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43B1 - 삼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삼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43B1
KR101506143B1 KR1020130124696A KR20130124696A KR101506143B1 KR 101506143 B1 KR101506143 B1 KR 101506143B1 KR 1020130124696 A KR1020130124696 A KR 1020130124696A KR 20130124696 A KR20130124696 A KR 20130124696A KR 101506143 B1 KR101506143 B1 KR 10150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case
packing box
outer case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일섭
황광보
조항식
Original Assignee
한국금차도(주)
우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금차도(주), 우신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금차도(주)
Priority to KR102013012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삼 포장용 상자가 개시된다. 삼 포장용 상자는, 인삼 또는 홍삼 등의 삼을 포장하기 위한 삼 포장용 상자로서, 상면이 개방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 내부에 상기 삼을 수납 및 고정하여 상기 수납부 내로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닥면에 접합되어 있는 제1 덮개판; 상기 제1 덮개판에 수직하고 상기 측면부에 평행한 제2 덮개판; 및 상기 제1 덮개판에 대향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제3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체는 투명하고, 상기 제3 덮개판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을 노출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기 삼의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삼 포장용 상자{GINSENG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 홍삼 등을 포장하기 위한 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인삼의 과학적 이름은 Panax Ginseng C.A Meyer로서 만병 통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삼은 다년생 약용식물로서 아시아의 극동지방(북위 30°에서 48° 지역)에 주로 자생한다. 인삼은 근본적으로 재배적지에 대한 선택성이 강한 식물학적 특성이 있어 기후나 토양 등 자연환경이 적당하지 않은 곳에 인삼을 적응시켜 생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인삼은 습기가 많은 숲속에서 주로 잘 성장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국은 인삼 생육의 최적지이다.
특히 한국 인삼은 "고려 인삼" 이라고 명명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삼이 강장약으로서 약물사에 등장하게 된 것은 2.000년 전 중국의 전한원시대(BC 48-33)의 문헌인〈급취장>에 처음으로 인삼의 `삼(蔘)`자가 소개 되면서부터이다.
이러한 인삼은 그 뿌리의 약효가 뛰어나 오랜 세월을 두고 인류의 건강을 위해 재배되어 애용되어 왔으며, 그 열매 또한 아름답기 그지없다. 일부는 황숙종이라 하여 노란색의 열매를 맺으나, 대부분은 자경종으로서 선홍색의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된다.
한편, 재배한 인삼을 포장하여 유통 판매함에 있어 통상 골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이나 보통의 나무판재나 대나무 등의 목재 재질로서 인삼을 포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인삼 포장함(포장케이스)이 만들어져 사용되는데, 보통의 경우 상측이 개방된 함본체에 얇은 종이를 깐 다음 그 위에 일정 개수의 인삼을 내용물로서 수납시키고 별도의 함덮개를 덮어 결속시켜 유통시키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인삼의 포장 및 보관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삼 포장함은 인삼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수분 침투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그 기능이 있었을 뿐, 소비자가 해당 인삼을 구입함에 있어 내용물인 인삼 고유의 자체나 정확한 제품 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별수 없이 통상 인삼이 수납된 함본체에서 함덮개를 분리시키고 확인한 후에 다시 함덮개를 함본체에 결속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통상적으로 함덮개 및 함본체는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구매전에는 서로 분리하여 내용물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로 제공되므로 내용물의 확인이 어려웠다.
따라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105616호와 같이, 기존의 인삼 포장함은 인삼을 단순히 포장 보관하는 기능만 있어, 결국 소비자는 포장함을 구성하는 함 본체에서 함덮개를 분리시켜 육안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인삼 종류와 무게(함량)만을 선택할 수 있을 뿐, 대충 선택한 인삼의 종류와 무게를 포장함에 인쇄된 내용문을 확인하는 정도에서 구매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 이었다.
특히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약용 제품으로서 점차 그 판매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인삼을 백화점 및 공항 등의 인삼 전용매장에서 조차,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을 포함한 모든 소비자가 단순히 인삼 전용의 포장함에 인쇄된 해당 인삼의 종류 및 무게만을 확인하고자 구매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삼이 포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장용 상자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상자 내에 수납된 삼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는, 인삼 또는 홍삼 등의 삼을 포장하기 위한 삼 포장용 상자로서, 상면이 개방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 내부에 상기 삼을 수납 및 고정하여 상기 수납부 내로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닥면에 접합되어 있는 제1 덮개판; 상기 제1 덮개판에 수직하고 상기 측면부에 평행한 제2 덮개판; 및 상기 제1 덮개판에 대향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제3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체는 투명하고, 상기 제3 덮개판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을 노출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기 삼의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덮개판, 상기 제2 덮개판 및 상기 제3 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면에 둘러져 있는 품질표시띠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품질표시띠는 상기 제2 덮개판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절취선 및 상기 절취선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판에는 상기 제2 덮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품질표시띠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면에 둘러질 때 상기 끼움부는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품질표시띠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는, 수납공간을 갖는 투명 재질의 투명 케이스; 삼 고정대로서, 상기 삼 고정대의 상면에 상기 삼이 고정되어 상기 투명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삼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삼 고정대는, 상기 삼을 고정하기 위한 끈을 끼울 수 있는 구멍들; 및 상기 구멍들로부터 상기 구멍들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해 상기 삼 고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케이스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면부;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면부의 길이방향의 두 변들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측면부들;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의 두 변 또는 상기 상면부의 폭 방향의 두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2 측면부들; 및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면부에 수직한 상기 제1 측면부의 두 변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측면부를 향해 접철되는 지지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날개들은 상기 제2 측면부를 향해 접히면 상기 제2 측면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여,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면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부러진 후 펴지면서 상기 압력으로부터 상기 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외부 케이스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한 제2 면은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는 상기 확인창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확인창의 주변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확인창에 겹쳐지도록 상기 확인창 및 상기 투명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는 상기 제1 덮개판의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덮개판의 외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팝업되는 팝업형 색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형 색인부는, 상기 제3 덮개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판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 상기 제1 인출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영역; 상기 제2 인출부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 영역이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영역;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슬라이드 영역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양측 단부 사이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는 팝업띠; 및 일단은 상기 팝업띠의 가운데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품질표시띠에서 상기 제3 덮개판의 외면에 접한 면에 고정된 인출용 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영역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영역 내에는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로부터 상기 팝업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2가이드편들(67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팝업띠의 양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편들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인출용 띠의 표면에는 상기 인출용 띠를 당겨서 상기 인출부를 팝업시키도록 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에 의하면, 삼이 포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장용 상자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상자 내에 수납된 삼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자 내에 포장된 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 없이 보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팝업띠가 팝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10)는 내부 케이스(200); 외부 케이스(100); 품질표시띠(300); 보호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내부 케이스(200)는 내부에 삼을 수납 및 고정하여 삼을 보호하는 케이스이다. 내부 케이스(200)는 삼 고정대(220) 및 투명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삼 고정대(220)는 삼을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삼 고정대(220)는 평면 형상이 사각이고 속이 빈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삼 고정대(220)의 상면에는 인삼 또는 홍삼 등의 삼이 고정된다.
삼 고정대(220)의 상면에 삼을 고정하기 위해 삼 고정대(220)의 상면의 폭 방향으로는 다수의 구멍들(221)이 형성된다. 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구멍들(221) 중 서로 이웃하는 구멍들(221) 사이에 삼을 위치시키고, 서로 이웃한 구멍들(221)에 끈(223)을 끼우고, 끈(223)을 삼 둘레에 두른 후 끈(223)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여 도 3과 같이 삼을 삼 고정대(220)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삼 고정대(220)에는 슬릿들(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들(222)은 각각의 구멍(221)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해 삼 고정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구멍들(221) 및 슬릿들(222)은 삼 고정대(2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들(222)에 의해 삼이 고정된 부분은 탄력을 갖게 된다. 즉, 삼 고정대(220)의 외부로부터 삼이 눌리는 경우, 삼이 고정된 부분은 도 4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삼 고정대(220)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눌린 후 다시 삼 고정대(220)의 상면을 향해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삼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투명 케이스(210)는 삼 고정대(220)를 수납하여 보호하며, 삼 고정대(220)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10a)을 갖는다. 수납공간(210a)의 형성을 위해, 바닥면(211), 바닥면(211)에 대향하는 상면부(215), 바닥면(211) 및 상면부(215)의 길이방향의 두 변들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측면부들(212), 바닥면(211)의 폭 방향의 두 변에 또는 상면부(215)의 폭 방향의 두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수납공간(210a)을 개폐하는 제2 측면부들(213) 및 바닥면(211) 및 상면부(215)에 수직한 제1 측면부들(212)의 두 변을 축으로 하여 제2 측면부들(213)를 향해 접철되는 지지날개들(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케이스(210)는 삼 고정대(220)를 수납공간(210a) 내에 수납한 후, 지지날개들(214)을 수납공간(210a)을 향해 접고, 제2 측면부들(213)도 수납공간(210a)을 향해 접으면 지지날개들(214)은 제2 측면부들(21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날개들(214)은 바닥면(211) 및 상면부(215)를 지지하고, 이에 의해 바닥면(211) 및 상면부(215)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부러진 후 펴지면서 압력에 의해 삼 고정대(220)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압력으로부터 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케이스(21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외부 케이스(100)는 내부 케이스(200)를 수용하고 내부 케이스(20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이다. 이를 위해, 외부 케이스(100)는 수납부(110) 및 수납부(110)를 덮는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바닥면(111), 바닥면(111)에 수직한 측면부(112)를 포함하고, 바닥면(111)에 대향하는 상면(113)은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부(110)의 개방된 상면(113)을 통해 내부 케이스(200)가 수납부(110) 내에 삽입되어 수납된다.
커버부(120)는 바닥면(111)에 접합되어 있는 제1 덮개판(121), 제1 덮개판(121)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혀서 제1 덮개판(121)에 수직하고 수납부(110)의 측면부(112)에 평행한 제2 덮개판(122), 제3 덮개판(123)은 제2 덮개판(122)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혀서 제1 덮개판(121)에 대향하여 내부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는다.
또한 이러한 커버부(120)에는 확인창(123a)이 형성된다. 확인창(123a)은 제3 덮개판(123)에 형성되고, 확인창(123a)은 내부 케이스(200)의 투명 케이스(210)의 상면에 대향되어 확인창(123a)에 대향된 투명 케이스(210)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투명 케이스(210) 내에 수납된 삼의 상태를 확인창(123a)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품질표시띠(300)는 내부 케이스(200) 내에 수납된 삼의 품질을 표시할 수 있고 외부 케이스(100)가 오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품질표시띠(300)는 제1 덮개판(121), 제2 덮개판(122) 및 제3 덮개판(123)을 감싸도록 외부 케이스(100)의 외면에 둘러져 있다.
이러한 품질표시띠(300)는 외부 케이스(100)로부터 흘러내림 및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품질표시띠(300)는 제2 덮개판(122)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절취선(301) 및 상기 절취선(301)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끼움부(3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덮개판(122)에는 제2 덮개판(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끼움구멍(122a)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품질표시띠(300)가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외면에 둘러질 때 상기 끼움부(302)는 상기 끼움구멍(12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품질표시띠(300)는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보호 케이스(400)는 내부 케이스(200)가 외부 케이스(10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외부 케이스(100)를 수납하여 보호한다. 외부 케이스(100)의 수납을 위해 보호 케이스(400)는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대향하는 제1 면(410) 및 개방된 면에 수직한 제2 면(420)은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10)를 이용하면, 내부 케이스(200)가 투명하고, 외부 케이스(100)에 확인창(123a)이 형성되므로 상자의 외부에서 상자 내에 수납된 삼의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된 삼에 대한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20)는, 확인창(12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인창(123a)의 주변에 형성되는 삽입부(510); 및 삽입부(510) 내에 삽입되어 확인창(123a)에 겹쳐지도록 확인창(123a) 및 투명 케이스(21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10)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520)는 플레이트 형상의 렌즈일 수 있고, 상자 내에 수납되어 있는 삼이 확대되어 보일 수 있는 형태의 렌즈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20)를 이용하면, 확인창(123a)을 통해 보여지는 삼의 상태를 더욱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장된 삼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팝업띠가 팝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30)는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팝업되는 팝업형 색인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1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팝업형 색인부(6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팝업형 색인부(600)는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 제1 슬라이드 영역(630); 제2 슬라이드 영역(640); 팝업띠(650); 및 인출용 띠(660)를 포함한다.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는 제3 덮개판(123)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덮개판(123)의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는 제3 덮개판(123)의 외면을 소정의 길이로 절취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 절취된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를 통해 제3 덮개판(123)의 내측으로 팝업띠(650)의 삽입이 가능하다.
제1 슬라이드 영역(630)은 제1 인출부(610)로부터 상기 가상의 중심선(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2 슬라이드 영역(640)은 제2 인출부(620)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 영역(630)이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이러한 제1 슬라이드 영역(630) 및 제2 슬라이드 영역(640)은 제3 덮개판(123)의 내측 부분을 의미하며, 팝업띠(650)를 수용하는 영역이다.
팝업띠(650)는 평상시 제3 덮개판(123)에 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팝업되는 부분이다. 팝업을 위해, 팝업띠(650)는 양측 단부가 제1 슬라이드 영역(630) 및 제2 슬라이드 영역(640) 내에 수용되어 있고, 양측 단부 사이의 가운데 부분은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팝업띠(650)의 표면에는 삼의 근수, 삼 원산지, 삼 제조자 등의 정보가 색인될 수 있다.
이러한 팝업띠(650)의 용이한 인출을 위해 제1 슬라이드 영역(630) 및 제2 슬라이드 영역(640) 내에는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로부터 팝업띠(6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편들(670)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팝업띠(650)의 양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편들(670) 내에 삽입되어 제3 덮개판(123)의 외부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인출(팝업)될 수 있다.
인출용 띠(660)는 사용자가 팝업띠(650)를 제3 덮개판(123)의 외부로 팝업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인출용 띠(660)의 일단은 팝업띠(650)의 가운데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품질표시띠(300)에서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에 접한 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출용 띠(660)를 당기면 팝업띠(650)는 인출용 띠(660)와 함께 당겨져서 팝업된다.
한편 인출용 띠(660)의 표면에는 인출용 띠(660)를 당겨서 팝업띠(650)를 팝업시키도록 파지부(680)가 마련된다. 인출용 띠(660)를 당길시 파지부(680)를 잡고 당기면 팝업띠(650)를 팝업시키는 과정이 더욱 용이하다.
이러한 실시예 3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30)를 이용하면, 팝업형 색인부(600)가 사용자로 하여금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고, 팝업형 색인부(600)를 팝업시키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재미와 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홍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삼 포장용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삼 포장용 박스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삼 포장용 박스(40)는 외부 케이스(810); 지지대(820); 내부 케이스(830); 거치대(840); 및 장식덮개(850)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810)는 지지대(820) 및 내부 케이스(8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수용공간의 형성을 위해, 외부 케이스(810)는 측면부(811), 상기 측면부(81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부(811)의 상측을 개폐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8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덮개(812), 상기 측면부(8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부(811)의 하측을 개폐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810)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덮개(8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810)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고, 투명하다.
지지대(820)는 외부 케이스(810) 내에 삽입되어 외부 케이스(810) 내로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8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대(820)는 받침부(821) 및 수직 플레이트(822)를 포함한다. 받침부(821)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일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822)는 받침부(821)의 일측의 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받침부(821) 및 수직 플레이트(822)는 종이재질일 수 있다.
내부 케이스(830)는 일면에 삼을 고정하여 외부 케이스(810) 내로 수납되고, 외부 케이스(810) 내에서 지지대(820) 상에 안착된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830)는 제1 면(831) 내지 제7 면(837)을 포함한다.
제1 면(831)은 삼이 고정되며, 삼의 고정을 위해 제1 면(831)에는 삼을 고정하기 위한 끈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831a)이 형성된다. 복수의 구멍(831a)은 제1 면(83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2 면(832)은 제1 면(831)의 길이 방향의 변으로부터 수직하다.
제3 면(833)은 제2 면(832)의 길이 방향의 변으로부터 수직하고 상기 제1 면(831)에 대향한다. 이러한 제3 면(833)은 내부 케이스(830)가 외부 케이스(810) 내에 삽입될 때 지지대(820)의 수직 플레이트(822) 상에 지지된다.
제4 면(834)은 제1 면(831)의 길이 방향의 다른 변으로부터 수직하고 제2 면(832)에 대향한다.
제5 면(835)은 제3 면(833)의 길이 방향의 일측 변으로부터 수직하고 제4 면(834)에 겹쳐진 상태로 위치한다.
제6 면(836)은 제1 면(831)의 폭 방향의 일측 변으로부터 제3 면(833)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다. 이러한 제6 면(836)은 제1 내지 제5 면(835)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제7 면(837)은 제1 면(831)의 폭 방향의 다른 변으로부터 제3 면(833)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다. 이러한 제7 면(837) 역시 제1 내지 제5 면(835)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6 면(836)에 대향한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830)에서 제2 면(832), 제4 면(834) 및 제5 면(835) 중 어느 하나의 면의 길이와 제6 면(836) 및 제7 면(837) 중 어느 하나의 면의 길이를 합한 길이는 외부 케이스(810) 내에 내부 케이스(83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내부 케이스(830)가 외부 케이스(8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6 면(836) 및 제7 면(837)은 지지대(820)의 수직 플레이트(822)에 대향하는 외부 케이스(810)의 일면에 지지되고, 이에 의해 내부 케이스(830)가 외부 케이스(810) 내에서 유동 없이 고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거치대(840)는 외부 케이스(810)를 측면부(811)가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도록 외부 케이스(810)의 하면을 지지하여 외부 케이스(810)를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거치대(84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장식덮개(850)는 외부 케이스(810)에서 거치대(840)가 결합된 부분의 반대편에 결합되어 외부 케이스(810)의 상면을 덮는다. 이러한 장식덮개(850)는 거치대(84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삼 포장용 상자(40)를 외관에서 볼 때 거치대(840)와 조화되어 장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40)는 장식부재(860)를 더 포함한다. 장식부재(860)는 금속플레이트(861) 및 금속플레이트(861)에 고정된 원적외선 방출부재(862)를 포함한다.
금속플레이트(861)는 거치대(84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고, 원적외선 방출부재(862)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석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삼 포장용 상자(40)를 이용하면, 외부 케이스(810) 및 내부 케이스(83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내부 케이스(830) 내에 수납된 삼의 상태를 상자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케이스(810) 및 내부 케이스(830) 전체가 투명하므로 상자의 어느 방향으로 보아도 내부 케이스(830) 내에 수납된 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삼이 포장된 상태로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고, 장식부재(86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삼을 포장한 상태의 장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100 : 외부 케이스 110 : 수납부
120 : 커버부 121 : 제1 덮개판
122 : 제2 덮개판 123 : 제3 덮개판
123a : 확인창 122a : 끼움구멍
200 : 내부 케이스 210 : 투명 케이스
220 : 삼 고정대 221 : 구멍들
222 : 슬릿들 300 : 품질표시띠
301 : 절취선 302 : 끼움부
400 : 보호 케이스 510 : 삽입부
520 : 렌즈부 600 : 팝업형 색인부
610 : 제1 인출부 620 : 제2 인출부
630 : 제1 슬라이드 영역 640 : 제2 슬라이드 영역
650 : 팝업띠 660 : 인출용 띠
670 : 가이드편들 680 : 파지부

Claims (13)

  1. 인삼 또는 홍삼 등의 삼을 포장하기 위한 삼 포장용 상자로서,
    상면이 개방된 수납부(110) 및 상기 수납부(110)를 덮는 커버부(120)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삼을 수납 및 고정하여 상기 수납부(110) 내로 수납되는 내부 케이스(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110)는, 바닥면(111); 상기 바닥면(111)에 수직한 측면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111)에 대향하는 상면(113)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바닥면(111)에 접합되어 있는 제1 덮개판(121); 상기 제1 덮개판(121)에 수직하고 상기 측면부(112)에 평행한 제2 덮개판(122); 및 상기 제1 덮개판(121)에 대향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는 제3 덮개판(123)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200)의 전체는 투명하고,
    상기 제3 덮개판(123)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200)의 상면을 노출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200) 내에 수납된 상기 삼의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1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케이스(200)는,
    수납공간(210a)을 갖는 투명 재질의 투명 케이스(210);
    삼 고정대(220)로서, 상기 삼 고정대(220)의 상면에 상기 삼이 고정되어 상기 투명 케이스(210) 내에 수납되는 삼 고정대(220)를 포함하고,
    상기 삼 고정대(220)는,
    상기 삼을 고정하기 위한 끈(223)을 끼울 수 있는 구멍들(221); 및 상기 구멍들(221)로부터 상기 구멍들(221)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해 상기 삼 고정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릿들(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판(121), 상기 제2 덮개판(122) 및 상기 제3 덮개판(123)을 감싸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외면에 둘러져 있는 품질표시띠(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품질표시띠(300)는 상기 제2 덮개판(122)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절취선(301) 및 상기 절취선(301)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끼움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판(122)에는 상기 제2 덮개판(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끼움구멍(122a)을 포함하고,
    상기 품질표시띠(300)가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외면에 둘러질 때 상기 끼움부(302)는 상기 끼움구멍(12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품질표시띠(300)는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케이스(210)는,
    바닥면(211);
    상기 바닥면(211)에 대향하는 상면부(215);
    상기 바닥면(211) 및 상기 상면부(215)의 길이방향의 두 변들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측면부들(212);
    상기 바닥면(211)의 폭 방향의 두 변 또는 상기 상면부(215)의 폭 방향의 두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납공간(210a)을 개폐하는 제2 측면부들(213); 및
    상기 바닥면(211) 및 상기 상면부(215)에 수직한 상기 제1 측면부들(212)의 두 변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측면부들(213)을 향해 접철되는 지지날개들(214)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날개들(214)은 상기 제2 측면부(213)를 향해 접히면 상기 제2 측면부(213)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211) 및 상기 상면부(215)를 지지하여, 상기 바닥면(211) 및 상기 상면부(215)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부러진 후 펴지면서 상기 압력으로부터 상기 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200)가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외부 케이스(100)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400)는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면(410) 및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한 제2 면(420)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123a)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확인창(123a)의 주변에 형성되는 삽입부(510); 및
    상기 삽입부(510) 내에 삽입되어 상기 확인창(123a)에 겹쳐지도록 상기 확인창(123a) 및 상기 투명 케이스(21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팝업되는 팝업형 색인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형 색인부(600)는,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판(121)의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인출부(610) 및 제2 인출부(620);
    상기 제1 인출부(610)로부터 상기 가상의 중심선(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영역(630);
    상기 제2 인출부(620)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 영역(630)이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영역(640);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슬라이드 영역(630)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영역(640)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양측 단부 사이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 인출부(610) 및 상기 제2 인출부(620)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는 팝업띠(650); 및
    일단은 상기 팝업띠(650)의 가운데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품질표시띠(300)에서 상기 제3 덮개판(123)의 외면에 접한 면에 고정된 인출용 띠(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영역(630)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영역(640) 내에는 상기 제1 인출부(610) 및 상기 제2 인출부(620)로부터 상기 팝업띠(6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편들(67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팝업띠(650)의 양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편들(670)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용 띠(660)의 표면에는 상기 인출용 띠(660)를 당겨서 상기 팝업띠(650)를 팝업시키도록 파지부(6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11. 인삼 또는 홍삼 등의 삼을 포장하기 위한 삼 포장용 상자로서,
    상면 및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이 개폐되는 외부 케이스(810);
    상기 외부 케이스(810) 내에 수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810)의 하면에 접하는 받침부(821) 및 상기 받침부(821)의 일측의 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플레이트(822)를 포함하는 지지대(820);
    일면에 삼을 고정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810) 내로 수납되고, 상기 지지대(820) 상에 안착되는 내부 케이스(830);
    상기 외부 케이스(8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810)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810)를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840);
    상기 외부 케이스(810)에서 상기 거치대(840)가 결합된 부분의 반대편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810)의 상면을 덮는 장식덮개(85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810) 및 상기 내부 케이스(830)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상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830)는,
    상기 삼이 고정되는 제1 면(831);
    상기 제1 면(831)의 길이 방향의 변으로부터 수직한 제2 면(832);
    상기 제2 면(832)의 길이 방향의 변으로부터 수직하고 상기 제1 면(831)에 대향하는 제3 면(833);
    상기 제1 면(831)의 길이 방향의 다른 변으로부터 수직하고 상기 제2 면(832)에 대향하는 제4 면(834);
    상기 제3 면(833)의 길이 방향의 일측 변으로부터 수직하고 상기 제4 면(834)에 겹쳐진 제5 면(835);
    상기 제1 면(831)의 폭 방향의 일측 변으로부터 상기 제3 면(833)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한 제6 면(836); 및
    상기 제1 면(831)의 폭 방향의 다른 변으로부터 상기 제3 면(833)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고 상기 제6 면(836)에 대향하는 제7 면(8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840)의 일면에 장착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장식부재(8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 포장용 박스.
KR1020130124696A 2013-10-18 2013-10-18 삼 포장용 상자 KR10150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96A KR101506143B1 (ko) 2013-10-18 2013-10-18 삼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96A KR101506143B1 (ko) 2013-10-18 2013-10-18 삼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143B1 true KR101506143B1 (ko) 2015-03-27

Family

ID=5302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96A KR101506143B1 (ko) 2013-10-18 2013-10-18 삼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116A (en) * 1992-08-13 1993-06-15 Kevin Hearne Easily attached band for pie boxes
WO2000021845A2 (en) * 1998-10-14 2000-04-20 Lego A/S A packaged toy product
CN201553340U (zh) * 2009-10-15 2010-08-18 正元国际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盒
KR101031258B1 (ko) * 2009-10-20 2011-04-29 (주)제주바이오세상 내부가 인지가능한 포장용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116A (en) * 1992-08-13 1993-06-15 Kevin Hearne Easily attached band for pie boxes
WO2000021845A2 (en) * 1998-10-14 2000-04-20 Lego A/S A packaged toy product
WO2000021845A3 (en) * 1998-10-14 2000-08-10 Lego As A packaged toy product
CN201553340U (zh) * 2009-10-15 2010-08-18 正元国际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盒
KR101031258B1 (ko) * 2009-10-20 2011-04-29 (주)제주바이오세상 내부가 인지가능한 포장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759A (en) Gift packaging and wrapping ensemble
US8783459B1 (en) Product suspension packaging
US20070193922A1 (en) Clear window packaging
CA2508954C (en) Combination shipping/display container
US4014134A (en) Plant package
US4258842A (en) Cap display package
US7938535B2 (en) Eyewear and case display apparatus
ES2808137T3 (es) Paquete para artículos de perfumería o cosméticos
US20140183819A1 (en) Packaged puzzle
KR101506143B1 (ko) 삼 포장용 상자
CA2492337A1 (en) Package for displaying products
US20180297762A1 (en) Storage and display pouch.
US3865234A (en) Display and carrying package for flat, flexible merchandise
NO811766L (no) Kampanjepakning og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denne
US2348488A (en) Container
US2210385A (en) Display envelope package
US10232975B2 (en) Product packaging with integrated support
US6533117B2 (en) Candl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521454B1 (ko) 적층 및 진열이 용이한 포장박스
US3459298A (en) Display package
KR20170000248U (ko) 포장용 상자
US3096877A (en) Packages and methods of packaging
US20090310891A1 (en) Food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083647A1 (en) Display box for flexible contents
US3366227A (en) Display package for comp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