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170B1 - The System Supporter - Google Patents

The System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170B1
KR101505170B1 KR1020130004582A KR20130004582A KR101505170B1 KR 101505170 B1 KR101505170 B1 KR 101505170B1 KR 1020130004582 A KR1020130004582 A KR 1020130004582A KR 20130004582 A KR20130004582 A KR 20130004582A KR 101505170 B1 KR101505170 B1 KR 10150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transverse
bar
vertic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42885A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4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수직으로 다단 연결되면서 거푸집 상판을 지지한 채 제1횡봉 및 제2횡봉을 연결하게 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하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축봉에서 정.역회동하며 제1.2연결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직봉의 높낮이 길이를 조절유도하게 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 제1.2연결부, 수직봉에 삽입되어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봉들을 지지하는 나사산을 형성한 지지축봉과; 상기 지지축봉 저부와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며 받치는 지지판과; 상기 수직봉에 횡으로 연결되어 제1횡봉을 연결매개하는 횡봉연결구와; 상기 횡봉연결구의 나사봉과 연결되어 제1횡봉의 횡 길이를 조절하게 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서 길이가 조절되며 연결되어 수직봉의 간격 및 안정적 지지를 보조하는 제1횡봉 및, 상기 수직봉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합치된 연결편의 체결공에 걸림핀의 삽입으로 수직봉과 직접 횡으로 연결되는 제2횡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봉에서 회동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방향에서 지지축봉을 삽입한 상태의 수직봉 사이에는, 합치되어 결착된 채 수직봉을 받치며, 높이조절구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구비하되, 제1연결부는 수직봉 단부에 용접되어 일체되며, 상기 제1연결부 하부에서 제1연결부와 합치되는 제2연결부는 독립되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서로 정역 회동에 의해 합치되며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정역 회동시, 록킹돌기를 수용한 채 회동진행되는 록킹돌기를 안내하는 록킹홈이 제1연결부 저면부와 제2연결부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을 따라 안내되며 회동진행하다 서로 걸림을 이루게 되는 록킹돌기가 록킹홈 사이사이에서 제1연결부 저면부와 제2연결부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 끼리의 걸림에 의하여 합치된 연결편이 제1.2연결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합치된 연결편의 체결공에 걸림핀을 삽입하여 제2횡봉을 연결하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직봉은, 외주면의 전,후,좌,우측에 예각으로 절곡되어 수직봉 길이에 걸쳐 돌출 형성된 돌조부 및,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횡봉연결구는, 수직봉의 돌조부를 가압하며 걸림홈에서 단턱부 걸림을 이루게 하는 서로 힌지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체결 또는 분리시 집게부를 커버 및 노출하며 집게부의 집게 각을 조절하는 집게각조절부와; 상기 집게각조절부의 후미로 연장되어 연결봉과 체결을 이루게 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서 정.역 회동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집게각조절부로 하여금 집게부의 집게 각을 조절유도하는 클램핑 조절구와; 상기 클램핑 조절구에서 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클램핑 조절구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봉에는, 연결봉 길이에 걸쳐 길이조절공이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제1횡봉의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수직봉의 폭 간격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며,
제2횡봉은, 단부에 걸림핀을 체결하기 위한 결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착부는 원호형상으로서 걸림핀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방향인 원호형상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기된 절곡돌기부가 상.하단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제1.2연결부, 제2횡봉 및, 상기 제2횡봉과 제1.2연결부의 합치된 연결편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걸림핀은, 제2횡봉의 결착부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걸림핀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해 걸림핀이 제2횡봉 결착부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걸림핀 상부에는 더 이상의 끼움 진행을 방지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하부는 끼움고정된 걸림핀이 체결공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제1횡봉 및 제2횡봉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는 설치 상태 및 조건에 따라 택일 또는 조합하여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전체적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이후의 철거시 작업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설치 및 철거의 신속성과 함께 일회성이 아닌 반 영구적으로 이용가능함을 효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upport, comprising: a vertical bar for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and vert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rods while supporting the deck plate in a multi-stage connection; A height adjust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bar by regulating the height of the 1.2 connecting portion; A height adjustment member, a 1.2 connecting portion, a support shaft bar formed with threads for supporting vertical rods inserted into the vertical rods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rods,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bottom to support and support the ground; A transverse connector connected transversely to the vertical bar to mediate connection of the first transverse bar;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screw rod of the transverse connector to adjust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rod; A first transverse bar whose length is adjusted in the connecting rod and which is connected to assist in the spacing and stable support of the vertical rods, and a second transverse bar which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bar and the transverse A second transverse bar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verse bar; , ≪ / RTI >
A first connecting portion which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bar and is seated 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while being tightly coupled to the vertical bar betwee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rotated by the support shaft and the vertical bar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welded to the vertical bar end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are joined together by means of an adhesive,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for guiding the locking protrusion that rotates while receiving the locking protrusion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guided along and is pivot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bottom face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upper face portion between the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iece joined by the locking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verse bar by inserting the engaging pin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joined piece.
The vertical bar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n acute angle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ransverse connector includes mutually hinged clamping portions for pressing the protrusion of the vertical bar and forming a stepped jaw in the jaw groove; A tongue angle adjusting unit for covering the tongue unit when the tongue unit is fastened or detached and adjusting the tongue angle of the tongue unit; A screw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fork angle adjusting unit to engage with a connecting rod; A clamping adjuster for adjusting the clamping angle of the clamping unit by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unit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hile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crew rod; A handle that extends laterally symmetrically in the clamping control port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clamping control po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bar is adjusted and the width of the vertical bar is adjusted. In addition,
The second transverse bar has an engag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engaging pin to the end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has an arc-shaped insertion portion for inserting the engaging pin, and a bending projecting portion bent and projected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latching pi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mating connecting piece of the 1.2nd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transverse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and the 1.2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a tapered portion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and a tapered portion formed in the fastening pin And a hook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in so as to prevent the engaging pi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engaging hole. With features,
Wherein the first transverse bar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 are installed alterna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 and condition for supporting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an overall concrete structure in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providing an installation for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and a convenient operation for demolishing after concrete cur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support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not one-time, together with the speed of installation and demolition in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Description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er}System Supporter {The System Supporter}

본 발명은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거푸집 포함)을 지지함에 있어 수직봉과 횡봉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수직봉의 경우 다단 연결을 신속히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설치 및 철거를 신속하게 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formwork), it is easy to fasten a vertical rod and a horizontal rod, and in the case of a vertical rod, To a system support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종래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을 제공하는 거푸집이 사용된다. 상기 거푸집은 단일 지지대(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단일 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보편적으로 건물의 각층 천정은 균일한 높이를 이루고 있어 몰탈 타설을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기성품의 서포트를 이용하여 왔다.
Conventionally, in general, a mold is used to provide a concrete installation space for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The mold is supported by a single support, and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single support to the multi-stage is difficult. In general, the ceiling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has a uniform height, and thus the support of the ready- .

특히 콘크리트 철골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완료시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여야 하는데 이때 작업용 발판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를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서포터가 가설된다.
Especially, in the case of concrete steel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should be supported until the completion of curing after the concrete is laid. At this time, a supporter is installed from the ground to support the work footrest and the concrete structure.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서포터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3432호(특허문헌 1)가 안출된 바가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콘크리트 하중의 크기에 따라 사용 수량이 결정되는데 대개 단일 지지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수량이 사용될 수밖에 없고 안정적 지지를 이루기에 한계가 있다.As a conventional supporter related to such a technique, there has been found a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93432 (Patent Document 1). However, in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the quantity to be us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crete load, And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use a large amount of water and has a limitation in achieving stable support.

설령, 외관파이프와 내관파이프를 체결부로 연결한 지지대를 확보하더라도, 고하중에 의한 지지대의 연결부 휨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체결부 파단으로 인하여 거푸집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Even if the support pipe connecting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pipe with the coupling portion is secured, the coupling portion is deformed flexibly due to the high load,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shape is collapsed due to the breakage of the coupling portion.

또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88392호(특허문헌 2)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다.Also, as a conventional technique, a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8392 (Patent Document 2) has been proposed, but the above problems are still insufficient to overcome.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파이프를 조합 고정하여 하중에 대한 큰 버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서포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upport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combined and fixed to secure a large supporting force against a load.

종래 기술에 의한 서포트는 다수의 파이프가 다수의 고정편을 통해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것인데, 파이프들끼리 서로 용접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support, a plurality of pipes are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However, the pipes are welded to each other, which is a disadvantage that they are used for disposable use.

아울러, 파이프들간의 조합 고정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이후의 철거시 작업이 더디어져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어렵고 무엇보다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안정적 지지에도 한계를 나타낸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ix the joints between pip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stall and dismantle quickly due to the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operation for supporting concrete structures and demolishing after concrete curing, which limits the stability of the entire concrete structure.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393432호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93432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288392호
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Utility Utility Model No. 20-0288392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수직봉과 횡봉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수직봉을 다단으로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전체적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적 지지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fastening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in supporting the concrete structure, facilitates fastening of the vertical bars in multiple stages, and the stable support of the entire concret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이 이뤄진 후 철거시에도 철거 작업이 용이하고,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시스템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Also, it is aimed to provide a system support that is easy to dismantle even after demolishing concrete after concrete curing is done, and it is not one-time but continuously usable system support.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포트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지면에 저부가 지지되면서 상부가 거푸집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봉과; 상기 다수의 수직봉들을 연결하여 서포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횡봉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봉은,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2연결부가 형성되어 종방향을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2연결부의 결합에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upporting a di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while a bottom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rod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rods to constitute a support assembly, wherein the vertical rods hav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t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multi-stage manner.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는,As described above, in 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전체적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entire concrete structure in supporting the concrete structure.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이후의 철거시 작업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for supporting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for demolishing the concrete after the concrete curing can be provided.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설치 및 철거의 신속성과 함께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이용 가능함을 효과로 한다.
In addition, in supporting the concret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use semi-permanently rather than one-time with quickness of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 이용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에서 횡봉의 분리도.
도 3은 도 2에서의 수직봉 분리도.
도 4는 도 2에서의 제1횡봉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도 2에서의 제2횡봉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제1,2연결부 간의 결착 부위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횡봉연결구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횡봉연결구에 횡봉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 요부인 제2횡봉과 걸림핀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수직봉과 횡봉의 다른 연결수단을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횡봉 연결구의 다른 예시도.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의 횡봉 연결구에 적용된 집게틀의 다른 예시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횡봉의 조립체를 보이니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a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crete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verse bar in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stem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rtical bar separator in Figure 2;
Fig. 4 is an assembled state view of the first transverse bar in Fig. 2; Fig.
Fig. 5 is a joint state view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in Fig. 2; Fig.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si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which are the system support key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transverse connector as a system support ke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orizontal bar is fastened to a transverse connector as a system support ke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second transverse bar and a retaining pin which are the system support key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views showing other connecting means of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pplied to 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other example of a transverse connector applied to a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orceps frame applied to a transverse connector of a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6 and 17 show an assembly of a transverse bar applied to a syste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ystem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함에 있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 또는 다단 설치되는 수직봉(10)이 구비되어 거푸집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봉(10)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봉(10)의 폭 간격을 조절함과 아울러 수직봉(10)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횡봉이 구비되는데, 상기 횡봉은 제1횡봉(41) 또는 제2횡봉(50)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조건 및 상태에 따라 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택일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in supporting a concrete structure, a vertical bar 10 installed vertically o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is supported to support the formwork top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1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transverse bar is provided with a first transverse bar 41 or a second transverse bar 50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vertical bars 10 and for supporting the vertical bar 10, And may be install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또한, 수직봉(10)을 다단으로 연결함에 있어 수직봉(10) 하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부(11)와, 단독으로 구비된 제2연결부(12)가 회동 체결되며 수직봉(10)의 다단 연결을 이루게 된다.The first connecting part 1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12 provided independently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10 in a multi- A multi-stage connection is established.

상기 다단으로 배열된 수직봉(10), 제1,2연결부(11)(12) 등에 삽입된 채 지지하는 지지축봉(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봉(21) 하단부에 일체 또는 결합식으로 이루어진 지지판(23)이 구비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pport shaft rod 21 which is inserted and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vertical rod 1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1 and 12 arranged in the multi-stages, and the support shaft rod 21 is integrally or jointly And a support plate 23 is provided to support the ground.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좀 더 상세하게 기술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상판을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직봉(10)들이 구비됨에 있어, 수직봉(10)의 폭 간격 유지 및 수직봉(10)을 도와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횡봉의 용이한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수직봉(10)은, 외주면에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조부(10a)와, 상기 돌조부(10a)의 양측 절곡부위에 형성된 걸림홈(10b)을 이룬 구조며, 한편 중앙에는 통공(10c)을 이룬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system sup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vertical bars 10 capable of vertically supporting a formwork top plate are provided, The vertical bar 10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10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n acute angle and a protruded portion 10b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0a (10b) formed at the bent portion and a through hole (10c) at the center.

즉 상기 수직봉(10)의 외관에 형성된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은, 횡봉의 용이한 연결을 이루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10a and the engaging groove 10b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0 have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f the horizontal bar.

먼저, 수직봉(10)들의 편리한 다단 연결을 위하여 수직봉(10) 하단부에 일체된 제1연결부(11)와,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서 단독으로 구비된 제2연결부(12)의 회전 결착에 의하여 수직봉(10)의 다단 연결을 이루게 된다.A first connecting part 11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0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12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11 for convenient multi- So that a multi-end connection of the vertical bar 10 is achieved.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봉(10)을 다단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2받침대(11)(12)가 마련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봉(10) 높낮이를 조절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높이조절구(20)가 마련되고, 상기 높이조절구(20)가 회동하며 수직봉(10)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봉(10)을 지지하는 축 역할을 수행하는 나사산(22)을 형성한 지지축봉(21)이 마련되며, 지지축봉(21) 저부와 결합을 이뤄 지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amely, the first and second bases 11 and 12 are provided to connect the vertical rods 10 in a multi-stage mann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vertical rods 10 ar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20 is provided to support the vertical bar 10.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 rotat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bar 10, And a support plate 23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21 having a thread 22 for performing a role and supporting a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1 which is engaged with a bottom of the support shaft 21 is provided.

상기 제1,2연결부(11)(12)를 좀 더 상세히 기술하자면, 도 2와, 도 6을 참고로 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직봉(10)의 하단에는 제1연결부(11)가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수직봉(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6,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are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ertical bar 10.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는 제1연결부(11)와 합치되어 결착되는 제2연결부(12)가 마련된다.A second connection part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so as to be join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상기 제1.2연결부(11)(12)는 동일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제1연결부(11) 저면부와 제2연결부(12) 상면부가 서로 동일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제1연결부(11) 저면부와 제2연결부(12) 상면부에는, 외주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룬 채 일정구간씩 록킹홈(13)들을 형성하며, 상기 록킹홈(13)들 사이로는 록킹돌기(14)들을 형성하고,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결편(15)들을 전,후,좌,우에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15)들의 각각에는 체결공(15a)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지지축봉(21)이 삽입되는 통공(16)을 형성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Locking grooves 13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at regular intervals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nnecting pieces 15 are formed with fastening holes 15a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nd the connecting pieces 15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eces 15, And a through hole 16 into which the shaft rod 21 is inserted.

여기서, 제1연결부(11)의 저면부위가 제2연결부(12)의 상면부위에 포개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이 있을 경우, 록킹홈(13)은 록킹돌기(14)의 회전 진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When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 so as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locking groove 13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4 And serves to guide the progress of the rotation.

또한, 상기 록킹돌기(14)는 록킹홈(13)을 따라 회전 진행되는 다른 록킹돌기(14)의 더 이상 회전 진행을 막으며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14 prevents the further locking protrusion 14, which is rotating along the locking groove 13, from proceeding further and serves as a stopper.

또한, 상기 록킹돌기(14)와 다른 록킹돌기(14)가 서로 맞닿으며 더 이상의 회전 진행 없이 멈춰질 때 상기 연결편(15)들은 서로 합치된 형태를 갖게 되어 각 연결편(15)들에 형성된 체결공(15a)들 역시 합치되어 일치된 형태를 갖는다.When the locking protrusions 14 and the other locking protrusions 1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top without further rotation, the connecting pieces 15 have a shape conformed to each other, (15a) are also matched and have a matched form.

한편, 합치되어 일치된 상기 체결공(15a)들에는 걸림고정수단의 삽입체결로 제1,2연결부(11)(12)의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제2횡봉(50)이 연결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verse rods (50)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15a) by match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with the fastening means.

상기 제2연결부(12) 하단에는 높이조절구(20)가 마련되는데 상기 높이조절구(20)는 지지축봉(22)에 삽입되어 정.역회동하며 이동가능하도록 중앙에 나사산을 형성한 통공(20a)이 마련되며, 높이조절구(20)의 용이한 회동을 위하여 높이조절구(20)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대칭된 손잡이(20b)가 마련된다.A height adjusting member 2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22 and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And a knob 20b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20 and symmetrical to the height adjuster 20 is provided for easy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er 20. [

상기 높이조절구(20), 제1.2연결부(11)(12), 수직봉(10)에 삽입되어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봉(10)들을 지지하는 나사산(22)을 형성한 지지축봉(21)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축봉(21) 하단부에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3)이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봉(10), 제1.2연결부(11)(12), 조절구(20), 지지축봉(21) 등의 서포트 전체를 지면에서 지지한다.A supporting shaft rod 21 formed with a thread 22 supporting the vertical rods 10 inserted into the vertical rods 10 and inserted into the vertical rods 10; And a support plate 23 for supporting the paper surface is coupled or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rod 2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rod 10, the 1.2 connection portions 11 and 12, And the support shaft rod 21 are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수직봉(10) 외관에 형성된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서의 횡봉 연결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1횡봉(41)과 제2횡봉(50)이 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고 아님 제1,2횡봉(41)(50) 중 어느 하나의 횡봉을 택일하여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조건 및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ransverse bar 41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may be combin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first transverse bar 41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wo transverse rods 41 and 50 may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condition and condi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먼저, 제1횡봉(41)을 수직봉(10) 외관의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 연결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봉연결구(30), 연결봉(40), 제1횡봉(41) 순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횡봉연결구(30)는, 단턱부(31a)를 형성한 집게부(31)와, 상기 집게부(31)의 집게 각을 조절하는 집게각도조절부(32)와, 나사봉(33)과, 상기 나사봉(33)에 삽입된 와셔(34)와, 상기 나사봉(33)에 삽입된 클램핑 조절구(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봉(40)에는 제1횡봉(41)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길이조절공(40a)이 연결봉(40)의 길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횡봉(41)에는 연결봉(40)의 길이조절공(40a)과 일치되어 체결볼트(42)의 삽입을 이룰 수 있는 체결공(41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2 and 7 and 8, when the first transverse bar 41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0a and the engaging groove 10b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0, the transverse connector 30, A connecting rod 40 and a first transverse bar 41. The transverse connector 30 includes a clamping part 31 having a step 31a formed therein and a gripping part 31 for adjusting the clamping angle of the clamping part 31. [ A washer 34 inserted into the threaded rod 33 and a clamping control 35 inserted into the threaded rod 33. The clamping member 35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rod 33,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40a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4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bar 41,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1a which is coincident with the length adjusting hole 40a of the connecting rod 40 and enables the fastening bolt 42 to be inserted.

따라서, 횡봉연결구(30)가 수직봉(10) 외관의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 연결되기 위하여 나사봉(33)에 삽입된 클램핑 조절구(35)의 손잡이(35a)를 잡고 회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다음, 와셔(34), 집게각도조절부(32) 순으로 클램핑 조절구(35)의 후방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게 되면, 집게부(31)의 각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집게부(31)의 집게 각을 벌려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수용한 다음, 다시 클램핑 조절구(35)를 나사봉(33) 앞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클램핑 조절구(35)의 가압력에 의해 와셔(34)가 집게각도조절부(32)에 결착되며, 집게각도조절부(32)를 가압하게 되고, 집게각도조절부(32)는 집게부(31) 방향으로 이동하며 집게부(31)를 커버함에 따라 집게부(31)의 집게 각이 작아지면서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강하게 가압하며 걸림홈(10b)에 집게부(31)의 단턱부(31a)가 걸려 횡봉연결구(30)의 체결이 이뤄진다.Therefore, in order to connect the transverse connector 30 to the protruding portion 10a of the vertical bar 10 and the engaging groove 10b, the handle 35a of the clamping adjuster 35 inserted into the screw rod 33 And then moves together in the backward moving direction of the clamping control member 35 in the order of the washer 34 and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unit 32 in this order, the angle of the clamping member 31 can be freely adjusted The clamping portion 10a of the vertical bar 10 is opened by opening the clamping angle of the clamping portion 31 and then the clamping portion 35 is moved while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lamping bar 33 The washer 34 is attached to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portion 32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lamping adjusting member 35 and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portion 32 is pressed, 31 of the vertical bar 10 and the clamping portion 31 of the vertical bar 10 is pressed down by the force of the clamping portion 31 as the clamping portion 31 covers the clamping portion 31, Said teokbu the end (31a) of the clamp portion 31 in the engaging groove (10b) is fastened in hanging achieved hoengbong connector 30. The

곧, 수직봉(10)에 횡으로 체결된 횡봉연결구(30)의 나사봉(33) 타측에 연결봉(40)을 회동하여 연결토록 하고, 상기 연결봉(40)에 제1횡봉(41)을 커버하며 길이를 조절한 다음, 제1횡봉(41)의 체결공(41a)과 연결봉(40)의 길이조절공(40a)으로 체결볼트(42)를 삽입한 후 체결너트(43)로 체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10)에서의 제1횡봉(41) 연결 고정을 완료한다.The connecting rod 40 is rotated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eaded rod 33 of the transverse connector 30 transversely fastened to the vertical bar 10 and the first transverse bar 41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40 The fastening bolt 42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41a of the first transverse bar 41 and the length adjusting hole 40a of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n fastened with the fastening nut 43 4,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ransverse bar 41 in the vertical bar 10 is completed.

또한, 수직봉(10)에서의 제2횡봉(5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제2횡봉(50)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를 수직봉(10) 하단에 일체된 제1연결부(11)의 연결편(15) 및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서 제1연결부(11)와 합치된 제2연결부(12)의 연결편(15)에 밀착하여 삽입하는데 이때 결착부(51)의 상하단에 구비된 원호형상의 절곡돌기부(52) 사이 공간부에 제1.2연결부(11)(12)의 연결편(15)이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10,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connecting piece 15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aligned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eces 15 of the 1.2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enter the space between the arcuate bending projections 52.

곧, 걸림핀(54)을 결착부(51)의 삽입부(53)와 연결편(15)의 체결공(15a)으로 삽입하여 끼움고정됨으로써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과 함께 제1.2연결부(11)(12)들 간의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이 완료된다.The engaging pin 54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engaging hole 15a of the connecting piece 15 and the insertion portion 53 of the engaging portion 51 to thereby connect the vertical bar 10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The connection of the vertical rods 10 of the second transverse rods 5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상기 제2횡봉(50)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는, 도 2, 5,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에 원호형상을 이룬 채 삽입부(53)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돌기부(52)와, 상기 걸림핀(5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53)와, 상기 삽입부(53)는 걸림핀(54)의 끼움고정을 위하여 형성된 테이퍼부(53a)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5 and 9, the fastening part 51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has a bending protrusion 52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art 53 while having an arcuate shap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 insertion portion 53 for inserting the latching pin 54 and a tapered portion 53a for fixing the latching pin 54 to the insertion portion 53.

상기 걸림핀(54)은, 더 이상의 끼움 진행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단턱(54a)과, 상기 삽입부(53)의 테이퍼부(53a)에서 끼움고정되게 형성된 테이퍼부(54b)와, 끼움고정된 이후 상기 삽입부(53) 및 체결공(15a)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단이 걸릴 수 있게 후크부(54c)로 이루어진다.
The engaging pin 54 includes a step 54a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as to prevent further progress of fitting, a tapered portion 54b formed to be fitted and fixed by the tapered portion 53a of the insertion portion 53, And a hook portion 54c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ook portion 54c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53 and the fastening hole 15a.

지금까지는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게각도 조절구(32)가 집게부(31)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집게부(31)가 수직봉(10)에 연결되는 구조 내에서 집게각도 조절구는 집게부의 안쪽에서 벌려 집게부가 수직봉(10)에 결속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즉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게부(31)는 집게틀(31-1), 집게틀(3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31-2)로 구성되며, 집게각도 조절구(32)는 한 쌍의 집게(31-2) 사이에서 전후진하여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모아져 수직봉(10)을 클램핑하거나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벌어져 수직봉(10)을 언클램핑하도록 한다. 7,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lamping angle adjuster 32 surrounds the clamping unit 31 from the outside.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unit 3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rod 10, The control member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control member is extended from the inside of the clamping unit and the clamping unit is coupled to the vertical bar. 10 and 11, the clamping unit 31 includes a clamping frame 31-1 and a pair of clamping members 31-2 connected to the clamping frame 31-1. The sphere 3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etween the pair of tongues 31-2 so that the tip ends of the pair of tongues 31-2 are gathered to clamp the vertical rod 10 or the pair of tongues 31-2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is opened to unclamp the vertical bar 10.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집게틀(31-1)은 한 쌍의 집게(31-2)의 고정을 위한 틀이며 나사봉(33) 등에 다양한 방법(끼움, 나사 체결 등)으로 고정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clamping frame 31-1 is a frame for fixing the pair of clamps 31-2 and can be fixed to the screw rod 33 by various methods (fitting, screwing, etc.).

집게(31-2)는 양측 단부 사이 예를 들어 중앙부가 집게틀(31-1)에 연결되는데, 집게각도 조절구(32)의 전진에 의해 선단부가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클램핑하도록 모아지게 연결되며 즉 힌지핀(31-3) 등을 통해 시소 형태로 연결된다.
The center of the tongue 31-2 is connected to the clamping frame 31-1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clamping member 31. The tip of the clamping member 32 is moved forward by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member 32, That is, connected in a seesaw form through hinge pins 31-3 or the like.

여기서, 한 쌍의 집게(31-2) 모두가 힌지핀(31-3)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하나의 집게(31-2)는 고정이면서 나머지 하나의 집게(31-2)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Here, all of the pair of clamps 31-2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pin 31-3, or one of the clamps 31-2 may be fixed and the other clamp 31-2 may be hinge- .

또한, 힌지핀(31-3)이 연결되는 부분이 정홀(진원)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장홀일 수도 있다. 물론, 한 쌍의 집게(31-2) 모두 장홀을 통해 집게틀(31-1)에 연결될 수도 있고 장홀과 정홀의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장홀의 경우 집게(31-2)의 이동이 가능하여 집게(31-2)를 수직봉(10)에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장홀(31-4)이 집게(31-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장홀은 집게틀(31-1)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to which the hinge pin 31-3 is connected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hole, and may be a long hole. Of course, all of the pair of clamps 31-2 may be connected to the clamping frame 31-1 through a long hole,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long hole and a right hole. In the case of the long hole, the tongue 31-2 can be moved and the tongue 31-2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vertical bar 10. Although the elongated hole 31-4 is shown as being formed on the tongue 31-2, the elongated hole may be formed on the tongue die 31-1.

집게각도 조절구(32)는 나사봉(33)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램핑 조절구(35)의 조임에 의해 전진하면서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수직봉(10)을 클램핑하도록 한다. 집게각도 조절구(32)는 와셔(34)의 앞쪽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단품일 수도 있다.The clamping angle adjusting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screw rod 33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The clamping adjusting member 35 is moved forward by tightening the clamping member 35 and the tip ends of the pair of clamping members 31 - Clamp it. The fork angle adjuster 32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sher 34 or may be a separate single piece.

집게각도 조절구(32)의 전진에 의해 집게(31-2)의 후방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즉 집게(31-2)의 선단부가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향해 모아지도록 집게(31-2)의 후방과 집게각도 조절구(32)의 대향부에는 각각 경사부가 형성된다.
The front end of the tongue 31-2 is tilted toward the tongue 10a of the vertical bar 10 so that the rear of the tongue 31-2 is naturally opened by the advancement of the tongue angle adjusting member 32 31-2 and the tongue angle regulating opening 32, respectively.

한편, 집게부(31)가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감싸 클램핑하는 것으로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도 12와 도 13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 쌍의 집게(31-2)는 수직봉(10)의 둘레부를 감싸 클램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돌조부(10a)를 갖는 수직봉(10)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원형관, 각관 등 모든 수직봉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집게(31-2)가 수직봉(10)을 감싸 클램핑하는 방식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집게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모든 집게부에 적용 가능하다.12 and 13, the pair of clamps 31-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10a of the vertical bar 10, The periphery of the rod 10 may be wrapped and clamp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vertical bar 10 having the protruding portion 10a but also to all vertical bars such as a circular pipe and a square pipe. 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clamp 31-2 clamps the vertical bar 10 is not limited to the clamp shown in Figs. 10 to 13 but is applicable to all the clamps described above.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 쌍의 집게(31-2)가 좀 더 신속하게 벌어지고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31-5)가 적용된다. 탄성부재(31-5)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집게틀(31-1)[또는 나사봉(33)]과 한 쌍의 집게(31-2)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집게(31-2)의 선단부(클램핑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As shown in Fig. 14, the elastic member 31-5 is applied so that the pair of clamps 31-2 can be opened and fastened more quickly. The elastic member 31-5 can be used as a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clamp frame 31-1 (or the screw rod 33) and the pair of clamps 31-2, (Clamping portion) of the clamping portion 31-2.

그리고, 도 15a와 도 15b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게틀(31-1)은 나사봉(33)에 힌지(31-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게틀(31-6)이 회동함으로써 집게(31-2)의 회동폭이 더 커지는 효과를 도출하므로 집게31-2)의 결합과 분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15A and 15B, the clamping frame 31-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crew rod 33 via the hinge 31-6, and the clamping frame 31-1 So that the pivoting width of the pliers 31-2 is increased, so that it is very easy to engage and separate the pliers 31-2.

또한, 나사봉(33)이 하나인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나사봉(33)은 연결너트를 통해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길이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screw rod 33 is shown, two screw rods 3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nut so as to be used in various lengths.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횡봉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트러스형 횡보강재(100)가 적용된 것이다. 트러스형 횡보강재(100)는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2단 이상의 제1,2횡대(110,120)(도면에는 2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 제1,2횡대(110,120)들을 연결하는 2개 이상의 수직 연결대(130), 하나 이상의 경사형의 보강대(140)로 이루어진다.16 and 17 show another example of the horizontal ba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which truss type transverse steel 100 is applied. The truss-like transverse steel 100 includes two or mor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strips 110 and 120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wo transverse stripes are shown as examples), two or more transverse strips 110 and 12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strips 110 and 120, A vertical connecting rod 130, and at least one inclined reinforcing bar 140.

제1횡대(110)는 횡대 본체(111), 횡대 본체(111)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길이조정되는 나사봉(112,113), 나사봉(112,113)에 각각 적용되는 수직봉 클램프(114,115)로 구성된다. 수직봉 클램프(114,115)는 전술한 구성요소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transverse bar 110 includes a transverse bar body 111 and screw rods 112 and 113 which are screw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ansverse bar body 111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and vertical bar clamps 114 and 115 respectively applied to the thread rods 112 and 113 ). Since the vertical rod clamps 114 and 115 are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제2횡대(120)는 제1횡대(110)와 동일한 구성이며, 이때, 제1,2횡대(110)의 나사봉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길이조정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연결간(116)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길이조정될 수도 있다.
The second transversal strip 1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transversal strip 110, wherein the threaded ro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strips 110 can be independently adjusted in length, They may be connected and adjusted together.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있어 설치 실시를 하며 이 작용 상태를 하기에서 기술하고자 한다.The system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stably support the entire concret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state will be described below.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축봉(21)과 일체된 지지판(23)을 배열하여 지면에 고정한 다음, 수직 상방향으로 위치한 지지축봉(21)에 높이조절구(20)와 제2연결부(12)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제2연결부(12) 상에 제1연결부(11)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제1연결부(11)와 일체형을 이룬 수직봉(10)을 지지축봉(21)에 삽입한다.A support plate 23 integrated with the support shaft rod 21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and fixed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n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 are fixed to the support shaft rod 21 positioned in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The vertical bar 10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rod 21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 can be superimposed 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 .

이때 높이조절구(20)는 지지축봉(21)에 물려 있어 제2연결부(12)와 상기 제2연결부(12) 상에 포개진 제1연결부(11) 및 수직봉(10)을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shaft rod 21 and support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vertical bar 10, which are overlapp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

곧 제1연결부(11)와 제2연결부(1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인 정.역회전을 이루게 하거나 아님 제1.2연결부(11)(12)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만을 회전하도록 하여 제1.2연결부(11)(12)가 서로 결착되어 연결편(15)들의 합치와 함께 각 연결편(15)에 형성된 체결공(15a)의 일치를 이루도록 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only the connecting portion of either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o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 or 12 is rotated, The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tting of the connecting pieces 15 and the fitting holes 15a formed in the connecting pieces 15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때 제1연결부(11)와 제2연결부(1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일 경우, 제1연결부(11)의 록킹돌기(14)는 제2연결부(12)의 록킹홈(13)을 따라 안내되며 회전진행되고, 제2연결부(12)의 록킹돌기(14) 또한 제1연결부(11)의 록킹홈(13)을 따라 안내되며 회전진행되다, 곧 제1연결부(11)의 록킹돌기(14)는 제2연결부(12)의 록킹돌기(14)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채 록킹돌기(14) 끼리 서로 맞닿은 형태를 갖게 되고, 제2연결부(12)의 록킹돌기(14) 또한 제1연결부(11)의 록킹돌기(14)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채 록킹돌기(14) 끼리 서로 맞닿은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제1.2연결부(11)(12)의 회전 결착이 이루어진다.The locking protrusion 14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4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locking protrusion 14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is also guided along the locking groove 13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The locking protrusions 14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s 14 while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s 14 is stopped by the locking protrusions 14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 The locking protrusions 14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rotation is stopp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4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of the 1.2 connection portions 11 and 12 is performed.

따라서, 상기 수직봉(10) 상단에 제2연결부(12)가 마련되고, 다른 수직봉(10) 하단에는 제1연결부(11)가 마련됨으로써, 수직봉(10)들의 다단 연결이 가능해지며, 상기 제1.2연결부(11)(12)의 회전 결착 방식으로 수직봉(10)들의 다단 연결을 이룰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other vertical bar 10, so that the vertical bars 10 can be connected in multi- The multistage connection of the vertical rods 10 can be accomplished by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1 and 12.

이로써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봉(10)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수직봉(10)이 거푸집 상단에 근접하였을 경우, 조절구(20)의 손잡이(20b)를 작업자가 잡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조절구(20)를 회동하면, 조절구(20)가 지지축봉(21)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며, 조절구(20) 상단에 안착된 제2연결부(12) 및 제1연결부(11)를 상방향으로 이동유도함으로써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봉(10)들 또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최상부에 위치한 수직봉(10)의 지지대가 거푸집 상판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거푸집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vertical bar 10 position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vertical bars 1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s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ie, the handle 20b of the adjusting bar 20 is moved upwar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that ar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member 20 are moved upwardly from the supporting shaft rod 21 to the upper side of the adjusting shaft 20, The vertical rods 10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are also moved upward so that the supporting rods of the vertical rods 10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hold the form plate and press the upper plate.

수직봉(10)에서의 횡봉을 연결함에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조건 및 구조 상황에 따라 제1횡봉(41) 및 제2횡봉(50)을 조합하여 연결하거나 상기 제1.2횡봉(41)(50) 중 어느 하나의 횡봉을 택일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The first transverse bar 41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may be connected in combination or the first transverse bar 41 and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condition and struc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connecting the transverse bar 10,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connect one of the transverse bars.

제1횡봉(41)을 수직봉(1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먼저 횡봉연결구(30)가 수직봉(10) 외관의 돌조부(10a) 및 걸림홈(10b)에 연결되는데, 나사봉(33)에 삽입된 클램핑 조절구(35)의 손잡이(35a)를 잡고 회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다음, 와셔(34), 집게각도조절부(32) 순으로 클램핑 조절구(35)의 후방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게 되면, 집게부(31)의 각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집게부(31)의 집게 각을 벌려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수용한 다음, 다시 클램핑 조절구(35)를 나사봉(33) 앞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클램핑 조절구(35)의 가압력에 의해 와셔(34)가 집게각도조절부(32)에 결착되며, 집게각도조절부(32)를 가압하게 되고, 집게각도조절부(32)는 집게부(31) 방향으로 이동하며 집게부(31)를 커버함에 따라 집게부(31)의 집게 각이 작아지면서 수직봉(10)의 돌조부(10a)를 강하게 가압하며 걸림홈(10b)에 집게부(31)의 단턱부(31a)가 걸려 횡봉연결구(30)의 체결이 이뤄진다.The transverse connector 30 is first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0a and the engaging groove 10b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0 so that the screw rods 33 The clamping member 35 is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clamping control member 35 in the order of the washer 34 and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unit 32 The angle of the clamping portion 31 is freely adjustable so that the clamping portion of the clamping portion 31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projecting portion 10a of the vertical rod 10 and then the clamping portion The washer 34 is fastened to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portion 32 by the urging force of the clamping clamp 35 and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portion 32 is fastened to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portion 32, The grip angle adjusting portion 32 moves toward the grip portion 31 and the grip angle of the grip portion 31 is reduced as the grip portion 31 is covered, The protruding portion 10a of the vertical bar 10 is strongly pressed and the step portion 31a of the clamping portion 3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0b so that the transverse connector 30 is fastened.

곧, 수직봉(10)에 횡으로 체결된 횡봉연결구(30)의 나사봉(33) 타측에 연결봉(40)을 회동하여 연결토록 하고, 상기 연결봉(40)에 제1횡봉(41)을 커버하며 길이를 조절한 다음, 제1횡봉(41)의 체결공(41a)과 연결봉(40)의 길이조절공(40a)으로 체결볼트(42)를 삽입한 후 체결너트(43)로 체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봉(10)에서의 제1횡봉(41) 연결 고정을 완료한다.
The connecting rod 40 is rotated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readed rod 33 of the transverse connector 30 transversely fastened to the vertical bar 10 and the first transverse bar 41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40 The fastening bolt 42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41a of the first transverse bar 41 and the length adjusting hole 40a of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n fastened with the fastening nut 43 4,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ransverse bar 41 in the vertical bar 10 is completed.

제2횡봉(50)을 수직봉(1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제2횡봉(50)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를 수직봉(10) 하단에 일체된 제1연결부(11)의 연결편(15) 및 상기 제1연결부(11) 하단에서 제1연결부(11)와 합치된 제2연결부(12)의 연결편(15)에 밀착하여 삽입하는데 이때 결착부(51)의 상하단에 구비된 원호형상의 절곡돌기부(52) 사이 공간부에 제1.2연결부(11)(12)의 연결편(15)이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portion 51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0, (15)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 align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1) The connecting pieces 15 of the 1.2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enter the space between the bending protrusions 52 of the shape.

곧, 걸림핀(54)을 결착부(51)의 삽입부(53)와 연결편(15)의 체결공(15a)으로 삽입하여 끼움고정됨으로써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과 함께 제1.2연결부(11)(12)들 간의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횡봉(50)의 수직봉(10) 연결이 완료된다.The engaging pin 54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engaging hole 15a of the connecting piece 15 and the insertion portion 53 of the engaging portion 51 to thereby connect the vertical bar 10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The connection of the vertical rods 10 of the second transverse rods 5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걸림핀(54)의 끼움 고정 및 탈리 방지가 이뤄지는 이유는, 상기 제2횡봉(50) 단부에 형성된 결착부(51)에서 상하단에 원호형상을 이룬 채 삽입부(53)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돌기부(52)와, 상기 걸림핀(5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53)와, 상기 삽입부(53)는 걸림핀(54)의 끼움고정을 위하여 형성된 테이퍼부(53a)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핀(54)은, 더 이상의 끼움 진행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단턱(54a)과, 상기 삽입부(53)의 테이퍼부(53a)에서 끼움고정되게 형성된 테이퍼부(54b)와, 끼움고정된 이후 상기 삽입부(53) 및 체결공(15a)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단이 걸릴 수 있게 후크부(54c)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engaging pin 54 is fixed and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is that the engaging portion 51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50 is bent at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ng portion 53 A bending protrusion 52 and an insertion portion 53 for inserting the latching pin 54. The insertion portion 53 is formed of a tapered portion 53a formed for fixing the latching pin 54 And the engagement pin 54 includes a step 54a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prevent further advancement of the fitting, a tapered portion 54b formed to be fitted and fixed by the tapered portion 53a of the insertion portion 53, And the hook portion 54c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can be caught so as to prevent i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53 and the fastening hole 15a after being fixed.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설치시에 수직봉의 다단 연결은 제1.2연결부의 회전 결착에 의해서 이뤄지고, 수직봉에서의 횡봉 연결시 제1횡봉의 연결은 횡봉연결구의 물림에 의해서 이뤄지며, 제2횡봉의 연결은 걸림핀의 끼움고정에 의해서 이뤄짐으로써, 각 봉들의 연결 조작을 간단화 및 단순화하여 봉들의 연결 작업성이 편리해질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entire concrete structure, and the multistage connection of the vertical bars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s accomplished by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1.2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ransverse bar is achieved by the engagement of the transverse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transverse bar is achieved by fixing the interlocking pin so that the connecting operation of the respective bars is simplified and simplified, And can provide quickness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10 : 수직봉 10a : 돌조부
10b: 걸림홈 10c : 통공
11 : 제1연결부 12 : 제2연결부
13 : 록킹홈 14 : 록킹돌기
15 : 연결편 15a: 체결공
16 : 통공
20 : 높이조절구 20a: 통공
20b: 손잡이
21 : 지지축봉 22 : 나사산
23 : 지지판
30 : 횡봉연결구 31 : 집게부
31a: 단턱부 32 : 집게각조절부
33 : 나사봉 34 : 와셔
35 : 클램핑 조절구 35a: 손잡이
40 : 연결봉 40a: 길이조절공
41 : 제1횡봉 41a: 체결공
42 : 체결볼트 43 : 체결너트
50 : 제2횡봉 51 : 결착부
52 : 절곡돌기부 53 : 삽입부
53a: 테이퍼부 54 : 걸림핀
54a: 단턱 54b: 테이프부
54c: 후크부
10: vertical bar 10a:
10b: engaging groove 10c: through hole
11: first connection part 12: second connection part
13: locking groove 14: locking projection
15: connecting piece 15a: fastening hole
16: Through hole
20: height adjuster 20a: through hole
20b: Handle
21: support shaft 22:
23: Support plate
30: transverse connector 31:
31a: step portion 32: clamping angle adjusting portion
33: Nasaim 34: Washer
35: Clamping adjuster 35a: Handle
40: connecting rod 40a: length adjusting ball
41: first transverse rod 41a: fastening hole
42: fastening bolt 43: fastening nut
50: second transverse bar 51:
52: bending protrusion 53:
53a: tapered portion 54:
54a: step 54b:
54c:

Claims (12)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지면에 저부가 지지되면서 상부가 거푸집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봉(10)과;
상기 다수의 수직봉들을 연결하여 서포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횡봉(4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봉은,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2연결부(11,12)가 형성되어 종방향을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2연결부(11,12)의 결합에 의해 다단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연결부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상기 록킹돌기와 동일 선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다른 수직봉의 록킹돌기가 양방향의 회전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하나 이상의 록킹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홈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수직봉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
A plurality of vertical rods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upporting the form at an upper portion while being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rods (4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rods to constitute a support assembly,
The vertical bar ha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1 and 1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may include a plate-shaped body,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e or more locking grooves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s of the other vertical rods are locked or unlocked by bi-directional rotation, wherein the vertical rods are connected in cascade by mutual engagement of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 locking groov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는 둘레부에 상기 횡봉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횡봉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2연결부의 연결편에 걸림핀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necting piece to which the transverse bar is connected at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transverse ba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n The system support being connected to the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봉(33),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클램핑 조절구(35), 상기 조절구에 의해 전진하는 집게각도 조절부(32), 상기 집게각도 조절부의 전후진에 의해 선단부가 모아지거나 벌어지면서 상기 수직봉을 클램핑하는 집게부(31)를 포함하는 횡봉 연결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clamping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threaded rod (33) connected to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transverse bar, a clamping adjuster (35) screwed to the threaded bar, , And a clamping connector (30) including a clamping part (31) for clamping the vertical rod as the tip is gathered or spread b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pa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31)는 후방이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집게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각도 조절부는 상기 클램핑 조절구에 의해 전진하면서 상기 집게부를 감싸 상기 집게부에 의해 상기 수직봉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clamping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lamping unit (31) is composed of a pair of clamps connected rearwardly through a hinge so as to be rotatable, the clamping angle adjusting unit advances by the clamping clamp to clamp the clamping unit, Said clamping means being adapted to clamp said vertical bar by means of said clamping mean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31)는 상기 나사봉에 지지되는 집게틀(31-1), 상기 집게틀(3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31-2)로 구성되며, 상기 집게각도 조절구(32)는 한 쌍의 집게(31-2) 사이에서 전후진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모아져 수직봉(10)을 클램핑하거나 한 쌍의 집게(31-2)의 선단부가 벌어져 수직봉(10)을 언클램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5]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clamping unit (31) comprises a clamping frame (31-1) supported by the screw rod and a pair of clamping members (31-2) connected to the clamping frame (31-1) The clamping angle adjuster 32 is reciprocated between a pair of clamps 31-2 so that the tip ends of the pair of clamps 31-2 are gathered to clamp the vertical rod 10, 31-2) is opened to unclamp the vertical bar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상기 집게틀에 장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 of claim 7, wherein the forceps are movably coupled to the forceps frame through an elongated ho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게의 선단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31-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31-5) elastically support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clamp is extend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나사봉에 힌지(31-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lamping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crew rod through a hinge (31-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봉과 상기 나사봉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횡봉에 길이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나사봉이 나사 체결되는 연결봉(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rod (40) interposed between the transverse rod and the screw rod, the connecting rod being connected to the transverse rod in a length-adjustable manner and screwed togeth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봉은 2개 이상이 1개 이상의 수직 연결대(13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트러스형 횡보강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트.The system suppor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t least two of the transverse ro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t least one vertical connecting rod (130) to form a truss type transverse steel.
KR1020130004582A 2012-06-19 2013-01-15 The System Supporter KR1015051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5808 2012-06-19
KR1020120065808 2012-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85A KR20130142885A (en) 2013-12-30
KR101505170B1 true KR101505170B1 (en) 2015-03-24

Family

ID=499863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582A KR101505170B1 (en) 2012-06-19 2013-01-15 The System Supporter
KR20130069271A KR101487964B1 (en) 2012-06-19 2013-06-17 The System Support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271A KR101487964B1 (en) 2012-06-19 2013-06-17 The System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051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742B1 (en) * 2014-07-24 2015-07-03 김범준 Clamp for a pillar
KR20180082104A (en) * 2017-01-10 2018-07-18 백문자 A support pipe with clamp for construction
CN109458002A (en) * 2018-12-05 2019-03-12 中民筑友建设科技集团有限公司 A kind of support rod and support frame
KR102559982B1 (en) * 2022-05-25 2023-07-2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연구소 Variable Length Prefabricated Jack Support for Prevent Con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69Y1 (en) * 2004-09-03 2004-11-18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Connecting device used to connect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simultaneously and system support using it
KR200397583Y1 (en) 2005-07-18 2005-10-05 기호가설산업(주) Circular support for construction work
KR100842111B1 (en) 2007-08-24 2008-06-30 에스앤피시스템(주) A system support
KR101020061B1 (en)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Horizontal member connector for pipe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164A (en) * 1995-05-16 1996-11-26 Hory Corp Clamp for post and reinforcing material with the clamp
PL2353777T3 (en) * 2010-02-08 2012-07-31 Smw Autoblok Spannsysteme Gmbh Self-centring support
KR20120056535A (en) * 2010-11-25 2012-06-04 한명진 Supporters Co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slab form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69Y1 (en) * 2004-09-03 2004-11-18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Connecting device used to connect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simultaneously and system support using it
KR200397583Y1 (en) 2005-07-18 2005-10-05 기호가설산업(주) Circular support for construction work
KR100842111B1 (en) 2007-08-24 2008-06-30 에스앤피시스템(주) A system support
KR101020061B1 (en)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Horizontal member connector for pip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929A (en) 2013-12-30
KR101487964B1 (en) 2015-02-03
KR20130142885A (en)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170B1 (en) The System Supporter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US20090249591A1 (en) Scaffolding tube clamps
KR20070110083A (en) Fastener
JP2001501137A (en) Locking device for hand tools
KR200439136Y1 (en) Combination supporter for mold
JP2009121614A (en) Universal joint
EP2737976A2 (en) Clamp assembly
KR101991570B1 (en) pipe clamp
US20090127027A1 (en) Scaffold Securing Device
US6322277B1 (en) Clamp for interconnecting components of shoring apparatus
JP5886677B2 (en) Fasteners, couplings, and fences
KR101559987B1 (en) The multi-clamp for construction material
US20060180702A1 (en) Tubular interconnecting support structure
KR20180062151A (en) U bolt type fixture unit of construction material
KR200452023Y1 (en) Clamp assembly for scaffolding
KR101505169B1 (en) Construction materials connector containing vertical and line
WO1990011420A1 (en) Clamping device
WO1988006222A1 (en) Improved couplers
KR101611088B1 (en) Safety scaffold with a length adjusting hook
KR20080004207U (en) Sunshade frame connector for ginseng field
KR101942706B1 (en) Vinyl house framing fixture
KR20090078498A (en) One touch type tube clamp
JP3031996U (en) Scaffold connecting bracket
KR20100008614U (en) tighten sphere pillar model frame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