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897B1 - a mop - Google Patents

a m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897B1
KR101499897B1 KR1020130043675A KR20130043675A KR101499897B1 KR 101499897 B1 KR101499897 B1 KR 101499897B1 KR 1020130043675 A KR1020130043675 A KR 1020130043675A KR 20130043675 A KR20130043675 A KR 20130043675A KR 101499897 B1 KR101499897 B1 KR 10149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body portion
engaging
coupled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5627A (en
Inventor
이종춘
Original Assignee
이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춘 filed Critical 이종춘
Priority to KR102013004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897B1/en
Publication of KR2014012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Abstract

본 발명은 대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적인 장치가 필요 없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도 걸레에 묻은 물기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는, 걸레부, 상기 걸레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 일측이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회전작동에 의해 타측이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체부와 걸레부를 공중으로 띄우는 띄움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p,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p,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echanical device and is capable of efficiently drying moisture on a mop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place.
The m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portion, a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portion, a lift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floating part for floating the body part and the mop part in the air while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rotating operation when the elevating part is lowered.

Description

대걸레{a mop}Mop {a mop}

본 발명은 대걸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p.

일반적으로 대걸레는 크게 일정길이를 갖는 봉과 상기 봉에 결합되는 걸레로 구성된다. 이러한 대걸레는 청소작업 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닦거나 훔쳐내는 데 사용되며, 청소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재사용 할 수 있도록 물로 세척하게 된다.Generally, the mop consists of a rod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length and a mop coupled to the rod. These mops are used to clean or steal foreign objects on the floo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fter the cleaning process is completed, the mops are washed with water for reuse.

세척 후에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대걸레를 세워서 바람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거나 청구 도구함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After cleaning, the wall of the building is usually mopped and dried by the wind or stored in a billing tool box.

그러나 대걸레를 벽면에 세워 건조할 경우 걸레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 또는 건물의 벽면에 기대여진 상태로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쉽게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되고, 곰팡이 등의 세균이 빠르게 번식하여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mop is dried on the wall, the mop is dried on the floor or on the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dry, and it is easily spoiled and odor is generated, and bacteria such as mold grow rapidly There is a bad hygiene problem.

그리고 걸레를 청소 도구함에 넣어 보관할 경우 세척 후 남아있는 습기에 의해 걸레에서 악취가 발생되고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When the mop is stored in the cleaning tool box, odor is generated from the mop due to moisture remaining after the washing, and the bacteria propagate, resulting in poor hygiene.

또한, 상기와 같이 위생이 좋지 못한 대걸레로 청소작업을 할 경우, 오히려 걸레가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work is performed with a mop that has a poor sanitary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p contaminates the floo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건물의 벽면에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에 대걸레의 봉을 매달아 걸레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에서 건조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거치대를 벽에 부착해야하는 번거로움과 거치대를 장만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거치대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대걸레를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a cradle has been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nd a mop rod is hung on the cradle to dry the mop while being floated in the air. However, 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needs to be put on the shelf, and the mop can be dried only in the place where the cradle is install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is limit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771호(2003.10.21)Registration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331771 (October 21, 200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적인 장치가 필요 없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도 걸레에 묻은 물기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대걸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p which can efficiently dry moisture adhering to a mop,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는, 걸레부, 상기 걸레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 일측이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회전작동에 의해 타측이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체부와 걸레부를 공중으로 띄우는 띄움부를 포함한다.The m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portion, a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portion, a lift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floating portion for floa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rake portion while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rotation operation when the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is lowered.

상기 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며 내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승강링, 상기 승강링의 걸림홈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 단부가 상기 탄성부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걸림홈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mechanism includes a lifting ring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ring, And a stopper part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to restrict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part when the end part is fixed to the elastic part and is positioned in the same line as the engaging groove of the body part .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바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천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바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천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inclined.

상기 띄움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한다.And a friction portion formed below the float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는, 걸레부, 상기 걸레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일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작동에 의해 타측이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체부와 걸레부를 공중으로 띄우는 띄움부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o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portion, a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portion,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 floating part for floating the body part and the mop part in the air while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rotation operation.

상기 결합부와 간격을 두고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띄움부를 몸체부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And a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on the body part at an interval from the engaging part and fixes the floating part on the body part.

상기 띄움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한다.And a friction portion formed below the float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는, 걸레부, 상기 걸레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일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걸레부를 공중으로 띄우는 띄움부, 상기 띄움부에 결합되며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띄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o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portion, a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portion,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bbin por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support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bobbin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띄움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회전작동을 통해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편을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floating portion, and a support piec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contacting with the ground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상기 띄움부를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한다.And a fixing band for fixing the floating portion to the body portion.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고, 상기 결합부는 내부에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승강홈, 상기 승강홈과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The engaging portion is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raising and lowering groove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aising and lowering groove In addition,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쐐기부, 일측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쐐기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결합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승강되면서 쐐기부를 승강시키는 레버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A wedge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gradually narrowing in width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ne side of the wedge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w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wedge portion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lever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he wedge portion while being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wedge portion,

상기 쐐기부는 레버에 의해 하강될 경우 상기 몸체부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결합부의 승강을 제한하게 된다.When the wedge portion is lowered by the lever, the wedg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body portion, thereby limiting the eleva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대걸레는, 걸레부가 띄움부를 통해 공중에 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청소작업 후 세척이 완료된 걸레부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걸레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세균 번식과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수반된다.Since the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mop in the air through the space of the mop par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ry the moisture on the mop part which has been cleaned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mop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germs and the generation of unpleasant odors.

또한, 걸레부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건조되기 때문에 대걸레를 세워서 건조시키거나 청소 도구함의 넣어 건조시키는 방식에 비해 건조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도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p part is dried in the air, the drying time is significantly shortened compared with a method in which the mop is raised and dried or the cleaning tool box is put in the dryer.

그리고, 마찰부 또는 지지부를 통해 걸레부 및 몸체부를 지지하는 띄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벽체에 기대여진 몸체부가 전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mop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supporting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friction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body portion that is projected on the wall from being condu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적용된 몸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적용된 몸체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적용된 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mo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m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body portion applied to a m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portion applied to the m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m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mo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o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coupling portion applied to a mo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적용된 몸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적용된 몸체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mo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body portion applied to a m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applied to a m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1)는 걸레부(10), 몸체부(20), 승강부(30), 띄움부(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op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part 10, a body part 20, a lift part 30, and a float part 40.

상기 걸레부(10)는 이물질을 닦아 내는 것으로 헝겊, 폴리에스테를 가공한 실로 제작된 직물, 스폰지, 스퀴지(SQUEEGEE)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rag portion 10 may be a cloth, a fabric made of a thread made of polyester, a sponge, a squeegee (SQUEEGEE), or the like for wiping off foreign matter.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걸레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10 and may be formed in a simple rod shape having the same overall diameter.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는 상기 걸레부(1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가 더 포함된다.A handle 3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20 to easily control the mop 10.

상기 손잡이부(3)는 그 단면이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3)의 내부에는 그 단면이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3)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3 may have a substantially inverted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a hol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3 in a shape of a substantially inverted trapezoid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grip portion 3, Can be easily gripped.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3) 및 홀의 형상은 역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Here, the shape of the handle 3 and the hole is not limited to an inverted trapezoid, but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또한, 상기 몸체부(20)에는 후술되는 승강부(30)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홈(201a,201b)이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with latching grooves 201a and 201b for restric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portion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걸림홈(201a,201b)은 상기 몸체부(20)에 좌,우 방향으로 대칭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The latching grooves 201a and 201b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body 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ody 2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몸체부(20)의 일측에는 걸레부(10)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2)가 더 포함된다.Further, a coupling member 2 for coupling with the mop part 1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20.

상기 결합부재(2)는 상기 몸체부(20)를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3)와 대칭형성되며 상기 걸레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2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handle 3 with the body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p 10.

상기 결합부재(2)와 걸레부(10)의 결합 및 분리방식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engaging member 2 and the mop 10 are generally known techniqu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승강부(30)는 몸체부(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몸체부(20)의 걸림홈(201a,201b)에 걸려 승강이 제한될 수 있도록 승강링(31)과 탄성부(32) 및 스토퍼부(33)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levat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20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30 includes an elevating ring 31, an elastic part 32 and a stopper part 33 so as to be caught by the latching grooves 201a and 201b of the body part 20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can be restricted.

먼저, 승강링(3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이 상기 몸체부(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다.The lifting ring 31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 so that the body portion 20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2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승강링(31)의 내면에는 탄성부(32)가 설치될 수 있는 수용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11)은 상기 몸체부(20)의 걸림홈(201a,201b)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링(31)이 승강하는 과정 중 상기 수용홈(3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Fur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ring 31, a receiving groove 311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32 can be installed is formed. The receiving groove 31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receiving grooves 201a and 201b of the body portion 20 and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receiving groove 311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ring 31. [ do.

상기 탄성부(32)는 상기 승강부(30)의 수용홈(31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수용홈(311)의 수직면에 설치된다. One end of the elastic part 32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311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1 of the elevating part 30.

여기서, 상기 탄성부(32)는 공지의 압축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Here, a known compression spring may be applied to the elastic part 32. [

상기 스토퍼부(33)는 상기 몸체부(20)의 걸림홈(201a,201b) 및 승강부(30)의 수용홈(3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32)의 타단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The stopper portion 33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engaging grooves 201a and 201b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receiving grooves 311 of the elevating portion 30, )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스토퍼부(33)는 상기 승강링(31)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20)의 외면을 따라 승강링(31)과 함께 승강되며 몸체부(20)의 걸림홈(201a,201b)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경우 상기 탄성부(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201a,201b)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승강부(30)는 승강이 제한되어 걸림홈(201a,201b)상에 고정된다.The stopper portion 33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ring 31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ring 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0, 201b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201a, 201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32 when the engaging grooves 201a, 201b of the lifting portion 30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engaging grooves 201a, And is fixed on the latching grooves 201a and 201b with limited ascending and descending.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201a)의 바닥면과 몸체부(20)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몸체부(2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01b)의 천장면과 몸체부(20)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이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201a)의 바닥면과 몸체부(20)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몸체부(2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01b)의 천장면과 몸체부(20)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토퍼부(33)가 걸림홈(201a,201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일지라도 승강부(30)를 손으로 잡은 다음 적정한 힘으로 몸체부(20)의 상측으로 올리거나 몸체부(20)의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스토퍼부(33)는 상기 곡선부분 또는 경사진 부분을 따라 걸림홈(201a,201b)의 내부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1 and 2, a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01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meet, or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3 and 4, a portion where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01b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mee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01a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01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Even if the stopper portion 33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201a and 201b, the elevating portion 30 is held by hand and then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with an appropriate force, The stopper portion 33 moves downward along the curved portion or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topper groove 20a, It can easily escape from the inside.

한편, 상기 띄움부(4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0)보다 작은 직경 및 길이를 갖는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rotrusion 40 is formed in a simple rod shape having a diameter and a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20.

상기 띄움부(40)는 일측이 힌지(H)를 통해 상기 승강부(3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띄움부(40)는 상기 승강부(30)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몸체부(20)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몸체부(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loat portion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30 through a hinge H. Thus, the floating portion 40 can be freely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ortion 20 or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ody portion 20 with the portion coupled to the elevation portion 30 as a center.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띄움부(40)는 승강부(30)가 스토퍼부(33)를 통해 몸체부(2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01b)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지면과 접촉되며, 이로 인해 상기 걸레부(10)와 몸체부(20)는 공중으로 띄어지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affle portion 40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portion 30 is fixed to the latching groove 201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through the stopper portion 33 The mop part 10 and the body part 20 are released to the air.

이상 설명한 상기 띄움부(40)의 하측에는 마찰부(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50)는 접착제를 통해 띄움부(40)에 설치될 수 있다.The friction portion 50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floating portion 40 as described above. Here, the friction portion 50 may be installed in the floating portion 40 through an adhesive.

상기 마찰부(50)는 상기 띄움부(40)를 대신하여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공중으로 띄어진 걸레부(10)와 몸체부(20)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friction part 5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mop part 10 and the body part 20, which are in the air, from being conducted by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in place of the floating part 40 .

이때, 상기 마찰부(50)는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있도록 수평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iction part 5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d a square shap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contacting with the ground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a contact area.

이러한 마찰부(50)는 그 재질 특성상 지면과 접촉될 경우 미끄러지지 않고 지면과 마찰을 일으켜 상기 띄움부(40)가 상기 걸레부(10) 및 몸체부(20)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friction member 5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e to its material properties, the friction member 50 frictionally contacts the ground without slipping so that the floating member 40 stably supports the mop 10 and the body 20.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ll be explained.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1)를 통해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닦고자 할 경우, 상기 승강부(30)가 몸체부(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201a)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띄움부(40)가 청소작업시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First, when the foreign matter on the floor is wiped through the mop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on part 30 is fixed to the latching groove 201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20 So that the floating portion 40 does not touch the bottom surface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그리고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모두 닦은 이후에는 상기 걸레부(10)를 깨끗한 물로 빤 다음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201a)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부(30)를 하강시켜 몸체부(2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01b)에 고정시킨다.After wiping all the foreign objects on the floor, the rag portion 10 is poured with clean water and then the elevating portion 30 fixed to the latching groove 201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is lowered, (201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이때, 상기 승강부(3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스토퍼부(33)가 몸체부(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201a)에서 빠져나오면서 탄성부(32)를 밀어 압축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부(33)는 승강부(30)의 수용홈(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링(31)과 함께 하강된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elevating part 30, the stopper part 33 is pushed out of the latching groove 201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20 and pushes the elastic part 32 to compress, The stopper portion 33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ring 31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1 of the lifting portion 30. [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33)가 몸체부(2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01b)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탄성부(32)에 밀려 걸림홈(201b)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승강부(30)는 걸림홈(201b)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30)가 몸체부(2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01b)에 고정되면 상기 띄움부(40)의 하측부분은 걸레부(10)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When the stopper portion 33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engaging groove 201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the stopper portion 33 is pushed by the elastic portion 32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01b, The portion 30 is fixed on the latching groove 201b. When the elevating part 30 is fixed to the engaging groove 201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20, the lower part of the floating part 40 is located below the rag portion 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띄움부(40)를 몸체부(20) 또는 걸레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찰부(5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3) 또는 몸체부(20)가 벽체(W)에 기대여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몸체부(20)와 걸레부(10)가 공중에 띄어지게 되어 상기 걸레부(10)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loating portion 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ortion 20 or the mop portion 10 so that the friction portion 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and the knob portion 3 or the body portion 20 to be exposed to the wall W.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20 and the mopping portion 10 are allowed to float in the air, so that moisture accumulated on the mopping portion 10 can be efficiently dried.

<실시예 2>&Lt; Example 2 >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m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m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100)는 걸레부(110), 몸체부(120), 결합부(130), 띄움부(140)를 포함한다.5 and 6, the mop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110, a body 120, a coupling 130, and a float 140.

상기 걸레부(110) 및 몸체부(120)는 상기 제1실시예의 걸레부(10) 및 몸체부(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결합부(130)와 띄움부(140)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mop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0 are the same as the mop part 10 and the body part 20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된 몸체부(120)는 상기 제1실시예에 적용된 몸체부(20)와 달리 걸림홈(201a,201b)을 포함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body part 120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engagement grooves 201a and 201b unlike the body part 20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걸레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120)의 하측에 결합된다.The coupling part 13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p part 110.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이 상기 몸체부(1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2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20, and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20.

이때, 상기 결합부(130)는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몸체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130 can be stably fixed to the body part 12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상기 띄움부(14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20)보다 작은 직경 및 길이를 갖는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ss portion 140 is formed in a simple rod shape having a diameter and a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portion 120,

상기 띄움부(140)는 일측이 힌지(H)를 통해 상기 결합부(13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띄움부(140)는 상기 결합부(130)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몸체부(120)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loating part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part 130 through a hinge H. Accordingly, the floating portion 140 can be freely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body portion 120 about the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30.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띄움부(140)는 몸체부(120)의 하측으로 회전될 경우 타측이 지면과 접촉되며, 이로 인해 상기 걸레부(110)와 몸체부(120)는 공중으로 띄어지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bail part 140 is rotated downward of the body part 120,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wale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0 are released in the air .

또한, 상기 띄움부(140)의 하측에는 마찰부(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160)는 상기 제1실시예의 마찰부(5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a friction portion 16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ating portion 140. Here, since the friction portion 160 is the same as the friction portion 50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상기 띄움부(140)는 몸체부(120)의 상측으로 회전될 경우 고정부(150)에 의해 몸체부(120)상에 고정된다.The floating portion 140 is fixed on the body portion 120 by the fixing portion 150 when the floating portion 14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몸체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부(130)와 일정간격 이격된다.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15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ortion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고정부(150)는 일면이 몸체부(120)의 외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결합부(130)와 동일한 방식으로 몸체부(12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xing part 15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However, the fixing portion 1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2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portion 130.

상기 고정부(150)에는 띄움부(14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대략 반원형 형상의 고정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51)은 띄움부(14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띄움부(140)는 몸체부(120)의 상측으로 회전될 경우 일부분이 상기 고정홈(151)에 수용되어 고정된다.The fixing portion 15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151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loating portion 140. The fixing groove 151 is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floating part 140. When the floating part 14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20, Lt; / RTI &gt;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ll be explained.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100)를 통해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닦고자 할 경우, 상기 띄움부(140)가 고정부(150)의 고정홈(151)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띄움부(140)가 청소작업시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The float 140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51 of the fixing part 150. In this case, the float part 140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51 of the fixing part 150, So that the floating portion 140 does not touch the floo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그리고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모두 닦은 이후에는 상기 걸레부(110)를 깨끗한 물로 빤 다음 상기 고정부(150)에 고정되어 있는 띄움부(140)를 몸체부(120)의 하측으로 회전시켜 마찰부(16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3) 또는 몸체부(120)가 벽체(W)에 기대여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몸체부(120)와 걸레부(110)가 공중에 띄어지게 되어 상기 걸레부(110)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Then, after wiping all the foreign materials on the floor, the mop part 110 is poured with clean water and then the floating part 140 fixed to the fixing part 150 is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20, 16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handle portion 3 or the body portion 120 is exposed to the wall W. [ In this case, the body 120 and the mop 110 are allowed to float in the air, so that the moisture on the mop 110 can be efficiently dried.

<실시예 3>&Lt; Example 3 >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적용된 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mo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o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part applied to a mop according to an example.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200)는 걸레부(210), 몸체부(220), 결합부(230), 띄움부(240), 지지부(250)를 포함한다.7 and 8, the mop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p part 210, a body part 220, a coupling part 230, a floating part 240, a support part 250 ).

상기 걸레부(210), 몸체부(220), 결합부(230), 띄움부(240)는 상기 제2실시예의 걸레부(110)와 몸체부(120)와 결합부(130) 및 띄움부(14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지지부(250)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mop part 210, the body part 220, the coupling part 230 and the floating part 240 are formed on the mop 110, the body part 120, the coupling part 130, (1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support portion 250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상기 지지부(250)는 띄움부(240)에 결합되며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띄움부(240)를 지지하는 것으로 다시 고정부(251)와 지지편(25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support part 250 is coupled to the space part 240 and supports the space part 24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support part 250 is divided into a fixing part 251 and a supporting part 252.

그 중 고정부(251)는 중앙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띄움부(240)의 일측이 끼움결합된다.The fixing portion 251 has a groove formed at a center portion thereof, and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ion 240 is fitted and engaged.

이때, 상기 고정부(251)와 띄움부(24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고정부(251)가 띄움부(24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fixing portion 251 and the floating portion 2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portion 251 can be st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ion 240.

부가적으로 상기 고정부(251)의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지지편(252)을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P)가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P)는 직사각형 또는 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고정부(251)의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In addition, a plate P for fixing a support piece 2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clu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portion 251. The plate P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semi-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plates P may be formed at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portion 251.

이때, 상기 플레이트(P)는 두 개씩 한 조를 이루어 지지편(252)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plates P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such that one side of the supporting piece 252 can be inserted into a pair.

상기 지지편(252)은 상기 플레이트(P)의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ieces 252 are respectively coupled between the plates P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whol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편(252)은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P)의 사이에 힌지(H)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편(252)은 상기 플레이트(P)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부(251)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Specifically,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25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late P through a hinge H. Accordingly, the support piece 252 can be freely rotated up and down the fixing part 251 about the part coupled to the plate P.

이러한 상기 지지편(252)들은 고정부(251)의 하측으로 회전될 경우 삼발이 형태가 되면서 지면과 접촉되며, 이로 인해 상기 띄움부(240)를 지지하게 된다.When the support pieces 252 are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251, the support pieces 252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being in the form of a trifurcate, thereby supporting the floating part 240.

부가적으로, 상기 띄움부(240)는 몸체부(220)의 상측으로 회전될 경우 고정밴드(260)에 의해 몸체부(220)상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loating portion 240 is fixed on the body portion 220 by the fixing band 260 when rot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20.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밴드(260)는 띠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이 몸체부(220)의 상측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band 260 may have a band shape,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may b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220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260)는 일측 외면과 타측 내면이 맞닿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220)와 띄움부(240)를 감싸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260)의 맞닿는 양측에는 밸크로드 테이프를 더 형성시켜 상기 띄움부(240)를 몸체부(220)상에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띄움부(240)가 몸체부(220)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xing band 260 surrounds and fixes the body part 220 and the floating part 240 such that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a ball load tape is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and 260 so that the float part 240 can be easily fixed on the body part 220 or the float part 240 can be fixed on the body part 220 Up and down directions.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ll be explained.

먼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100)를 통해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닦고자 할 경우, 상기 띄움부(240)를 몸체부(220)의 상측으로 회전시켜 지지부(250)가 몸체부(2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고정밴드(260)를 통해 띄움부(240)를 몸체부(22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띄움부(240)가 청소작업시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The float part 24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220 so that the support part 250 can be rotated in the body 250. [ The float part 240 is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220 through the fixing band 260 so that the float part 240 is placed on the floor Do not touch.

그리고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모두 닦은 이후에는 상기 걸레부(210)를 깨끗한 물로 빤 다음 밸크로드 테이프에 의해 양측이 맞닿아 있는 고정밴드(260)의 양측이 이격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띄움부(240)를 몸체부(220)의 하측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편(252)들을 고정부(251)의 하측으로 회전시켜 삼발이 형태가 되면서 지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편(252)은 상기 띄움부(240)를 지지하고 상기 띄움부(240)는 몸체부(220)를 지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220)와 걸레부(210)가 공중에 띄어지게 되어 상기 걸레부(210)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After wiping off all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the mop part 210 is poured with clean water, and then both sides of the fixing band 260 abutted on both sides by the belt rod tape are separated. Subsequently, the float part 240 is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220, and the supporting pieces 252 are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251 so that the float part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in a triangular shape. The support part 252 supports the bobbin part 240 and the bobbin part 240 supports the body part 220 so that the body part 220 and the mop part 210 So that the water deposited on the mop 210 can be efficiently dried.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one embodiment of the coupl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2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이 상기 몸체부(2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20)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다.9, the coupling portion 23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20. In the state where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ody portion 220 is wrapped, And can be freely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20. [

이때, 상기 결합부(230)가 승강되면 상기 결합부(230)에 결합되어 있는 띄움부(240)와 상기 띄움부(240)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250)도 승강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upling part 230 is raised and lowered, the floating part 240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30 and the supporting part 250 coupled to the floating part 240 are also raised and lowered.

상기 결합부(230)의 내면에는 승강홈(23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승강홈(231)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있다.An elevating groove 2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30 and a through hole 2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groove 231 to be connected to the elevating groove 2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상기 승강홈(231)은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lifting groove 231 i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그리고, 상기 결합부(230)에는 상기 결합부(23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70)가 설치된다.The controller 230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270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coupling 230.

이때, 결합부(230)에 제어부(270)가 설치될 경우 고정밴드(260)는 생략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270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unit 230, the fixing band 260 is omitted.

상기 제어부(270)는 쐐기부(271)와 레버(272)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controller 270 includes a wedge portion 271 and a lever 272.

그 중 쐐기부(271)는 승강홈(2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면이 결합부(230)의 내부에 수용된 몸체부(220)의 외면과 단순 접촉된 상태가 된다.The wedge portion 271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groove 231 so that one surface of the wedge portion 271 is in simpl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0 accommodated in the engaging portion 230.

이때, 상기 쐐기부(271)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쐐기부(271)는 그 형상 및 폭이 승강홈(231)의 형상 및 폭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wedge portion 271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in width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shape and width of the wedge portion 271 are the same as the shape and width of the lift groove 231.

상기 레버(272)는 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관통홀(232)을 통과하여 상기 쐐기부(271)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부(230)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lever 272 is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nd one side of the lever 27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to penetrate the wedge portion 271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30.

이러한 레버(272)는 상기 관통홀(232)을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272)가 승강될 경우 상기 쐐기부(271) 또한 승강홈(231)에서 승강된다.The lever 272 can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through hole 232. When the lever 272 is raised or lowered, the wedge portion 271 is also lifted and lowered in the lift groove 231.

그리고, 상기 쐐기부(271)는 레버(272)에 의해 하강될 경우, 상기 몸체부(220)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결합부(230)의 승강이 제한된다.When the wedge portion 271 is lowered by the lever 272, the wedge portion 271 is engaged with the body portion 220 so that the lift of the coupling portion 230 is restricted.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ll be explained.

먼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걸레(200)를 통해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닦고자 할 경우, 결합부(230)를 몸체부(22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부(250)가 결합부재(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레버(272)를 관통홀(232)에서 하강시켜 상기 쐐기부(271)가 몸체부(220)와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부(230)를 몸체부(220)의 상측에 고정시킨다. First, when wiping foreign objects on the floor through the mop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23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220, And then the lever 272 is lowered in the through hole 232 so that the wedge part 271 is engaged with the body part 220 so that the engaging part 230 is engaged with the body part 220 As shown in Fig.

그리고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모두 닦은 이후에는 상기 걸레부(210)를 깨끗한 물로 빤 다음 상기 레버(272)를 관통홀(232)에서 상승시켜 상기 쐐기부(271)의 일면이 몸체부(220)의 외면과 단순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After wiping all the foreign matter on the floor, the wipe part 210 is poured with clean water and then the lever 272 is lifted up in the through hole 232 so that one surface of the wedge part 271 is pressed against the body part 220 Make a simpl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계속해서, 상기 결합부(230)를 몸체부(220)의 하측으로 하강시켜 지지부(250)가 걸레부(2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레버(272)를 관통홀(232)에서 하강시켜 상기 쐐기부(271)가 몸체부(220)와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부(230)를 몸체부(220)의 하측에 고정시킨다.Subsequently, the coupling portion 230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20 so that the support portion 250 is positioned below the mop 210, and then the lever 272 is lowered in the through hole 232 The wedge portion 271 is engaged with the body portion 220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23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20.

그리고, 상기 지지편(252)들을 고정부(251)의 하측으로 회전시켜 삼발이 형태가 되면서 지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편(252)은 상기 띄움부(240)를 지지하고 상기 띄움부(240)는 몸체부(220)를 지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220)와 걸레부(210)가 공중에 띄어지게 되어 상기 걸레부(210)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Then, the support pieces 252 are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251 so that the support pieces 252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being in the form of a triangle. The support part 252 supports the bobbin part 240 and the bobbin part 240 supports the body part 220 so that the body part 220 and the mop part 210 So that the water deposited on the mop 210 can be efficiently dri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100,200 : 대걸레 10,110,210 : 걸레부
20,120,220 : 몸체부 201a,201b : 걸림홈
2 : 결합부재 3 : 손잡이부
30 : 승강부 31 : 승강링
311 : 수용홈 32 : 탄성부
33 : 스토퍼부 40,140,240 : 띄움부
50,160 : 마찰부 130,230 : 결합부
150 : 고정부 151 : 고정홈
160 : 마찰부 231 : 승강홈
232 : 관통홀 250 : 지지부
251 : 고정부 252 : 지지편
260 : 고정밴드 270 : 제어부
271 : 쐐기부 272 : 레버
W : 벽체 H : 힌지부
1,100,200: mop 10,110,210: mop
20,120,220: Body part 201a, 201b:
2: coupling member 3:
30: elevating part 31: elevating ring
311: receiving groove 32: elastic portion
33: stopper portion 40, 140, 240:
50, 160: friction portion 130, 230:
150: fixing part 151: fixing groove
160: Friction portion 231:
232: through hole 250: support
251: fixing part 252: supporting piece
260: fixed band 270:
271: wedge portion 272: lever
W: wall H: hinge

Claims (11)

걸레부,
상기 걸레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
일측이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회전작동에 의해 타측이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체부와 걸레부를 공중으로 띄우는 띄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며 내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승강링,
상기 승강링의 걸림홈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
단부가 상기 탄성부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걸림홈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를 포함하는 대걸레.
Mop part,
A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portion,
A lifting and lowering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other 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rotating operation when the elevating portion is lowered, and the float portion, which floats the body portion and the rake portion,
Lt; / RTI &gt;
And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ring which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and is lif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 elastic portion provided inside the engagement groove of the lift ring,
And a stopper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and limit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portion when the end portion is fixed to the elastic portion and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latching groove of the body portion,
Including mop.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바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천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대걸레.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Mop.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바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의 천장면과 몸체부의 외면이 만나는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대걸레.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meet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inclined
Mo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띄움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마찰부
를 더 포함하는 대걸레.
The method of claim 1,
A friction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at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ground,
The mop further contains.
걸레부,
상기 걸레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일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걸레부를 공중으로 띄우는 띄움부,
상기 띄움부에 결합되며 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띄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띄움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회전작동을 통해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는 대걸레.
Mop part,
A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p portion,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 swinging part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art and swinging the body part and the rake part by a rotation operation,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and supports the space por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 RTI &gt;
The support portion
A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floating portion,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ed portion at a distance so as to be rotatable,
Including mop.
삭제delete 제8항에서,
상기 띄움부를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
를 더 포함하는 대걸레.
9. The method of claim 8,
A fixing band for fixing the space portion to the body portion;
The mop further contains.
제8항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고,
상기 결합부는 내부에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승강홈, 상기 승강홈과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관통홀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쐐기부,
일측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쐐기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결합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승강되면서 쐐기부를 승강시키는 레버로 구성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는 레버에 의해 하강될 경우 상기 몸체부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결합부의 승강을 제한하는
대걸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n elevating groove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a through hole
/ RTI &gt;
A wedge portion inserted into the elevating groove and gradually narrowing in width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 lever which is mounted on the wedge portion through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through hole to raise and lower the wed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When the wedge portion is lowered by the lever, the wedg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body portion,
Mop.






KR1020130043675A 2013-04-19 2013-04-19 a mop KR101499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675A KR101499897B1 (en) 2013-04-19 2013-04-19 a m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675A KR101499897B1 (en) 2013-04-19 2013-04-19 a mo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27A KR20140125627A (en) 2014-10-29
KR101499897B1 true KR101499897B1 (en) 2015-03-10

Family

ID=5199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675A KR101499897B1 (en) 2013-04-19 2013-04-19 a m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89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63U (en) * 1993-11-08 1995-06-13 白 龍奎 Cleaning tool
KR20060017563A (en) * 2006-02-09 2006-02-23 금고운 A mop supporting implement
KR20100111800A (en) * 2009-04-08 2010-10-18 김특출 Push a process and support a mop
KR20110010119U (en) * 2010-04-20 2011-10-26 배은지 Foldable and Changable Du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63U (en) * 1993-11-08 1995-06-13 白 龍奎 Cleaning tool
KR20060017563A (en) * 2006-02-09 2006-02-23 금고운 A mop supporting implement
KR20100111800A (en) * 2009-04-08 2010-10-18 김특출 Push a process and support a mop
KR20110010119U (en) * 2010-04-20 2011-10-26 배은지 Foldable and Changable Du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27A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7577A1 (en) Self-moving ground treatment device
KR101024627B1 (en) Washing bucket assembly with rotation washing and dehydration functions for a wet mop
KR101190046B1 (en) a floorcloth washing machine
JP2013538645A (en) Cleaning device
US2379476A (en) Mop pail
KR101499897B1 (en) a mop
US2653337A (en) Combination mop, scrubber, and wringer
KR101150175B1 (en) Cleaner for the drain in the sink
US5970567A (en) Floor mopping device
US6530112B2 (en) Wringer basket for wet mops
CN202161284U (en) Composite mop barrel device capable of cleaning mop head quickly
CN205612421U (en) Dull and stereotyped mop of improvement formula
KR100961890B1 (en) Cleaner for wet floor cloth
KR101281509B1 (en) Washing device for dustcloth
US1748756A (en) Mop wringer
KR101196744B1 (en) Washing device for dustcloth
CN208582343U (en) A kind of pressing wringing type water box
US8850651B1 (en) Mop head and handle
KR101210109B1 (en) The push-type cleaning tools
CN107638161A (en) The adjustable Multifunctional Hygienic pail of size
KR101136721B1 (en) A cleaner with dehydration device
KR101342233B1 (en) Container storage type cleaning utensil assembly
KR200464298Y1 (en) Apparatus for dehydration with washing function
KR101937984B1 (e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tools
CN211749389U (en) Cleaning tool without 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