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712B1 - 데이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712B1
KR101499712B1 KR1020130163853A KR20130163853A KR101499712B1 KR 101499712 B1 KR101499712 B1 KR 101499712B1 KR 1020130163853 A KR1020130163853 A KR 1020130163853A KR 20130163853 A KR20130163853 A KR 20130163853A KR 101499712 B1 KR101499712 B1 KR 10149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age medium
server
signal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045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3016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기 중 RF리더를 구비한 이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RF리더를 통해 리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Data}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기 중 RF리더를 구비한 이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RF리더를 통해 리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소정의 상품에 부착하는 태그(Tag)에 상품정보(예컨대, 상품을 식별 또는 판별하기 위한 정보, 또는 상품의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RFID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RFID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읽고,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하는 소정의 정보시스템 및/또는 유레ゼ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상기 RFID 태그정보를 판독 및 가공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의 총칭이다.
그러나, 기존의 RFID 시스템은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태그 판독시, 상기 상품에 대한 판독정보를 상기 태그 판독과정에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태그 판독자가 상기 판독한 태그 정보에 대하여 별도로 저장 및 보관하여, 추후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기 중 RF리더를 구비한 이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RF리더를 통해 리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과 유선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은,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기 중 RF리더를 구비한 이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RF리더를 통해 리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과 유선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연관된 저장매체에 대한 저장매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매핑 방법은, RF리더를 구비한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매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RF리더를 통해 리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기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매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확인된 대응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매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확인된 저장매체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에서 전송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의 고유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는 RFID 태그로부터 독출한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특정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내역이나 기록을 쉽게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RFID 태그에 대응하는 물품의 기본적인 정보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물품 관련 홍보정보, 부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RFID 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관리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저장매체를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저장매체가 상기 서버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RFID 시스템 상에 기 구비된 소정의 저장매체라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구비되는 기능구성을 모두 상기 서버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 내에 구비된 기능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연동되는(예컨대, 서버 기능실현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버에 분리되어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RFID 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1에 따르면, RFID 정보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으로부터 전송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및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 상기 획득한 정보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RFID 정보 관리장치(100)와, 소정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독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RFID 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125)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는, 예컨대, ISO/IEC 15963을 따르는 ISO/IEC 코드, 또는 미국 Auto-ID 센터의 EPC(Electronic Product Code), 또는 일본 유비쿼터스 ID 센터의 U-code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 또는 향후 제안되는 임의의 RFID 코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RFID 정보 관리장치(또는 서버)(100)는, 수신부(105)와, RFID 정보 획득부(110)와, RFID 정보 관리부(115) 및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부(10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으로부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125)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0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으로부터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RFID 정보 획득부(110)는, 소정의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이 전송한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비하는 서버 또는 장치 또는 저장매체(125)와 연계하여,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는, 예컨대 RFID 데이터(또는 신호)와, 제품 이름과 제품 제조사와 제품 제조 국가(또는 원산지)와 제품 상세 정보(예컨대, 제품 설명, 제품 구성 정보, 제품 스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제품에 대한 주의 사항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RFID 정보 관리부(115)는, 상기 RFID 정보 획득부(110)가 획득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이용자와 연관되는 소정의 저장매체(125)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12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도면1에서는 상기 수신부(105), RFID 정보 획득부(110), RFID 정보 관리부(115)를 하나의 장치(또는 서버)를 통해 구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부들은 각기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또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RFID 정보 관리장치(또는 서버)(100)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객체 디렉토리 서버(ODS) 및/또는 다중코드 디렉토리 서버(Multicode Directory Server; MDS))와 네임 서버(예컨대, 객체 네임 서버(ONS) 및/또는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DNS) 및 객체 정보 서버(OIS) 및/또는 PML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명기한다.
또한, 상기 RFID 정보 관리장치(또는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25) 정보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되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는, IPv6(Internet Protocol Ver. 6)기반 IP주소 및/또는 단말 전화번호 및/또는 장치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및/또는 ENUM(tElephone NUmber Mapping)를 포함하는 단말 고유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 사용자의 성명 및/또는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장치(또는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ID) 및/또는 비밀번호(PW)를 포함하는 회원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 또는 상기 단말에 탑재된 IC카드 리더기를 통해 연동되는 IC카드에 구비된 IC칩 고유정보 및/또는 공인 인증서 정보를 포함하는 IC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RFID 태그 정보는 EPC(Electronic Product Code) 및/또는 U-코드 및/또는 ISO/IEC 15963 규격을 따르는 코드값 및/또는 임의의 코드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 정보 관리장치(또는 서버)(100)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또는 서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은, 소정의 물품(또는 상품)에 부착된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소정의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RFID 리더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은 소정의 RFID 리더기가 구비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및/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및/또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및/또는 노트북(Notebook)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저장매체(12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이용자가 미리 지정한 저장매체(125)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이용자가 회원으로 등록된 웹서버에 구비된 저장매체(125)와,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25)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에 구비된 저장매체(125)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저장매체(12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이용자의 이메일 및/또는 메신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12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됨으로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을 통해 독출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차후에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 사용자가 확인 및/또는 열람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ISO/IEC 15963에 정의된 ISO/IEC 코드 규격을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ISO/IEC 코드 규격은 FDIS(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단계에 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가 본 도면2에 도시된 ISO/IEC 코드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최종안이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최종안에 소정의 정보가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2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ISO/IEC 코드는 할당 클래스(Allocation Class; AC)와 UID(Unique ID) 발급자 등록 번호와 유일한 인식을 위한 번호 체계인 일련 번호(Serial Number)로 이루어지며, 상기 할당 클래스는 8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할당 클래스에 따라 UID의 발급을 담당하는 기관의 UID 발급자 등록 번호가 정해지며, 상기 일련 번호는 상기 할당 클래스와 UID 발급자 등록 번호에 의해 설정된다.
도면2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ISO/IEC 코드의 발급자는 상기 할당 클래스에 의해 정해지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의 (나)를 통해 할당 클래스와 UID 발급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다만, 예를 들어 EPC를 이용하는 UID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등록기관은 "EAN.UCC"이며, 할당 클래스 '11100010'를 EPC 앞에 붙여 사용하게 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미국의 Auto-ID 센터에서 제안된 EPC에 대응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물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EPC는 EPC 태그 데이터 표준 버전 1.1(EPC Tag Data Standard Version 1.1)까지 발표되었으며, 상기 버전에는 64비트와 96비트 메타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가 본 도면3에 도시된 EPC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3의 (가)를 참조하면, EPC는 상기 EPC의 길이와 식별 형식 등을 결정하는 8비트 해더와, 특정 산업과 관련된 도메인(Domain) 내의 물체 식별을 위한 식별 체계에 해당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해더와 도메인 식별자 사이에 효과적인 EPC 판독을 위한 소정의 필터값(옵션)이 추가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3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EPC 해더는 64비트 또는 96비트의 도메인 식별자를 정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의 (나)를 통해 해더에 정의된 내용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다만, 본 도면3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EPC 해더는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8비트 이상의 해더를 사용하기 위해 '0000 0000'을 예약하고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일본의 유비쿼터스 ID 센터에 의해 제안된 U-코드에 대응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물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체 용량이 충분할 경우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내에 소정의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가 본 도면4에 도시된 U-코드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U-코드는 코드 길이가 128비트 단위로 확장(예컨대, 128비트, 256비트, 384비트, . .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통해 U-코드의 특징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관리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을 통해 전술한 RFID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이 전송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수신한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에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과 연계되는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소정의 RFID 리더기를 구비한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이 소정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소정의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독출하고(500), 상기 독출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통신망 상의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로 전송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5).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수신부(105)가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이 전송하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를 수신하면(510),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관리 서비스를 실행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고자 한다면(515),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의 수신부(105)는,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에 구비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연계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와 연계된 저장매체(125) 정보가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520).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결과,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연계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와 연계된 저장매체(125)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다면(525),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수신부(10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으로부터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와 연계된 저장매체(125) 정보를 수신한다(530).
반면에,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연계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와 연계된 저장매체(125)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535),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수신부(105)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연계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와 연계된 저장매체(125) 정보를 추출한다(540).
그러면,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정보 획득부(110)는 상기 수신부(105)가 수신한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비하는 장치(또는 서버)를 검색하고(545),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비한 장치(또는 서버)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한다(550).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비한 장치(또는 서버)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면(555),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정보 관리부(115)는 상기 정보 획득부(110)가 획득한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120)과 연계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와 연계한다(560).
그리고, 상기 RFID 정보 관리 장치(또는 서버)(100)의 정보 관리부(115)는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와 연계된 저장매체(125)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고유 식별정보(및/또는 RFID 데이터(또는 신호) 전송수단 사용자 고유 식별정보)와 연계된 RFID 데이터(또는 신호)에 대응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도록 한다(565).
100 : RFID 정보 관리장치 105 : 수신부
110 : 획득부 115 : 정보 관리부
120 : RFID 데이터 전송수단 125 : 저장매체

Claims (3)

  1.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기 중 RF리더를 구비한 이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RF리더를 통해 리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과 유선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용자와 연관된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이용자의 연관된 저장매체에 대한 저장매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30163853A 2013-12-26 2013-12-26 데이터 관리 방법 KR10149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53A KR101499712B1 (ko) 2013-12-26 2013-12-26 데이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53A KR101499712B1 (ko) 2013-12-26 2013-12-26 데이터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965A Division KR20120047884A (ko) 2012-03-28 2012-03-28 정보 매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045A KR20140014045A (ko) 2014-02-05
KR101499712B1 true KR101499712B1 (ko) 2015-03-10

Family

ID=5026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853A KR101499712B1 (ko) 2013-12-26 2013-12-26 데이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7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125A (ko) * 2003-07-03 2005-01-13 주식회사 웰소프트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125A (ko) * 2003-07-03 2005-01-13 주식회사 웰소프트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045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0673B (zh) Rfid标签的物品定位系统和定位方法
KR101329227B1 (ko) 무선인식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Lee et al. Mobile platform for networked RFID applications
KR20060097802A (ko) 고객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고객 정보 관리 서버와 정보 저장매체와 기록매체
KR101499712B1 (ko) 데이터 관리 방법
CN111225364A (zh) 操作nfc装置的方法、nfc装置和通信系统
KR20120047884A (ko) 정보 매핑 방법
KR100670814B1 (ko) 정보 기록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22460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관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알에프아이디 정보 관리장치, 기록매체
KR20130083864A (ko) 정보 제공 방법
KR10119777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그 저장정보 갱신 방법
CN110099372B (zh) 一种音频设备联网方法及系统
KR20120139647A (ko) 정보 제공 방법
KR101197772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그 저장정보 갱신 방법
KR20110107781A (ko) 선택적 알에프아이디 운영 방법
TW201339984A (zh) 射頻識別讀取器
KR101593137B1 (ko) 데이터 부호화 송출 방법
KR20120051111A (ko) 모바일 rfid 환경에서 미들웨어 운용 방법
KR20060122429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알에프아이디 정보 운용장치, 기록매체
KR20100099804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재물 관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및 기록매체
KR20120056806A (ko) 정보 제공 방법
KR100655910B1 (ko) Rf id 멀티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rf id 멀티 프로토콜 리더 장치
KR10119725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그 저장정보 갱신처리 서버
KR101508760B1 (ko) 데이터 변환 출력 방법
KR101403710B1 (ko) 코드 부호화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