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937B1 -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937B1 KR101505937B1 KR1020140190969A KR20140190969A KR101505937B1 KR 101505937 B1 KR101505937 B1 KR 101505937B1 KR 1020140190969 A KR1020140190969 A KR 1020140190969A KR 20140190969 A KR20140190969 A KR 20140190969A KR 101505937 B1 KR101505937 B1 KR 101505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
- reservoir
- measuring
- fresh water
- microwa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 G01B1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for measuring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 및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사시키는 단계; 상기 수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1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수위변화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2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퇴적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수위변화 값과 상기 퇴적두께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 높이를 연산하는 단계; 연산된 담수 높이를 3D GIS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준설시기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는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댐과 저수지는 발전능력의 유무와 규모에 따라 분리되는데, 이중 2010년 현재 전국에는 약 1만 8천 개의 저수지가 지자체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 중에 있다.
한편, 저수량 100만㎥이상의 저수지 및 발전능력이 있는 댐에 대해서는 수자원공사가 직접관리하며 주로 농사에 필요한 농업용 물관리를 위한 저수량 100만㎥이하의 소규모 저수지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특히, 저수량 100만㎥이하의 마을단위 관리 소규모 저수지의 경우 관리체계가 마을이장이나 동장 중심의 리, 통, 반 단위로 관리되고 있어 수량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며 기존 저수지 담수량 관리 형태는 수위표를 이용한 육안관측, 수위센서를 이용한 수면의 높이 관측을 통해 설계 당시의 용적에 대입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진행돼 왔다.
그러나, 토사의 유입으로 인한 용적 변화 및 갈수록 심화되는 기상이변 등으로 수리 시설물의 재해를 예방하고 신속한 용수 제어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소규모 저수지에 까지 정밀하고 정확한 수량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기존의 담수량 측정을 위한 방법 중, 수위표지판을 이용한 방법은 표지판 표면부의 숫자나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 물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기준이 되는 바닥은 고정이 된 상태여서 바닥면과 수위면 사이에 토사나 부유물의 침적으로 인한 기준면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압 센서(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9267호)를 이용한 측정방법 역시 토사나 부유물의 침적으로 인한 센서 하중 변화를 보정할 수 없어 실제 수량과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수위 측정 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169197호)의 경우 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따른 매질 밀도 변화에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어 주기적이고 상시적인 보정 및 관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먼저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퇴적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사전에 준설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웨이브를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 및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사시키는 단계, 상기 수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1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수위변화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2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퇴적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수위변화 값과 상기 퇴적두께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 높이를 연산하는 단계, 연산된 담수 높이를 3D GIS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는 초광대역의 펄스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기준 3D GIS 정보는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상기 토사층이 퇴적되지 않은 상태의 최대 담수량을 단위 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적층블록으로 도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퇴적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사전에 준설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및 수위변화 값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토사층의 퇴적두께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다.
도 3은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시스템을 통해 검출되는 반사파들의 피크를 도시한 이미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토사층의 퇴적두께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다.
도 3은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시스템을 통해 검출되는 반사파들의 피크를 도시한 이미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및 수위변화 값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토사층의 퇴적두께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시스템을 통해 검출되는 반사파들의 피크를 도시한 이미지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일정 구역에 상치되는 측정시스템에 의해 측정된다.
이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측정시스템은 저수지 또는 댐의 일정구역에 고정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에는 마이크로 웨이브(microwave)를 송출 및 검출하기 위한 펄스 투과검출기(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는 초광대역의 펄스 신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에는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모듈(130)이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30)에서 생산되는 전원은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110) 외에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CCTV(160) 및 스피커(150)의 전원으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20)의 최상부에는 담수량 측정지역의 풍향 또는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향 및 풍속계(16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20)의 일정부분에는 담수측정 지역의 주변환경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CCTV(140) 카메라 및 경고음 발생을 위한 스피커(15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20)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110), CCTV(140) 카메라 및 스피커(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에는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110)를 통해 측정된 정보 및 CCTV(140)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상기 측정시스템과 이격된 관리사무소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 및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는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 의해 조사되며,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조사 및 반사파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수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1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수위변화 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저수지 또는 댐의 최대 담수 시의 수위 높이를 h1이라 하고, 저수지 또는 댐에 저장된 물의 증발 또는 배수로 인하여 낮아진 수위를 h2, 이때 수위변화를 Δh1라 하며,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각도를 θ라 한다.
한편,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 의해 조사된 마이크로 웨이브가 상기 h1(최고 수위면)에 도달되는 시간을 t1이라 하고, 상기 h2(변화된 수위면)까지의 도달시간을 t2라 하면,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서 h1까지의 직선거리인 x1은 다음과 같다.
x1 =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속도(=광속과 동일) × t1 이며,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서 h2까지의 직선거리인 x2는,
x2 =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속도(=광속과 동일) × t2 이다.
이때, 상기 θ값은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시 이미 선택된 값이며,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속도 역시 광속과 동일한 고정 값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x1, x2, θ값 및 광속을 이용하면, 상기 Δh1는 다음과 같다.
Δh1 = (x2-x1)sinθ
한편, 상기 t1 및 t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h1 및 h2까지의 도달시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조사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가 해당 높이의 수면에 반사된 제1반사파가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 검출된 시간의 1/2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h1 및 t1은 사전에 측정되어 저장된 값으로 동일한 저수지 또는 댐에 있어서는 불변 값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상기 바닥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2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퇴적두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저수지 또는 댐의 최대 담수 시의 수위 높이를 h1이라 하고, 저수지 또는 댐에 퇴적된 토사층으로부터 수면까지의 높이를 h3, 이때 토사층의 두께를 Δh2라 하며,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각도를 θ라 한다.
한편,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 의해 조사된 마이크로 웨이브가 상기 토사층이 없는 바닥면에 도달되는 시간을 t3이라 하고, 상기 토사층까지의 도달시간을 t4라 하면,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서 토사층이 없는 바닥면까지의 직선거리인 x3은 다음과 같다.
x3 =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속도(=광속과 동일) × t3 이며,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서 토사층까지의 직선거리인 x4는,
x4 =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속도(=광속과 동일) × t4 이다.
이때, 상기 θ값은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시 이미 선택된 값이며,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속도 역시 광속과 동일한 고정 값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x3, x4, θ값 및 광속을 이용하면, 상기 Δh2는 다음과 같다.
Δh2 = (x3-x4)sinθ
한편, 상기 t3 및 t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사층이 없는 바닥면 및 토사층까지의 도달시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조사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가 해당 면에 반사된 제2반사파가 상기 펄스 투과검출기에 검출된 시간의 1/2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h1 및 t3은 사전에 측정되어 저장된 값으로 동일한 저수지 또는 댐에 있어서는 불변 값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상기 제2반사파를 통해 토사층의 두께(Δh2)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측정된 상기 수위변화 값과 상기 퇴적두께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 높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담수 높이(H)는 이미 산출된 Δh1 및 Δh2에 의해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된다.
담수 높이(H) = h1 - Δh1 - Δh2
이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연산된 담수 높이를 3D GIS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를 통해 변환된 3D GIS 정보는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이하에서는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준 3D GIS 정보는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상기 토사층이 퇴적되지 않은 상태의 최대 담수량을 단위 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적층블록으로 도시화한 것이다.
즉, 도 3에 적층블록은 단위 체적을 갖는 블록으로, 예를 들어 하나의 블록이 1㎥의 체적을 갖는다 가정하면, 도 3에 도시된 저수지 또는 댐의 최대 담수량은 3차원적으로 배열 및 적층된 상기 블록의 개수에 해당한다.
한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상술한 단계들을 통해 저수지 또는 댐의 수위변화 값(Δh1)과 토사층의 두께(Δh2)를 통해 실제 담수 높이(H)를 산출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담수 높이(H)에 해당하는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면 실제 담수 높이(H)에 포함되는 블록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포함된 블록의 개수는 수위변화 및 토사층의 두께가 모두 반영된 저수지 또는 댐의 실제 담수량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의 마이크로 웨이브 조사로 얻어진 2개의 반사파(제1반사파:수면에 의한 반사파, 제2반사파:바닥면에 의한 반사파)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반사파를 통해 저수지 또는 댐의 수위변화 및 토사층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수위변화 및 토사층의 두께를 통해 현재 저수지 또는 댐의 정확한 담수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측정된 토사층의 두께에 따라 저수지 또는 댐 바닥의 준설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 펄스 투과검출기
120 : 지지대
130 : 태양광발전모듈
140 : CCTV
150 : 스피커
160 : 풍향 및 풍속계
170 : 제어부
120 : 지지대
130 : 태양광발전모듈
140 : CCTV
150 : 스피커
160 : 풍향 및 풍속계
170 : 제어부
Claims (3)
-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 및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사시키는 단계;
상기 수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1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수위변화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의 제2반사파 도달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층의 퇴적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수위변화 값과 상기 퇴적두께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 높이를 연산하는 단계;
연산된 담수 높이를 3D GIS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3D GIS 정보를 기준 3D GIS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는 초광대역의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3D GIS 정보는 상기 저수지 또는 댐의 바닥면에 상기 토사층이 퇴적되지 않은 상태의 최대 담수량을 단위 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적층블록으로 도시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969A KR101505937B1 (ko) | 2014-12-26 | 2014-12-26 |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969A KR101505937B1 (ko) | 2014-12-26 | 2014-12-26 |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5937B1 true KR101505937B1 (ko) | 2015-03-25 |
Family
ID=5302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0969A KR101505937B1 (ko) | 2014-12-26 | 2014-12-26 |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9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54715A (zh) * | 2022-04-15 | 2022-07-15 | 国网山西省电力公司临汾供电公司 | 一种gis设备位移监测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58579A (ja) | 2005-03-16 | 2006-09-28 | Takuwa Corp | 光波式水位計測装置 |
KR101020650B1 (ko) | 2010-07-30 | 2011-03-09 | 주식회사 씨케이 테크피아 | 비접액식 오픈 채널 유량계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0969A patent/KR1015059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58579A (ja) | 2005-03-16 | 2006-09-28 | Takuwa Corp | 光波式水位計測装置 |
KR101020650B1 (ko) | 2010-07-30 | 2011-03-09 | 주식회사 씨케이 테크피아 | 비접액식 오픈 채널 유량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54715A (zh) * | 2022-04-15 | 2022-07-15 | 国网山西省电力公司临汾供电公司 | 一种gis设备位移监测装置 |
CN114754715B (zh) * | 2022-04-15 | 2024-02-09 | 国网山西省电力公司临汾供电公司 | 一种gis设备位移监测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glus et al. | Wave overtopping and overwash of dunes | |
Turner et al. | Measurement of wave-by-wave bed-levels in the swash zone | |
Bechle et al.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utomated river-estuary discharge imaging system | |
CN102564508B (zh) | 基于视频图像的河流流量在线测验实现方法 | |
KR101658197B1 (ko) |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 |
KR101559488B1 (ko) | 연안지역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 | |
Williams et al. | Barrier dynamics experiment (BARDEX): Aims, design and procedures | |
JPWO2016079870A1 (ja) | 水量計測装置及び水量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 |
JP2007018291A (ja) | 津波情報提供方法および津波情報提供システム | |
JP2010249790A (ja) | レーザー式水位計 | |
Sous et al. | Field evidence of swash groundwater circulation in the microtidal rousty beach, France | |
Alabyan et al. | Flow dynamics in large tidal delta of the Northern Dvina River: 2D simulation | |
Cheng et al. | Hydrodynam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an onshore migrating and stable sandbar | |
JP5817082B2 (ja) | 水際から離隔した位置からの水面挙動の計測方法 | |
KR101505937B1 (ko) | 3d gis와 마이크로 웨이브 펄스 투과검출기를 이용한 저수지 또는 댐의 담수량 측정방법 | |
Tanaka et al. | First results of undersea muography with the Tokyo-Bay seafloor hyper-kilometric submarine deep detector | |
Suanez et al. | Catastrophic overwash and rapid retreat of a gravel barrier spit during storm events (Sillon de Talbert, North Brittany, France) | |
Georgiou et al. | Wave forecasting and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gradients along a transgressive barrier island: Chandeleur Islands, Louisiana | |
De Roo et al. | Field monitoring of ship wave action on environmentally friendly bank protection in a confined waterway | |
Mdee et al. | Measurement methods for hydropower resources: a review | |
McNinch et al. | Radar Inlet Observing System (RIOS): Continuous remote sensing of waves, currents, and bathymetry at tidal inlets | |
Ravens et al. | Ship wave-induced sedimentation of a tidal creek in Galveston Bay | |
Wang et al. | ADCP measurements of suspended sediment flux at the entrance to Jiaozhou Bay, western Yellow Sea | |
KR101640793B1 (ko) | 연안해역 실시간 이상현상 관측방법 | |
Pratson et al. | Timing and patterns of basin infilling as documented in Lake Powell during a drou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