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319B1 -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 Google Patents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319B1
KR101502319B1 KR20130142254A KR20130142254A KR101502319B1 KR 101502319 B1 KR101502319 B1 KR 101502319B1 KR 20130142254 A KR20130142254 A KR 20130142254A KR 20130142254 A KR20130142254 A KR 20130142254A KR 101502319 B1 KR101502319 B1 KR 101502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mart device
card
signal
audio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은
Original Assignee
(주)인피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피닉스 filed Critical (주)인피닉스
Priority to KR2013014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hand-held scan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잭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서, 송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할 수 있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는 상기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아 이를 암호화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에 삽입되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오디오 잭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자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와, 상기 두 신호의 오류 검증을 위한 클럭을 교환함으로써, 휴대용 카드단말기와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의 송수신 신호 오류를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PORTABLE CARD TERMINAL USING AUDIO JACK}
본 발명은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할 수 있는 휴대용 카드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카드단말기는 IC카드나 마그네틱 카드와 같은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 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카드 회사에 전달함으로써 카드 결제를 돕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게에 설치되는 카드단말기는 그 크기가 크고, 카드 회사와 카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유선 통신회선과 연결됨에 따라 휴대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카드단말기가 나왔지만, 배터리와 통신 모듈로 인해 그 크기가 여전히 크고 무거웠으며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통신을 위하여 통신 요금이 별도로 청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존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대안으로 특허문헌 1과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는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 이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면 카드 회사와 카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대체해 처리함으로써, 통신을 위한 모듈 및 배터리를 구비하면서 발생하였던 문제와 통신 요금을 별도로 부담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휴대용 카드단말기는 단순히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단자를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데이터의 전달 속도가 느리며,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한 연결이 불량하거나 외부의 신호 간섭을 받아 송수신하는 신호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3856호(2012년 05월 04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카드단말기와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전송 속도를 늘릴 수 있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카드단말기와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전달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증할 수 있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정보에 대한 출력물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오디오 잭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카드단말기는, 상기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아 이를 암호화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에 삽입되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오디오 잭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자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와, 상기 두 신호의 오류 검증을 위한 클럭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더부는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마그네틱 리더 또는 IC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IC 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 모듈의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 중 어느 두 단자를 선택하여 각각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전용라인과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전용라인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한 단자로 클럭을 교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 모듈의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 중 어느 두 단자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신호나 상기 수신 신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수신 신호의 수신을 막은 상태에서 송신 신호를 상기 두 단자에 나누어 송신하고, 수신 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송신 신호의 송신을 막은 상태에서 수신 신호를 상기 두 단자에 나누어 수신하며, 나머지 한 단자로 클럭을 교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서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상기 클럭의 진동에 맞추어 상기 두 신호를 전달하며, 전달받은 상기 두 신호가 상기 클럭과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으로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클럭의 진동을 기준으로 상기 두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서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상기 클럭의 진동에 맞추어 상기 두 신호를 전달하며, 전달받은 상기 두 신호가 상기 클럭과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 차이가 있을 경우 신호의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있는 신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카드 결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잭의 단자별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카드단말기와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전송 속도를 늘릴 수 있는 휴대용 카드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는 서로 신호를 전달할 때 클럭에 맞추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신호 전달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증할 수 있는 휴대용 카드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에 출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카드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정보에 대한 출력물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카드단말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클럭을 이용한 오류 검증 및 보정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클럭을 이용한 신호 검증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는 리더부(100), 제어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리더부(100)는 사용자의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 장치이다.
현재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카드는 크게 마그네틱 카드와 IC 카드가 있으며, 상기 리더부(100)도 상기와 같은 다양한 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리더부(100)는 마그네틱 카드를 긁었을 때 마그네틱 띠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IC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IC 카드의 금속 패턴과 접촉하여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IC 카드 리더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리더부(100)의 구성에 대해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와 IC 카드 리더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휴대용 카드단말기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카드 리더기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이 극히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 리더부(100)에서 읽어진 카드 정보를 받아 암호화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더부에서 읽어진 카드 정보는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상태의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암호화되지 않은 카드 정보가 후술할 연결부(30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될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에 있을 수 있는 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에 의하여 상기 카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카드 정보를 전달하기 전에 상기 카드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카드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
연결부(300)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스마트 디바이스(SD)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CP)에 삽입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와 서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연결부(30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암호화된 카드 정보로 이루어진 송신 신호를 받은 연결부(300)는 스마트 디바이스(SD)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CP)에 삽입되는 단자모듈(310)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송신 신호를 카드 회사에 보낸 후 카드 회사로부터 결재 정보로 이루어진 수신 신호를 받으면, 상기 단자 모듈(310)을 통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300)를 형성하는 오디오 잭은 도 3과 같은 단자 모듈(310)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 모듈은 다시 좌단자(311), 우단자(312), 마이크단자(313) 및 그라운드단자(3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들 사이는 절연층(320)으로 나뉘어져 상기 각 단자들 간의 간섭을 막는다.
상기와 같은 오디오 잭을 일반적으로 4극 단자라고 하며, 이어폰에 이용되는 4극 단자의 경우 좌단자(311) 및 우단자(312)에서는 스테레오 신호 즉, 좌우 각각의 소리 신호를 전달하고, 마이크단자(313)는 마이크에서 받은 신호를 전송하며, 그라운드단자(314)는 상기 세 단자의 신호 전달에 필요한 그라운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경우 상기 단자 모듈(310)의 좌단자(311), 우단자(312) 및 마이크단자(313) 중 어느 두 단자를 선택해 각각 상기 송신 신호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송신전용라인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수신 신호를 받는 수신전용라인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한 단자는 상기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검증할 수 있는 클럭을 교환하는 클럭라인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는 각각 별도의 단자를 이용해 신호를 전달하므로, 상기 제어부와 스마트 디바이스는 서로 동시에 상대편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기존 하나의 라인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와 비교하여 신호 전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는 상기 좌단자(311), 우단자(312) 및 마이크단자(313) 중 어느 두 단자를 선택해 각각 상기 송신 신호나 상기 수신 신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수신 신호의 수신을 막은 상태에서 송신 신호를 상기 두 단자에 나누어 송신하고, 수신 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송신 신호의 송신을 막은 상태에서 수신 신호를 상기 두 단자에 나누어 수신하며, 나머지 한 단자로 클럭을 교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구조는 상기 제어부와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로 동시에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가 빈번하지 않을 환경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신호를 두 라인에 나누어 전달하게 되므로 신호 전송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클럭을 이용한 신호의 오류 검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클럭(Clock)은 전자 회로를 움직이는 타이밍의 기초가 되는 펄스 신호를 뜻하며, 보통 컴퓨터의 CPU 또는 디지털 회로를 비롯한 모든 부품들을 일정한 속도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200) 및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클럭의 진동에 맞추어 상기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신호 전달 간 발생할 수 있는 신호 오류를 검증할 수 있다.
상기 클럭을 이용한 오류 검증 및 보정 방식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00)와 스마트 디바이스는 단자모듈(310)의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상기 클럭라인을 통하여 도 4의 (a)와 같은 규칙적인 클럭을 상시 교환한다. 이때 서로 교환하는 클럭의 진동수 및 신호 크기(전압)는 미리 정해놓음으로써 외부 및 내부 환경에 의해 상기 클럭의 진동수 및 신호 크기가 변하였을 때 이를 바로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도 4의 (b)와 같은 수신 신호를 받았을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클럭의 신호 크기 및 진동수를 기준으로 노이즈가 섞인 상기 수신 신호를 도 4의 (c)와 같이 보정 한다.
제어부(200)에서 수행되는 상기와 같은 보정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클럭의 신호 크기를 기준으로 일정 기준 이상이면 High(5V) 일정 기준 이하면 Low(0V)로 설정하여 도 4의 (c)와 같이 보정하게 된다.
도 4에서는 수신 신호의 신호 크기가 클럭의 신호 크기 대비 80% 이상일 경우 High로 설정하고 그 이하일 경우 Low로 설정하여 노이즈가 섞인 수신 신호를 보정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보정에 사용되는 기준은 현장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럭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판단하고, 상기 문제가 있는 신호를 삭제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의 (a)와 같은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도 5의 (b)와 같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받아 비교하였을 때, 신호의 크기가 High 인 상태가 계속되어 진동수를 확인할 수 없거나, 신호 크기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외부 장치로 인한 간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동수의 변화나 전압의 상승은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자주 발생하며, 특히 연결부(300)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CP) 사이에 불법적인 신호 해킹 장치를 장착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호에 문제가 있는 것이 확인될 경우 이러한 신호를 삭제하여 카드 사용자의 피해를 막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의 구성도와 비교하여 출력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카드 결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 롤 형태의 용지가 장착된 프린터로 형성되어 상기 카드 결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로 형성되어 상기 카드 결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해 카드 결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가 카드 결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른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리더부 200 : 제어부
300 : 연결부 400 : 출력부

Claims (7)

  1. 오디오 잭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서,
    상기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아 이를 암호화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에 삽입되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오디오 잭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자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와, 상기 두 신호의 오류 검증을 위한 클럭을 교환하고,
    상기 단자 모듈의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 중 어느 두 단자를 선택하여 각각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전용라인과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전용라인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한 단자로 클럭을 교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2. 오디오 잭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서,
    상기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아 이를 암호화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에 삽입되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오디오 잭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자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와, 상기 두 신호의 오류 검증을 위한 클럭을 교환하고,
    상기 단자 모듈의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 중 어느 두 단자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신호나 상기 수신 신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송신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수신 신호의 수신을 막은 상태에서 송신 신호를 상기 두 단자에 나누어 송신하고, 수신 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송신 신호의 송신을 막은 상태에서 수신 신호를 상기 두 단자에 나누어 수신하며, 나머지 한 단자로 클럭을 교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3. 오디오 잭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서,
    상기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아 이를 암호화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에 삽입되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오디오 잭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자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와, 상기 두 신호의 오류 검증을 위한 클럭을 교환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서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상기 클럭의 진동에 맞추어 상기 두 신호를 전달하며, 전달받은 상기 두 신호가 상기 클럭과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으로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클럭의 진동을 기준으로 상기 두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4. 오디오 잭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서,
    상기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아 이를 암호화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포트에 삽입되는 오디오 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오디오 잭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좌단자, 우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단자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와, 상기 두 신호의 오류 검증을 위한 클럭을 교환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서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상기 클럭의 진동에 맞추어 상기 두 신호를 전달하며, 전달 받은 상기 두 신호가 상기 클럭과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 차이가 있을 경우 신호의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있는 신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부는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마그네틱 리더 또는 IC 카드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IC 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카드 결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7. 삭제
KR20130142254A 2013-11-21 2013-11-21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KR10150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254A KR101502319B1 (ko) 2013-11-21 2013-11-21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254A KR101502319B1 (ko) 2013-11-21 2013-11-21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319B1 true KR101502319B1 (ko) 2015-03-13

Family

ID=5302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2254A KR101502319B1 (ko) 2013-11-21 2013-11-21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3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678A (ko) * 2004-08-25 200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내장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KR20130004722A (ko) * 2011-07-04 2013-01-14 노창섭 모바일 카드 리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678A (ko) * 2004-08-25 200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내장 이어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KR20130004722A (ko) * 2011-07-04 2013-01-14 노창섭 모바일 카드 리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8249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y using usb interface
US20150269538A1 (en) Security devices and systems for digital currency transfer
US10958094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hannel by using wireless charging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471491B1 (ko) 무선 통신 단말, 반도체 디바이스, 데이터 통신 방법 및무선 통신 시스템
JP200800497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間での暗号鍵の交換方法
US113812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preamble in UWB network
KR100845525B1 (ko) 메모리 카드 시스템, 그것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580345B1 (ko) 레인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6692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secure switch
EP2704021A1 (en) SRAM handshake
EP2698746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via an RFID IC
US20150270874A1 (en) Docking station for a wireless energy and data connection
EP31571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data verification method
CN107437997B (zh) 一种射频通信装置及方法
KR101502319B1 (ko) 오디오 잭을 이용한 휴대용 카드단말기
US20140258584A1 (en) Bus relay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pparatus, cable, connector, electronic appliance, and bus relay method
US8977198B2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electronic appliances, and corresponding appliances
US20140254638A1 (en) Relay device and relay method
JP5740867B2 (ja) 通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暗号切替方法
KR20150054100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US20110195750A1 (en) Application expanding dock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ystem thereof
AU2018200864B2 (en) Multi-use near field communication front end on a point of sale system
US20180205259A1 (en) Power suppl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30014268A1 (en) Storage device and storage method
KR102420901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