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61B1 - Pivotable cradle - Google Patents

Pivotable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61B1
KR101506161B1 KR1020140046438A KR20140046438A KR101506161B1 KR 101506161 B1 KR101506161 B1 KR 101506161B1 KR 1020140046438 A KR1020140046438 A KR 1020140046438A KR 20140046438 A KR20140046438 A KR 20140046438A KR 101506161 B1 KR101506161 B1 KR 10150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ab
connector
tab
smartphon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4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smartphones. The holder capable of switching to a horizontal position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 three-dimensional column shape whose cross section is of a trapezoid; a stand; a fixing tap installed to be adjacent to one side of a connector; and a fixing tap bolt. According to the holder capable of switching to horizont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witch the screen position of a smartphone being charged in the holder to a horizontal position without additional parts or operations, and can watch the screen. A screen can be tilted at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usi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side of the body part when the screen is in a horizontal position. Also, the stand can move back and forth and can be fixed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a smartphone. As a result, a smartphone with a protective cover can be easily mounted.

Description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Pivotable cradle}Landscape View Pivotable cradl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거치대 상의 스마트폰을 가로 화면 보기로 회전시킬 수 있고, 가로 보기 상태에서도 충전을 지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a smartphone, which can rotate the smartphone on the holder in a horizontal screen view and continue charging even in a landscape view state.

일반적으로, 최근 스마트폰은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개인용 휴대형 PC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은 통화, 문자뿐만 아니라 메일링, 웹서핑,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비롯해 게임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핵심적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In general, smartphones are evolving to the level of portable personal computers due to the development of processors and display technologies. As a result, smartphones are becoming a core platform for consuming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ailing, web surfing, real-time video streaming as well as calls and texts.

특히 스마트폰에 FHD(Full High Definition)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등 초고해상도 액정을 갖는 스마트폰들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면서,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한 기술진보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에서 소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주로 영상 쪽에 치우쳐 있는 데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mart phones with ultra-high resolution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cluding FHD (Full High Definition) display, have become mainstream in the market.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multimedia contents consumed in smartphones are mainly focused on the image side.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화면비율에 따라 스마트폰을 가로로 눕혀서 가로화면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한 휴대상태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충전단자는 스마트폰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고정시켜 충전단자를 연결함으로써 거치와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동영상 등의 시청을 위해 스마트폰을 가로화면 보기로 전환하려 할 때에는 충전단자와의 접속을 해지할 수밖에 없다. To watch videos on a smartphone, you have to switch your smartphone to landscape mode with most of the screen's aspect ratio. This is not a problem in a portable state where the smartphone is held by hand, but inconvenience may occur when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a cradle. In other words,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 phone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mart phone, and the charging terminal is connected by fixing the smart phone to the charging stand. Accordingly, when the smartphone is to be switched to the horizontal screen view for watching a moving picture while it is mounted on a cradle, it is forced to cancel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terminal.

국내 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453146호(출원인 : 최석진)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는 충전기의 충전콘넥터가 핀 부위를 상향으로 하고 안착될 수 있는 충전콘넥터 홈이 형성된 하판과, 하판과 결합되고 휴대용 전자기기가 세로로 안착되는 세로안착홈과 가로로 안착되는 가로안착홈이 형성된 상판을 포함한다. 상판은 적어도 세로안착홈 내에서 안착되는 충전콘넥터를 노출하되 충전콘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거치대가 제공된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53146 (filed by Choi Seok-jin) is composed of a lower plate in which a charge connector of a charger is formed with a filler connector groove in which a pin portion can be seated upward, And a top plate having a vertical seating groove in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vertically seated and a horizontal seating groove which is seated horizontally.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stopper that exposes a fill connector that is seated in at least the vertical seating groove, but which has a stopper that prevents separation of the fill connector.

상기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가로로 거치하여 화면을 시청할 시에 충전기 커넥터에서 스마트폰을 분리해야 하므로, 화면 시청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harge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as viewing the screen because the smartphone is detached from the charger connector when the smartphone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cradle to view the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중에도 가로 화면 보기로 쉽게 전환할 수 있고, 화면이 적절한 각도로 눕혀짐으로써 감상하기 용이한 시야각을 이루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제공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hone holder which can easily switch to a horizontal screen view even when charging the smart phone and has a viewing angle easy to view, / RTI >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횡단면이 사다리꼴인 입체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면 일측에 다수의 볼트삽입구가 2열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볼트삽입구에 결합되는 볼트에 수평면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상기 수평면 일단으로부터 연이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몸체부를 저면으로부터 상단면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슬리브; 상기 몸체부를 일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슬리브의 일측과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 삽입구; 상기 고정탭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측면이 상기 커넥터 슬리브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 및 상기 고정탭 삽입구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탭의 타측면에 접하여 상기 고정탭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볼트를 포함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lt insertion hole,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ports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 bolt coupled to the bolt insertion port and detachably fixed to a horizontal plane, and an inclined plan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formed continuously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ne; A connector sleev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o be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A fixing tab inserting hole formed to cross the one side of the connector sleeve by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body part from the one side to the inside; A fixing tab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the fixing tab being provided to abut one side of a connector whose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or sleeve; And a fixing tab bolt screwed to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and adapted to fix the fixing tab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tab.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수평면에 대해 40~80°인 것으로 하고, 상기 수평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2열로 형성되는 볼트삽입구의 열 간격과 같도록 2열로 형성되는 이동슬릿을 포함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Wherein the pedestal has a slit formed in two rows so that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40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s the same as the column spacing of the bolt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two rows, And a transverse display stand is provided.

또한 상기 고정탭은, 고무, 공업용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에 접하는 면이 상기 받침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커팅되어 마련되고, 상기 고정탭 및 고정탭볼트가 끼워지도록 내경 측이 나사선 가공되어 마련되는 고정탭 부싱; 및 상기 고정탭 부싱보다 넓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The fixing tab may be made of rubber, industrial plastic, silicon, or a metal material. The surface of the fixing tab may be cut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A fixed tab bushing which is formed by threading a side of the fixed tab bushing; And a guide portion formed to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fixed tap bushing.

한편 상기 몸체부는, 상기 커넥터 슬리브의 상단면 측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인 L자 형의 홈으로 마련되는 도피홈; 및 상기 커넥터 슬리브의 하단면 측 개구와 이어지도록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케이블정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정리홈은, 일측에 곡선형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따라 상기 케이블정리홈이 곡선형으로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n escape groove formed adjacent to an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onnector sleeve and provided with an L-shap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a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cable gut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a lower end side opening of the connector sleeve, wherein the cable gutting groove is formed by projecting a curved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on one side, Wherein the cable re-arrang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a curved shape.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커넥터 슬리브의 상단측 개구 일측 또는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면의 표면으로부터 연직하게 홀(hole) 형태로 가공되어 마련되는 도피홀을 포함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Here,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recessed hole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nnector sleeve, and including an escape hole formed in a hole shape vertically from a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ype shelf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는, 별도의 부가적인 구성이나 조작없이 거치대 상에서 충전 중인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로보기로 전환하여 시청할 수 있다. 즉 몸체부 측면의 경사면을 이용함으로써 가로 화면으로 전환했을 시에 적절한 시야각으로 화면이 눕혀지도록 할 수 있어 생산단가 대비 효과가 높다. The horizontal conversion typ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being charged on the cradle to a landscape view without addi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or operation. That is, by using the slo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when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horizontal screen, the screen can be laid out with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the production cost.

또한 스마트폰과 거치대를 동시에 좌우로 눕혀서 가로보기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로보기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smartphone and the cradle can be switched to the landscape view by lying down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display is switched to the landscape view.

한편 스마트폰의 두께에 따라 받침대를 전후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보호커버를 씌운 상태의 스마트폰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단자커버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도피홀이 마련됨으로써 단자커버로 인해 스마트폰과 거치대의 결합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도피홀을 통해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다. Meanwhile,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fix the pedestal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mart phone, so that the smartphone with the protective cover can be easily mounted, and the escape hole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cover can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combin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cradle, and the earphone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escape hole.

몸체부의 저면에는 흡착판이 마련되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진동으로 인해 거치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ction plat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st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holder from being turne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smartphone.

도 1은 본 발명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도피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가로보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rizontal type conversion typ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rizontal type conversion typ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view type changing st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scape groove of a transverse-viewing typ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view of the horizontal view changing type crad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orizontal type chang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orizontal type changing type elevat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110), 받침부(120) 및 고정탭(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10, a receiving portion 120, and a fixing tab 130.

몸체부(110)는 횡단면이 사다리꼴인 입체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정면과 후면 측이 평행한 면을 이루고, 양 측면이 정면 내지 후면에 대해 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측면의 경사도는 정면에 대해 40 ~80°, 바람직하게는 68 ~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면으로 마련되는 측면은 스마트폰(200)이 거치된 상태에서 몸체부(110)를 눕혔을 시에 스마트폰(200)이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양 측면이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좌측 내지 우측면으로 눕혀 사용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0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both sides are formed to be slop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may be formed so as to form an angle of 40 to 80 DEG, preferably 68 to 75 DEG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The side surface provided with the slope serves to fix the smartphone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laid down while the smartphone 200 is being mounted , And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symmetrically so that they can be lai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몸체부(110)의 상단면 일측, 정확히는 받침대(120)가 접하는 면에 다수의 볼트삽입구(117)가 2열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볼트삽입구(117)는 받침부(120)를 고정하는 볼트(b)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받침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이동슬릿(121)에 볼트(b)가 끼워지고 볼트삽입구(117)에 결합됨으로써 받침대(120)가 몸체부(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holes 117 are formed in two rows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at is, on the side where the pedestal 120 contacts. The bolt insertion hole 117 is a portion to which the bolt b for fixing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coupled and is inserted into the moving slit 12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edestal 120 and the bolt b So that the pedestal 120 is fixed to the body 110.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또한 내측을 관통하여 상단면과 저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슬리브(111)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슬리브(111)는 스마트폰(200)에 연결되는 커넥터(300)가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커넥터(300)가 끼워져 커넥터(300)의 일측, 즉 스마트폰(200)의 단자가 결합되는 팁이 몸체부(110)의 상단면으로 일부 돌출되어 몸체부(1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sleeve 111 tha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body 110 and connects the top and bottom surfaces. The connector sleeve 111 is a portion to which the connector 300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is inserted and fixed. The connector 30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300, 200 are coupled to the body 110 by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이때 커넥터 슬리브(111)는 받침대(120)에 경사지게 거치되는 스마트폰(200)과 커넥터(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At this time, the connector sleeve 111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martphone 200 and the connector 300, which are slantingly mounted on the pedestal 120, can be coupl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커넥터 슬리브(111)의 저면 측은 커넥터(300)의 케이블 내지 커넥터(300)의 몸체가 내장될 수 있도록 커넥터 슬리브(111)의 내경보다 넓은 공간으로 마련되는 케이블룸(111a)이 형성될 수 있다. A cable room 111a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sleeve 111 so that a cable of the connector 300 or a body of the connector 300 may be housed in a space wid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sleeve 111. [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10)에는 몸체부(110)를 후면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함으로써 커넥터 슬리브(111)의 일측과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 삽입구(112)가 형성된다. 고정탭 삽입구(112)는 커넥터 슬리브(111)에 결합되는 커넥터(300)의 일측에 접하도록 고정탭(130)이 삽입되고, 고정탭(130)의 후단에 고정탭볼트(131)이 삽입되어 고정탭 삽입구(112) 내에 나사결합되어 고정탭(130)이 커넥터(300)를 밀어줌으로써 커넥터(30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4, the body 110 includes a fixed tab insertion port 112 which is formed to horizontally penetrate the body 110 from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to the inside and intersect with one side of the connector sleeve 111 . The fixing tab inserting port 112 is inserted with the fixing tab 130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nnector 300 coupled to the connector sleeve 111 and the fixing tab bolt 131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fixing tab 130 And is provided to fix the connector 300 by being screwed into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112 so that the fixing tab 130 pushes the connector 300.

이에 따라 고정탭 삽입구(112)는 고정탭(130)과 고정탭볼트(131)가 삽입되는 고정탭 부싱(112a)과, 고정탭 부싱(112a)보다 넓은 내경의 가이드부(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탭 부싱(112a)의 내경측은 고정탭볼트(131)가 결합되도록 나사선이 가공되고, 가이드부(112b)의 내경 측은 매끈하게 가공되도록 하여 고정탭(130)과 고정탭볼트(131)가 원활하게 고정탭 부싱(112a)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112 may be formed of a fixing tab bushing 112a into which the fixing tab 130 and the fixing tab bolt 131 are inserted and a guide portion 112b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xing tab bushing 112a have. The fixing tab bushing 112a is threaded so that the fixing tab bolt 131 is engaged and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112b is smoothly processed so that the fixing tab 130 and the fixing tab bolt 131 are smooth So that the fixing tab bushing 112a can be reached.

고정탭(130)은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커넥터(300)에 직접 접하여 커넥터(300)를 가압함으로써 커넥터(300)가 파손되거나 작동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커넥터(300)의 재질을 이루는 열경화성 수지류로 마련되거나, 이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고무, 공업용 플라스틱, 실리콘으로 마련되거나, 알루미늄 내지 아연 합금과 같은 무른 성질의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ixing tab 130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nnector 300 from being broken or malfunctioning by pressing the connector 300 directly against the connector 300 by fixing means such as a bolt. Or may be made of a rubber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an industrial plastic, a silicone, or a metal material having a soft nature such as an aluminum to zinc alloy.

이때 고정탭(130)에서 커넥터(300)와 접하는 일측은 커넥터 슬리브(111)가 y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커팅되어 형성됨으로써, 고정탭(130)과 커넥터(300)가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xing tab 130 that contacts the connector 300 is cut at an angle equal to the angle formed by the connector sleeve 111 with respect to the y axis so that the fixing tab 130 and the connector 300 can be stably contacted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대(120)는 몸체부(110)에 접하는 수평면과, 스마트폰(200)이 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몸체부의 상단면, 즉 x축에 대해 40 ~ 80°, 바람직하게는 68 ~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12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200) 역시 x축에 대해 68 ~ 75°의 경사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고정되며, 커넥터 슬리브(111)의 경사각 역시 이와 동일한 각도 형성됨으로써 커넥터(300)가 스마트폰(200)과 정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3 and 4, the pedestal 120 may have an L-shaped configuration including a horizontal surface contacting the body 110 and an inclined surface contacting the smart phone 200. [ 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as to form an angle of 40 to 80 °, preferably 68 to 75 °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at is, the x-axis. Accordingly, the smartphone 200 mounted on the pedestal 120 is also fixed at an angle of 68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nector sleeve 111 is also formed at the same angle, And may be coupled with the smartphone 200 in a coherent manner.

받침대(120)는 몸체부(110)에 볼트 결합된다. 이때 받침대(120)의 수평면 측에는 이동슬릿(121)이 형성된다. 이동슬릿(121)은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2열의 볼트 삽입구와 일치되도록 평행한 2열의 슬릿으로 마련된다. 이동슬릿(121)은 받침대(120)가 몸체부(110)의 전후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200)에 케이스를 결합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스마트폰(200)의 두께가 변동되었을 시 받침대(120)와 스마트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pedestal 120 is bolted to the body 110. At this time, a moving slit 121 is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side of the pedestal 120. The moving slit 121 is provided in two rows of slits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coincide with two rows of bolt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 The thickness of the smartphone 200 may be changed due to a reason such as coupling the case to the smartphone 200 by making the moving slit 121 move and b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1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120 and the smartphone 200 can be adjusted.

2열의 이동슬릿(121)에 끼워진 볼트(b)는 몸체부(110)의 볼트삽입구(117)에 결합되어 받침대(120)가 몸체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볼트삽입구(117)는 이동슬릿(121)과 마찬가지로 2열로 마련되고, 각각의 열이 다수의 삽입구로 마련됨으로써 이동슬릿(121)에 의한 조절뿐만 아니라, 볼트(b)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120)의 전후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olts b inserted into the two moving slits 121 are engaged with the bolt insertion holes 117 of the body 110 to fix the pedestal 120 to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bolt insertion port 117 is provided in two rows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ing slit 121, and each colum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so that not only the adjustment by the moving slit 121 but also the movement of the bolt b itself So th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pedestal 120 can be adjust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10)의 저면에는 케이블정리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정리홈(113)은 커넥터(3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끼워서 몸체부(110)의 후면 측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케이블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홈으로 마련되고, 몸체부(110) 저면의 케이블룸(111a)으로부터 몸체부(110) 후면까지 연이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a cable gland 11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10. The cable guiding groove 113 is provided so as to b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body part 110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0 inserted thereinto and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cable can be inserted, ) From the bottom of the cable room 111a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또한 케이블정리홈(113)의 일측에는 곡선형의 이탈방지돌기(113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돌기(113a)는 케이블정리홈(113)의 일측으로부터 몸체부(110) 저면에 평행하게 케이블정리홈(113)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정리홈(113) 역시 이탈방지돌기(113a)가 돌출되는 형상을 따라 곡선형으로 연이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케이블이 이탈방지돌기(113a)에 걸려 케이블정리홈(1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 a curved breakaway protrusion 113a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cable gutter 113. That is,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113a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able guttering groove 113 to the upper side of the cable guttering groove 113 i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The protrusions 113a are formed so as to extend along the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cab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ble arranging groove 113 by being caught by the escape preventing protrusion 113a.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110)의 상단면 일측에는 도피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피홈(114)는 스마트폰(200)의 단자홀에 결합되는 단자커버(210)가 스마트폰(200)과 몸체부(110) 사이에 끼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10)의 상단면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파인 L자형의 홈으로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6, an escape groove 114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escape groove 114 is provided to prevent the terminal cover 210 coupled to the terminal hole of the smartphone 200 from interfering with the smartphone 200 and the body 110, Like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도피홈(114)은 L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단자커버(210)가 개방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단자커버(21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200)의 하단 모서리가 몸체부(110)의 상단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scape groove 114 is formed in an L shape so that the terminal cover 210 can be receiv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cover 210 is opened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smart phone 20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late.

단자커버(210)는 스마트폰에 따라서는 하단 모서리면으로부터 180°로 개방되지 않고 90°까지만 개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피홈(114)은 홀(hole) 형상의 도피홀(115)로 대체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terminal cover 210 may be opened only up to 90 占 rather than 180 占 depending on the smart phone. Accordingly, the escape groove 114 may be replaced with a hole-shaped escape hole 115.

도피홀(115)은 상기 커넥터 슬리브(111)의 상단측 개구 일측 또는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 상단면의 표면으로부터 연직하게 홀(hole) 형태로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마련된다. 또한 도피홀(115)은 도피홈(114)의 저면 일측, 구체적으로는 L자 형 홈의 직각 모서리 측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도피홈(114)과 동시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escape hole 115 is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nnector sleeve 111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in the form of a hole, . Also, the escape hole 115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scape groove 114, specifical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ght corner of the L-shaped groove, so as to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as the escape groove 114.

이때 도피홀(115)은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피홀(115)을 통해 스마트폰이 몸체부(110)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이어폰을 결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scape hole 115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earphone can be connected even though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e escape hole 115.

또한 도피홈(114) 및 도피홀(115)은 스마트폰(200)의 기종별 규격에 따라 커넥터 슬리브(111)의 좌측 내지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escape groove 114 and the escape hole 115 may b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nnector sleeve 111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phone 200.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10)의 저면에는 다수의 흡착판(116)이 마련되어 몸체부(110)가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흡착판(116)은 매끄러운 바닥면에 대해 흡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200)의 진동으로 인해 몸체부(1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116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body 110 can be st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 attraction plate 116 can prevent the body portion 110 from being conducte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smartphone 200 by providing the attraction force against the smooth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conversion typ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몸체부(110)에 마련되는 커넥터 슬리브(111) 내에 커넥터(300)를 끼워서 결합시킨다. 커넥터(300)의 일 단부가 몸체부(110)의 상단면에 적절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한 뒤, 고정탭 삽입구(112)로 고정탭(130)과 고정탭볼트(131)를 삽입하여 커넥터(300)가 커넥터 슬리브(111) 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탭볼트(131)가 고정탭 부싱(112a) 내경측의 나사산와 결합되도록 렌치 등의 조임수단으로 고정탭볼트(131)를 회전시킨다. The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leeve 111 provided in the body 110, The fixing tab 130 and the fixing tab bolt 131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112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or 300 protrud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t a proper height, To be fixed in the connector sleeve 111. [ The fixing tab bolt 131 is rotated by the tightening means such as a wrench so that the fixing tab bolt 131 is engaged with the thread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fixing tab bushing 112a.

고정탭볼트(131)가 고정탭 부싱(112a)의 나사선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탭(130)이 커넥터(300)의 일측에 밀착되어 커넥터(300)가 고정된다. As the fixed tab bolt 131 is coupled to the threaded line of the fixed tab bushing 112a, the fixed tab 1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nnector 300 to fix the connector 300.

이후 스마트폰(200)를 커넥터(300)에 결합하여 몸체부(110) 상단면에 고정시킨다. 스마트폰(200)에 단자커버(210)가 있을 시, 몸체부(110) 상단 일측에 마련되는 도피홈(114) 내지 도피홀(115)에 단자커버(210)가 안착되도록 하여 스마트폰(200)과 몸체부(11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n, the smartphone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300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terminal cover 210 is mounted on the escape groove 114 or the escape hole 11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op of the body 110 so that the smartphone 200 And the body 1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커넥터(300)는 커넥터 슬리브(111)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됨으로써, 여기에 결합되는 스마트폰(200)도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몸체부(110)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스마트폰(200)은 받침대(120)가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or 3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connector sleeve 111 so that the smartphone 200 coupled to the connector 300 is also tilted at the same angle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smartphone 200 can be stably mounted by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pedestal 120.

스마트폰(200)에 커버 등을 결합함으로써 받침대(120)와 스마트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받침대(120)와 몸체부(110)를 결합하고 있는 2열의 볼트(b)를 풀어 받침대(120)의 이동슬릿(121)을 따라 받침대(120)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받침대(120)와 스마트폰(200)이 적절하게 밀착되면, 다시 볼트(b)를 고정함으로써 받침대(120)가 스마트폰(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al 120 and the smartphone 200 by coupling a cover or the like to the smartphone 200, the two rows of bolts (b) connecting the pedestal 120 and the body 110 To move the pedestal 120 back and forth along the moving slit 121 of the pedestal 120. When the pedestal 120 and the smartphone 200 are properly adhered to each other, the pedestal 120 can securely support the smartphone 200 by fixing the bolt b again.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100)에 고정된 스마트폰(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눕혀서 사용될 수 있다. 거치대(100)의 몸체부(110)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눕혔을 시 스마트폰(200)의 화면이 적절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별도의 조작이나 부가적인 구성 없이도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이용함으로써 스마트폰(200)의 가로화면 보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로보기로 전환한 상태에서도 거치대(100)로부터 스마트폰(200)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200 fixed to the cradle 100 can be used by lying on its side as shown in FIG. Since the body 110 of the cradle 100 has a sloped side surface,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200 can be appropriately inclined when laid down on the side surfac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user can easily use the horizontal screen view of the smart phone 200 by using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or additional configuration. In addition, since the smartphone 200 is not detached from the cradle 100 even in the state of being switched to the landscape view, the state of charge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00 : 거치대
110 : 몸체부 111 : 커넥터 슬리브
111a : 케이블룸(cable-room)
112 : 고정탭 삽입구 112a : 고정탭 부싱
112b : 가이드부 113 : 케이블정리홈
114 : 도피홈 115 : 도피홀
116 : 흡착판 117 : 볼트삽입구
120 : 받침대 121 : 이동슬릿
130 : 고정탭 131 : 고정탭볼트
200 : 스마트폰 210 : 단자커버
300 : 커넥터
100: Cradle
110: body part 111: connector sleeve
111a: cable-room
112: Fixing tab inserting port 112a: Fixing tab bushing
112b: guide portion 113: cable arrangement groove
114: escape groove 115: escape hole
116: suction plate 117: bolt insertion hole
120: pedestal 121: moving slit
130: securing tab 131: securing tab bolt
200: Smartphone 210: Terminal cover
300: connector

Claims (5)

횡단면이 사다리꼴인 입체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면 일측에 다수의 볼트삽입구가 2열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볼트삽입구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수평면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상기 수평면 일단으로부터 연이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몸체부를 저면으로부터 상단면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슬리브;
상기 몸체부를 일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슬리브의 일측과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 삽입구;
상기 고정탭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슬리브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일측면에 일측이 접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 및
상기 고정탭 삽입구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탭의 타측에 접하여 상기 고정탭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탭볼트를 포함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A body portion hav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port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surface in two rows;
A base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a horizontal plane by a bolt coupled to the bolt insertion port, and a slant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formed continuously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ne;
A connector sleev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o be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A fixing tab inserting hole formed to cross the one side of the connector sleeve by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body part from the one side to the inside;
A securing tab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and having one side abutted on one side of a connector coupled to the connector sleeve; And
And a fixing tab bolt which is screwed to the fixing tab inserting hole and is adapted to fix the fixing tab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ta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수평면에 대해 40 ~ 80°인 것으로 하고,
상기 수평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2열로 형성되는 볼트삽입구의 열 간격과 같도록 2열로 형성되는 이동슬릿을 포함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40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 movable slit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rface and formed in two rows so as to be equal to a row interval of the bolt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two row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탭은,
고무,공업용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에 접하는 면이 상기 받침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커팅되어 마련되고,
상기 고정탭 삽입구는,
상기 고정탭 및 고정탭볼트가 끼워지도록 내경 측이 나사선 가공되어 마련되는 고정탭 부싱; 및
상기 고정탭 부싱보다 넓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tab
Wherein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is cut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The fixing tab-
A fixed tab bushing having an inner diameter side threaded to fit the fixed tab and the fixed tab bolt; And
And a guide portion formed to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fixed tap bush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커넥터 슬리브의 상단측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인 L자 형의 홈으로 마련되는 도피홈;
상기 커넥터 슬리브의 하단면 측 개구와 이어지도록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케이블정리홈; 및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다수로 고정되어 마련되는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정리홈은,
일측에 곡선형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따라 상기 케이블정리홈이 곡선형으로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 escape groove formed adjacent to an upper-side opening of the connector sleeve and provided with an L-shap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cable groom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connect to a lower end surface side opening of the connector sleeve; And
And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cable gland is provided with:
And a curved breakaway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ble restricting protrusion, and the cable restrict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break-off pro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커넥터 슬리브의 상단측 개구 일측 또는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연직하게 홀(hole) 형태로 관통하여 마련되는 도피홀을 포함하는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d an escape hole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end side opening of the connector sleeve and extending vertically through the body part in the form of a hole.
KR1020140046438A 2014-04-18 2014-04-18 Pivotable cradle KR101506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38A KR101506161B1 (en) 2014-04-18 2014-04-18 Pivotable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38A KR101506161B1 (en) 2014-04-18 2014-04-18 Pivotable cra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161B1 true KR101506161B1 (en) 2015-03-26

Family

ID=5302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438A KR101506161B1 (en) 2014-04-18 2014-04-18 Pivotable cr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6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71B1 (en) * 2019-07-16 2020-11-04 김용은 Apparatus for standing mobile device
KR102652400B1 (en) * 2022-10-24 2024-03-29 (주)차이그래픽스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lock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834A (en) * 2007-11-16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20005258U (en) * 2011-10-07 2012-07-18 허문석 Operating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of the mobile using a gender and charging device
KR20130053698A (en) * 2011-11-16 2013-05-24 잘만테크 주식회사 A apparatus with cradle port for smart phone
KR200469907Y1 (en) 2011-12-22 2013-11-14 이형우 The cradle for smart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834A (en) * 2007-11-16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20005258U (en) * 2011-10-07 2012-07-18 허문석 Operating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of the mobile using a gender and charging device
KR20130053698A (en) * 2011-11-16 2013-05-24 잘만테크 주식회사 A apparatus with cradle port for smart phone
KR200469907Y1 (en) 2011-12-22 2013-11-14 이형우 The cradle for smart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71B1 (en) * 2019-07-16 2020-11-04 김용은 Apparatus for standing mobile device
KR102652400B1 (en) * 2022-10-24 2024-03-29 (주)차이그래픽스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lo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8361B2 (en) Adjustable docking apparatus
US8223483B2 (en) Dock with moveable connector for display device
KR101797241B1 (en) Slim-type cradle for mobile phone
US9891666B2 (en) Apparatus with twistable electronics dock and rotatable connecting port having a plurality of heads
JPWO2004064017A1 (en)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display unit
US20120182675A1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9429995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8605458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rotective case having the same
EP1351011A2 (en) Monitor
KR101506161B1 (en) Pivotable cradle
US876739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122900B2 (en) Camera mounting device
JP2005165351A (en) Thin display device
JP2005165350A (en) Thin display device
KR101371249B1 (en) Multi mount for digital mobile device
US20220019262A1 (en) Device holder and device holding system
KR20120010706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machine
KR20110008333U (en) Mobile phone supporting device
US8477249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KR200453146Y1 (en)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076532A (en) Smart phone holder for seat backrest handle
JP4832388B2 (en) Thin display device
CN214405489U (en) Camera support and display device
JP2006270242A (en) Charging base
GB2475467A (en) Power supply adapter for supplying multip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