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651B1 -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 Google Patents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651B1
KR101503651B1 KR20140144220A KR20140144220A KR101503651B1 KR 101503651 B1 KR101503651 B1 KR 101503651B1 KR 20140144220 A KR20140144220 A KR 20140144220A KR 20140144220 A KR20140144220 A KR 20140144220A KR 101503651 B1 KR101503651 B1 KR 10150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insole
outsole
fastening means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4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성엽
Original Assignee
유성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엽 filed Critical 유성엽
Priority to KR2014014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6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651B1/en
Priority to PCT/KR2015/011178 priority patent/WO201606420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shaped shoe comprising: a first shoe (1) having both side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having a central part concavely indented to constitute a first half-surface of a sphere, including an insole surface (12) on one surface thereof, including an outsole surface (16)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including an upper (18) formed on the outsole surface (16) for enabling a user to insert his/her foot, and including a first coupling means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insole surface (12); and a second shoe (2) having both side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having a central part concavely indented to constitute a second half-surface of a shape, including an insole surface (22) on one surface thereof, including an outsole surface (26)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including an upper (28) formed on the outsole surface (26) for enabling a user to insert his/her foot, and a second coupling means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insole surface (22)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means. When the first coupl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of the second shoe (2) are coupled to constitute a sphere shape, the insole surface (1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insole surface (22) of the second shoe (2) are resp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휴대가 편리한 공 모양 신발{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a ball-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를 제1반면 및 제2반면으로 분할한 다음 이들 상호간을 지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제1반면 및 제2반면 각각에는 인솔면 및 아웃솔면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주머니가 없더라도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외관상 공 모양의 장식물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which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halves and then fastened to each other by zipp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which is easy to store and carry without having a separate pocket, and can exert the same effect as an ornament of a ball in appearance.

근자 외부환경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통상적인 신발의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여 기능성 신발에 대한 소비자 욕구가 분출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 중에는 보다 경량화되면서도 휴대가 편리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에 대한 부분이 상당하여 관련 업계에서는 새로운 신발을 앞다투어 속속 소개하고 있는데, 이들 기술 중에 하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5219호 및 중국 공개특허 제102228328호가 있다.The consumer's desire for functional shoes is erupting from the concept of a conventional shoe that protects the foo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mong the needs of consumers, there are a lot of functional shoe that can be worn in a desired place because it is lighter and portable, and the related industry introduces new shoes one after another. One of these technologies is Korean Patent No. 0985219 And Chinese Patent No. 102228328.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5219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신발은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아웃솔 부분을 앞창(10)과 뒷창(11)으로 분리한 다음, 갑피(30)를 앞창(10)과 뒷창(11)에 일체형으로 고정결합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 신발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지 않을시에는 앞창부분과 뒷창부분을 서로 포개어 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휴대의 편리함은 기대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함은 물론 좌, 우 신발이 개별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휴대시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 신발은 지면과 닿는 아웃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란 점에서 별도의 휴대주머니가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다.Firs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85219, the shoe is divided into a front window 10 and a rear window 11, and then the upper window 30 is divided into a front window 10 and a rear window 11 as a single unit. This shoe is expected to be convenient in terms of being able to store the front and rear parts in a superimposed manner when the user does not wear the shoes, but the configuration is basically too complicated and the left and right shoes are individually constitu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olume becomes large when carrying. Furthermore, this shoe requires a separate carrying bag becaus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sole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반해, 중국 공개특허 제102228328호는 도 6과 같이 지퍼를 이용하여 신발을 접어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5219호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신발 역시 좌, 우신발이 각기 개별적으로 구성될 뿐 아니라, 지면과 닿는 아웃솔 부분이 그 구성상 외부로 노출되어 별도의 휴대주머니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5219호가 가지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안고 있다.On the other hand, 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102228328 has a simple structure as compared with Korean Patent No. 0985219 in that the shoes can be folded and stored by using a zipper as shown in FIG. 6. However, this shoe is not only composed of separate left and right shoes,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carrying bag by exposing the outsole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to the outside, so that the problem of Korean Patent No. 0985219 It is hold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5219호, 중국 공개특허 제102228328호Korean Patent No. 0985219, 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10222832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휴대가 편리함은 물론 별도의 주머니가 없더라도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which is very simple in structur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is easy to store and carry without having a separate pocket.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양측부위는 원호형상을 이루며 중앙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의 제1반면을 이루되, 일면에는 인솔면(12)이 마련되고 타면에는 아웃솔면(16)이 마련되며, 아웃솔면(16)에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갑피(18)가 마련되고, 인솔면(12)의 모서리부위에는 제1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제1신발(1)과; 양측부위는 원호형상을 이루며 중앙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의 제2반면을 이루되, 일면에는 인솔면(22)이 마련되고 타면에는 아웃솔면(26)이 마련되며, 아웃솔면(26)에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갑피(28)가 마련되고, 인솔면(22)의 모서리부위에는 제1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2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제2신발(2)로; 구성되어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 및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이 결합되어 구 형상을 이루면 제1신발(1)의 인솔면(12) 및 제2신발(2)의 인솔면(22) 각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or this purpose, both side portions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is concavely recessed to form the first side of the sphere. On one side, an insole surface 12 is provided and on the other side, an outsole surface 16 is provided A first shoe 1 provided with an upper 18 to which a foot of the user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outsole surface 16 and a first fastening means is provided on a corner of the insole surface 12; And the outsole surface 2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outsole surface 26 is provided with an insole surface 26. In the outsole surface 26, And a second shoe (2)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mean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ans at a corner of the insole surface (22);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shoe 2 are combined to form a sphere so that the insole surface 1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each exposed to the outside.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2)의 갑피(28) 각각은 아웃솔면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 및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 각각은 자석(110, 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sole surfac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fastener of the second shoe 2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means may comprise magnets 110 and 210.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2)의 갑피(28) 각각은 아웃솔면과 분리형 이루어지되,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 및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 각각은 자석(112, 212)으로 이루어지고,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2)의 갑피(28) 각 하부모서리에는 보조자석(118, 218)이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2 are separated from the outsol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of the first shoe 1,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means is composed of magnets 112 and 212 and auxiliary magnets 118 and 218 are attached to lower corners of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2. [ ) May be provided.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은, 인솔면(12)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연속하는 이(121)와, 구의 제1반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양측부위 중에 선택되는 어느 일측부위의 상단에 마련되는 삽입단(123)으로 이루어지고;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은, 인솔면(22)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연속하는 이(221) 및 이(221)를 따라 활주하는 슬라이드(223), 그리고 구의 제2반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중앙부위의 내측 외면에 마련되는 막음쇠(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is composed of a stitch 121 continuous along a corner of the insole surface 12 and a stitch 121 formed on either side of an arc- And an inserting end 12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The second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shoe 2 comprises a slider 221 running along the edge of the insole surface 22 and a slider 223 sliding along the slider 221, (224) provided on an inner outer surface of a central portion which is reces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Lt; / RTI >

이때,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1)의 갑피(28) 각각은 제1신발(1)의 아웃솔면(16) 및 제2신발(2)의 아웃솔면(26)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1 ar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16 of the first shoe 1 and the outer surface 16 of the second shoe 1, 26).

제1신발(1)에서 인솔면(12) 및 아웃솔면(16)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갑피(18)는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되, 갑피(18)의 하단 모서리부위를 따라서 보조이(122)가 마련되어 제1신발(1)의 이(121)와 체결되며, 보조이(122)를 활주하는 보조슬라이드(124)가 마련되고, 갑피(18)의 외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조막음쇠(126)가 마련되며; 제2신발(2)에 있어 인솔면(22) 및 아웃솔면(26)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갑피(28)는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되, 갑피(28)의 하단 모서리부위를 따라서 보조이(222)가 마련되어 제2신발(2)의 이(221)와 체결되며, 갑피(28)의 외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조삽입단(226)이 마련될 수 있다.The insole surface 12 and the outsole surface 16 of the first shoe 1 are of the same size and the upper portion 18 of the upper shoe 1 has a separating structure and the auxiliary sheath 122 is formed along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8 A supplementary slide 124 is provided to slide the auxiliary shaft 122 and is coupled to the main shaft 121 of the first shoe 1. A supplementary stopper 12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enter of the upper shaft 18 ; The insole surface 22 and the outsole surface 26 of the second shoe 2 are of the same size and the upper portion 28 of the second shoe 2 is of a separate structure, And an auxiliary insertion end 226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28.

이때,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은 분리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좌, 우신발 각각을 구의 반면체로 구성하여 이들 상호간을 체결하는 경우 공 모양을 이루게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함은 물론, 외관상 공 모양의 장식물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hoes is constituted by a sphere of a sphere and is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ball, it is very convenient to store and carry, and can exert the same effect as an ornament of a ball in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은 지면과 맞닿는 아웃솔 부분은 내부 공간에 실장되고 인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휴대주머니 없이 보관이나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utsole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insole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carried without a separate carrying bag.

도 1a 내지 도 1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의 공 모양 신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의 공 모양 신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의 공 모양 신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로서의 공 모양 신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종래 휴대가 용이한 신발의 일 구성도.
도 6은 종래 휴대가 용이한 신발의 다른 구성도.
1A to 1D are schematic views each showing a ball-shaped shoe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ball-shaped shoe a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to 3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ball-shaped shoe a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ball-shaped shoe a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e which is conventionally portable. Fig.
Fig.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e which is conventionally portable. Fig.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a 내지 도 1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이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1a는 제1실시예의 휴대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도 1b 내지 도 1d 각각은 제1실시예를 사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1A to 1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A schematically shows a portable or storage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S. 1B to 1D Shows schematically the process of using the first embodiment.

먼저, 도 1a는 사용하지 않고 휴대나 보관시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공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제1신발(1)의 일면에 구비되는 인솔면(12) 및 제2신발(2)의 일면에 구비되는 인솔면(22)이다. 제1신발(1)과 제2신발(2)은 제1, 2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공 모양을 이루며, 제1, 2체결수단은 자석(110, 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110, 210)은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portable or non-used body without using it. As shown in FIG. 1A, the shape of the body is a ball shape. Exposed to the outside is an insole surface 1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hoe 1, And an insole surface (2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hoe (2).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formed into a ball shape by mutually connecting by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may be made of the magnets 110 and 210. The magnets 110 and 21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idely used in related industri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b는 공 모양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던 제1신발(1)과 제2신발(2)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과 같이,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기본적인 형상은 구의 제1, 2반면 각각을 이루되, 양측부위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가 이러한 구조를 제안하는 이유는 야구공의 외피 구성과 동일하게 구를 제1, 2반면으로 양분함으로써 이들 상호간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FIG.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ball shape, are separat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asic shape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pherical shapes, both side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is recessed . The reason why the first embodiment proposes such a structure is that the balls ar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pheres in the same manner as the envelope constitution of a baseball ball so that they can be easily combined with each other.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 일면에는 인솔면(12, 22)이 마련되고, 각 타면에는 아웃솔면(16, 26)이 마련된다. 각 인솔면(12, 22)의 모서리부위에는 자석(110, 210)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1신발(1)에 마련되는 자석(110)이 제2신발(2)에 마련되는 자석(210)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상호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Insole surfaces 12 and 22 ar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nd outsole surfaces 16 and 26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Magnets 110 and 210 are provided at corn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insole surfaces 12 and 22. In the figure, the magnet 110 provided on the first shoe 1 is fastened in the form of wrapping the magnet 210 provided on the second shoe 2, but it is obvious that they can be made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제1, 2신발(1, 2)에 있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면에 구비되는 인솔면(12, 22)이다. 이는 타면에 구비되어 지면과 닿는 아웃솔면(16, 26)을 구 내부로 실장함으로써 별도의 휴대주머니가 없더라도 휴대나 보관시 아웃솔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인솔 및 아웃솔 각각은 분리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그 재질 및 두께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oes 1 and 2 exposed to the outside are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provided on one surface as described above. By mounting the outsole surfaces (16, 26)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on the other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due to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utsole at the time of carrying or storing without a separate carrying bag . The insole and the outsol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a double structure. The material and thicknes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도 1c와 같이, 아웃솔면(16)에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갑피(18)가 마련된다. 갑피(18)의 하측부위는 아웃솔면(16)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재봉 등에 의해 결합되어 아웃솔면(16)과 일체를 이룬다. 갑피(18)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c는 제1신발(1)에 대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제2신발(2) 경우도 동일함은 물론이다.1C, the outer surface 16 is provided with an upper 18 to which a user's foot is inserte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18 is joined to the outsole surface 16 by sewing or the like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outsole surface 16. The upper 18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IG. 1C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hoe 1,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econd shoe 2 is also the same.

제1신발(1) 및 제2신발(2)이 분리되면, 각 신발을 뒤집는다. 도 1d는 제1신발(1)을 뒤집은 상태를 보여준다. 제1신발(1)을 뒤집으면, 도 1c와 같이 당초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인솔면(12)은 제1신발(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아웃솔면(16)은 외부로 노출된다(제2신발의 경우도 동일).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제1신발 및 제2신발을 착용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When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separated, each shoe is turned over. FIG. 1D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oe 1 is turned upside down. When the first shoe 1 is turned upside down, the insole surface 12, which was originally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C,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shoe 1, and the outsole surface 16, (The same is true for the second shoe). The user wears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shoe in this state, and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이때, 제1신발 및 제2신발 각각의 인솔면에 마련되는 자석으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인솔면에 마련되는 자석의 주변부위를 따라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단이나 스펀지 등을 부가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At this time, the fit feeling may be lowered due to the magnets provided on the insole surfaces of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shoe. 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a feeling of wearing can be increased by adding a fabric or sponge having a certain thickness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gnet provided on the insoles.

도 2a 내지 도 2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이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2a는 제2실시예의 휴대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2b 내지 도 2c 각각은 제2실시예를 사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2A to 2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chematically shows a portable or storage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S. 2B to 2C ≪ / RTI >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process of using the second embodiment.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제2실시예 역시 사용하지 않고 휴대나 보관시의 형상은 공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제1신발(1)의 인솔면(12) 및 제2신발(2)의 인솔면(22)이다. 제1신발(1)과 제2신발(2)은 제1, 2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공 모양을 이루는 것 역시 동일하나, 제1, 2신발(1, 2)에 있어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갑피(18, 28)가 분리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As shown in FIG. 2A,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used, and the shape for carrying or storing is a ball shape. Exposed to the outside is the insole surface 1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so as to form a ball. 22 and outsole surfaces 16, 26 are of the same size and each upper 18, 28 is of a separate structure.

즉, 도 2a 및 도 2b 각각과 같이, 제1, 2신발(1, 2)에 있어 인솔면(12, 22) 및 아웃솔면(16, 26)은 동일한 크기를 이루며 일면 및 타면을 구성하고, 제1신발(1)에 있어 갑피(18) 및 제2신발(2)에 있어 갑피(28)는 인솔면(12, 22)과 분리되어 별도로 내장되는 구성이 바로 그것이다.2A and 2B,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of the first and second shoes 1 and 2 have the same size and form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n the first shoe 1, the upper 18 and the second shoe 2 are separated from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are separately housed.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인솔면(12, 22) 모서리에는 체결수단으로서 자석(112, 212)이 마련되는 구성 역시 제1실시예의 자석(110, 210)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이 실시예는 갑피가 인솔면과 분리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갑피(18, 28)의 하부 모서리부위에는 보조자석(118, 218)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gnets 112 and 212 are provided as the fastening means on the corners of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in the second embodiment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110, 210). However,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uxiliary magnets 118 and 218 are provided at lower corners of the uppers 18 and 28, respectively, because the upper is made of an insole and a separate structure .

제1, 2신발(1, 2)이 완전히 분리되면, 제1, 2신발의 인솔면(12, 22) 각각을 뒤집은 상태에서 아웃솔면(16, 26)과 갑피(18, 28)를 결합한다. 즉, 제2신발(2)의 인솔면(22)을 뒤집어 아웃솔면(26)을 상부로 향하게 하고 자석(212, 228) 상호간을 체결하면 도 2c와 같은 신발이 완성된다. 이럴 경우, 당초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인솔면(22)은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당초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아웃솔면(26)은 외부로 노출된다(제1신발의 경우도 동일). When the first and second shoes 1 and 2 are completely separate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and the upper 18 and 28 are engaged with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shoes turned upside down . That is, when the insole surface 22 of the second shoe 2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outer surface 26 faces upward and the magnets 212 and 228 are fastened together, the shoe as shown in FIG. 2C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insole surface 22, which was ini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is located inside, and the outsole surface 26, which was originally located in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ame applies to the first shoe).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인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1신발 및 제2신발을 착용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에 닿는 부분은, 도 2a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휴대나 보관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인솔면이 아니라 내부에 실장되는 아웃솔면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인솔면(아웃솔면)과 결합되는 갑피 각각에 마련되는 자성으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user wears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shoe in a state in which the insole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may use the shoes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porti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uches the ground is not an insole surfac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carrying or storing as shown in FIG. 2A but an outsole surface that is mounted inside. It is needless to say that similar to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f the wear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magnetism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parts joined to the insole side (outsole side), it can be improv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한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단일의 창을 구성하여, 창의 일면은 인솔면(12, 22)으로 이용하고 창의 타면은 아웃솔면(16, 26)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럴 경우 잦은 사용에 따라 지면과 닿는 아웃솔면이 쉽게 마모되거나 착용감이 다소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실시예에 있어 도 2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이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single window is used and one side of the window is used as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is used as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In this case, depending on frequent use, the outsole surface that touches the ground may be easily worn or the wearing feeling may be somewhat deteriorated. To this end, it is not ex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the insole surfaces 12,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26 are formed as separate structures as disclosed in Fig. 2B.

이처럼,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이 분리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면, 지면과 접하는 아웃솔면(16, 26)은 내마모에 강한 재질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인솔면(12, 26)은 착용감이 뛰어난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are made of a material resistant to wear resistance, The insole surfaces 12 and 26 can be made of any one of materials having excellent wearing comfort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도 3a 내지 도 3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이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3a는 제3실시예의 휴대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도 3b 내지도 도 3d 각각은 제3실시예를 사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3A to 3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3A schematically shows a portable or storage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and FIGS. 3B to 3D Each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using the third embodiment.

도 3a와 같이, 신발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나 보관시의 형상이 공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제1신발(1)의 일면에 구비되는 인솔면(12) 및 제2신발(2)의 일면에 구비되는 인솔면(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3A, the shape of the ball when being carried or stored without using shoe is ball shap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insole surface 12 and the second shoe 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hoe 1 And the insole surface 2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22a.

하지만, 제3실시예의 경우 제1신발(1)과 제2신발(2)이 지퍼라는 제1, 2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공 모양을 이룬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슬라이더(223), 이(121, 221), 막음쇠(224), 삽입단(123)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지퍼구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살펴본다.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y are joined together by a first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such as a zipper, to form a ball. That is, a conventional zipper structure including the slider 223, teeth 121 and 221, the stopper 224, and the insertion end 123 is used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b는 제2신발(2)에 마련되는 슬라이더(23)를 사용하여 공 모양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던 제1신발(1)과 제2신발(2)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기본적인 형상은 구의 제1, 2반면 각각을 이루되, 양측부위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ball shape, are separated using the slider 23 provided in the second shoe 2. In this case, the basic shape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pherical shapes, the both side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s.

또한,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 일면에는 인솔면(12, 22)이 마련되고, 각 타면에는 아웃솔면(16, 26)이 마련되는데, 이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인솔면(12, 22)으로 이루어지고, 갑피(18)의 하측부위는 아웃솔면(16)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재봉 등에 의해 결합되어 아웃솔면(16)과 일체를 이루는 점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ar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18 is joined to the outsole surface 16 by sewing or the like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outsole surface 16 so as to form an integral part of the above- Which is similar to the case of the embodiment.

하지만, 도 3b와 같이,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인솔면(12, 22) 모서리에는 연속하는 이(121, 221)가 마련되고, 제1신발(1)에 있어 구의 제1반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양측부위 중 어느 일측부위의 상단에는 삽입단(123)이 마련되며, 제2신발(2)에 있어 인솔면의 이(21)에는 활주하는 슬라이드(23)가 마련됨과 동시에 구의 제2반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중앙부위의 내측 외면에는 막음쇠(224)가 마련되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면부호 225는 손잡이이다.3B, continuous teeth 121 and 221 are provided on the corners of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n insertion end 12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one of the two sides of the arcuate shape on the first side of the sphere and a slide 23 is provided on the second side of the insole surface of the second shoe 2, And the closure 224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recessed in the second side of the sphere. Reference numeral 225 denotes a handle.

제3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제2신발(2)의 삽입단(123)이 제1신발(1)의 슬라이더(223)를 통해 막음쇠(2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23)가 활주하면, 제1신발(1)의 이(121) 및 제2신발(2)의 이(221)가 상호 지그재그로 체결되면서 제1신발(1) 및 제2신발(2)이 결합되어 도 3a와 같은 공 모양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nsertion end 123 of the second shoe 2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224 through the slider 223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lider 223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coupled while the teeth 121 of the first shoe 1 and the teeth 221 of the second shoe 2 are fastened to each other in a zigzag manner So that it has a ball shape as shown in FIG. 3A.

도 3b 상태에서 제1신발(1) 및 제2신발(2)이 완전히 분리되면 각 신발은 도 3c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며(도면에는 제1신발(1)의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제2신발(2)의 경우도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각 신발을 뒤집으면 도 3d와 같이 된다. 즉, 도 3c와 같이 당초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인솔면(12)은 제1신발(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당초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아웃솔면(16)은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제1신발 및 제2신발을 착용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인솔면에 마련되는 이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When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of FIG. 3B, each shoe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C (the first shoe 1 is shown in the figure,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2)). That is, as shown in FIG. 3C, the insole surface 12, which was originally exposed to the outsid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hoe 1, and the outsole surface 16, which was originally locate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wears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shoe in this state, and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Eve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comfort provided on the insole surface may be deteriorated, but this can be solv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이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4a는 제4실시예의 휴대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4b 내지 도 4d 각각은 제4실시예를 사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4A to 4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fourth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4A schematically shows a portable or storage state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S. 4B to 4D ≪ / RTI >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process of using the fourth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 역시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하지 않고 휴대나 보관시의 형상은 공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제1신발(1)의 인솔면(12) 및 제2신발(2)의 인솔면(22)이고, 제1신발(1)과 제2신발(2)은 지퍼라는 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공 모양을 이루는 것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shown in FIG. 4, the shape of the fourth embodiment is a ball shape when not in use, 12 and the insole surface 22 of the second shoe 2 and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re joined together by means of a zipper to form a ball, .

다만,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2신발(1, 2) 각각에 있어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갑피(18, 28) 각각이 분리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제1, 2신발(1, 2)에 있어 인솔면(12, 22) 및 아웃솔면(16, 26)은 동일한 크기를 이루며 창의 일면 및 타면을 구성하고, 제1신발(1)에 있어 갑피(18) 및 제2신발(2)에 있어 갑피(28)는 인솔면(12, 22)과 분리되어 별도로 내장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2실시예와 유사하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insole surfaces 12,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26 are of the same size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oe 1, 2, and the upper surfaces 18, 28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of the first and second shoes 1 and 2 have the same size and constitut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window, In the first shoe 1, the upper 28 and the upper 28 of the upper 18 and the second shoe 2 are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y are separate from the insole surfaces 12, .

또한, 제4실시예는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인솔면(12, 22) 모서리에는 연속하는 이(121, 221)가 마련되며, 제1신발(1)에 있어 구의 제1반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양측부위 중 어느 일측부위의 상단에는 삽입단(123)이 마련되고, 제2신발(2)의 인솔면 이(221)에는 활주하는 슬라이드(223)가 마련되고, 제2신발(2)에 있어 구의 제2반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중앙부위의 내측 외면에는 막음쇠(224)가 마련되는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In the fourth embodiment, contiguous teeth 121 and 221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n insertion end 12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one of the two sides of the arcuate shape on the first side of the sphere and a slide 223 on which the insole side of the second shoe 2 slides is provided And the stopper 224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hoe 2 which is recessed concavely on the second side of the sphere, as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하지만, 제1신발(1)을 이루는 갑피(18)의 하단 모서리부위에 제1신발(1)의 이(121)와 체결되는 보조이(122)가 마련되며, 보조슬라이더(124)가 보조이(122)를 따라 활주하며, 갑피(18)의 외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조막음쇠(126)가 마련되는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2신발(2)의 경우에도, 갑피(28)의 하단 모서리부위에 제2신발(2)의 이(221)와 체결되는 보조이(222)가 마련되며, 갑피(28)의 외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조삽입단(226)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3실시예와 구분된다. The auxiliary shoe 122 is provided at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to be engaged with the shoe 121 of the first shoe 1, And the auxiliary stopper 12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18,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The second shoe 2 is also provided with an auxiliary thread 222 which is fastened to the thread 221 of the second shoe 2 a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thread 28,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an auxiliary insertion end 226 is provided.

제1, 2신발(1, 2)이 완전히 분리되면, 제1, 2신발의 인솔면(12, 22) 각각을 갑피(18, 28)와 결합한다. 도 4c에는 이중에서 제2신발(2)의 인솔면(22)이 갑피(28)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들 결합은, 제2신발(2)에 있어 갑피(28)의 보조삽입단(226)을 인솔면(22)의 슬라이더(223)를 통해 막음쇠(224)에 삽입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23)가 활주하면, 제2신발(2)의 인솔면(22)에 마련되는 이(221)가 갑피(28)에 마련되는 보조이(222)와 지그재그로 체결되면서 제2신발의 인솔면(22)이 갑피(28)와 결합되는 것이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hoes 1 and 2 are completely separated, each of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shoes is engaged with the uppers 18 and 28. FIG. 4c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sole surface 22 of the second shoe 2 is coupled with the upper 28. These engaging portions are engaged with the slider 223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insertion end 226 of the upper 28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224 through the slider 223 of the insole surface 22 in the second shoe 2. [ The teeth 221 provided on the insole surface 22 of the second shoe 2 are zigzag with the auxiliary teeth 22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8 so that the insole surface 22 of the second shoe Is coupled to the upper (28).

제1신발(1)의 경우도 이와 대동소이하다. 즉, 제1신발(1)에 있어 인솔면(12)의 삽입단(123)을 갑피(18)의 보조슬라이더(124)를 통해 보조막음쇠(126)에 삽입한 상태에서 보조슬라이더(124)가 활주하면, 제1신발(1)의 인솔면(12)에 마련되는 이(121)가 갑피(18)에 마련되는 보조이(122)와 지그재그로 체결되면서 제1신발의 인솔면(12)과 갑피(18)가 결합된다. 도면부호 125는 보조손잡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shoe 1, the same is true. That is, in the first shoe 1, the insertion end 123 of the insole surface 12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locking member 126 through the auxiliary slider 124 of the upper member 18, The weft 121 provided on the insole surface 12 of the first shoe 1 is zigzag with the auxiliary weave 122 provided on the upper 18 so that the insole surface 12 of the first shoe 1, The upper 18 is engaged. Reference numeral 125 denotes an auxiliary handle.

제1, 2신발(1, 2) 각각의 인솔면(12, 22)에 갑피(18, 28)가 결합되면, 인솔면(12, 22)의 일면은 내부에 위치하며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는데, 외부로 노출된 인솔면의 타면이 내부로 위치하도록 뒤집는다. 이때의 제2신발(2)에 대한 상태가 도 4d에 개시되어 있다. 즉, 당초 제2신발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인솔면(22)의 타면은 제2신발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당초 제2신발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인솔면(22)의 일면은 외부로 노출된다(제1신발의 경우도 동일). When the upper 18 and the lower 28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insole surface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shoes 1 and 2, one surface of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is located inside and the oth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insol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positioned inside. The state of the second shoe 2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4D. That is, the other surface of the insole surface 22, which was origin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hoe,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shoe, and one surface of the insole surface 22, which was originally located inside the second shoe, (The same applies to the first shoe).

한편,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4실시예도 단일의 창을 구성하여, 창의 일면은 인솔면(12, 22)으로 이용하고 창의 타면은 아웃솔면(16, 26)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도 4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을 서로 다른 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ourth embodiment also constitutes a single window in which one side of the window is used as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is used as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The insole surfaces 12 and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and 26 may be formed of different layers as shown in Fig. 4B.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added features.

1 : 제1신발 2 : 제2신발
12, 22 : 인솔면 16, 26 : 아웃솔면
18, 28 : 갑피 110, 210 : 자석
118, 228 : 보조자석 121, 221 : 이
122, 222 : 보조이 123 : 삽입단
124 : 보조슬라이더 126 : 보조막음쇠
223 : 슬라이더 224 : 막음쇠
1: first shoe 2: second shoe
12, 22: Insole surface 16, 26: Outsole surface
18, 28: Upper 110, 210: Magnet
118, 228: auxiliary magnet 121, 221:
122, 222: Auxiliary 123: Insertion stage
124: auxiliary slider 126: auxiliary stopper
223: Slider 224: Stopper

Claims (7)

양측부위는 원호형상을 이루며 중앙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의 제1반면을 이루되, 일면에는 인솔면(12)이 마련되고 타면에는 아웃솔면(16)이 마련되며, 아웃솔면(16)에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갑피(18)가 마련되고, 인솔면(12)의 모서리부위에는 제1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제1신발(1)과;
양측부위는 원호형상을 이루며 중앙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의 제2반면을 이루되, 일면에는 인솔면(22)이 마련되고 타면에는 아웃솔면(26)이 마련되며, 아웃솔면(26)에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갑피(28)가 마련되고, 인솔면(22)의 모서리부위에는 제1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2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제2신발(2)로;
구성되어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 및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이 결합되어 구 형상을 이루면 제1신발(1)의 인솔면(12) 및 제2신발(2)의 인솔면(22) 각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And the outsole surface 1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outsole surface 16 is provided with an insole surface 16 on the other surface, A first shoe (1) provided with an upper part (18) for inserting a foot of the insole surface (12) and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means at a corner part of the insole surface (12);
And the outsole surface 2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outsole surface 26 is provided with an insole surface 26. In the outsole surface 26, And a second shoe (2)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mean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ans at a corner of the insole surface (22);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shoe 2 are combined to form a sphere so that the insole surface 12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And each of the insole surfaces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2)의 갑피(28) 각각은 아웃솔면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 및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 각각은 자석(110, 2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sole surfac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fastener of the second shoe 2 ) Is composed of magnets (110, 210).
제1항에 있어서,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2)의 갑피(28) 각각은 아웃솔면과 분리형 이루어지되,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 및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 각각은 자석(112, 212)으로 이루어지고,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2)의 갑피(28) 각 하부모서리에는 보조자석(118, 21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2 are separated from the outsol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of the first shoe 1,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means is composed of magnets 112 and 212 and auxiliary magnets 118 and 218 are attached to lower corners of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2. [ )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shaped shoes.
제1항에 있어서,
제1신발(1)의 제1체결수단은, 인솔면(12)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연속하는 이(121)와, 구의 제1반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양측부위 중에 선택되는 어느 일측부위의 상단에 마련되는 삽입단(123)으로 이루어지고; 제2신발(2)의 제2체결수단은, 인솔면(22)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연속하는 이(221) 및 이(221)를 따라 활주하는 슬라이드(223), 그리고 구의 제2반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는 중앙부위의 내측 외면에 마련되는 막음쇠(2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shoe 1 is composed of a stitch 121 continuous along a corner of the insole surface 12 and a stitch 121 formed on either side of an arc- And an inserting end 12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The second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shoe 2 comprises a slider 221 running along the edge of the insole surface 22 and a slider 223 sliding along the slider 221, (224) provided on an inner outer surface of a central portion which is reces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Wherein said ball-shaped shoes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제4항에 있어서,
제1신발(1)의 갑피(18) 및 제2신발(1)의 갑피(28) 각각은 제1신발(1)의 아웃솔면(16) 및 제2신발(2)의 아웃솔면(26)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18 of the first shoe 1 and the upper 28 of the second shoe 1 each have an outer surface 16 of the first shoe 1 and an outer surface 26 of the second shoe 2, And the ball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ll.
제4항에 있어서,
제1신발(1)에서 인솔면(12) 및 아웃솔면(16)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갑피(18)는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되, 갑피(18)의 하단 모서리부위를 따라서 보조이(122)가 마련되어 제1신발(1)의 이(121)와 체결되며, 보조이(122)를 활주하는 보조슬라이드(124)가 마련되고, 갑피(18)의 외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조막음쇠(126)가 마련되며; 제2신발(2)에 있어 인솔면(22) 및 아웃솔면(26)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갑피(28)는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되, 갑피(28)의 하단 모서리부위를 따라서 보조이(222)가 마련되어 제2신발(2)의 이(221)와 체결되며, 갑피(28)의 외측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조삽입단(226)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ole surface 12 and the outsole surface 16 of the first shoe 1 are of the same size and the upper portion 18 of the upper shoe 1 has a separating structure and the auxiliary sheath 122 is formed along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8 A supplementary slide 124 is provided to slide the auxiliary shaft 122 and is coupled to the main shaft 121 of the first shoe 1. A supplementary stopper 12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enter of the upper shaft 18 ; The insole surface 22 and the outsole surface 26 of the second shoe 2 are of the same size and the upper portion 28 of the second shoe 2 is of a separate structure, And an auxiliary insertion end 22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28; The ball-shaped shoes featured.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1신발(1) 및 제2신발(2) 각각의 인솔면(12, 22)과 아웃솔면(16, 26)은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모양의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the insole surfaces (12, 22) and the outsole surfaces (16, 26) of the first shoe (1) and the second shoe (2)
KR20140144220A 2014-10-23 2014-10-23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KR101503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4220A KR101503651B1 (en) 2014-10-23 2014-10-23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PCT/KR2015/011178 WO2016064207A2 (en) 2014-10-23 2015-10-22 Portable globular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4220A KR101503651B1 (en) 2014-10-23 2014-10-23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651B1 true KR101503651B1 (en) 2015-03-17

Family

ID=5302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4220A KR101503651B1 (en) 2014-10-23 2014-10-23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3651B1 (en)
WO (1) WO2016064207A2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747U (en) * 1999-05-14 1999-08-16 황일주 separateing form shoe
KR20000011542U (en) * 1998-12-01 2000-07-05 김재옥 Portable Sneakers and Indoor Shoes
KR20130103215A (en)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엔드코리아 A portable shoes
KR101314663B1 (en) 2012-11-19 2013-10-04 전대만 Unification portable shoe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55Y1 (en) * 2011-04-15 2012-09-05 권범수 Students Slippers to be easily carri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542U (en) * 1998-12-01 2000-07-05 김재옥 Portable Sneakers and Indoor Shoes
KR19990033747U (en) * 1999-05-14 1999-08-16 황일주 separateing form shoe
KR20130103215A (en)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엔드코리아 A portable shoes
KR101314663B1 (en) 2012-11-19 2013-10-04 전대만 Unification portable shoe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207A3 (en) 2016-06-09
WO2016064207A2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44640A (en) Blucher type shoe with removable plug
CN104394727B (en) For glove or the fixed system of other object
US11058178B2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having an upright velvet inner sleeve
US20160166006A1 (en) Easy Access Footwear with Zipper Closure
US20130263468A1 (en) Interchangeable shoe-cover
US20140051331A1 (en) Bra with Storage Pocket
US20130185958A1 (en) Footwear Having Removable Cover for Toe Area Thereof
KR101503651B1 (en) A portable footwear which has ball-shaped
US20130047464A1 (en) Toe traction device
JP3191012U (en) shoes
JP6278982B2 (en) Shoe upper and shoes using the same
KR101092246B1 (en) The shoes which can easily putting on that
KR20130103215A (en) A portable shoes
WO2014184413A1 (en) Bag combined with built-in shoe carrier
US20190039817A1 (en) Compartmented footwear bag
JP3209639U (en) Shoe case
US20150342273A1 (en) Convertible boot band
JP5688928B2 (en) Waterproof inner for waterproof shoes
US20210052019A1 (en) Socks for walking on the road and outdoor
KR200493603Y1 (en) Golf bag
JP3207402U (en) Japanese footwear
KR101335357B1 (en) Shoes for indoor and outdoor
WO2011003136A1 (en) An item of footwear
KR200236697Y1 (en) bag being capable of carrying golf cloth and golf shoes
JP3185289U (en)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