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111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111B1
KR101502111B1 KR1020080100011A KR20080100011A KR101502111B1 KR 101502111 B1 KR101502111 B1 KR 101502111B1 KR 1020080100011 A KR1020080100011 A KR 1020080100011A KR 20080100011 A KR20080100011 A KR 20080100011A KR 101502111 B1 KR101502111 B1 KR 10150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condenser
cover
locking
seal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031A (ko
Inventor
전명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1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2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material injected between a non-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hardening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컨덴서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덴서를 커버하는 컨덴서커버와, 상기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전면에 잠금장치를 가지는 실링커버와,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잠금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덴서커버의 구조가 개선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장치가 구비되는 건조기는 드럼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이 상승 및 낙하하게 되고,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장치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 대상물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건조 시 사용한 고온의 공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순환유로와 컨덴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습공기와 외부공기가 컨덴서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원활한 열교환을 하고, 순환유로를 이동하는 습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커버를 마련한다.
실링커버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실링커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실링 효율을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실수로 실링커버의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으면 건조기의 건조효율이 떨어지고, 습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조기에 있어서, 컨덴서커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실링커버가 항상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실링 효율이 증대되는 건조기의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컨덴서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덴서를 커버하는 컨덴서커버와, 상기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전면에 잠금장치를 가지는 실링커버와,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잠금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록킹되는 제1위치와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를 가지고, 상기 대응부는 상기 제1위치의 잠금장치를 수용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는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간섭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록킹되는 제1위치와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를 가지고,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컨덴서커버가 닫힐 때 상기 간섭리브가 상기 잠금장치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가 설치되는 설치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실링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설치케이스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손잡이부 를 가지고,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부와 상기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간섭리브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설치케이스의 양측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실링커버의 전면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간섭리브는 상기 각각의 잠금장치마다 하나씩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컨덴서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덴서를 커버하는 컨덴서커버와, 상기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전면에 잠금장치를 구비한 실링커버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록킹되는 제1위치와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경로를 가지고,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서 벗어난 경로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장치에 대응되어 상기 컨덴서커버가 닫히는 것을 차단하는 대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는 상기 제1위치의 잠금장치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제1위치에서 벗어난 경로상에 위치한 상기 잠금장치에 간섭되는 간섭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컨덴서커버에 형성된 대응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링커버를 완전히 잠그지 않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항상 실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2)과, 드럼(2)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3)을 포함한다.
캐비닛(1)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을 드럼(2)에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의 전방에는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4)가 힌지 결합된다.
드럼(2)은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2)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드럼(2)의 내부에는 드럼(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리프터(5)가 배치된다. 리프터(5)는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시켜 건조 대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한다.
구동유닛(3)은 드럼(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벨트(3a)와, 벨트(3a)와 연결된 구동풀리(3b)와, 구동풀리(3b)와 연결된 모터축(3c)과, 모터축(3c)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d)를 포함한다.
한편, 모터축(3c)의 선단에는 모터(3d)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6)이 설치되고, 모터축(3c)의 후단에는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건조팬(7)이 설치된다. 건조팬(7)은 공급유로(8) 상에 배치된 히터(8a)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드럼(2)의 후면에 형성된 유입구(8b)를 통해 드 럼(2) 내부로 공급하고, 드럼(2) 내부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공기가 드럼(2) 개구부의 하측에 마련된 린트필터(9c)로 유입되어 하강유로(9a)를 통해 컨덴서(22:도 2 참조)로 이동하도록 한다. 냉각팬(6)은 흡입유로(10a)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컨덴서(22)를 지나서 배기유로(10b:도 2 참조)로 배출되면서 컨덴서(22)를 교차하여 이동하는 습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공기는 컨덴서(22)를 지나면서 외부 공기에 열을 빼앗기고, 이 때 습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컨덴서(22)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응축수가 응축수저장실(미도시)로 모이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컨덴서커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드럼(2)의 하부에는 베이스 어셈블리(20)가 장착되고, 베이스 어셈블리(20)는 유로들이 형성된 베이스(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21)에 형성된 유로들은 크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공기가 컨덴서(22)를 지나서 다시 공급유로(8)로 순환하는 순환유로와 외기유로로 구분된다. 순환유로는 습공기가 린트필터(9c)를 거쳐서 컨덴서(22)를 향해 하강하는 하강유로(9a)와 컨덴서(22)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유로(8)를 향해 이동하는 수평유로(9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기유로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로(10a)와 배기하는 배기유로(10b)로 나누어지며, 흡입유로(10a)와 배기유로(10b) 사이에는 냉각팬(6)이 설치되는 설치홈(23)이 형성된다.
순환유로와 외기유로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컨덴서(22)가 설치된다. 컨덴서(22)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드럼(2)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와 외부 공기가 교차되어 흐르도록 내부가 구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공기와 흡입유로(10a)를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컨덴서(22)의 형상에 의해 서로 혼합되지 않고 열교환만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컨덴서(22)의 전면 공간에는 하강유로(9a)로 이동하는 습공기가 바로 컨덴서(22)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습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 역할을 하는 실링커버(30)가 설치된다. 실링커버(30)는 컨덴서(22)의 전면과 하강유로(9a)의 하측에 마련된 설치케이스(31) 내부에 수용되고, 컨덴서커버(40)에 의해 가려진다.
실링커버(30)의 후면은 테두리에 실링부재(미도시)가 둘러져 있으며, 실링커버(30)의 후면 하측에는 하강유로(9a)를 통하여 순환하는 습공기가 컨덴서(22)의 전면으로 안내되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안내면(32)이 형성된다. 안내면(32)은 습공기가 마찰력을 받지 않고 컨덴서(22)로 이동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실링커버(30)의 후면 상측에는 안내면(32)이 연장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실링커버(30)가 기울어지지 않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33)가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실링커버(30)의 전면의 양단에는 중간 지점에 잠금장치(34)가 각각 설치된다. 잠금장치(34)는 실링커버(3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축으로부 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잠금부(34a)와 잠금부(34a)와 대략 직각을 이루어 연장되는 손잡이부(34b)로 이루어진다. 잠금장치(34)의 각각의 손잡이부(34b)를 회전시켜 잠금부(34a)가 설치케이스(31)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릿(31a)으로 각각 삽입되어 잠금부(34a)가 수평을 이루게 되면 실링커버(30)가 설치케이스(31) 내부에 완전하게 체결된 것이다. 여기에서 실링커버(30)는 잠금장치(34) 이외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기 때문에, 습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기 위해서 실링커버(30)의 잠금장치(34)가 완전히 체결되어 실링커버(30)가 설치케이스(31)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실링커버(30)의 전면 중앙부에는 실링커버(30)를 설치케이스(31) 내부에 설치하거나 실링커버(30)를 건조기 외부로 해체할 때 손가락을 넣어서 실링커버(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5)가 형성되어 있다.
컨덴서커버(40)는 하측이 베이스(21)와 힌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컨덴서커버(40)의 상측 중앙에는 걸림후크(41)가 마련되고, 걸림후크(41)는 설치케이스(31)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홀(31b)과 결합하여 컨덴서커버(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컨덴서커버(40)를 닫았을 때 컨덴서커버(40)의 외부면은 캐비닛(1)의 외부면과 일치하게 되어 캐비닛(1)과 함께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실링커버(30)와 컨덴서(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컨덴서커버(40)의 후면에는 컨덴서커버(40)의 외곽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컨덴서커버(4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리브(42)가 형성된다. 테두리리브(42)의 양측에는 잠금장치(34)가 완전히 잠겼을 때 잠금부(34a)에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로 컷팅된 수용홈(42a)이 형성된다.
테두리리브(42)의 내부에는 보강리브(43) 및 실링커버(30)가 완전히 잠기지 않으면 잠금장치(34)에 간섭되어 컨덴서커버(40)도 닫히지 않게 하는 간섭리브(44)가 형성된다. 보강리브(43)와 간섭리브(44)에 대해서는 후술할 내용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도 3의 실링커버의 잠금장치가 완전히 잠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의 실링커버의 잠금장치가 불완전하게 잠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3의 실링커버의 잠금장치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컨덴서커버(40)의 구조와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컨덴서커버(40)의 후면에 형성된 테두리리브(42)의 내부에는 보강리브(43)와 간섭리브(44)가 형성된다.
간섭리브(44)는 컨덴서커버(4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간섭리브(44)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간섭리브(44)는 각각의 잠금장치(34)마다 하나씩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간섭리브(44)는 잠금장치(34)가 완전히 잠겼을 때 각각의 잠금장치(34)의 손잡이부(34b)에 간섭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손잡이부(34b)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간섭리브(44)는 잠금장치(34)가 완전히 잠기지 않으면 간섭리브(44)가 잠금장치(34)에 간섭되어 컨덴서커버(40)가 닫히지 않을 만큼 돌출되어야 한다.
또한, 보강리브(43)도 컨덴서커버(4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간섭리브(44) 사이의 중앙을 지나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강리브(43)는 컨덴서커버(40)와 간섭리브(44)의 강성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도 4a와 같이 잠금장치(34)가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컨덴서커버(40)를 닫게 되면 잠금장치(34)의 잠금부(34a)는 수용홈(42a)에 수용되고, 잠금장치(34)의 손잡이부(34b)와 간섭리브(44)는 서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컨덴서커버(40)가 정상적으로 닫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실링커버(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 컨덴서커버(40)를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도 4b와 같이 잠금장치(34)가 불완전하게 잠긴 상태에서 컨덴서커버(40)를 닫게 되면 잠금장치(34)의 잠금부(34a)는 수용홈(42a)에 수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34)의 손잡이부(34b)와 간섭리브(44)가 서로 접촉하여 간섭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컨덴서커버(40)를 닫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잠금장치(34)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컨덴서커버(40)를 닫게 되면 도 4b와 마찬가지로 잠금장치(34)의 손잡이부(34b)와 간섭리브(44)가 서로 접촉하여 간섭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컨덴서커버(40)를 닫을 수 없게 된다.
즉,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링커버(30)를 불안정적으로 고정하거나 실링커버(30)를 아예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덴서커버(40)도 닫히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실링커버(30)의 잠금장치(34)를 완 전히 잠그지 않고 컨덴서커버(40)를 닫게 되더라도, 컨덴서커버(40)가 닫히지 않는 현상 때문에 사용자는 실링커버(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은 사실을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실링커버(30)를 다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항상 실링커버(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습공기가 실링커버(30)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과 건조기의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컨덴서커버(40)의 후면에 수용홈(42a)과 간섭리브(44)를 함께 형성하였으나, 수용홈(42a)과 간섭리브(44) 중 어느 하나만 형성하여도 실링커버(3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컨덴서커버(40)가 닫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컨덴서커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실링커버의 잠금장치가 완전히 잠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실링커버의 잠금장치가 불완전하게 잠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3의 실링커버의 잠금장치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드럼, 9a,9b: 순환유로,
10a,10b: 외기유로, 22: 컨덴서,
30: 실링커버, 34: 잠금장치,
40: 컨덴서커버, 44: 간섭리브

Claims (7)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컨덴서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덴서를 커버하는 컨덴서커버와,
    상기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전면에 잠금장치를 가지는 실링커버와,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잠금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대응부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록킹되는 제1위치와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를 가지고,
    상기 대응부는 상기 제1위치의 잠금장치를 수용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는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간섭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록킹되는 제1위치와 록킹이 해제되는 제2 위치를 가지고,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컨덴서커버가 닫힐 때 상기 간섭리브가 상기 잠금장치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가 설치되는 설치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실링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설치케이스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부와 상기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간섭리브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케이스의 양측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실링커버의 전면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간섭리브는 상기 각각의 잠금장치마다 하나씩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컨덴서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덴서를 커버하는 컨덴서커버와, 상기 컨덴서와 상기 컨덴서커버 사이에 설 치되며 전면에 잠금장치를 구비한 실링커버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록킹되는 제1위치와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경로를 가지고,
    상기 컨덴서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서 벗어난 경로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장치에 대응되어 상기 컨덴서커버가 닫히는 것을 차단하는 대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는 상기 제1위치의 잠금장치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제1위치에서 벗어난 경로상에 위치한 상기 잠금장치에 간섭되는 간섭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80100011A 2008-10-13 2008-10-13 건조기 KR10150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011A KR101502111B1 (ko) 2008-10-13 2008-10-13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011A KR101502111B1 (ko) 2008-10-13 2008-10-13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031A KR20100041031A (ko) 2010-04-22
KR101502111B1 true KR101502111B1 (ko) 2015-03-12

Family

ID=4221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011A KR101502111B1 (ko) 2008-10-13 2008-10-13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5071A1 (de) * 2013-08-01 2015-0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einer Wartungsöffnung, die durch einen Wartungsverschluss verschließbar ist
DE102013225349B4 (de) 2013-12-10 2017-01-0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DE102015205448A1 (de) * 2015-03-25 2016-11-10 BSH Hausgeräte GmbH Wartungsklappe für ein Hausgerät und Hausgerät
CN108004734A (zh) * 2017-11-14 2018-05-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127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KR20050063126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127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KR20050063126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031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988B1 (ko) 건조기의 도어 린트 필터 밀착 장치
EP2788539B1 (en)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US7036243B2 (en) Laundry dryer and condenser assembly thereof
US7591082B2 (en) Laundry dryer
US20050223755A1 (en) Washing machine
KR101502111B1 (ko) 건조기
KR101829833B1 (ko) 세탁기
EP2881512B1 (en) Clothes drier
JP6047754B2 (ja) 衣類乾燥機
US20050223585A1 (en) Clothes dryer
KR100898928B1 (ko) 건조기
KR101079934B1 (ko) 건조기의 도어 힌지 구조
KR101225962B1 (ko) 세탁 건조기의 증기 역류 방지 제어 방법
KR20050063126A (ko)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KR101143765B1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JP2020039527A (ja) 衣類乾燥機
KR101079972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JP5457719B2 (ja) 衣類乾燥機
KR101079899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EP2743396A1 (en) Laundry drying machine
KR20050063127A (ko)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KR101067956B1 (ko) 건조 선반이 구비된 건조기
KR101021710B1 (ko) 건조기의 전면부 실링구조
KR101022219B1 (ko) 의류건조기
KR100607275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