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999B1 - The smartphone holder - Google Patents

The smartphone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999B1
KR101505999B1 KR1020130103782A KR20130103782A KR101505999B1 KR 101505999 B1 KR101505999 B1 KR 101505999B1 KR 1020130103782 A KR1020130103782 A KR 1020130103782A KR 20130103782 A KR20130103782 A KR 20130103782A KR 101505999 B1 KR101505999 B1 KR 10150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nting
mounting portion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5770A (en
Inventor
조승우
Original Assignee
조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우 filed Critical 조승우
Priority to KR102013010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9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2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 또는 자전거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야외활동 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거치부가 설치된 타측에 설치되는 설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holder that allows a smartphone to be freely used in an outdoor activity even when rain or snow is allowed by being mounted on an umbrella or a bicycle.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phone caddy is composed of a mounting part on which the smartphone is mounted, a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and an installation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the mounting part of the connection part .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 { The smartphone holder }The smartphone holder {The smartphone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 또는 자전거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야외활동 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holder that allows a smartphone to be freely used in an outdoor activity even when rain or snow is allowed by being mounted on an umbrella or a bicycl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MP3 등의 전자기기는 외출 시에도 전화, 인터넷 및 음악청취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로 현대사회에서 필수품이 되었다.Generally,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MP3s are devices that enable phones, the Internet, and music to be listened to when they are out, and have become a necessity in modern society.

하지만, 스마트폰, MP3등의 전자기기는 물이 닿거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게 되면 쉽게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n MP3 player is exposed to water or infil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the device easily breaks down.

따라서,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날에는 외출 시 빗물 또는 눈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로 인하여 스마트폰이나 MP3와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에 제약을 받게 된다.Therefore, on the day of rain or snow,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MP3s is limited due to the risk of rain or snow breakdown when going out.

또한, 비 또는 눈이 내려 우산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한 손으로는 우산을 들고 다른 손으로는 가방 등을 들게 되어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한 손에 우산 및 가방 등의 짐을 몰아 쥔 채로 다른 손으로 전화 등의 업무를 해결해야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rain or snow falls and umbrellas are used, when an umbrella is lifted with one hand and a bag is lifted with the other hand, a situation arises in which a cal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a luggage such as an umbrella and a ba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work such as the telephone must be solved by the other hand while being drive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058호에는 우산용 핸드폰 거치대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우산에 탈, 부착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핸드폰 등의 기기를 우천 시에 우산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시 손이 부족하여 사용에 제약을 받는 핸드폰, MP3같은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우천시의 외부이동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2008-0002058 discloses a cellular phone holder for an umbrella, and its technical structure is a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umbrella,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MP3s which are restricted in use due to lack of hands in moving by allowing them to be mounted on the city umbrella.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우산손잡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우산에 의해 비가 가려지기는 하지만, 핸드폰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바람이 불어 측면에서 들이치는 비 또는 눈에 의해 고장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고, 단순히 핸드폰의 측부 및 하부를 지지해주는 것으로 충격 등에 의해 핸드폰이 추락하여 파손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 is installed on the umbrella handle, the rain is blocked by the umbrella. However, since the mobile 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wind can blow the wind from th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phone may fall and be damaged due to shock or the like by supporting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058호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8-0002058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 또는 자전거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야외활동 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that allows a smartphone to be freely used in an outdoor activity even when rain or snow is allowed by being mounted on an umbrella or a bicycle have.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를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스마트폰이 거치되더라도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폰 거치대가 추락하더라도 쿠션감있는 거치부에 의해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even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and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smartphone by the cushion-like mounting portion even if the smartphone cradle falls down There are other purposes in providing smartphone cradles.

또한, 본 발명은 밀폐부의 중앙부에 투명창을 형성하여 터치식 전자기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phone holder that enables the use of a touch-type electronic device by forming a transparent window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재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밀폐돌부를 형성하고 밀폐부재의 내측면에는 밀폐돌부에 대응되도록 밀폐홈부를 형성하여 수분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거치대가 추락하더라도 밀폐부가 거치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ermetic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and a sea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ermetic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rmetic protrusion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o the insid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that prevents the sealing portion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crashed.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거치부가 설치된 타측에 설치되는 설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cradle including a cradle in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radle, and an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radle, .

이때, 상기 거치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밀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a sea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sealing portion covering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거치부는 본체와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거치부 및 안착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elastic members.

한편, 상기 밀폐부는 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led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transparent.

또한, 상기 거치부의 본체는 상부면에 다수개의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밀폐돌부에 대응되도록 밀폐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rmetically sealed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볼부재와, 상기 볼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unit includes a ball member inserted into a connection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all member.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조임팔과, 상기 조임팔의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타측 단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되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tightening member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tightening member coupl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ighten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 또는 자전거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야외활동 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n umbrella, a bicycle, or the like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used freely in outdoor activities even when rain or snow is pres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부를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스마트폰이 거치되더라도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폰 거치대가 추락하더라도 쿠션감있는 거치부에 의해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atches from being generated even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and to prevent the smartphone from being damaged by the cush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부의 중앙부에 투명창을 형성하여 터치식 전자기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portion to enable the use of a touch-typ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부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밀폐돌부를 형성하고 밀폐부재의 내측면에는 밀폐돌부에 대응되도록 밀폐홈부를 형성하여 수분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거치대가 추락하더라도 밀폐부가 거치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rmetic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and a sea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rmetic sealing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rmetic protrusions,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to the inside, And further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ealing portion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even if it fall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산용 핸드폰 거치대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밀폐부를 도시한 도면.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설치부를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phone holder for an umbrella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a smartphon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views showing a sealing par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 and 5 (b)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views showing connection portions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a smartphon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밀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views 6 (a) and 6 (b) are views showing connection parts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part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는 우산 또는 자전거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야외활동 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거치부(100), 연결부(300), 설치부(400)로 구성된다.2 to 7, the smartphone crad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n umbrella, a bicycle, or the like, so that the smartphone cradle 50 can freely use the smartphone even when rain or snow, As shown in FIG. 2, the structure is largely composed of a mounting portion 100, a connecting portion 300, and a mounting portion 4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100)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것으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안착부(120)와 밀폐부(200)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seating portion 120, and a sealing portion 200 as shown in FIG. 3 (a) in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여기서, 상기 거치부(100)의 본체(110) 내측 상부에는 스마트폰이 삽입 거치될 수 있도록 안착부(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안착부(120)에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21)이 형성된다.A seating part 12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of the mounting part 100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seating part 120 has an insertion groove 121 formed as a concave groove, .

한편, 상기 삽입홈(121)은 스마트폰의 크기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to fit the size of the smartphone.

또한,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본체(110)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안착부(120)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ating part 120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seating part 120 can be exchang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smart phone used by the user.

여기서, 상기 삽입홈(121)의 측부에는 파지홈(122)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거치부(100)의 안착부(120)에 삽입된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빼낼 수 있도록 한다.A gripping groove 12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21 so that a user can easily grasp and pull out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120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또한, 상기 거치부(100) 및 쿠션부재(124)는 스펀지, 발포스티로폼,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 탄성 및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스마트폰이 삽입 거치될 때 스마트폰의 외측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가 추락하더라도 내부에 설치된 스마트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unting portion 100 and the cushion member 124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and cushioning properties such as sponge, expanded polystyrene foam, urethane or silicone, so that when the smartphone is inserted and fixed, And prevents the smartphon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holder 50 from being damaged even if the smartphone hold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한편,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면은 개폐가능하도록 밀폐부(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면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돌출부(210)를 형성하고 돌출부(210)의 내측에는 나사부(220)를 형성하여 본체(110)와 나사 결합하거나, 돌출부(210)의 내측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본체(110)에는 돌기에 대응되는 요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밀폐부(200)는 투명하게 하여 안착부(120)에 삽입된 스마트폰이 잘 보이고, 터치가 가능하게 하여 스마트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00 is provided with a sealing part 200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losing part 200 is formed to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00, 4, a protrusion 210 is formed at a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a screw portion 220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210 to be screwed to the main body 110,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main body 11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e sealing part 200 is made transparent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120 The smartphone can be seen easily and the touch can be made,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driven.

즉, 상기 밀폐부(200)는 상기 거치부(100)의 본체(110) 상부면 및 측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거치부(100)의 내측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거치부(100)의 내측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aling part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part of the main body 110 of the mounting part 100 so that the rain or snow can not penetrate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part 100, It is to safeguard the smartphone which is mounted inside.

또한, 상기 밀폐부(200)는 투명하게 구성함으로써 안착부(120)의 삽입홈(121)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하여 스마트폰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sealing part 200 may be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placed in the insertion slot 121 of the seating part 120 can be easily checked and the smart phone can be operated by touching, Or to allow you to use your smartphone freely, even when it is snowing.

한편, 상기 거치부(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안착부(120)를 일체로 형성하고, 본체(11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밀폐돌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200)의 내측에는 상기 밀폐돌부(130)에 대응되도록 밀폐홈부(230)가 형성된다.5, the main body 110 and the seating portion 120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sealing protrusions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sealing groove 23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ling part 200 to correspond to the sealing part 130.

즉, 상기 거치부(100)에 밀폐부(200)가 결합될 때, 밀폐돌부(130)가 밀폐홈부(230)에 다중으로 삽입되어 거치부(100) 본체(110)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 또는 눈으로부터 본체(110) 내측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hermetically sealed part 2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100, the hermetically-sealed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hermetically-sealed part 230 to penetrate into the interior of the mounting part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smartphon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0 from rain or snow.

한편, 상기 연결부(3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140)에 삽입 결합되는 볼부재(320)와, 상기 볼부재(32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재(310)로 이루어진다.6, the connection unit 300 includes a ball member 32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4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unit 100, And a connecting member 310 formed to extend.

즉,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140)에 볼부재(32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거치부(100)가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inserting the ball member 320 into the connection groove 14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freely rotate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angle of the smart phone holder 50 can be adjusted.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10)에는 상부와 하부를 힌지(330)로 결합하도록 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황에 적절하게 각도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고,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ng member 31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coupl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with the hinge 330, so that the angle can be further appropriately adjusted for the situation, and the volume can be easily reduced .

한편, 상기 설치부(4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조임팔(410)과, 상기 조임팔(410)의 상기 연결부(300)와 연결된 타측 단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412)에 결합되는 볼트 등의 조임부재(420)로 이루어진다.7, the mounting part 400 includes a tightening arm 410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300, and a fastening member 41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300 of the fastening member 410, And a tightening member 420 such as a bolt coupled to the through hole 412 formed therein.

이때, 상기 관통공(4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조임부재(420)에 의해 조임팔(410)이 조여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12 so that the tightening member 420 can be fixed in a tightened state.

즉, 상기 조임팔(410)은 상기 연결부(300)의 연결부재(3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조임팔(410)이 우산 손잡이(1)를 잡도록 하고 조임팔(410)의 단부에 구비된 조임부재(420)를 회전시켜 조임팔(410)의 간격을 조임으로써 우산 손잡이(1)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astening arm 410 is hing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of the connection portion 300 so that the fastening arm 410 can grip the umbrella handle 1, The tightening member 420 provided on the umbrella grip 1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spacing of the tightening arm 410 by rotating the tightening member 420 provided on the umbrella grip 1.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50)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cradle 5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우산 손잡이(1)에 설치부(400)의 조임팔(410)을 위치시키고 조임부재(420)을 회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가 우산 손잡이(1)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The smartphone compartmen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rmly on the umbrella handle 1 by locating the tightening arm 410 of the installation part 400 on the umbrella handle 1 and rotating the tightening member 420 do.

다음, 거치부(100)의 밀폐부(200)를 개방하여 삽입홈(121)에 스마트폰을 삽입 거치한 후, 밀폐부(200)를 거치부(10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Next, the sealing part 200 of the mounting part 100 is opened to insert the smart phone into the insertion groove 121, and then the sealing part 200 is tight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00.

다음, 연결부(300)에 결합된 거치부(10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편의에 적합하도록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Next, the smartphone can be used by rotating the mounting part 100 coupled to the connecting part 300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part 100 to sui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는 비 또는 눈이 오는 때에도 우산에 설치하여 빗물 등에 의해 스마트폰이 파손될 우려없이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martphone hold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n umbrella even when rain or snow comes,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freely used without fear of damage to the smartphone due to rainwater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는 거치부(100)의 삽입홈(121)에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mp3, PMP 등의 다른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martphone crad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a smart phone but also in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and PMP in the insertion slot 121 of the mounting portion 10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는 우산 손잡이(1)뿐만 아니라 자전거, 유모차 등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phone hold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umbrella handle 1 but also in a bicycle, a baby carriage, and the lik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50)에 의하면, 우산 또는 자전거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야외활동 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거치부를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스마트폰이 거치되더라도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폰 거치대가 추락하더라도 쿠션감있는 거치부에 의해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부의 중앙부에 투명창을 형성하여 터치식 전자기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거치부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밀폐돌부를 형성하고 밀폐부재의 내측면에는 밀폐돌부에 대응되도록 밀폐홈부를 형성하여 수분이 내측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거치대가 추락하더라도 밀폐부가 거치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martphone crad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can be freely used in an outdoor activity even if rain or snow is allowed by being mounted on an umbrella or a bicycle or the like, and the cra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even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and to prevent the smartphone from being damaged by the cushioned mounting portion even if the smartphone cradle collapses and to form a transparent window at the center of the closed portion, And a sea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aling protrusion so as to prevent water from being absorbed to the inside, Even if the smart phone cradle collap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par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radle, Has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우산 손잡이 50: 스마트폰 거치대
100: 거치부 120: 안착부
121: 삽입홈 122: 파지홈
130: 밀폐돌부 140: 연결홈
200: 밀폐부 230: 밀폐홈부
300: 연결부 310: 연결부재
320: 볼부재 400: 설치부
410: 조임팔 412: 관통공
420: 조임부재
1: umbrella handle 50: Smartphone holder
100: mounting part 120:
121: insertion groove 122: gripping groove
130: sealing projection 140: connection groove
200: sealing part 230: sealing groove part
300: connection part 310: connection part
320: ball member 400: mounting part
410: fastening arm 412: through hole
420: fastening member

Claims (9)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거치부가 설치된 타측에 설치되는 설치부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스마트폰이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를 커버하되 투명하게 구성되는 밀폐부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본체 및 안착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본체와 나사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본체는 상부면에 다수개의 밀폐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밀폐돌부에 대응되도록 밀폐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ounting part where the smart phone is mounted,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on which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comprises a body,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and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smartphone is inserted, and a sealing portion covering the body,
The main body and the seat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re formed of elastic members,
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is formed with a projection to be screwed with the body,
Wherein a plurality of hermetically sealed portion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본체와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and the seat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볼부재와,
상기 볼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includes a ball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all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조임팔과,
상기 조임팔의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타측 단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되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arm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arm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KR1020130103782A 2013-08-30 2013-08-30 The smartphone holder KR101505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82A KR101505999B1 (en) 2013-08-30 2013-08-30 The smartphon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82A KR101505999B1 (en) 2013-08-30 2013-08-30 The smartphone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770A KR20150025770A (en) 2015-03-11
KR101505999B1 true KR101505999B1 (en) 2015-03-30

Family

ID=5302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82A KR101505999B1 (en) 2013-08-30 2013-08-30 The smartphone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9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12Y1 (en) 2019-03-21 2020-08-28 장재승 Smart phone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760A (en) * 2008-01-28 2009-07-31 타이코에이엠피(유) The waterproof method and structure of portable telephtone
KR101112601B1 (en) 2011-08-30 2012-02-16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760A (en) * 2008-01-28 2009-07-31 타이코에이엠피(유) The waterproof method and structure of portable telephtone
KR101112601B1 (en) 2011-08-30 2012-02-16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12Y1 (en) 2019-03-21 2020-08-28 장재승 Smart phon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770A (en)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358B1 (en) Mobile phone cover case
KR101505999B1 (en) The smartphone holder
TW200516372A (en) Combined supporting base
US11096460B2 (en) Shockproof laptop bag
CN217406588U (en) Ring support
KR200470168Y1 (en) Mobile phone case
CN204948317U (en) A kind of Wrist belt-type Bluetooth earphone device
CN205040795U (en) Key ring with USB flash disk cell -phone seat function
KR200472778Y1 (en) A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5432524U (en) Antiskid lunch -box
CN211089705U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protective shell
CN203538599U (en) Multifunctional notebook laptop case
CN209913879U (en) Waterproof cell phone stand of electric motor car
CN203376531U (en)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with anti-seismic property
CN203632711U (en) Handset protection casing having support
CN203399168U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N202112511U (en) Protective component with back clip
CN207369122U (en) Waterproof mobile phone shell
KR200476114Y1 (en) Mobile device supporter
CN203775277U (en) Mobile phone capable of receiving headphone cord
CN205121572U (en) A protection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CN217522870U (en) Three-proofing mobile phone with protection mechanism
CN203593285U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ilm box with mobile phone support function
CN214101456U (en) 360 rotatory cell-phone receiver of degree
KR102260635B1 (en) Cellular phone case for easy rotation and fing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