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84B1 -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84B1
KR101501984B1 KR1020130082408A KR20130082408A KR101501984B1 KR 101501984 B1 KR101501984 B1 KR 101501984B1 KR 1020130082408 A KR1020130082408 A KR 1020130082408A KR 20130082408 A KR20130082408 A KR 20130082408A KR 101501984 B1 KR101501984 B1 KR 10150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control
handrail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7852A (en
Inventor
서연호
김종서
김은수
우회길
이종배
여화창
이종희
최영재
정한성
박태동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Priority to KR102013008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84B1/en
Publication of KR2015000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20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스컬레이터에 구비된 핸드 레일과 스텝의 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간단하고 단순한 속도제어장치를 핸드 레일에 구성하되, 상기 속도제어장치를 핸드 레일의 좌,우측 양쪽과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에 각각 구성하고 각각의 속도 편차를 검출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d control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 control device for a hand rail, which comprises a hand rail provided in an escalator and a simple and simple speed control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moving speed of the ste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speed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accurately control and stably control an escalator by respectively constituting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rail and the drive sprocket that drives the step, .

Figure R1020130082408
Figure R1020130082408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에 구비된 핸드 레일 및 스텝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peed of an esca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ed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handrail and a step provided in the escalator.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움직이는 계단으로 대량 운송 및 외부 전망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이용자의 이동이 많은 지하철 역사 및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 설치되어 많은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Generally, the escalator is a movable staircase, which is conveniently installed in a subway station, a department store, a large-scale shopping mall, and the like, because of its advantage of easy mass transportation and external view.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철골 구조의 트러스를 상,하층 바닥보에 걸쳐 설치하고 무단 연속 체인과, 핸드 레일 및 스텝을 설치하여 상기 체인의 구동에 의해 핸드 레일과 스텝을 순환시켜 이용자를 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스텝을 구동시키는 메인 구동장치와, 핸드 레일을 구동하는 핸드레일 구동장치가 있다.Wherein the escalator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a user by installing a truss of a steel structure across the upper and lower floor beams, installing an endless continuous chain, a handrail and a step, circulating the handrail and the step by driving the chain, A main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step, and a handrail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handrail.

그러나 에스컬레이터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 이용자가 안전장치 없이 자유롭게 스텝에 탑승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몸의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전도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탑승 시에는 반드시 핸드 레일을 잡고 있어야 몸의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전도 사고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However, while the escalator is moving, the user is allowed to ride on the step freely without a safety device, so there is a high risk of a fall accident that falls off the center of the body. Because of this structural feature, it is necessary to hold the handrail when boarding the escalator so that it can be safe from a fall accident that loses its center and falls.

그런데 상기 핸드 레일과 핸드 레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장치들의 마모, 설치 상태 등에 대한 점검이 철저히 수행되지 않을 경우 많은 이용자가 이용하는 핸드 레일과 스텝의 구동력이 저하되므로, 핸드 레일과 스텝의 속도 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핸드 레일의 장력 부족에 의해 작동이 정지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However, when the wear and mounting conditions of the driving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the hand rails and the hand rails are not thoroughly checked, the driving force of the hand rails and the steps used by many users is lowered.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by the lack of tension of the handrail.

이에 따라, 이용자의 몸이 정지 관성에 의해 중심을 잃고 뒤로 넘어지면서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대체적으로 혼자가 아닌 다수의 이용자가 연쇄적으로 밀려 넘어지는 대형 인명 사고로 발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an accident occurs due to the user's body being centered by the stopping inertia and falling backward. Generally, a large number of users, rather than alone, are pushed down in a chain-like manner.

따라서, 이와 같은 인명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37975호의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수접용 장력조정장치'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에 구비된 핸드 레일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핸드 레일을 정지시키지 않고 그 이동 속도를 설정치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ersonal accident from occurring,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37975 entitled " Tension Adjusting Apparatus for Moving and Passing a Passenger Conveyor ", the tension of the handrail provided in the escalato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 tension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handrail can be maintained at or above a set value without stopping the handrail.

그런데, 상기 장력조정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잦은 고장 등으로 인해 작동을 무효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is complicated in its construc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not easy, and the operation is canceled due to frequent trouble or the like.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에 위치한 핸드 레일 및 스텝과의 속도 편차에 의한 사고 위험에 대해 어떠한 대비책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 measures are taken against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handrail and the step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37975호(1995.05.30)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37975 (May 30, 199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에 구비된 핸드 레일과 스텝의 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간단하고 단순한 속도제어장치를 핸드 레일에 구성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nd simple speed control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speed of movement of a handrail and a step provided on an escalator, I have 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속도제어장치를 핸드 레일의 좌,우측 양쪽과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에 구성하여 양쪽 핸드 레일 및 스텝의 속도 편차를 검출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정밀 제어는 물론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ed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control device in a drive sprocket for driving both the left and right hand rails and the step,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양측에 구비된 핸드 레일과 스텝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싱수단;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기를 에스컬레이터에 맞도록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프로그램 제어할 수 있도록 시퀀스 제어 및 수치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토대로 에스컬레이터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판단되는 판단 정보를 토대로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위험 상황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핸드 레일의 대응하는 하면에 밀착되어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과 치합하여 회전 가능한 기어 형상의 치부와 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기어 휠; 및,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어 휠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거나 펄스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scalator speed control apparatus including sensing means for sensing a rotation speed of a handrail and a step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escalator,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sequence control and a numerical calculation function so as to perform program control of the escal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scala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Control means including a relay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And a warning means for informing a user of a dangerous situation visually or visually based on the judgment information judged by the control means, wherein the sensing means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lower surface of the handrail, A gear wheel in which gear teeth and grooves rotatable by mating with drive sprockets for driving the step are continuously formed; And a proximity sensor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gear whee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easuring the time between pulses.

또한, 상기 센싱수단의 근접 센서는 상기 핸드 레일의 좌,우 양측 또는 상기 구동 스프로켓에 구비되어 기어 휠에 배치되는 치부와 홈부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부는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되, 상기 핸드 레일 좌,우측 및 스텝 간의 속도 편차를 검출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정상 동작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ximity sensor of the sensing means continuously detects tooth portions and groove portio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rail or on the drive sprocket so as to be disposed on the gear wheel and the control portion of the control means And converting the electric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storing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step to determine a normal operation of the escalator.

상기 근접 센서는, 페라이트 코어 내에 들어있는 코일이 일정한 발진 주파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여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어 휠의 치부와 홈부가 연속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자장이 일그러지면서 미세한 신호의 변화를 발생하는 검파 코일; 상기 검파코일에 접속되어 검파코일이 자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주파수의 고주파 발진을 유지시켜 주는 발진 회로; 상기 발진 회로로부터의 미세한 신호의 변화를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 및,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검파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magnetic field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distorted as a tooth and a groove portion of the gear wheel are continuously detected in a state where a coil contained in a ferrite core forms and maintains a magnetic field with a predetermined oscillation frequency, coil; An oscill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detection coil to maintain a high-frequency oscillation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so that a detection coil can form a magnetic field; An amplifying circuit for amplifying a change of a minute signal from the oscillation circuit; And a detection circuit which removes unnecessary noise and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상기 전원공급부는, 높은 주파수로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 회로를 거쳐 안정된 각종 직류 전압을 얻게 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that performs intermittent control at a high frequency and obtains various DC voltages through a rectifying and smoothing circuit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escalator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may be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f a digita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escalator.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부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태신호를 입력받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해독하여 처리 내용을 제어하는 CPU; 및, 상기 CPU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ower unit that converts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into a power source usable in the control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tatus signal of the escalator 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escalator; A CPU for decrypting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and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processing contents;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escalator through the CPU.

상기 경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판단되는 판단 정보를 토대로 경고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경고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표시 발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warning unit comprises: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for audibly informing the manager and the user when the warning outpu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nd a warning display generating unit for visually informing an administrator and a user when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the warning output signal is satisfied.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 제어방법은, 핸드 레일의 좌,우 양측에 별도로 설치된 각각의 센싱수단을 통해 핸드 레일 각각의 속도를 측정하고,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에 설치된 센싱수단을 통해 스텝의 속도를 측정하여 핸드 레일 좌,우 양측과 스텝 간의 속도 비교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정상 동작을 판단하되, 상기 센싱수단의 근접 센서가 기어 휠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거나 펄스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이동 속도에 대한 측정 값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속도의 편차를 검출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좌,우측 핸드 레일과 스텝간의 이동 속도의 편차가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경고수단을 통해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ed control method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of each of the hand rails is measured through respective sensing means provided separat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rail and the speed of each step is controlled by sensing means provided in a drive sprocket for driving the step The proximity sensor of the sensing means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gear wheel or measures the time between the pulses and measures the measured value Transmitting to the control means a measured value of the moving speed; Detecting a deviation of the moving speed by the control means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normal; Informing the manager and the user via the warning means when the deviation of the moving spe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d rails and the step is out of a set reference value by the control means; And disconnecting the power supply of the escalator by the control means.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 및 스텝과 연동하는 기어 휠과, 상기 기어 휠로부터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를 핸드 레일의 좌,우 양측과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에 배치함으로써,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핸드 레일과 스텝의 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의 정밀 제어를 수행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운행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peed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gear wheel interlocked with the handrail and the step of the escalator, and the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from the gear wheel, By arranging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driving sprocket for driving the step,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detect the moving speed of the handrail and the step, and precisely control the escalator, thereby realizing stable operation .

또한, 상기 기어 휠과 근접 센서로 이루어진 센싱수단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 및 보수, 점검이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sensing means including the gear wheel and the proximity sensor is simple and simpl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inspection are convenient and easy.

그리고, 상기 핸드 레일 및 스텝의 이동 속도의 편차가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게 될 경우 경보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쉽게 알릴 수 있게 된다.
And, when the devi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handrail and the step becomes out of the set reference value, it becomes easy to inform the user through the alarm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에 구비된 센싱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로서, 도 2a는 핸드 레일 측에 설치된 센싱수단이고, 도 2b는 스텝 측에 설치된 센싱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에 구비된 근접 센서의 내부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 제어를 나타내는 운전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에 구비된 근접 센서의 정상 펄스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에 구비된 근접 센서의 비정상 펄스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ensing means provided in the speed control device of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ensing means provided on the handrail side, Fig. 2b is a view to b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of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a speed control device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speed control apparatus of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speed control method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al timing chart showing the speed control of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waveform chart showing a normal pulse of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speed control device of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waveform chart showing an abnormal pulse of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a speed control device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는, 기본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양측에 구비된 핸드 레일(R)과, 스텝(미도시)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센싱수단(100)을 포함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기를 에스컬레이터에 맞도록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0)와,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프로그램 제어할 수 있도록 시퀀스 제어 및 수치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에스컬레이터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230)를 포함하는 제어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00)에서 판단되는 판단 정보를 토대로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위험 상황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300)을 포함한다.
1, the speed control device for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handrail R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escalator, a sensing means 100 for sensing a moving speed of a step (not shown) A power supply unit 210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AC power supplied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to an escalator, a control unit 220 for performing a sequence control and a numerical calculation function so as to perform program control of the escalator, And a relay (230) for supplying or disconnecting power to the escalator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20), wherein the control unit (200) And alerting means 300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dangerous situation visually or visually.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수단(100)은, 핸드 레일(R) 측과 스텝 측에 구비되는 바, 상기 핸드 레일(R) 측의 센싱 수단(100)은 상기 핸드 레일(R)의 대응하는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핸드 레일(R)의 이동 시 고정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110)와, 상기 회전롤러(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110)와 함께 상기 고정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기어 형상의 이가 형성되는 기어 휠(120)과, 일정 시간 동안에 상기 기어 휠(120)의 잇수, 즉 펄스 수를 카운트하거나 펄스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 센서(130)를 포함한다. 2A, the sens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hand rail R side and the step side, and the sensing means 100 on the handrail R side is provided on the handrail R side, A rotating roller 1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110 and rotates about a fixed axis A when the handrail R is moved; A number of teeth of the gear wheel 120, that is, a number of pulses, or a time between puls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 proximity sensor 13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그리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측의 센싱 수단(100)은 상기 스텝을 구동시키는 메인 구동장치의 구동 스프로켓(S)과 치합하여 회전 가능하며 기어 형상의 이가 형성되는 기어 휠(120')과, 일정 시간 동안에 상기 기어 휠(120')의 잇수, 즉 펄스 수를 카운트하거나 펄스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 센서(130')를 포함한다. 2B, the sensing means 100 on the step side is rotatable with the driving sprocket S of the main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step, and the gear wheel 120 And a proximity sensor 130 'for counting the number of teeth, that i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gear wheel 120' or measuring the time between the pulse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이때, 상기 기어 휠(120,120')과 근접 센서(130,130')로 이루어진 센싱수단(100)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 및 보수, 점검이 편리하고 용이하다. At this time, the sensing means 100 including the gear wheels 120 and 120 'and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is convenient and easy to install, repair, and check.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 휠(120)은 일정한 개수의 치부(121) 및 홈부(122)가 등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치부(121) 및 홈부(122)가 예컨대, 비트 신호 '0'과 '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gear wheel 120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tooth portions 121 and groove portions 122 repeatedly formed at equally spaced intervals. When the tooth portions 121 and the groove portions 122 are formed of, for example, a bit signal '0' 'And' 1 ', respectively.

즉,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R)과 스텝이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기어 휠(120,120')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기어 휠(120,120') 주위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근접 센서(130,130')에 의해 기어 휠(120,120')에 배치되는 치부(121,121')와 홈부(122,122')가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상기 근접 센서(130,13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That is, as the handrail (R) of the escalator and the step move, the gear wheels 120 and 120 'rotate. By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installed close to the gear wheels 120 and 120 ' The tooth portions 121 and 121 'and the groove portions 122 and 122' disposed on the gear wheels 120 and 120 'are continuously detected and the electric signals outputted from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are detected by the control means 200 as digital signals Converted and stored.

상기 기어 휠(120,120')에 근접하여 상기 치부(121,121')와 홈부(122,122')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근접 센서(130,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어 내에 들어있는 코일이 일정한 발진 주파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여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어 휠(120,120')의 치부(121,121')와 홈부(122,122')가 연속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자장이 일그러지면서 미세한 신호의 변화를 발생하는 검파 코일(131)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3,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that continuously detect the teeth 121 and 121' and the grooves 122 and 122 'in proximity to the gear wheels 120 and 120' The teeth 121 and 121 'and the grooves 122 and 122' of the gear wheels 120 and 120 'are continuously detected in a state where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maintained by a predetermined oscillation frequency, so that a magnetic field is distorted, And a coil 131.

또한, 상기 검파 코일(131)에 접속되어 검파 코일(131)이 자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주파수의 고주파 발진을 유지시켜 주는 발진 회로(132)를 구비한다. And an oscillation circuit 132 connected to the detection coil 131 to maintain a high-frequency oscillation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so that the detection coil 131 can form a magnetic field.

또한, 상기 발진 회로(132)로부터의 미세한 신호의 변화를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133)와,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검파 회로(134)를 구비한다. An amplifying circuit 133 for amplifying a change of a minute signal from the oscillation circuit 132 and a detection circuit 134 for removing unnecessary noise and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이와 같이 구성된 근접 센서(130,130')에 따르면, 출력되는 단위 치부(121,121') 또는 단위 홈부(122,122')의 지속 시간을 통해 상기 핸드 레일(R)과 스텝의 회전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위 각도가 1도이고 단위 비트 지속시간이 m 초라 하면, m 초당 1도 만큼 회전하는 것이므로, 1회전 즉, 360도 회전하는 데는 360m 초가 소요되고, 이는 1초당 1/360m회전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를 rpm으로 환산하면, 1/6m rpm이 된다.
According to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handrail R and the step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duration of the output unit portion 121 or 121' or the unit groove portion 122 or 122 ' , If the unit angle is 1 degree and the unit bit duration is m seconds, it rotates by 1 degree per m seconds. Therefore, it takes 360 ms to rotate one rotation, that is, 360 degrees, which corresponds to 1 / 360m rotation per one second. Therefore, when converted to rpm, it becomes 1 / 6m rpm.

상기 제어수단(200)의 전원공급부(210)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높은 주파수로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 회로를 거쳐 안정된 각종 직류 전압을 얻게 되어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기를 에스컬레이터에 맞도록 변환시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unit 210 of the control unit 200 i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that performs intermittent control at a high frequency and obtains various stable DC voltages through a rectification and a smoothing circuit, The AC power supplie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escalator by converting the AC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scalator.

상기 제어부(220)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해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기본적인 제어방식인 시퀀스 제어, PID(Proportional-plus-Integrate-plus-Derivative)제어, 아날로그 제어, 위치 제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may be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f a digital operation that uses a programmable memory and controls the escalator to perform special functions such as logic, sequencing, timing, counting, and operation through a digital or analog input / , It can perform the role of sequence control, PID (Proportional-plus-Integrate-plus-Derivative) control, analog control and position control.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부(220)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221)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태신호를 입력받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22)와,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 신호 처리, 응용 프로그램 및 구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23)와, 상기 입력부(222)로부터의 입력신호 및 상기 저장부(22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해독하여 처리 내용을 제어하는 CPU(224)와. 상기 CPU(224)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4, the control unit 220 includes a power unit 221 that converts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into power that can be used in the control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20 that receives a status signal of the escalator, A storage unit 223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rive data,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 programs and driving for driving the escalator, an input unit 222 for inputting signals from the input unit 222, A CPU 224 for decrypting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3 and controlling the processing contents; And an output unit 225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escalator through the CPU 224. [

특히, 이와 같은 PLC로 이루어진 제어부(220)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기계 및 공정의 제어를 하는데 있어 기존의 유/무 접점 시퀀스 제어장치 설치 시 현장에서의 잦은 결선 변경, 설치시간 및 비용 부담, 접촉에 대한 신뢰성의 한계, 유지 보수의 어려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20 including such a PLC is used to control the machine and the proces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the case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wired / non-contact sequence control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limit and the maintenance difficulty can be prevented.

상기 릴레이(230)는 상기 전원공급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를 토대로 에스컬레이터로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로, 에스컬레이터의 비정상적인 구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relay 2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supplies or cuts off power to the escalator on the basis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20. The relay 230 interrupts the abnormal driving of the escalator.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수단(200)은 외부먼지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수용함(미도시)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수 점검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means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irably accommodated in a receptacle (not shown) for protection against external dust and contamination, and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maintenance and inspection are easy.

또한, 상기 경고수단(300)은, 상기 제어수단(200)으로부터 판단되는 판단 정보를 토대로 경고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음 발생부(310)와, 경고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표시 발생부(320)로 이루어진다. The warning unit 300 includes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310 for audibly informing an administrator and a user when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warning outpu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a warning display generator 320 for visually informing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when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the warning output signal is satisfied.

예컨대, 관리자에게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현장으로 즉시 출동하도록 하거나 이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등시켜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manager can inform the manager automatically by wireless or wired line so as to promptly go to the site where the escalator is installe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to the user, or to light the warning light so as to safely get off the escal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수단(100)의 근접 센서(130,130')는 상기 핸드 레일(R)의 좌,우 양측과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S)에 구비되어 기어 휠(120,120')에 배치되는 치부(121,121')와 홈부(122,122')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게 되고, 상기 제어수단(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센싱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핸드 레일(R) 좌,우측과 스텝 각각의 속도 편차를 검출하여 핸드 레일(R)과 스텝의 정상 동작을 판단하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정밀 제어는 물론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of the sensing means 10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rail R and the drive sprockets S for driving the steps, And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ontrol means 2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hand rail R outputted from the sensing means 100. The controller 220 of the control means 200 continuously detects the teeth 121 and 121 'and the groove portions 122 and 122' ,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side and the step is detected to judg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handrail R and the step, so that the escalator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s well as stab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방법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peed control method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먼저 핸드 레일(R)의 좌,우 양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각각의 센싱수단(100)을 통해 상기 핸드 레일(R)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5 is a flowchart showing a speed control method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rough the respective sensing means 100 provided separately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rail R, .

이와 함께,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S)에 설치되는 센싱수단(100)을 통해 상기 스텝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speed of the step is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means 100 provided in the drive sprocket S for driving the step.

이어서, 상기 핸드 레일(R)의 좌,우 양측과, 상기 스텝 간의 속도 비교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정상 동작을 판단하게 된다. Nex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pe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rail (R) and the step.

이때, 상기 센싱수단(100)의 근접 센서(130,130')는, 좌,우측 핸드 레일(R) 및 구동 스프로켓(S)과 함께 회전하는 각각의 기어 휠(120,120')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거나 펄스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이동 속도에 대한 측정 값을 제어수단(200)에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ensors 130 and 130 'of the sensing means 100 count the number of pulses of the respective gear wheels 120 and 120' rotating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hand rails R and the drive sprockets S,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of the measured moving speed to the control means 200. [0064]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이동 속도의 편차를 검출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좌,우측 핸드 레일(R)과 스텝간의 이동 속도의 편차가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경고수단(300)을 통해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When the deviation of the moving spe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d rails R and the step deviates from the set reference value, the warning means 300 detects the deviation of the moving speed, And notifies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of the information.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200)을 통해 에스컬레이터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power of the escalator is cut off through the control means (200).

-실험예-- Experimental Example -

1. 시험 구동순서1. Test drive sequence

1)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키를 작동시키면 제어부(PLC) 내 작동 램프가 ON이 되는지 확인한다.1) When the operation key of the escalator is activated, check whether the operation lamp in the control unit (PLC) turns on.

2) 에스컬레이터를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220)의 입,출력 펄스 신호가 인가되는지 확인한다.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t is confirmed whether the input and output pulse signals of the control unit 220 are applied.

3) 근접 센서(130)와 기어 휠(120) 사이에 비자성 물체를 접근시켜 상기 근접 센서(130)의 감지 기능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작동 래프가 OFF되면서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하는지를 확인한다. 3) When the non-magnetic object is approached between the proximity sensor 130 and the gear wheel 120 and the sensing function of the proximity sensor 130 is cut off, the operation raft is turned off and the escalator is stopped.

재 가동시에는 리셋(reset) 스위치를 누른 후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키를 작동한다.
When restarting, press the reset switch and operate the escalator operation keys.

2. 분석2. Analysis

1) 에스컬레이터가 운행하는 동안 좌,우측의 핸드 레일(R)과 스텝의 속도가 소정 시간(예컨대, 대략 10초) 실제 속도보다 소정 비율(예컨대, 대략 ±10%)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한다.1) When a difference in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about ± 10%) occurs between the handrail 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ctual speed in the step spe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Lt; / RTI >

예) 정격속도: 25m/min 일때, Example) When the rated speed is 25m / min,

- 회전롤러 직경 : Φ 7.6cm- Rotating roller diameter: Φ 7.6cm

- 기어 휠 잇수 : 21개- Number of gear teeth: 21

- 핸드 레일 및 스텝의 초당 거리 : 25/60 = 0.417m = 41.7cm- Distance per second of handrail and step: 25/60 = 0.417m = 41.7cm

- 회전롤러의 원주길이 : 7.6cm * 3.14 = 23.9cm-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rotating roller: 7.6 cm * 3.14 = 23.9 cm

- 1초당 펄스 개수 : (41.7/23.9)*21 = 36.64 = 37개- Number of pulses per second: (41.7 / 23.9) * 21 = 36.64 = 37

- 1 펄스당 시간 : 약 27.3 ms- time per pulse: about 27.3 ms

- 10초당 펄스 개수 : 370개- Number of pulses per 10 seconds: 370

즉, 좌,우측 핸드 레일이 ±10%의 회전 편차가 발생하게 될 경우 펄스 개수는 37개 이상이 발생한다. That is, when the left and right hand rails have a deviation of ± 10%, the number of pulses is more than 37.

2) 에스컬레이터의 우측 핸드 레일이 좌측 핸드 레일의 정격 속도보다 ±10%이면 정지한다.2) Stop when the right handrail of the escalator is ± 10% of the rated speed of the left handrail.

3)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핸드 레일이 우측 핸드 레일의 정격 속도보다 ±10%이면 정지한다.3) Stop when the left handrail of the escalator is ± 10% of the rated speed of the right handrail.

4) 상기 좌,우측 핸드 레일이 상기 스텝의 정격 속도보다 ±10%이면 정지한다.4) If the left and right hand rails are ± 10% of the rated speed of the step, stop.

5) 핸드 레일과 스텝에 설치된 근접 센서에서 받은 펄스를 1초당 펄스 값으로 산출하여 고속 구간을 설정하며, 10초마다 데이터를 저장, 삭제를 반복한다. 이때, 누적으로 인한 데이터의 에러를 줄이기 위하여 10초 간격으로 데이터를 초기화한다.
5) The pulse received from the proximity sensor installed on the handrail and the step is calculated as a pulse value per second to set the high speed section, and the data is repeatedly stored and deleted every 10 seconds. At this time, the data is initialized at intervals of 10 seconds in order to reduce the data error due to the accumula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기동 명령 후 가속 구간 펄스를 제외한 1초당 정상 펄스 수가 카운트 되면 정상 고속 구간을 체크해서 핸드 레일과 스텝의 속도를 감지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number of normal pulses per second excluding the acceleration interval pulse after the initial start command is counted, the speed of the handrail and the step is sensed by checking the normal high speed section.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펄스 당 정상 속도에서 펄스는 좌측 근접 센서의 펄스 및 우측 근접 센서의 펄스가 동시에 동일한 펄스를 발생하므로 정상 작동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pulse at normal speed per pulse operates normally because the pulse of the left proximity sensor and the pulse of the right proximity sensor simultaneously generate the same pulse.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정상 펄스에서는 좌측 핸드 레일에 설치된 좌측 근접 센서(130)의 펄스 및, 우측 핸드 레일에 설치된 우측 근접 센서(130)와, 구동 스프로켓에 설치된 스텝 근접 센서의 펄스 중 어느 하나(우측 핸드 레일의 근접 센서)가 시간 차를 발생하므로 제어수단의 정지 신호로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한다.
8, in the abnormal pulse, the pulse of the left proximity sensor 130 provided on the left handrail, the pulse of the right proximity sensor 130 provided on the right handrail, and the pulse of the step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the drive sprocket (The proximity sensor of the right handrail) generates the time difference, the escalator stops by the stop signal of the control mea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de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센싱수단 110 : 회전롤러
120,120' : 기어 휠 130,130' : 근접 센서
131 : 검파 코일 132 : 발진 회로
133 : 증폭 회로 134 : 검파 회로
200 : 제어수단 210 : 전원공급부
220 : 제어부 221 : 전원부
222 : 입력부 223 : 저장부
224 : CPU 225 : 출력부
230 : 릴레이 300 : 경고수단
310 : 경고음 발생부 320 : 경고표시 발생부
100: sensing means 110: rotating roller
120, 120 ': Gear wheel 130, 130': Proximity sensor
131: Detection coil 132: Oscillation circuit
133: Amplification circuit 134: Detection circuit
200: control means 210: power supply unit
220: control unit 221:
222: input unit 223:
224: CPU 225:
230: Relay 300: Warning means
310: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320: a warning display generating unit

Claims (8)

에스컬레이터의 양측에 구비된 핸드 레일과 스텝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싱수단;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기를 에스컬레이터에 맞도록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프로그램 제어할 수 있도록 시퀀스 제어, 수치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에스컬레이터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및,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위험 상황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양측 핸드 레일의 배면에 각각 밀착되어 핸드 레일의 이동에 따라 종동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기어휠,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과 결합하는 기어휠 및 상기 핸드 레일의 기어휠과 스텝의 기어휠의 치부에 상기 기어휠의 반경방향 외측에 각각 인접하여 구비된 상태에서 각 치부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거나 펄스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기어휠의 펄스를 상호 비교하며, 이를 통해 상기 핸드 레일 좌,우측 및 스텝 간의 속도 편차를 검출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동작시 상기 릴레이 또는 경고수단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handrail and the step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scalator;
A power supply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AC power supplied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to an escalator,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sequence control, a numerical calculation function, and a relay for supplying or interrupting power to the escalator for program control of the escalator A control means And
Warning means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risk situation visually or visually,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pair of rotating roller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both hand rails and are driven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handrail, a pair of gear wheel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s of the rotating rollers,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due to the rotation of each tooth in the state of being adjacent to the teeth of the gear wheel of the handrail and the gear wheel of the step in the radial direction outside the gear wheel, And a proxim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ime between the electrodes,
The controller compares the pulses of the gearwheel output from the proximity sensor to detect a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drail and the steps of the handrail to determine whether the escalator is operating normally or not, And the control means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escalat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페라이트 코어 내에 들어있는 코일이 일정한 발진 주파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여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어 휠의 치부와 홈부가 연속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자장이 일그러지면서 미세한 신호의 변화를 발생하는 검파 코일;
상기 검파코일에 접속되어 검파코일이 자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주파수의 고주파 발진을 유지시켜 주는 발진 회로;
상기 발진 회로로부터의 미세한 신호의 변화를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 및,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검파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ximity sensor includes:
A detection coil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distorted as a tooth and a groove portion of the gear wheel are continuously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a coil included in the ferrite core forms and maintains a magnetic field by a predetermined oscillation frequency and a minute signal is changed;
An oscill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detection coil to maintain a high-frequency oscillation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so that a detection coil can form a magnetic field;
An amplifying circuit for amplifying a change of a minute signal from the oscillation circuit; And
And a detection circuit which removes unnecessary noise and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 회로를 거쳐 안정된 각종 직류 전압을 얻게 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escalator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intermittent speed and obtaining a stable DC voltage through the rectification and the smoothing circui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for digita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escal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부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태신호를 입력받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해독하여 처리 내용을 제어하는 CPU; 및,
상기 CPU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a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power supply usable in the control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tatus signal of the escalator 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escalator;
A CPU for decrypting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and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processing contents;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escalator through the CP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판단되는 판단 정보를 토대로 경고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경고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표시 발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rning means comprises: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for audibly informing an administrator and a user when a condition that a warning outpu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eans; And
And a warning display generating unit for visually informing an administrator and a user when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the warning output signal is satisfied.
삭제delete
KR1020130082408A 2013-07-12 2013-07-12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KR101501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08A KR101501984B1 (en) 2013-07-12 2013-07-12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08A KR101501984B1 (en) 2013-07-12 2013-07-12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52A KR20150007852A (en) 2015-01-21
KR101501984B1 true KR101501984B1 (en) 2015-03-12

Family

ID=5257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408A KR101501984B1 (en) 2013-07-12 2013-07-12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48B1 (en) * 2015-05-15 2016-03-08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Escalator for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007A (en) * 1994-11-30 1997-02-14 Omron Corp Detection apparatus, detection method and sensor
JP2004245716A (en) * 2003-02-14 2004-09-02 Kubota Corp Rotation detector
JP2007284220A (en) * 2006-04-19 2007-11-0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Lubricant applying device for movable handrail of passenger conveyor
KR101139199B1 (en) * 2009-06-26 2012-04-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ence driv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007A (en) * 1994-11-30 1997-02-14 Omron Corp Detection apparatus, detection method and sensor
JP2004245716A (en) * 2003-02-14 2004-09-02 Kubota Corp Rotation detector
JP2007284220A (en) * 2006-04-19 2007-11-0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Lubricant applying device for movable handrail of passenger conveyor
KR101139199B1 (en) * 2009-06-26 2012-04-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ence driv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52A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97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eps on which conveyor is detached
KR101923610B1 (en) Safety detection device of passenger transport equip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JP5033529B2 (en) Passenger conveyor handrail driving force monitoring device
JP5154086B2 (en) Man conveyor
RU2008102834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ROPE POSITION IN A TRANSPORT SYSTEM WITH A ROPE DRIVE AND A TRANSPORT SYSTEM WITH A ROPE DRIVE
JP2009078875A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mount of slack in passenger conveyor chain
US5072820A (en) Escalator handrail stop device
KR101501984B1 (en) Apparatus for control velocity of escalator and method for control velocity the same
JP2009083941A (en) Device for measuring amount of loosening of transmission strip for driving handrail of passenger conveyor
CN105314519B (en) Passenger conveyors
JP5022736B2 (en) Passenger conveyor driving device
JP6350469B2 (en) Crane collision prevention device
JP6126554B2 (en) Wear amount measuring device for driving chain of moving handrail
EP3569558B1 (en) Chain defect monitoring in a people conveyor
JP2008137752A (en) Passenger conveyor control method
KR101798218B1 (en) Method for escalator malfunction preventio
JP5632341B2 (en) Inclined passenger conveyor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JP2014205547A (en) Passenger conveyor control apparatus
CN211871129U (en) Passenger conveyor
KR101427212B1 (en) Anti-reverse protecting devicd and escalator having the same
KR101601148B1 (en) Escalator for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KR100391907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end part and controlling position of end part of coil
JP7362562B2 (en) Passenger conveyor chain stretch detection device
TWM551709U (en) Safety detection system
WO2021181284A1 (en) Escalator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