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24B1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1124B1 KR101501124B1 KR1020130055105A KR20130055105A KR101501124B1 KR 101501124 B1 KR101501124 B1 KR 101501124B1 KR 1020130055105 A KR1020130055105 A KR 1020130055105A KR 20130055105 A KR20130055105 A KR 20130055105A KR 101501124 B1 KR101501124 B1 KR 1015011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ept
- instance
- semantic model
- semantic
- instan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1058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1150077548 DCI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2] D. H. Stamatis (2003).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from theory to execution”, American Society for Quality.
도 2는 FMEA 문서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EA 문서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문론적 분석 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미론적 분석 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 인스턴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류에 따른 품사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체계(Taxonomy)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Concept)과 관계(Relation)의 정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을 추출 규칙에 따라 참조 모델의 개념과 매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개념 인스턴스의 추출 규칙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개념 인스턴스의 추출 규칙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 인스턴스의 구체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 인스턴스의 구체화 과정의 일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화된 개념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개념 인스턴스들 간의 인과 관계를 이용한 추가적인 관계 인스턴스의 추출 규칙이다.
도 19는 개념 인스턴스들이 속한 개념의 상하 관계 및 선후행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에 상응하는 부품들의 상관 관계에 따른 관계(Relation) 추출 규칙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화된 개념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관계가 확장된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맨틱 모델을 통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 중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로 선택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를 중심으로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을 통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의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하는 일 예(2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의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 주위의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하는 일 예(2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시맨틱 모델의 관계를 확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EA 문서의 셀 단위 시맨틱 모델의 생성 및 상기 생성된 시맨틱 모델의 통합 과정(28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장치이다.
Claims (2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셀(Cell)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에서 개념 인스턴스를 구체화하고, 상기 개념 인스턴스 중 고장 개념 인스턴스들 간의 인과 관계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관계 인스턴스를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의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유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장 형태 영향 분석(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FMEA 문서의 셀에서 문장을 추출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추출된 문장을 토큰으로 분할하고 상기 토큰의 품사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품사가 태깅된 토큰을 생성하는 구문론적 분석 단계; 및
상기 품사가 태깅된 토큰에 추출 규칙을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의미론적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념 인스턴스의 구체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장 개념 인스턴스들 간의 인과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적인 관계 인스턴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분석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념 인스턴스(Concept instance)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념 간의 관계 인스턴스(Relation instance)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념 인스턴스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개념 인스턴스 중 인접한 개념 인스턴스들을 포함하는 복합 개념 인스턴스(Complex concept instance)를 추출하는 단계; 및
고장 개념 인스턴스 추출 규칙을 적용하여 고장 개념 인스턴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통합하는 단계는,
(a)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 중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이 존재하는 경우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 중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합을 종료하는 단계;
(c) 상기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 중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로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를 중심으로 상기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을 통합하는 단계;
(e) 모든 상기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가 통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
(f) 모든 상기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가 통합되고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 전부가 통합 시도된 경우 통합을 종료하는 단계; 및
(g) 모든 상기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가 통합되고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 전부가 통합 시도되지 않은 경우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f)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유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할 두 시맨틱 모델 내 존재하는 개념 인스턴스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가 제1 개념 인스턴스 한 개일 경우 상기 제1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 중 연결된 개념 인스턴스의 수가 최대인 유사한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하는 단계;
상기 통합 대상 개념 인스턴스의 주위의 개념 인스턴스를 통합하는 단계; 및
통합된 시맨틱 모델의 관계를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FMEA 문서의 하나의 행의 모든 열의 셀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FMEA 문서의 모든 셀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삭제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에 관련한 도메인 지식이 저장된 도메인 지식 저장부;
상기 도메인 지식 저장부의 정보와 고장 형태 영향 분석(FMEA) 문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시맨틱 모델 생성부;
선택적으로, 상기 도메인 지식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에서 개념 인스턴스를 구체화하고, 상기 개념 인스턴스 중 고장 개념 인스턴스들 간의 인과 관계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관계 인스턴스를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맨틱 모델의 개념 및 관계가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생성하는 시맨틱 모델 확장부; 및
선택적으로, 상기 도메인 지식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된 시맨틱 모델을 통합하는 시맨틱 모델 통합부를 포함하는 고장 형태 영향 분석(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5105A KR101501124B1 (ko) | 2013-05-15 | 2013-05-15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5105A KR101501124B1 (ko) | 2013-05-15 | 2013-05-15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971A KR20140134971A (ko) | 2014-11-25 |
KR101501124B1 true KR101501124B1 (ko) | 2015-03-11 |
Family
ID=5245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51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124B1 (ko) | 2013-05-15 | 2013-05-15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11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520B1 (ko) | 2021-07-20 | 2022-11-25 | 주식회사 이엠포커스 | 국제표준(sae j1739) 기반의 잠재적 고장 영향 분석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4136B1 (ko) * | 2015-06-26 | 2016-12-07 | 한국과학기술원 | 시맨틱 처리 및 클러스터링을 사용한 운영 및 유지 가이드 라인 |
KR102634624B1 (ko) * | 2021-05-04 | 2024-02-0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플랜트 절차서의 프로세스 모델 생성방법 및 그의 시스템 |
-
2013
- 2013-05-15 KR KR1020130055105A patent/KR10150112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Yoshinobu Kitamura외3. Towards Ontologies of Functionality and Semantic Annotation for Technical Knowledge Management. 2006년 6월, pp. 17-28. * |
Yoshinobu Kitamura외3. Towards Ontologies of Functionality and Semantic Annotation for Technical Knowledge Management. 2006년 6월, pp. 17-28.*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520B1 (ko) | 2021-07-20 | 2022-11-25 | 주식회사 이엠포커스 | 국제표준(sae j1739) 기반의 잠재적 고장 영향 분석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971A (ko) | 2014-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oi et al. | Hierarchical sequential learning for extracting opinions and their attributes | |
Tran et al. | Neural metric learning for fast end-to-end relation extraction | |
Al-Arfaj et al. | Ontology construction from text: challenges and trends | |
Chen et al. | Improving automated documentation to code traceability by combining retrieval techniques | |
Al Zamil et al. | Automatic extraction of ontological relations from Arabic text | |
WO2013088287A1 (en) | Generation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el for information domain | |
CN107103363B (zh) | 一种基于lda的软件故障专家系统的构建方法 | |
Borsje et al. | Semi-automatic financial events discovery based on lexico-semantic patterns | |
CA2966491A1 (en) | Methods and systems of four-valued simulation | |
Krishna et al. | A dataset for Sanskrit word segmentation | |
Adithya et al. | OntoReq: an ontology focused collective knowledge approach for requirement traceability modelling | |
Qiu et al. | Extracting causal relations from emergency cases based on conditional random fields | |
KR101501124B1 (ko) | 고장 형태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문서의 시맨틱 모델 처리 방법 | |
Dalvi et al. | Neurox library for neuron analysis of deep nlp models | |
Li et al. | [Retracted] Knowledge Graph Entity Similarity Calculation under Active Learning | |
Hernes et al. | The automatic summarization of text documents in the Cognitive Integrate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
Tovar et al. | Identification of Ontological Relations in Domain Corpus Using Formal Concept Analysis. | |
Zhang et al. | Causality Extraction from Nuclear Licensee Event Reports Using a Hybrid Framework | |
Arganese et al. | Nuts and bolts of extracting variability models from natural language requirements documents | |
Reger | Better Proof Output for Vampire. | |
Salman | Test case generation from specification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
Wimmer et al. | Word sense disambiguation for ontology learning | |
US20200293290A1 (en) | Template creatio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template creation method | |
Zhu et al. | A supporting tool for syntactic analysis of SOFL formal specifications and automatic generation of functional scenarios | |
Mathur | Improving classification results using class imbalance solutions & evaluating the generalizability of rationale extraction techniqu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