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345B1 - Rotatable of chimney - Google Patents

Rotatable of chimn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345B1
KR101502345B1 KR1020120078269A KR20120078269A KR101502345B1 KR 101502345 B1 KR101502345 B1 KR 101502345B1 KR 1020120078269 A KR1020120078269 A KR 1020120078269A KR 20120078269 A KR20120078269 A KR 20120078269A KR 101502345 B1 KR101502345 B1 KR 10150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moke
draft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1649A (en
Inventor
정은영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345B1/en
Publication of KR2014001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6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유입구를 관통하는 수직축과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형성된 교차축이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에서부터 상기 배출구로 일체로 형성된 이동로를 포함하는 연도(煙道)부 및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이동로의 외면에 장착되고, 외풍에 따라 상기 배출구가 외풍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연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굴뚝이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굴뚝 외부의 풍향에 따라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배출 방향으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배출방향은 항상 외풍의 방향과 나란하기 때문에 연기의 배출 확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main body for generating smoke therein and an inlet po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introducing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smoke from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moving path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let from the inlet, and an exhaust pip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raveling path adjacent to the inlet, wherein the exhaust pipe And a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lue portion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is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f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rection of discharge of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outside of the chimney. Therefor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is alway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굴뚝{Rotatable of chimney}Rotatable of chimney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굴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외풍에 따라 회전하여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가 외풍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굴뚝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able chimn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able chimney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a draft and which can be dischar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일반적으로, 산업용 반도체 시설 및 건물의 외부에는 굴뚝이 마련되어 반도체 시설이나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나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한다. In general, industrial semiconductor facilities and chimneys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s to discharge the air containing smoke or pollutants generated in semiconductor facilities or buildings to the outside.

이때, 굴뚝은 시설이나 건물 상부에 수직으로 마련되는데, 상기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가 외부로 확산되는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굴뚝의 연도(煙道) 내에 환풍기와 같은 배출시스템을 마련하기도 한다. At this time, the chimney is provided vertic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or the building.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ffusing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a discharge system such as a ventilator is provided in the flue of the chimney.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도 연기는 굴뚝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풍에 의하여 확산이 저하되기도 한다. 예시적으로 외풍과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방향이 대향될 경우 연기는 굴뚝 외부로 확산하지 못하고 굴뚝 주변에 머무르게 된다. 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 smoke may be diffused by the draft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himney.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of the smoke emitted from the chimney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moke, the smoke does not diffuse to the outside of the chimney and stays around the chimney.

이때, 반도체 시설의 경우 시설의 내부 정압이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데, 연기 배출 성능 저하에 의하여 내부 압력의 난조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도체 제품 고정에 하자가 발생하기도 한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facility, the internal static pressure of the facility should be kept constant. However, since the internal pressure is hunt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smoke discharge perform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miconductor product is fixed.

또한, 건물 굴뚝의 경우 연기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기가 굴뚝을 통해 역 유입되어 연기로 인한 악취, 매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since the smoke from the building chimney is not properly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oke may flow back through the chimney and odor and smoke may be generated due to the smo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굴뚝 외부의 풍향에 따라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배출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연기의 배출 확산성이 향상된 회전 가능한 굴뚝이 제공된다. A rotatable chimney is provided in which the direction of discharge of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is automatic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wind direction outside the chimney, thereby improving discharge diffusibility of the smok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유입구를 관통하는 수직축과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형성된 교차축이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에서부터 상기 배출구로 일체로 형성된 이동로를 포함하는 연도(煙道)부 및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이동로의 외면에 장착되고, 외풍에 따라 상기 배출구가 외풍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연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for generating smoke therein; an inle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A flue section including a discharge port having an intersecting axis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a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a transfer passag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nd a rotation part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and rotating the flush part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is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ft.

상기 구성에 의하여 굴뚝 외부의 풍향에 따라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배출 방향으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배출방향은 항상 외풍의 방향과 나란하기 때문에 연기의 배출 확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rection of discharge of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outside of the chimney. Therefor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is alway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Can be improved.

상기 이동로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동로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moving path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lternatively, the moving path may be formed to be bent.

또한, 상기 회전부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외풍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배출구가 외풍의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rotary part includes a bearing,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according to the draft can be more easily rotated, thereby allowing the discharge port to b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draft.

한편, 연도부는 배출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외풍의 방향에 따라 연도부를 외풍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깃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향깃은 풍향계와 같은 역할을 하여 외풍에 따라 연도부가 회전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깃은 외풍의 방향과 대향되는 대향면이 마련되고, 대향면은 곡면 또는 평면 중 어느 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lue portion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and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vane that rotates the flue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f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The directional feathers function as a weather vane and guid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lue according to the draft. Such a directional vane may be provided with an opposed surface opposed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and the opposed surface may be formed with either a curved surface or a plane surfac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연기가 발생하는 본체에서 발생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굴뚝이 바람에 따라 회전하여 연기가 배출되는 굴뚝의 배출구와 외풍의 방향이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굴뚝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기가 외풍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출됨으로써, 연기의 토출 효율과 확산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First, the chimney that discharges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body where the smoke is generate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wind, so that the discharge port of the chimney discharging the smoke and the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arranged in parallel. As a result, the smok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chimney is discharged side by side with the direction of the draft, so that the discharge efficiency and diffusion effect of the smok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굴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전 가능한 굴뚝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굴뚝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able chimn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rotatable chimney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able chimn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굴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 가능한 굴뚝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able chimn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able chimney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굴뚝(100)은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본체(120), 본체(120)와 연결되고 본체(120)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 및 본체(120)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를 본체(120) 외부로 배출시키되 유입구를 관통하는 수직축(Ax)과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형성된 교차축(Ay)이 형성된 배출구(144)를 구비하는 연도(煙道)부(140) 및 본체(120)와 연도부(140) 사이에 개재되어 외풍에 따라 배출구(144)가 외풍과 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연도부(1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rotatable chimn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ain body 120 and a main body 120 in which smoke is generated, And an outlet 144 formed with an intersecting axis Ay formed to intersect the vertical axis Ax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so as to obliquely intersect the inlet port (not shown) and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2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20 And a rotation part 160 (160)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120 and the flue part 140 for rotating the flue part 140 so that the discharge port 144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ind direction ).

상기 본체(120)는 반도체 장치를 생산하는 반도체 시설 및 클린룸 등과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아파트, 공단 소각장 등과 같은 건물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20)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본체(120)의 형상,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in body 120 may be a semiconductor device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a clean room, or the like, and may be a part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public incinerator. The shape of the main body 120 may be any of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 circle, and a polyg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and type of the main body 120.

상기 연도부(140)는 본체(120)와 연결되고, 본체(120)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를 본체(12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연기의 이동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도부(140)를 통해 본체(120) 내에서 발생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본체(120) 내부와 연통하며 본체(120)에서 발생한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관통하는 수직축(Ax)과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형성된 배출구(144)와 유입구에서 배출구(144)로 연장되는 이동로(14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lam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and may be defined as a path for mov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2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20. In order for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ame portion 140,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20 flows and a vertical axis Ax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20 And a travel path 142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144. The outlet 144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4,

보다 자세하게, 유입구와 배출구(144)는 서로 다른 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는 굴뚝의 유입구와 배출구(144)는 동일 수직선상에 마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굴뚝(100)은 유입구와 배출구(144)는 서로 다른 축 상에 위치할 뿐 아니라 각각의 축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유입구와 배출구(144)가 마련된다. 이로 인하여, 유입구에서 배출구(144)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동로(142)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로(142)가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외풍과의 접촉에도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inlet and outlet 144 may be provided on different axes. In other words, generally, the inlet of the chimney and the outlet 144 are provided on the same vertical line. However, the chimne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144 so that the inlet and the outlet 144 are located on different axes, and that the respective axes intersect at a predetermined angle slant. Accordingly, the moving path 142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 to the discharging port 144 can be formed to be curved, and since the moving path 142 is formed to be bent, it is possible to reduce friction in contact with the draft.

이때, 상기 이동로(14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풍과의 표면마찰을 줄이고, 더불어 연기의 흐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외풍의 방향이 바뀌며 후술할 회전부(160)의 회전력으로 배출구(144)가 외풍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동로(142)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면 외풍과 이동로(142) 표면과의 표면 마찰이 감소하기 때문에 회전 이동한 연도부(140)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기가 곡선 형상의 이동로(142)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보다 완만하게 유입구에서 배출구(144)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동로(142) 표면과 외풍과의 표면 마찰이 감소함에 따라 이동로(142) 표면에서 외풍과의 마찰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ing path 14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 reduce the surface friction with the draft, and to make the flow of the smoke easier.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of the draft is changed and the discharge port 144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if the moving path 14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surface of the moving path 142 is reduced,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winging part 14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addition, since the smoke moves along the curved traveling path 142, it becomes possible to move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144 more gently. Further, as the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traveling path 142 and the draft is reduced, the friction noise with the draft on the surface of the traveling path 142 can be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뚝(100)은 회전부(160)를 구비함으로써, 외풍의 방향에 따라 연기의 배출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chimne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otation unit 160,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mok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ind.

다시 말해, 상기 회전부(160)는 외풍에 따라 360도 회전하여 배출구(144)의 위치를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에 같은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부(160)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은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을 하는 축을 따라 물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회전부(160)에 베어링을 장착함에 따라 회전부(160)의 회전 운동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베어링의 경우 마모 정도가 약하기 때문에 회전부(160)의 견고성이 향상되어 굴뚝(100) 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160)를 형성함에 따라 배출구(144)에서 배출되는 연기는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연기의 확산 정도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굴뚝(100)에서 토출되는 연기의 토출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rotation unit 160 rotates 360 degrees in accordance with the draf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utlet 144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dischar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draft. To this end, the rotating portion 160 may include a bearing. Bearings are devices that allow objects to move freely along an axis that is rotational or reciprocating. As the bearing is mounted on the rotary part 160,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160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wear of the bearing is weak, the strength of the rotating portion 160 is improv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chimney 100 is increased. As the rotary unit 16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44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draft. Accordingly, the degree of diffusion of the smoke traveling along the wind can be made fast, and the discharge efficiency of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100 can be increased.

한편, 연도부(140)는 배출구(144)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외풍의 방향에 따라 연도부(140)를 외풍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깃(1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fl ame 14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outlet 144 and may further include a flute 146 that rotates the fl ame 14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ft.

상기 방향깃(146)은 풍향계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에 동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방향깃(146)이 이동하는 이동력에 의해 회전부(160)가 회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동로(142)의 위치가 방향깃(146)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배출구(144)의 위치가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The direction vats 146 may serve as weather vanes and may move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blow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160 can be rotated by the moving force of the direction vowel 14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th 142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vowel 146 moves,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144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ft wind is blown.

여기서, 방향깃(146)은 외풍과의 외부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판형, 소정의 두께가 형성된 볼록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vanes 146 are preferably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in order to minimize external friction with the draft,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late shape with little thickness or a convex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뚝(100)의 작동 방법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배출구(144)가 우측 방향을 향해 위치하고, 배출구(144)의 역 방향인 좌측에서 우측으로 외풍이 불어온다고 가정한다. 이때, 외풍의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변경되면 방향깃(146)은 외풍을 인지하면서 변화된 외풍 방향에 따라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이때, 회전부(160)에서 방향깃(146)의 이동력에 대응하는 회전력이 발생하여 방향깃(146)에서 인지한 외풍의 방향과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배출구(144)는 외풍방향과 평행방향인 좌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본체(120) 내의 연기를 자연스럽게 외풍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2, a method of operating the chimn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discharge port 144 is positioned toward the right, and the discharge port 144 is moved from the left- It is assumed that the wind blows. At this time, when the direction of the draft is changed from right to left, the directional vane 146 recognizes the draft, and a force to move along the changed draft direction occurs. At this time, a rotat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force of the direction pulley 146 is generated in the rotation unit 160, and the rotation force is rotated by an angle with the direction of the outward wind recognized by the direction pulley 146. As a result, the discharge port 144 is positioned toward the left side parallel to the wind direction, and the smoke in the main body 120 is discharged natur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굴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able chimn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설명에 앞서, 도 3에 설명되는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동일 부호는 동일 구성 및 동일 효과를 나타내며,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d in FIG. 1 and FIG. 2 described in FIG. 3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ame effec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을 참고하면, 굴뚝(100)은 본체(120)와 연도부(140) 및 회전부(160)를 포함한다. 3, the chimney 100 includes a main body 120, a flue portion 140, and a rotation portion 160.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도부(140)는 본체(120)와 연결되고, 본체(120)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를 본체(12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연기의 이동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도부(140)는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구(144)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144) 사이에는 연기가 이동하는 이동로(142a)가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and the smoke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120 can be referred to as a moving path of the smok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20. The flame section 140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144 through which the smoke is introduced and a passage 142a through which the smoke move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144.

여기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144)는 서로 다른 축 상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이동로(142a)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로(142a)가 소정 각도 꺽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의 꺽임 각도는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144 may be provided on different axes, and the moving path 142a may be formed to be bent. That is, the moving path 142a is formed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ending angle of the bent surfa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required in the invention.

한편, 상기 회전부(160)는 배출구(144)가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이루도록 연도부(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연도부(140)에 마련되어 외풍의 방향에 따라 연도부(140)를 외풍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깃(146)의 운동에 의하여 회전부(160)가 회전하면서 배출구(144)가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120)에서 발생한 연기는 항상 외풍이 불어오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출구(144)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확산력, 토출력이 증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otation unit 160 may move the flushing unit 140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144 has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wind blowing. That is, the rotation part 160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direction vanes 146, which are provided in the flame portion 140 and rotate the flame portion 14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f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ft, It can b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w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20 can always be dischar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draft, so that the diffusing force and the toe output of the smok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opening 144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굴뚝 120: 본체
140: 연도부 142: 이동로
144: 배출구 146: 방향깃
160: 회전부
100: Chimney 120: Body
140: Year Division 142: Moving Road
144: outlet 146:
160:

Claims (6)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를 배출시키는 원형의 배출구 사이에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일체로 연결하는 이동로가 형성된 연도(煙道)부; 및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이동로의 외면에 장착되고, 외풍에 따라 상기 배출구가 외풍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연도부를 회전하도록 베어링으로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관통하는 수직축과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형성된 교차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연도부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연기가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축과 나란한 축상에 형성된 유입직선부와,
상기 유입직선부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입직선부와 경사지도록 상기 교차축과 나란한 축 상에 형성된 직선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 외면에 상기 이동로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풍의 방향에 따라 상기 연도부를 외풍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방향깃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서로 다른 축상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풍에 따라 360도회전하여 상기 이동로를 회전시켜 외풍의 방향과 상기 배출구의 방향이 일치되며,
상기 방향깃은 상기 연도부의 외면 상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굴뚝.
A body in which smoke is generated;
A flue gas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low passage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between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and a circular outlet for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part; And
And a rotation part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raveling path adjacent to the inlet port and formed as a bearing to rotate the flue section such that the outlet port is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ft air in accordance with the draft,
Wherein the outlet is formed on an intersecting axis formed to intersect the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inlet at an angle,
Wherein,
An inflow linear portion formed on an axis parallel to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smoke generated in the main body can move vertically,
A curv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inflow straight portion,
And a rectilinear outlet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in the curved portion and formed on an axis parallel to the crossing axis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let rectilinear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direction coll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ving path on an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th and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so as to rotate the flush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ward flow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outward flow,
Wherei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provided on different axes and the rotary part is rotated 360 degrees according to the draft to rotate the traveling path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raft and the direction of the outlet coincid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direction colla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굴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veling path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는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굴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path is formed to be b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78269A 2012-07-18 2012-07-18 Rotatable of chimney KR101502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269A KR101502345B1 (en) 2012-07-18 2012-07-18 Rotatable of chimn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269A KR101502345B1 (en) 2012-07-18 2012-07-18 Rotatable of chimn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649A KR20140011649A (en) 2014-01-29
KR101502345B1 true KR101502345B1 (en) 2015-03-24

Family

ID=5014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269A KR101502345B1 (en) 2012-07-18 2012-07-18 Rotatable of chimn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3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852A (en)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apping object and method for trapping obj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0316B (en) * 2017-08-07 2023-08-18 马枭天 Chimney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dir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632A (en) * 1993-01-21 1994-08-12 Michio Katayama Ventilating device which changes its direction depending on wind di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632A (en) * 1993-01-21 1994-08-12 Michio Katayama Ventilating device which changes its direction depending on wind dir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852A (en)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apping object and method for trapping object
KR102425841B1 (en) 2019-12-02 2022-07-2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apping object and method for trapping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649A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492B2 (en) Duct fan
KR101259586B1 (en)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KR101387016B1 (en) Local ventilator of re-spread prevention
KR101255739B1 (en) The induced fan for two impeller for jet fan of track type supply air outlet
KR101463455B1 (en) Exhaust ventilation of re-spread prevention and Increasing the displacement
JP2019522138A (en) Blower
JP2012251676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533645B1 (en) Non-motorized swirler local exhaust ventilator using a suction airflow
JPWO2014103233A1 (en) Centrifugal blower and blower with silencer box using the same
KR101222529B1 (en) Vortex type bentilator with bell mouth
KR101502345B1 (en) Rotatable of chimney
KR101602794B1 (en) Exhaust ventilation to increase emissions by constructing a stable air moving road
KR101170160B1 (en)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KR101294324B1 (en)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KR102396592B1 (en) Rapid cycling air conditioner
CN203770237U (en) Air blower
KR102136879B1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reof
KR101294325B1 (en)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KR100816525B1 (en) Air exhaust hood
KR20190096496A (en) Air blower
KR101034976B1 (en) A ventilating device using the air curtain
KR101662288B1 (en)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device
KR200203368Y1 (en) Damper for preventing adverse wind of bath venting fan
JP2006022999A (en) Ventilation device
KR102468323B1 (en) Fanless exhau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