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40B1 -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 Google Patents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40B1
KR101500640B1 KR20130159653A KR20130159653A KR101500640B1 KR 101500640 B1 KR101500640 B1 KR 101500640B1 KR 20130159653 A KR20130159653 A KR 20130159653A KR 20130159653 A KR20130159653 A KR 20130159653A KR 101500640 B1 KR101500640 B1 KR 10150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ing
groove
assembly
propellant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태부
신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2013015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4/00Projectiles or missi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guiding or sealing them inside barrels, or for lubricating or cleaning barrels
    • F42B14/06Sub-calibre projectiles having sabots; Sabots therefor
    • F42B14/067Sealing aspects in sabots, e.g. sealing between individual segments of the sabots or sealing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abo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탄 발사시 연소압력에 의해 쉽게 전단되거나 일지점이 제거되어 탄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밀폐링이 탄체의 외주연에 감싸도록 결합된 포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SHELL HAVING AUTO-SEPERATING SEALING RING}
본 발명은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탄 발사시 연소압력에 의해 쉽게 전단되거나 일지점이 제거되어 탄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밀폐링이 탄체의 외주연에 감싸도록 결합된 포탄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포신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포탄은 전방에 신관과 고폭약을 내장하고, 후방에 추진장약과 점화약을 내장하여 공이가 점화약을 격침시킴으로써 전방으로 발사된다. 이 때, 포탄의 비행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위치의 불안정은 탄도의 정확도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므로 비행시 균형은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 포탄의 비행에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방식에 따라 활강형과 강선형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활강형은 포탄의 후방에 형성된 꼬리날개의 양력을 이용하여 포탄의 자세를 안정화시키는 방식이며, 강선형은 날개없이 회전에 의해 포탄의 자세를 안정화시키는 방식이다.
이 때, 두 방식 모두 포탄의 하단에 배치되는 추진장약의 연소압력으로 추진력을 얻어 발사되므로, 포신 내에서 연소가스가 최대한 누출되지 않고 발사체에 추진력을 전달시키는 것이 사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핵심요소이다.
종래의 활강형 탄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6934호는 탄두 조립체에 환형의 밀폐링을 장착하여 연소가스의 누출을 최대한 방지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탄은 발사 이후 밀폐링이 탄도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공기저항을 증가시키고 탄도의 중량을 증가시켜 사거리가 단축되며, 특히 탄의 후방 중량이 증가되어 비행시 자세 불균형을 유발하여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강선형 탄과 관련하여,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종래의 밀폐링이 장착된 강선형 포탄(10)은 고폭약을 내장하는 탄두 조립체(20)와 추진장약을 내장하는 추진부 조립체(30)이 결합되어 있고, 탄두 조립체(20)의 외주연을 따라 밀폐링(40)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는 강선형 포탄에 환형의 밀폐링이 장착되는 구조가 있었으나, 이 역시 탄 발사후에도 밀폐링이 탄두와 분리되지 않아 여전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따라서, 포탄의 발사시에는 밀폐링이 장착되어 있지만 발사 후에는 밀폐링이 탄도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될 수 있는 밀폐링을 장착한 포탄에 관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탄 발사시 연소압력에 의해 쉽게 전단되거나 일지점이 제거되어 포탄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밀폐링이 탄두의 외주연에 감싸도록 결합된 포탄에 관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은 고폭약을 내장하는 탄체 및 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두 신관을 구비하는 탄두 조립체, 점화약을 내장하는 추진부 본체 및 추진부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추진장약을 구비하는 추진부 조립체,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단되는 분리부가 형성되고 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환형의 밀폐링을 포함하고, 분리부는 밀폐링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으로 구성된다.
이 때, 분리부는 밀폐링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1 홈 및 밀폐링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제1 홈 및 제2 홈은 밀폐링 상의 동일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홈의 상부 및 하부는 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제2 홈의 상부 및 하부는 수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홈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제2 홈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분리부는 밀폐링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관통홀은 밀폐링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분리부는 N(N은 2 이상의 정수)개인 경우, 각각의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의 고리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Figure 112013116685005-pat00001
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포탄은 발사 시 탄두 조립체와 추진부 조립체가 분리되어 탄두 조립체만 회전비행하는 강선형 포탄일 수 있다.
이 때, 탄주 본체는 밀폐링이 장착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추진부 조립체는 추진부 본체의 후단부에 측향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는 추진부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는 각각 추진부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형의 밀폐링에 홈 또는 홀을 형성하여 특히 두께가 얇은 분리부를 복수개의 지점에 형성되므로써, 포탄 발사시 연소압력에 의해 쉽게 전단되어 포탄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링이 강선형 포탄에 장착되는 경우, 포신의 강선에 의해 탄두가 회전되므로 연소가스가 분리부의 홈 또는 홀을 통해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쉽게 전단되면서 포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밀폐링에 형성된 홈은 연소가스의 유동이 어렵도록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하여 경사지는 홈으로 구성함으로써, 연소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포탄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형의 밀폐링에 형성된 분리부가 밀폐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포탄에 연소가스가 대칭적으로 압력을 인가하면서 포탄으로부터 밀폐링이 분리되어도 포탄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도의 정확도 측면에서 개선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형의 밀폐링이 탄두 조립체의 삽입홈에 안착고정되는 구조로써, 밀폐링이 연소가스의 압력을 견디도록 지지되고 연소가스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개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자동장전이 가능한 포신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화된 구조이고, 날개부가 대체로 원통형의 추진부 본체 외주연에 동일한 이격거리로 배치되어 포탄의 장전 및 발사 시 균형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목표물에 대한 정확도도 함께 개선시킨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c)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은, 고폭약을 내장하고 있는 탄두 조립체(200)와 추진장약(320)이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는 추진부 조립체(300)가 일자로 순차적 결합되고, 특히 복수개의 지점이 두께가 얇도록 홈부(420)가 형성된 밀폐링(400)이 탄두 조립체(2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밀폐링이 강선형 포탄에 장착되어 있음을 가정하고 설명되어있다. 본 발명은 포탄 발사시 밀폐링이 자동으로 전단되어 포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강선형 포탄 또는 활강형 포탄 모두에 적용시킬 수 있다.
탄두 조립체(200)는 전방에 탄두 신관(220)이 조립되고, 탄두 신관(220)의 후단으로 고폭약(미도시)을 내장하는 탄체(210)를 배치하여 포탄이 목표물 명중 시 탄두 신관(220)의 점화로 고폭약이 폭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탄두 조립체(200)의 전방에 조립되는 탄두 신관(220)은 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형상이며 끝단은 거의 둥글게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체(210)는 단면이 원형으로 대체로 고폭약을 원기둥형으로 내장하고 있다. 탄체(210)는 후방으로 갈수록 대체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탄체(210)의 하단이 가장 단면적이 적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구조로써, 탄두의 비행시 후면에 와류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다. 와류의 발생은 에너지 손실과 압력으로 인한 후향 항력발생으로 추진력이 감소되므로 탄도의 사거리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탄도 본체(210)의 후면을 테이퍼지게 하여 와류를 최대한 제거시킴으로써 사거리가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탄체(210)의 테이퍼지는 경사외주면에 복수개의 홈부(420)를 구비하는 밀폐링(400)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경사면에 밀폐링(400)을 위치시킴으로써, 탄체(210)의 후면으로부터 오는 연소가스가 포신과 탄체(210)의 외주면 사이로 누출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경사면에 밀폐링(400)을 배치시킴으로써, 연소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최대한 탄체(210) 후면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추진장약(320)의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추진부 조립체(300)는 추진부 본체(310)의 내부에 점화약(320)이 내장되고, 외주연에 추진장약(320)이 감싸도록 배치되며, 추진부 본체(310)는 외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화염공(330)이 형성되어 있다. 추진부 조립체(300)의 하측부에 외향돌출된 날개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날개부(340)는 추진부 조립체(300)의 하단으로 갈수록 추진부 본체(310)로부터 돌출높이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인하여, 포신의 끝단에 포탄의 하단부가 걸리지 않게 되므로써 자동장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두에 있어서 발사순으로 설명하겠다. 상기와 같이 구조된 포탄(100)은 일자 원형의 포신내 장착된다. 최초 공이가 추진부 조립체(300)의 후단을 격발하여 점화약(320)을 점화시킨다. 점화약(320)이 점화되면서 발생된 화염은 추진부 본체(310)에 측향관통된 화염공(330)을 통해 방출되고, 추진부 본체(3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추진장약(320)을 점화시킨다. 추진장약(300)은 연소되며 화염을 발생시키고, 추진부 본체(310)의 전방을 향해 유동한다. 발생된 상기 화염은 탄체(210)의 후단을 밀어 포탄(100)이 발사되도록 추진력을 제공한다. 밀폐링(400)은 연소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므로써 압력이 최대한 탄도 조립체(200)의 후면에 집중되도록 하는 환형의 고무링으로써, 특히 두께가 얇은 분리부(410)가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포탄 발사시 쉽게 분리부(410)가 전단되면서 밀폐링(400)이 탄체(200)와 자동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밀폐링(400)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밀폐링(400)은 추진장약(32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포신의 내벽과 탄체(210) 사이로 최대한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링이다. 밀폐링은 탄체(210)의 중단과 후단 사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탄두 조립체(200)의 후단으로부터 약 1/3지점과 후단부 사이에 환형의 밀폐링(400)이 장착된다. 밀폐링(400)은 최소한 두개 이상의 분리부(410)가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밀폐링(400)상에 형성되어 있다. 분리부(410)는 특히 두께가 얇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써,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쉽게 전단되어 포탄 발사시 자동이탈을 유도하는 구조이다. 다시말해, 밀폐링(400)은 환형의 고리형상이며, 분리부(410)가 동일한 이격각을 가지고 밀폐링(400) 상에 적어도 두개 형성되어 있다.
분리부(410)는 최소한 하나의 홈을 가지는 홈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42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홈(430) 및 제2 홈(440)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홈부(420)는 밀폐링(40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1 홈(430)과 외주연에 형성된 제2 홈(4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홈(430)은 밀폐링(400)의 폭 중심과 탄체(21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홈(440)는 밀폐링(400)의 폭 중심과 포신(미도시) 사이에 형성된다. 쉽게 말해, 제1 홈(430)은 밀폐링(400)의 내주연으로부터 밀폐링(400)의 폭 중심방향으로 함몰된 홈이고, 제2 홈(440)은 밀폐링(400)의 외주연으로부터 밀폐링(400)의 폭 중심방향으로 함몰된 홈이다. 다만, 도면상 홈부(42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발명의 용도와 목적에 맞추어 관통홀의 단면적이나 형상 또는 위치를 적절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홈(430)의 상부 및 하부는 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제2 홈(440)의 상부 및 하부는 수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환형의 밀폐링(400)은 탄두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홈부(42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링(40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방향이 일직선상의 수직하게 홈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420)는 단면이 원일 수도 있고, 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홈부(420)는 밀폐링(400)을 수평으로 배치시킬 때, 관통방향이 상하방향이면서 폭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폭 중심을 관통하지 않고 형성될 수도 있다.
홈부(420)는 제1 홈(430) 및 제2 홈(440)으로 구성되며, 제1 홈(430) 및 제2 홈(440)은 밀폐링(400) 상의 동일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1 홈(430) 및 제2 홈(440)은 밀폐링(400)의 두께를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제1 홈(430) 및 제2 홈(440) 사이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연소가스로 전단되기 쉽다. 즉, 밀폐링(400)은 홈부(420)가 형성된 지점 즉 분리부(410)는 특히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며, 포탄(100) 발사시 연소가스에 의해 쉽게 전단되어 탄체(210)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포탄(100)은 포신의 강선에 의해 회전하면서 비행되는 강선형 포탄일 경우 원심력으로 인해 더욱 쉽게 밀폐링(400)이 탄체(2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410)가 밀폐링(400)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홈부(420)는 서로 360/N°로 이격되어 환형의 밀폐링(400)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분리부(410)가 4개일 경우 90°(=360/4)씩 이격되어 밀폐링(400)에 배치는 구조로써 360°를 균분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연소가스의 압력을 균일하게 탄체로 전달함과 동시에 밀폐링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포탄의 균형을 해치지 않는다.
포탄이 포신의 내주연에 스크류로 형성된 강선을 따라 회전하며 비행되는 강선형 포탄일 경우 원심력이 밀폐링(400)에 작용되어 분리부(410)의 전단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포신의 내부에서 밀폐링(400)의 연소가스 누출역할을 수행하고, 포신으로 포탄이 방출되면서 회전에 의해 밀폐부가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써, 강선형 포탄에 분리부(410)를 가지는 밀폐링(400)이 장착되는 경우 특히 적합하다.
또한, 탄두의 자동장전을 위해 추진부 조립체(300)의 후단은 외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날개부(340)가 후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340)는 포탄 장전시 위치를 잡는 기준점이며, 특히 후단으로 돌출높이가 감소되게 형성되므로써 장전시 포신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자동장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종래의 날개부는 경사면 없이 측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써 장전시 걸리게 되는 한계점이 있어 한발씩 직접 장전해야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날개부(340)가 추진부 조립체(300)의 하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감소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장전시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c)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101)은 탄두 조립체(201)와 추진부 조립체(301)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탄두 조립체(201)의 후방측 외주연에 환형의 밀폐링(401)이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밀폐링(401)은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홈부(421)가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부(4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제2 실시예의 자동분리 밀폐링(401)은 제1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분리부(411)가 형성되어 있지만, 홈부(421)에 있어서 탄체(211)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홈부(421)의 상단 홀과 하단 홀이 비스듬히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밀폐링(401)을 경사지게 관통시킴으로써 연소가스의 누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홈부(421)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써 추진장약(331)의 폭발로 인한 화염이 최대한 누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홈(431)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밀폐링(401)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함몰되고, 제2 홈(441)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밀폐링(401)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함몰되어 있다 즉, 제1 홈(431) 및 제2 홈(441)은 대각선상에 상부 및 하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포탄이 포신의 강선을 따라 회전되며 진행하는 강선형 포탄인 경우, 강선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게 홈부(4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부(411)가 밀폐링(401)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홈부(421)는 서로 360/N°로 이격되어 환형의 밀폐링(401)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3와 같이 분리부(411)가 3개일 경우 120°(=360/3)씩 이격되어 밀폐링(401)에 배치는 구조로써 360°를 균분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연소가스의 압력을 균일하게 탄체로 전달함과 동시에 밀폐링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포탄의 균형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탄두의 자동장전을 위해 추진부 조립체(301)의 후단은 외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날개부(341)가 후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와 밀폐링의 확대평면도 및 확대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c)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102)은 탄두 조립체(202)와 추진부 조립체(302)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탄두 조립체(202)의 후방측 외주연에 환형의 밀폐링(402)이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밀폐링(402)은 복수개의 분리부(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관통홀(452)이 밀폐링(402)의 폭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3 실시예의 자동분리 밀폐링(402)은 제1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분리부(412)가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홀(452)이 밀폐링(402)의 폭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관통홀(452)이 형성되므로써 분리부(412)의 두께를 특히 얇게 구성하여 전단이 용이하다.
이 때, 관통홀(45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길이가 증가하는 원추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홀(452)은 하측의 면적이 가장크고,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이다. 이와 같은 테이퍼 형상의 관통홀로 인하여, 연소가스가 관통홀(45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압력증가로 인해 진행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3 실시예와 같은 경사면을 가지는 관통홀(452) 구조로 연소가스의 누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분리부(412)가 밀폐링(401)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관통홀(452)은 서로 360/N°로 이격되어 환형의 밀폐링(402)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분리부(412)가 5개일 경우 72°(=360/5)씩 이격되어 밀폐링(402)에 배치는 구조로써 360°를 균분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연소가스의 압력을 균일하게 탄체로 전달함과 동시에 밀폐링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포탄의 균형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탄두의 자동장전을 위해 추진부 조립체(302)의 후단은 외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날개부(342)가 후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103)은 탄체(213)와 탄두 신관(223)이 결합된 탄두 조립체(203)와 추진부 조립체(303)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탄두 조립체(203)의 후방측 외주연에 환형의 밀폐링(403)이 결합되며, 특히 탄체(213)는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33)은 탄체(213)에 사출되어 장착되는 밀폐링(403)이 안착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같이 삽입홈(233)에 밀폐링(403)을 조립시킴으로써 밀폐링(403)과 탄체(213)의 결합력을 높이고 연소가스의 압력을 탄체(213)에 최대한 전달시킬 수 있다.
탄체(213)의 중단과 하단 사이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삽입홈(233)은 이러한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33)은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있으며, 안착된 밀폐링(403)이 재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243)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탄두의 자동장전을 위해 추진부 조립체(303)의 후단은 외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날개부(343)가 후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343)의 각각은 추진부 본체(313)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날개부(343)는 원통형의 추진부 본체(313)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외주연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각각의 날개부(343)가 동일한 이격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추진부 본체(31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를 균분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날개부(343)가 2개인 경우 서로 180°의 이격각을 가지고 배치되며, 3개인 경우 120°의 각을 가지고 이격배치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날개부(343)가 4개일 경우 90°의 서로 90°를 이루며 추진부 본체(313) 외주연 상에 외향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날개부(343)의 배치로 인하여, 무게중심을 대체로 추진부 본체(313)의 중심축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탄(103)을 포신에 삽입하여 장전시킬 때 균형을 유지하면서 장전할 수 있다. 포탄(103)의 균형은 정밀타격에 중요한 요소이며, 본 발명은 날개부(343)의 대칭적인 배치구조로 인하여 포탄(343)의 장전 및 발사시 균형성과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포탄(103)의 목표물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포탄 200: 탄두 조립체
240: 삽입홈 300: 추진부 조립체
390: 날개부 400: 밀폐링
410: 분리부 420: 홈부
430: 제1 홈 440: 제2 홈
450: 관통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고폭약을 내장하는 탄체 및 상기 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두 신관을 구비하는 탄두 조립체;
    점화약을 내장하는 추진부 본체 및 상기 추진부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추진장약을 구비하고, 상기 탄두 조립체의 후미에 결합되는 추진부 조립체;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단되는 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환형의 밀폐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밀폐링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밀폐링 상의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의 상부 및 하부는 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상부 및 하부는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4. 고폭약을 내장하는 탄체 및 상기 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두 신관을 구비하는 탄두 조립체;
    점화약을 내장하는 추진부 본체 및 상기 추진부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추진장약을 구비하고, 상기 탄두 조립체의 후미에 결합되는 추진부 조립체;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단되는 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환형의 밀폐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밀폐링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밀폐링 상의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5. 고폭약을 내장하는 탄체 및 상기 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두 신관을 구비하는 탄두 조립체;
    점화약을 내장하는 추진부 본체 및 상기 추진부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추진장약을 구비하고, 상기 탄두 조립체의 후미에 결합되는 추진부 조립체;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단되는 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환형의 밀폐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밀폐링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7.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N(N은 2 이상의 정수)개인 경우, 각각의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폐링의 고리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Figure 112015007245446-pat00002
    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8.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포탄은 발사 시 상기 탄두 조립체와 상기 추진부 조립체가 분리되어 상기 탄두 조립체만 회전비행하는 강선형 포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9.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체는, 상기 밀폐링이 장착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10.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 조립체는, 상기 추진부 본체의 후단부에 측향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추진부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감소되고, 상기 날개부의 각각은 상기 추진부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KR20130159653A 2013-12-19 2013-12-19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KR10150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653A KR101500640B1 (ko) 2013-12-19 2013-12-19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653A KR101500640B1 (ko) 2013-12-19 2013-12-19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640B1 true KR101500640B1 (ko) 2015-03-10

Family

ID=5302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653A KR101500640B1 (ko) 2013-12-19 2013-12-19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075B1 (ko) * 2023-03-13 2023-10-12 최종태 스마트 포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333A (ko) * 2002-09-13 2004-03-20 국방과학연구소 섬유강화 복합재료 이탈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5481A (ko) * 2011-10-26 2013-05-06 국방과학연구소 분산도가 향상된 날개안정철갑탄의 탄두조립체
KR20130106934A (ko) * 2012-03-21 2013-10-01 국방과학연구소 밀폐기구를 포함하는 날개안정철갑탄의 탄두조립체
KR20130112887A (ko) * 2010-09-16 2013-10-14 에르베엠 슈바이쯔 아게 폐기형 축사기를 갖는 발사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333A (ko) * 2002-09-13 2004-03-20 국방과학연구소 섬유강화 복합재료 이탈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887A (ko) * 2010-09-16 2013-10-14 에르베엠 슈바이쯔 아게 폐기형 축사기를 갖는 발사체
KR20130045481A (ko) * 2011-10-26 2013-05-06 국방과학연구소 분산도가 향상된 날개안정철갑탄의 탄두조립체
KR20130106934A (ko) * 2012-03-21 2013-10-01 국방과학연구소 밀폐기구를 포함하는 날개안정철갑탄의 탄두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075B1 (ko) * 2023-03-13 2023-10-12 최종태 스마트 포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736B1 (ko) 자탄을 구비한 발사체
JP6499649B2 (ja) 発射体本体を伴う小火器用又は軽火器用弾丸
KR100843573B1 (ko) 탄약
RU2464525C2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тверич-6"
EP3186583B1 (en) Fragmentation munition with limited explosive force
US4080900A (en) Projectile
WO2015179101A2 (en) Gun launched munition with strakes
KR101584488B1 (ko) 이중결합구조를 구비한 포 발사식 탄약
EP0120215B1 (en) Mortar ammunition
KR101127316B1 (ko) 추진부 조립체 분리기구가 구비된 포 발사식 탄약
RU2532670C1 (ru) Безгильзовый патрон "тандем"
KR101174340B1 (ko) 복합 추진탄용 점화/지연장치 조립체
KR101500640B1 (ko) 자동분리 밀폐링이 장착된 포탄
RU2492408C1 (ru) Травматический патрон для бесствольного оружия
KR101609507B1 (ko) 사거리 연장형 램제트 추진탄
US3289587A (en) Fin stabilized projectile
KR102041828B1 (ko) 분산자탄과 고폭약을 구비한 발사체
RU2482431C1 (ru) Патрон для стрелковых и артиллерийских гладкоствольных систем
RU2475694C1 (ru) Кассетный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ый снаряд для танковой гладкоствольной пушки
RU2611272C2 (ru)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патрон
US11953298B2 (en) Brake arrangement for a projectile
KR101594409B1 (ko) 밀폐 원통 용기의 둘레방향 절단 구조를 가지는 포 발사체용 방출 케이스
RU2295695C2 (ru)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патрон
RU2369828C1 (ru) Морской сигнальный боеприпас
RU2704696C1 (ru) Выстрел для гранатоме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