구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에 의해 검출되는 근적외선 영역은 가시 영역에 비해 저시정, 원거리에 높은 대기 투과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저시정, 저조도 상황에서 우수한 관측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레이저가 조사되는 표적 위치 또한 관측이 가능하여 구체적인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동시 검출된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 대역의 영상을 영상 합성 기술로 조합하여 적외선 열영상 장비에 사용하는 경우, 근적외선 광학계와 중간 적외선 광학계의 장점을 모두 갖춘 차세대 적외선 열상장비로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의 구체적인 설계 스펙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투과한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이 분할되어 투과 및 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투과한 중간 적외선이 광속 분할부에서 투과되어 중간 적외선 검출기에 도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투과한 근적외선이 광속 분할부에서 반사되어 근적외선 검출기에 도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속 분할부에 사용되는 스플리터 프리즘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주간 및 야간 모두 사용 가능한 적외선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특히, 비구면과 회절 비구면의 특수한 면의 렌즈를 사용하고 배열함으로써 광대역 파장에 두루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더불어 주간 및 야간의 환경 변화에도 화질에 변화가 없도록 하며 변함없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같은 감지 장치에 상을 맺히게 하는 광학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근적외선 영역의 빛과 중간 적외선 영역의 빛을 동시에 받아들일 수 있는 공통 광학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통 광학계로 구현되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는 근적외선 영역과 중간 적외선 영역의 빛을 모두 투과하는 셀렌화아연(ZnSe;Zinc Selenide) 또는/및 황화아연(ZnS;Zinc Sulfide)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폭넓은 광대역의 광을 안정적인 이미지로서 출력할 수 있도록 비구면과 회절 비구면이 포함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는,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 광속 분할부(200), 근적외선 검출부(400), 중간 적외선 검출부(300)를 포함한다.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는, 0.5㎛ 이상 1.5㎛ 미만에 속하는 근적외선 대역의 광선과, 1.5㎛ 이상 6㎛미만에 속하는 중간 적외선 대역의 광선을 동일한 광경로로서 투과시키며, 동일하게 수차를 보정한다.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을 포함하는 광대역 적외선의 경우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진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를 투과시킨다면, 구면수차와 색수차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을 동일하게 투과시키면서, 투과되는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의 광선들에 대해서 구면수차를 동시에 보정하고, 아울러 투과되는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의 광선들에 대해서 색수차를 보정한다.
참고로, 구면수차는 평행 광선이 광축에서 멀어지는 데에 따라 초점을 맺는 위치가 앞뒤에서 어긋나는 현상을 말하며, 색수차는 광선을 렌즈를 통해서 투사하여 상을 맺었을 때 파장에 따른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상의 가장자리에 색이 붙어서 흐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가 투과되는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 모두에 대하여 수차를 동시에 보정하기 위하여,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는,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모두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과 회절 비구면을 포함한다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의 렌즈에 비구면이 마련됨으로써 구면수차가 보정될 수 있으며, 회절 비구면이 마련됨으로써 색수차가 보정될 수 있다.
참고로, 알려진 바와 같이, 비구면(aspherical surface)이라 함은 렌즈와 같이 구면에서 약간 벗어난 곡면을 가지는 형태를 말하는데,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점진적으로 편평해지는 면 형태를 가진다. 비구면을 가질 경우 중심부의 곡률보다 주변부의 곡률의 낮아져서, 중심부의 굴절율과 주변부의 굴절율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렌즈의 면이 비구면의 특성을 가질 경우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절 비구면(diffractive optical element surface)이라 함은 비구면에 톱니와 같은 2차원, 3차원의 회절무늬가 새겨진 면을 말하는 것으로서, 렌즈의 면이 회절 비구면을 가짐으로써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 대역의 파장들에 대하여 색수차를 최소화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절무늬는 미세하게 형성되어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능하다.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과 회절 비구면을 가지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이하의 설명에서 4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 어셈블리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순서대로 배열되며, 제1렌즈(110)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①)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후면(②)이 오목면으로 된 회절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2렌즈(120)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제1렌즈(110)와 마주보는 전면(③)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제3렌즈(130)와 마주보는 후면(④)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제2렌즈(120)의 전면(③)과 후면(④)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3렌즈(130)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제2렌즈(120)와 마주보는 전면(⑤)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제4렌즈(140)와 마주보는 후면(⑥)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제3렌즈(130)의 전면(⑤)과 후면(⑥)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4렌즈(140)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제3렌즈(130)와 마주보는 전면(⑦)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후면(⑧)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제4렌즈(140)의 전면(⑦)과 후면(⑧)이 구면으로 형성된다.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제1렌즈(110)의 후면(②)이 오목면으로 된 회절비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대역의 광선들에 대하여 색수차를 최소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렌즈(120)의 전면(③)과 후면(④)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제3렌즈(130)의 전면(⑤)과 후면(⑥)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및 제4렌즈(140)는 근적외선 및 중간 적외선 대역을 모두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셀렌화아연(ZnSe;Zinc Selenide) 재질 또는/및 황화아연(ZnS;Zinc Sulfide) 재질로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의 구체적인 설계 스펙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렌즈의 렌즈면의 곡률(Y-radius), 두께, 재질이 나타나 있다.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제1렌즈(110)가 셀렌화아연(ZnSe;Zinc Selenide) 재질로 구현되며, 나머지 제2렌즈(120), 제3렌즈(130) 및 제4렌즈(140)가 황화아연(ZnS;Zinc Sulfide) 재질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렌즈(110)의 후면(②)이 회절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제2렌즈(120)의 후면(④)과 제3렌즈(130)의 전면(⑤)이 비구면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4렌즈(140)를 최종적으로 투과하는 광선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로 입력된다. 다만 조리개로 입력되기 전에 광대역의 불필요한 파장 대역의 빛을 제거하는 적외선 필터를 조리개 앞단에 배열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투과한 중간 적외선과 근적외선이 분할되어 투과 및 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투과한 중간 적외선이 광속 분할부에서 투과되어 중간 적외선 검출기에 도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를 투과한 근적외선이 광속 분할부에서 반사되어 근적외선 검출기에 도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속 분할부(200)는 투과되는 광대역 적외선을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광속 분할부(200)는,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의 후단에서 렌즈 어셈블리의 중심축에서 45°기울어져 위치한다. 즉, 제4렌즈(140)의 후단에서 렌즈어셈블리의 중심축에서 45°기울어져 위치한다.
45°경사져 위치함으로써, 제4렌즈(140)를 투과하여 출력하는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각각 분리하여, 근적외선을 반사시키며 중간 적외선을 투과시킨다.
이러한 광속 분할부(200)는 스플리터 미러(splitter mirror) 또는 스플리터 프리즘(splitter prism)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플리터(splitter)는 신호를 전송로 상에서 둘 이상의 전송로로 분할하는 장치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형태의 스플리터 미러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밖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 형태의 스플리터 프리즘(200a)이 광속 분할부(200)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100)를 투과하여 광속 분할부(200)로 입사된 광선들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적외선 대역의 파장들은 통과하여 중간 적외선 검출부(300)로 제공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적외선 대역의 파장들은 반사되어 근적외선 검출부(400)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적외선 검출부(300)는 광대역 렌즈 렌즈 어셈블리의 중심축이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며, 단적외선 검출부는 광대역 렌즈 렌즈 어셈블리의 중심축과 직각된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110:제1렌즈
120:제2렌즈 130:제3렌즈
140:제4렌즈 200:광속 분할부
300:중간 적외선 검출부 400:근적외선 검출부

Claims (9)

  1. 0.5㎛ 이상 1.5㎛ 미만에 속하는 근적외선 대역의 광과, 1.5㎛ 이상 6㎛미만에 속하는 중간 적외선 대역의 광을 동일한 광경로로서 투과시키면서 수차를 보정하는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상기 투과되는 광대역 적외선을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으로 분할하는 광속 분할부;
    상기 분할된 근적외선을 검출하는 근적외선 검출부;
    상기 분할된 중간 적외선을 검출하는 중간 적외선 검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과 회절 비구면을 포함하되,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순서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오목면으로 된 회절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2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의 전면과 후면이 구면으로 형성되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는, 근적외선과 중간 적외선을 모두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셀렌화아연(zinc selenide), 상기 제2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는 황화아연(zinc sulfide)의 재질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속 분할부는,
    상기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의 후단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중심축에서 45도 기울어져 위치하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속 분할부는,
    상기 광대역 적외선 중에서 중간 적외선을 투과시키며 근적외선을 반사시키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속 분할부는,
    스플리터 미러, 스플리터 프리즘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광대역 적외선 광학계.
  9.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순서대로 배열된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오목면으로 된 회절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렌즈는 양(+)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2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와 마주보는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가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렌즈는 음(-)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3렌즈와 마주보는 전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후면이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렌즈의 전면과 후면이 구면으로 형성되는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KR1020140025982A 2014-03-05 2014-03-05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KR10150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82A KR101506186B1 (ko) 2014-03-05 2014-03-05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82A KR101506186B1 (ko) 2014-03-05 2014-03-05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186B1 true KR101506186B1 (ko) 2015-03-26

Family

ID=5302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982A KR101506186B1 (ko) 2014-03-05 2014-03-05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636B1 (ko) * 2015-04-16 2016-01-28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광대역 광학 장치
KR101589644B1 (ko) * 2015-04-16 2016-01-28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광대역 광학 장치
KR101846021B1 (ko) * 2017-12-07 2018-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렌즈를 이용한 적외선 광학계
WO2019098405A1 (ko) * 2017-11-15 2019-05-23 (주)토핀스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CN111624732A (zh) * 2019-12-30 2020-09-04 中国航天科工集团八五一一研究所 一种非制冷长波红外广角镜头
CN111919097A (zh) * 2019-09-04 2020-11-10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CN111936907A (zh) * 2019-09-04 2020-11-13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KR20220121499A (ko) * 2021-02-25 2022-09-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 광학 추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근접 방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336A (ja) 2004-11-01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撮像装置
KR20090026712A (ko) * 2007-09-10 2009-03-13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적외선 카메라용 렌즈,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336A (ja) 2004-11-01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撮像装置
KR20090026712A (ko) * 2007-09-10 2009-03-13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적외선 카메라용 렌즈,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636B1 (ko) * 2015-04-16 2016-01-28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광대역 광학 장치
KR101589644B1 (ko) * 2015-04-16 2016-01-28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광대역 광학 장치
WO2019098405A1 (ko) * 2017-11-15 2019-05-23 (주)토핀스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KR20190055862A (ko) * 2017-11-15 2019-05-24 (주)토핀스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KR102209218B1 (ko) * 2017-11-15 2021-01-29 (주)토핀스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KR101846021B1 (ko) * 2017-12-07 2018-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렌즈를 이용한 적외선 광학계
CN111919097A (zh) * 2019-09-04 2020-11-10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CN111936907A (zh) * 2019-09-04 2020-11-13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CN111936907B (zh) * 2019-09-04 2021-11-23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CN111919097B (zh) * 2019-09-04 2022-08-05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CN111624732A (zh) * 2019-12-30 2020-09-04 中国航天科工集团八五一一研究所 一种非制冷长波红外广角镜头
CN111624732B (zh) * 2019-12-30 2022-03-18 中国航天科工集团八五一一研究所 一种非制冷长波红外广角镜头
KR20220121499A (ko) * 2021-02-25 2022-09-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 광학 추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근접 방어 시스템
KR102494971B1 (ko) * 2021-02-25 2023-02-0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 광학 추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근접 방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186B1 (ko) 광대역 적외선 렌즈 어셈블리 및 광학계
CN104516110A (zh) 一种共孔径宽波段红外光学系统
EP2404206A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s
JP6562647B2 (ja) 赤外線温度計およびエネルギーゾーンの温度測定方法
KR20170096597A (ko)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투사시키기 위한 렌즈 시스템
CN102789114A (zh) 一种可见-红外双通摄像机
US10018836B2 (en) Geodetic instrument with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KR101589644B1 (ko) 광대역 광학 장치
CN105765339A (zh) 远心透镜
US11802996B2 (en) One optical design pattern/method of a cost effective IR lens
CN110658613A (zh) 一种小型化大变倍比中波制冷红外连续变焦光学系统
CN111751914B (zh) 具有双波段和双视场的共口径红外自由曲面棱镜光学系统
KR101513542B1 (ko) 광학계
KR101589636B1 (ko) 광대역 광학 장치
KR101641717B1 (ko) 초분광 검출용 전단광학계
US20160116719A1 (en) Compact multispectral wide angle refractive optical system
KR102209218B1 (ko)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CN207280292U (zh) 一种超小型全息瞄准器的光学装置
US11698526B2 (en) Multi-channel optical system
US20170102233A1 (en) Image-Forming Optical Component And Optical System Of Surveying Instrument
EP3271770B1 (en) Telecentric lens
RU2573245C2 (ru) Способ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 помощью поляризационного маркера и комплекс его реализующий
CN107092076B (zh) 一种高通光量紧凑型长波红外定焦镜头
KR100706766B1 (ko) 광역 광학계
US20230179842A1 (en) Optical system,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