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352B1 -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352B1
KR101501352B1 KR1020130066108A KR20130066108A KR101501352B1 KR 101501352 B1 KR101501352 B1 KR 101501352B1 KR 1020130066108 A KR1020130066108 A KR 1020130066108A KR 20130066108 A KR20130066108 A KR 20130066108A KR 101501352 B1 KR101501352 B1 KR 10150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safety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4082A (en
Inventor
김재엽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352B1/en
Publication of KR2014014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작업 단말과, 상기 현장작업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인식 서버와,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인식 서버로부터의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안전관리 서버 및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현장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작업 단말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과, 상기 안전관리 서버로부터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정보 수신모듈과, 상기 안전정보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제공 모듈 및 수신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의 확인 여부를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통보하는 수신정보 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field work terminal for executing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work situation informatio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field work termi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information including risk items for each type of work and dangerous matters for each area,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of the field work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a field management terminal for periodicall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updating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A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And notifying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whether or not to confirm the security informa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위험요소 및 유의사항을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자 및 현장 작업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work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be generated by providing it to a manager and a field worker and systematically perform safety management.

과거 건축공사의 목표가 원가관리와 공정관리였다면, 최근 건축공사의 목표로서 안전관리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다.If the goal of construction work in the past was cost management and process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as the goal of construction work.

특히, 건축공사 재해율을 살펴보면 전체 안전사고 재해율은 매년 감소되고 있으나, 건축공사의 성격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건축 재해의 성격이 사망 등의 대재해로 변화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손해 또한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when we look at the accident rate of the construction work, the overall accident accident rate is decreasing year by year. However, as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work becomes larger and complicated, the nature of the building disaster is changing into major disaster such as death, to be.

하인리히(H. W. Heinrich)의 사고발생 연쇄성 이론을 살펴보면, 사고발생 과정을 도미노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도미노 골패를 나란히 세워 놓고 맨 앞의 도미노를 넘어뜨리면 차례로 넘어져서 최종의 것이 넘어지듯이 재해도 다섯 가지 요인이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일어난다는 것이다.In H. W. Heinrich's accident theory, we explain the accident process by using Domino theory. It is said that if the dominoes are laid side by side and the dominoes in the front are knocked down, and the final ones fall, the five factors of the disasters occur sequentially.

여기서 사고발생 연쇄성 이론으로, 재해는 사고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고, 사고는 불안전한 상태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개인적인 결함 때문에 발행하게 된다.Here, as the accident chain theory, a disaster i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an accident, an accident is caused by an unsafe condition, which is caused by a personal fault.

건축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 재해의 발생 원인으로는 불안전한 상태의 기인물 및 가해물과 불안전한 행동을 보이는 작업자로 들 수 있다.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on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considered as unstable handwriters and injuries and unsafe workers.

한편, 최근에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기술들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산업 여러 방면에서도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ubiquitous-based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proceeding in various fields of industry.

또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고집적 반도체 회로의 개발에 따라 핸드폰, PDA, 스마트폰, 다양한 종류의 포터블 컴퓨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음악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 등을 다운받아 다운받은 콘텐츠를 소모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highly integrated semiconductor circuits, various contents services using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smart phones, and various kinds of portable computers are being provided. The mobile terminal has a memory of a certain capacity and consumes contents downloaded by downloading music contents and video contents or provides various kinds of services by installing specific applications.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The content service using such a mobile terminal has been diversifi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통신기술을 적용한 안전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723호에는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 정상 착용 여부 판단 방법에 대한 기술로 안전모 불량 착용시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모 착용을 독려하고,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실시간 확인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가능한 위험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In connection with the safety technology using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atent Document 10-10-0114723, there is disclosed a recognition sensor module for wearing a safety helmet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helmet is worn properly, thereby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a helmet is worn, And a technique for real-time checking whether a worker wears a safety helmet to prepare for a dangerous situation that may occur in an industrial field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건축공사 현장에서 진행되는 공종별 위험사항이나, 위험지역 등 위험요소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키거나, 작업자로 하여금 위험요소가 미리 인지되어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관리가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only the safety helm of a worker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dangerous items such as dangerous area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축공사 현장에서 위험요소 및 유의사항을 실시간으로 현장 작업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 및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vice, An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a build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작업 단말과, 상기 현장작업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인식 서버와,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인식 서버로부터의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안전관리 서버 및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현장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작업 단말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과, 상기 안전관리 서버로부터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정보 수신모듈과, 상기 안전정보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제공 모듈 및 수신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의 확인 여부를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통보하는 수신정보 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field work terminal for executing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work situation informatio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n-site work terminal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site work terminal,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information including a risk item for each type of work, And a site management terminal for updating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work status information periodically provided with the user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Do not run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user information. A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And a recep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odule for notifying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whether or not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현장작업 단말이, 안전사고 발생시 긴급에서 상기 현장관리 단말 및 안전관리 서버에 사고발생 상황을 통보하는 긴급호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mergency call module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o the sit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in an emergency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관리 서버가 안전사고 발생시, 사고발생 메시지를 모든 현장작업 단말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 safety incident,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notifies all of the field work terminals of an accident occurrence mess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관리 서버가, 상기 현장작업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과,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과, 공종별 및 구역별 작업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위치인식 서버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를 각각의 상기 현장작업 단말로 전송하는 안전정보 전송모듈과, 상기 현장관리 단말로부터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안전관리 정보와 상기 작업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공종별 및 구역별 작업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현장정보 수신모듈 및 상기 현장작업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관리 확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리 확인모듈은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가 전송된 현장작업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현장관리 단말로 수신 미확인 상태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on-site work terminal, and a security management module including a risk management module A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securi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A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to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information stored in the job information storage module, A field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updat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essage received by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is received by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st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관리 확인모듈이 설정된 시간 내에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미확인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building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does not receive the confirmation message within the set time,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reception is not confi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현장작업 단말, 현장관리 단말 및 안전관리 서버는 Wi-Fi 망 또는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eld work terminal,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e any one of a Wi-Fi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치인식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includes at least one access point (AP).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작업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현장작업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안전관리 서버에서 상기 현장작업 단말에 대해, 위치인식 서버에서 취득한 각 현장작업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현장작업 단말로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서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현장작업 단말로부터 수신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서 현장관리 단말로 수신 미확인 상태를 통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리 서버는 상기 현장관리 단말로부터 새로운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업데이트 한 후 각각 상기 현장작업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executing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at least one field work terminal using user information and a safety step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work terminal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ield work termi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work status information to the field work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field work terminal acquired by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A third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field work terminal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a third step of informing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of the unacknowledged state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comprises: a safety management server If the cloud securi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after upda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each field opera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은, 안전사고 발생시 상기 현장작업 단말은 상기 현장관리 단말 및 안전관리 서버에 사고발생 상황을 통보하고, 안전관리 서버에서는 사고발생 메시지를 모든 현장작업 단말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the field work terminal informs the sit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o the field work terminal.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축공사 현장에서 위험요소 및 유의사항을 실시간으로 현장 작업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struction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work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작업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작업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작업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관리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eld work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executed through a field work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field work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a build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작업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ield work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fet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1)은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10_1 ∼ 10_n)로 이루어지는 현장작업 단말(10), 위치인식 서버(20), 안전관리 서버(30), 현장관리 단말(40) 및 통신망(5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1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eld work terminal 10 including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_1 to 10_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20, A safety management server 30, a field management terminal 4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50.

현장작업 단말(10)은 핸드폰, PDA, 스마트폰, 다양한 종류의 포터블 컴퓨터 등의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field work terminal 10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contents ser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smart phone, and various types of portable computers, and can provid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work status information.

현장작업 단말(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110), 안전정보 수신모듈(120), 정보제공 모듈(130) 및 수신정보 확인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2, the field work terminal 10 may include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110, a safety information reception module 120, an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130, and a recep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odule 140 .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110)은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작업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로, 예를 들어,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110)을 통해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성명 또는 ID(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즉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하고, 생성된 로그인 정보는 통신망(50)을 통해 안전관리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110 can execute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and authenticate the user by generating login information using the user informa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executed through a field work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110, The logi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30 can also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authenticate the user.

안전정보 수신모듈(120)은 로그인된 현장작업 단말(10)에 대해, 안전관리 서버로부터 통신망(50)을 통해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정보제공 모듈(130)에서는 안전정보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각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20 receives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with respect to the logged onsite field work terminal 10,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can be displayed and provided to each worker.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작업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로, '안전 정보' 메뉴를 선택하면, 각 공구별로 위험 요소 및 유의 사항을 관리자 및 작업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정보가 제공된다.
FIGS. 5 and 6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work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field work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afety information' menu is selected,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administrator and the operator can check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수신정보 확인모듈(140)은, 수신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의 확인 여부를 안전관리 서버에 통보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에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버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고, 입력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확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recep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odule 140 is capable of notifying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whether or not to confirm the received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and includes an input button for generating a confirmation message i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By activating the operator,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confirm whether or not to confirm by clicking the input button.

또한, 현장작업 단말(10)은 안전사고 발생시 상기 현장관리 단말 및 안전관리 서버에 사고발생 상황을 통보하는 긴급호출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eld work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call module 150 for notifying the sit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when a safety event occurs.

위치인식 서버(20)는 각각의 현장작업 단말(10)과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및 Wi-Fi 등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현장작업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수의 AP(Acess Point)(20_1 ∼ 20_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 AP(20_1 ∼ 20_n)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층별 또는 다른 공종이 이루어지는 공구별로 배치될 수 있다.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2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field work terminals 10 via Bluetooth, Zigbee, UWB (Ultra Wide Band) and Wi-Fi, For example, a plurality of APs (Access Points) 20_1 to 20_n. That is, each of the APs 20_1 to 20_n can be arranged for each floor or different tools in the construction site.

안전관리 서버(30)는 건축공사 현장에서의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진행되는 현장작업에 대한 작업현황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현장작업 단말(10)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성명, ID 또는 전화번호 등)와 위치인식 서버(20)로부터 취득된 각 현장작업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stores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risk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the risk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site, and the work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on-site work progressed, (E.g., a name, an ID, or a telephone number) of the local work terminal 10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field work terminal 10 acquir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20.

현장작업 단말(10)의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110)을 통해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즉 사용자 정보 및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하면, 실행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안전관리 서버(30)에 통신망(50), 예를 들어, Wi-Fi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자동접속되고, 안전관리 서버(30)로 접속되는 현장작업 단말(10)의 사용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When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110 of the field work terminal 10, that is, when a password for user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s entered and logged in, the executed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by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The us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work terminal 10 that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50, for example, a Wi-Fi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안전관리 서버(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모듈(310),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320), 작업정보 저장모듈(330), 안정정보 전송모듈(340), 현장정보 수신모듈(350) 및 안전관리 확인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310, a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320, a job information storage module 330, a st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40, (350) and a safety management verification module (360).

사용자 인증모듈(310)은 현장작업 단말(10)의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것으로, 현장작업 단말(10)을 통해 생성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을 함으로써 현장작업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310 authenticate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ield work terminal 10 and receives the logi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field work terminal 10 and matches the stored user information to the field work terminal 10 You can check your user information.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320)은 건축공사 현장에 대한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작업정보 저장모듈(330)은 공종별 및 구역별 작업현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320 stores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risk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and the danger information for each zone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sit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module 330 can store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and zone have.

안정정보 전송모듈(340)에서는 위치인식 서버(20)에서 취득한 현장작업 단말(1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를 각각의 현장작업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t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40 can transmit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to each of the field work terminals 1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l operation terminal 10 acquired by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20. [

현장정보 수신모듈(350)은 현장관리 단말(40)로부터 각 건축공사 현장에서의 새로운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320)에 저장된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정보 저장모듈(330)에 저장된 공종별 및 구역별 작업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sit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350 receives the new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t each construction site from the site management terminal 40 and transmits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320, The work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the work area stored in the work area 330 can be updated.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관리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로, 관리자는 오전 순찰과 오후 순찰을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이나 작업정보 등을 현장관리 단말(40)을 통해 업데이트 시키면 현장정보 수신모듈(350)에서는 이를 적용하여 각 현장작업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FIGS. 7 and 8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or can identify problems or work information found through morning patrol and afternoon patrol, The field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350 can apply the same to the field work terminal 10 and update it through the management terminal 40.

안전관리 확인모듈(360)은 현장작업 단말(10)에서 전송된 확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통해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가 현장작업 단말(10)에서 수신 또는 확인되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360 can check whether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are received or confirmed in the field work terminal 10 by receiving the confi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field work terminal 10.

안전관리 확인모듈(360)에서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가 전송된 현장작업 단말(1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안전관리 확인모듈(360)에서는 현장관리 단말(40)로 수신 미확인 상태를 통보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In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360, if the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field work terminal 10 to which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360 notifies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40 of the unacknowledged state The safety management for field workers can be strengthened.

또한, 안전관리 확인모듈(360)은 현장작업 단말(10)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상황이 통보되면, 사고발생 메시지를 모든 현장작업 단말(10), 즉 모든 휴대용 단말기(10_1 ∼ 10_n)로 통보하여 체계적인 안전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When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360 is informed of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through the field work terminal 10,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360 sends an accident occurrence message to all the field work terminals 10, that is, all the portable terminals 10_1 to 10_n And contribute to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전관리 서버(30) 및 현장관리 단말(40)에서는 긴급 상황 또는 안전사고 발생 시 비상 연락망을 가동하여, 예를 들어 공사 책임자, 응급구조 센터 등으로 자동 통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고에 대한 빠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40 are configured to operate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or a safety accident, and to automatically notify, for example, a construction supervisor, So that a quick response to an accident can be performed.

도 9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a build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방법은, 먼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0_1 ∼ 10_n)로 구성되는 현장작업 단말(10)에서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01),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정당한 작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2).
1 to 9, a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executing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n a field work terminal 10 including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10_1 to 10_n (S101).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a user's name, an ID, a password, and the like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worker (S102).

이후, 안전관리 서버(30)는 위치인식 서버(20)에서 취득한 각 현장작업 단말(1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현장작업 단말로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를 전송한다(S103).
Thereafter,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transmits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field work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field work terminal 10 acquired by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20 (S103).

그리고, 안전관리 서버(30)는 현장작업 단말(10)에서의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S104), 현장작업 단말(10)로부터 수신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안전관리 서버(30)에서는 현장관리 단말(40)로 수신 미확인 상태를 통보하여(S105), 현장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
Then,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in the field terminal 10 are received (S104). If the reception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 The management server 30 informs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40 of the unacknowledged state (S105), and notifies the field manager thereof. Therefore, safety management for field workers can be strengthened.

이후, 안전관리 서버(30)는 현장관리 단말(40)로부터 새로운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가 수신되면(S106), 이를 업데이트 한 후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각각 현장작업 단말(10)로 새로운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new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40 (S106),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updates the new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to the field work terminal 10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장작업 단말(10)에서는, 안전사고 발생시 안전관리 서버(30) 및 현장관리 단말(40)에 사고발생 상황을 통보하고, 안전관리 서버(30)에서는 사고발생 메시지를 모든 현장작업 단말(10)로 통보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the field work terminal 10 notifi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40 in the event of a safety event,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perform safety management by notifying all the field work terminals 10 of occurrence message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당일 진행되는 작업현황을 모든 작업자에게 통지하고, 작업자의 변동되는 위치에 따라 안전관리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by informing all the workers of the current work progress on the day and informing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position of the worker.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10 : 현장작업 단말
20 : 위치인식 서버
30 : 안전관리 서버
40 : 현장관리 단말
50 : 통신망
110 :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
120 : 안전정보 수신모듈
130 : 정보제공 모듈
140 : 수신정보 확인모듈
150 : 긴급 호출모듈
310 : 사용자 인증모듈
320 :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
330 : 작업정보 저장모듈
340 : 안전정보 전송모듈
350 : 현장정보 수신모듈
360 : 안전관리 확인모듈
1: Construction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10: Field work terminal
20: Location aware server
30: Safety management server
40: field management terminal
50: Network
110: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120: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30: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40: Receive information confirmation module
150: emergency call module
310: User authentication module
320: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330: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module
340: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50: field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360: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Claims (9)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작업 단말;
상기 현장작업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인식 서버;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현장작업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인식 서버로부터의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안전관리 서버; 및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현장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작업 단말은,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
상기 안전관리 서버로부터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정보 수신모듈;
상기 안전정보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제공 모듈;
작업자가 수신된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확인하고 입력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정보 확인 여부를 상기 안전관리 서버에 통보하는 수신정보 확인모듈; 및
안전사고 발생시 상기 현장관리 단말 및 안전관리 서버에 사고발생 상황을 통보하는 긴급호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 서버는,
생성된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현장작업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
공종별 위험사항과 구역별 위험사항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
공종별 및 구역별 작업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정보 저장모듈;
상기 위치인식 서버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안전관리 정보와 작업현황 정보를 각각의 상기 현장작업 단말로 전송하는 안전정보 전송모듈;
상기 현장관리 단말로부터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전관리 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안전관리 정보와 상기 작업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공종별 및 구역별 작업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현장정보 수신모듈; 및
상기 현장작업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관리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 확인모듈은,
안전관리 정보 및 작업현황 정보가 전송된 현장작업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현장관리 단말로 수신 미확인 상태를 통보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미확인 상태로 판단하며,
현장작업 단말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상황이 통보되면, 사고발생 메시지를 모든 현장작업 단말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field work terminal for executing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that provides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work terminal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work terminal;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angerous matters according to each type of work and the dangerous matters according to each zone are stored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ield work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nd
And a field management terminal for updating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The field work terminal comprises: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that executes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and generates login information using user information;
A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afety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A receiving information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received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and clicking an input button to notify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whether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And an emergency call module for notifying the incident occurrence status to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when a safety incident occurs,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comprises: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field work terminal user information based on the generated login information;
A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stor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dangerous matters according to each type of work and dangerous matters according to zones;
A work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work status information by work type and by area;
A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that transmits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job status information to each of the field work terminal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A field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rom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nd updating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the work state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area stored in the work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And a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field work terminal,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confirmation module comprises:
If the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field work terminal to which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job status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f the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is not confirmed yet,
And notifies all of the field work terminals of an accident occurrence message when a situation of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s notified through the field work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작업 단말, 현장관리 단말 및 안전관리 서버는 Wi-Fi 망 또는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eld work terminal, the field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e any one of a Wi-Fi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recognition server comprises at least one AP (Access Poi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66108A 2013-06-10 2013-06-10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KR1015013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108A KR101501352B1 (en) 2013-06-10 2013-06-10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108A KR101501352B1 (en) 2013-06-10 2013-06-10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82A KR20140144082A (en) 2014-12-18
KR101501352B1 true KR101501352B1 (en) 2015-03-11

Family

ID=5267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108A KR101501352B1 (en) 2013-06-10 2013-06-10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35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4B1 (en) * 2017-12-15 2019-06-11 염길동 Live wire using System and Truck for reflecting the changes in task for non-interrupting live wire simultaneously
KR20200070596A (en) 2018-12-10 2020-06-18 디노플러스 (주)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of a work platform using smart glass
KR20220168384A (en) 2021-06-16 2022-12-23 이상윤 System for increasing work efficiency using wearable devices
KR20230111694A (en) 2022-01-18 2023-07-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chain-based scaffolding procurement and installation verification techn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806B1 (en) * 2015-07-06 2016-07-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having multi-function measuring module of interactive function, intelligence function and duty fun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70631B1 (en) * 2017-07-19 2019-04-19 (주)선경 이.엔.아이 Realtime Process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and facility information of position and status
KR102053619B1 (en) * 2018-03-16 2019-12-09 (주)이지지오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CN109002897A (en) * 2018-08-29 2018-12-1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检修公司 Field operation in transformer substation security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robot technology
KR102202807B1 (en) * 2019-03-06 2021-01-14 (주)오픈웍스 Apparatus for Managing Safety of Construction Sit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20064B1 (en) * 2021-04-14 2023-12-29 도병국 Safe alarm service provision system in case of abnormal situation
KR102525882B1 (en) * 2022-10-18 2023-04-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846A (en) * 2001-03-26 200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On-site support system
KR20100035481A (en) * 2008-09-26 2010-04-05 대림산업 주식회사 Real tim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being link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KR20100057734A (en) * 2008-11-20 201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09621A (en) * 2010-03-31 2011-10-0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846A (en) * 2001-03-26 200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On-site support system
KR20100035481A (en) * 2008-09-26 2010-04-05 대림산업 주식회사 Real tim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being link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KR20100057734A (en) * 2008-11-20 201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09621A (en) * 2010-03-31 2011-10-0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4B1 (en) * 2017-12-15 2019-06-11 염길동 Live wire using System and Truck for reflecting the changes in task for non-interrupting live wire simultaneously
KR20200070596A (en) 2018-12-10 2020-06-18 디노플러스 (주)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of a work platform using smart glass
KR20220168384A (en) 2021-06-16 2022-12-23 이상윤 System for increasing work efficiency using wearable devices
KR20230111694A (en) 2022-01-18 2023-07-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chain-based scaffolding procurement and installation verification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82A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352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portable terminal
EP2476108B1 (en) Alert for real-time risk of theft or loss
US20050219044A1 (en) Emergency, contingency and incid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539769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 restric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06095A (en) Safety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site and industries
CN109338325B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coating equipment, coat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A2968835A1 (en) Rapid response with direct connect for emergency responders
JP4134269B2 (en) Monitoring device and management device
CN103891257B (en) For monitor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at least one sensor
CN103488936A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ecurity code validation method and device
EP39700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urse of work
KR20190002573A (en) Wireless device-based automatic check-in and information sourcing system for safety check management
JP6509543B2 (en) Mobile terminal, behavior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for mobile terminal
JP2006011949A (en) Mobile terminal, condition monitoring program, an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KR101957982B1 (en) Security activity smart tool box meeting system using beacon tag
KR20130095571A (en) Method of block personal information spill in smart phone
JP6096484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253220B1 (en) Additional risks identification system and action methods using it
JP2017107362A (en) Iron tower operation monitoring system
CN105792183A (en) Security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CN116229649B (en) Construction safety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05020252A (en) Abnormal state report device
JP2004280498A (en) Abnormal situation notifying device
JP2019102855A (en)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4312577A (en) System of sending information on approach of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