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414B1 - Vacuum water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wate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414B1
KR101499414B1 KR20130137233A KR20130137233A KR101499414B1 KR 101499414 B1 KR101499414 B1 KR 101499414B1 KR 20130137233 A KR20130137233 A KR 20130137233A KR 20130137233 A KR20130137233 A KR 20130137233A KR 101499414 B1 KR101499414 B1 KR 10149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ction
pipe
val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7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피
노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피, 노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피
Priority to KR20130137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4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water cleaner. More specifically, the vacuum water cleaner can be used regardless of a portion of a patient; and water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lways spray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angle, and height of a handle. The vacuum water cleaner blocks an inlet of the handle side and an outlet of the motor side, and stops the drive of a vacuum motor to prevent the water of the cleaner from flowing back towards the handle side or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motor side when the vacuum water cleaner falls down. A suction nozzle of the handle is composed to be transparent to check the cleaning status, and has elasticity and a stretching force to be used regardless of a portion of a patient. The vacuum water cleaner can usually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to prevent the cleaner from leaking water when the cleaner stored in a powered down state falls down due to carelessness.

Description

진공 물청소기{VACUUM WATER CLEANER}{VACUUM WATER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을 이용한 물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이나 이동 또는 사용중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청소기가 넘어져도 물이 새어나오거나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정압력으로 물을 분사시켜 신체의 어떤 부분이나 자세 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깨끗한 물 세척을 할 수 있으며 바닥이나 구석진 곳 또는 벽면뿐만 아니라 천장까지 자유롭게 물 세척을 할 수 있는 진공 물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using vacuum,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water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clean water irrespective of any part, posture, or place of water, and freeing water to the ceiling as well as the floor, corner, or wall.

최근까지 저출산이 지속됨에 따라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그에 다라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환자는 늘어나고 있지만 노동을 할 수 있는 인구는 점차 줄어들어 간병인을 구하기 힘들고 더욱이 대소변 처리까지 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간병인을 구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As the low fertility continues until recently, it is gradually becoming an aging society. Moreover, the number of patients who can not cover the feces is increasing, but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work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caregivers are difficult to obtain.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doing so.

또한, 현실적으로 간난 아이의 대소변 처리도 친족 관계 외에 다른 사람은 손으로 직접 만지는 것을 꺼리는 데 성인환자의 대소변 처리는 간병하는 사람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있다.In addition, in reality, the treatment of the feces of a child who is naturally reluctant to touched by hand other than a kinship, the treatment of the feces of an adult patient causes a tremendous stress to the caregiver.

따라서 직접 손을 대지 않고 도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오물을 처리할 수 있는 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pparatus that can indirectly treat the dirt using tools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hands.

이와 관련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1-0068852호에서는 물을 분사하여 세정 대상물을 세정한 다음, 물과 오물이 혼합된 오수를 빨아들여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물청소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특징적 구성은 세정수 저장실과 오수 회수실이 한 개의 통으로 형성하면서도 동일한 용량을 갖도록 한 것이다.As a related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68852 proposes a vacuum water cleaner that cleans the object to be cleaned by spraying water, and then sucks and cleans the water mixed with water and dirt. The washing water storage chamber and the waste water recovery chamber are formed as one cylinder and have the same capacity.

또 다른 유관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5-0098157호(특허문헌 2)에서는 흡입부재에 물 저수조 및 물 분사부재가 형성된 진공청소기의 물 청소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As another related technolog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98157 (Patent Document 2) proposes a water clean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in which a water storage tank and a water injection member are formed on a suction member.

그러나 종래 기술의 진공 물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한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특허문헌 1의 경우, 물을 분사하는 부분과 오수를 빨아들이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청소 작업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청소기의 부피가 증가하여 취급이 어렵고 보관성이 좋지 않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portion for spraying the water and the portion for sucking the sewage wat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leaning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volume of the vacuum cleaner is increased.

또, 특허문헌 2와 같이 청소기 핸들 쪽에 물통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핸들을 다루기에 무겁고 부피가 커서 핸들을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잠깐이라도 바닥에 놓거나 청소기 핸들이 일정각도를 벗어나면 물이 나오지 않고 외부로 물이 흘러나와 사용할 수가 없다. In addition, as in Patent Document 2, when a water bottle is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it is heavy and bulky to handle the handle,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use the handle. In addition, when the vacuum cleaner is placed on the floor for a while during use, Water can not flow out to the outside.

더욱이 특허문헌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청소기는 핸들 호스를 끌어서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방식인데, 이 경우 물이 저장된 본체가 사용 중 넘어지면 물이 외부로 유출되고 진공모터 쪽으로 빨려들어가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청소기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중에 어린아이의 장난 등으로 취급을 잘못하여 넘어져도 청소기 내부의 물이 외부로 흘러나와서 집안을 더럽히게 된다.
In addition, most of the vacuum cleaners including patent documents move the vacuum cleaner by dragging the handle hose. In this case, when the main body in which water is stored falls down during use, water is leaked to the outside and sucked into the vacuum motor, Also, even if a child misbehaved by mischief during storage without using a vacuum cleaner, the water inside the vacuum cleaner would flow out to pollute the house.

1.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1-0068852호 공개특허공보(2001.7.23 공개)1.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0068852 (published on July 23, 2001) 2.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5-0098157호 공개특허공보(2005.10.11 공개)2. KOKAI Publication No. 2005-0098157 (published on October 11, 2005)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어떤 부위던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핸들의 방향, 각도, 높이에 상관없이 일정 압력 이상의 물이 항상 분사될 수 있고, 진공 물청소기가 넘어지면 핸들 쪽 흡입구와 모터쪽 배출구를 차단하고 진공모터의 가동을 정지시켜 청소기의 물이 핸들 쪽으로 역류하거나 진공 모터 쪽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들의 흡입노즐 부분을 투명하게 하여 청소상태를 확인하게 하고 탄력과 신축력이 있게 하여 환자의 어떤 부위던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원을 끈 상태로 보관중에 부주의로 청소기가 넘어져도 물이 새지 않게 청소기가 평상시에 밀폐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물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regardless of a part of the patient, and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can be always spray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angle, and height of the handle, The suction port of the handle and the outlet port of the motor are shut off and the operation of the vacuum motor is stopped to prevent the water of the vacuum cleaner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handle or the vacuum motor, It is possible to use any part of the patient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condition and to have elasticity and elasticity so that the vacuum cleaner can be kept in an airtight state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water even when the vacuum cleaner is inadvertently stored during power- A vacuum water cleaner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청소기 본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통과 압력센서를 부착한 물펌프를 장착하고 핸들의 손잡이 부분에 푸쉬 방식의 버튼을 누르는 동안만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의 전원을 켜면 진공모터가 작동하고 동시에 압력센서를 부착한 물펌프가 작동하여 물분사 노즐쪽으로 항상 일정 압력의 물이 공급되게 한다.First, a water pump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cleaner body and a water pump with a pressure sensor are attached. When the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s turned on, the water can be sprayed only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on the handle of the handle. And at the same time a water pump with a pressure sensor is operated so that constant pressure water is always supplied to the water spray nozzle.

둘째, 전원이 인가될 때에만 개방되는 밸브스위치를 흡입구와 배출구에 장착하고 청소기가 넘어지면 전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면 흡입구와 배출구를 차단함과 동시에 진공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청소기의 물이 외부나 모터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청소기를 가동시키지 않고 이동이나 보관시에도 흡입구와 배출구가 밀폐되어 있게 하여 사용이나 보관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Second, the valve switch, which is opened only when the power is applied, is mounted o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When the vacuum cleaner falls down, the conduction detection sensor senses the power and cuts off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It prevents the water from flowing to the outside or the motor side. It also keeps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sealed even when moving or storing without moving the cleaner to improve the safety in use or storage.

셋째, 청소기의 흡입노즐은 투명하고 탄력과 신축력을 가진 재질로 외곽 부분에 요철을 두어 과하게 진공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노즐 중앙에 물을 분사하는 물토출구를 배치하고 가장자리와 흡입노즐 내벽 사이에 굳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브러시를 배치한다.
Third, 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is made of transparent, elastic and stretchable material to prevent irregularities in the outer portion from being excessively vacuumed, and a water outlet for spraying water at the center of the suction nozzle is disposed, and between the edge and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nozzle Place a brush to remove hard particles.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어떤 부위던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물 분사노즐의 방향, 각도, 높이에 상관없이 일정 압력 이상의 물이 항상 분사될 수 있어서 오물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irrespective of a part of a patient, and water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can always be spraye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angle, and height of the water injection nozzle, so that the dirt can be cleanly and quickly treated.

또한, 진공 물청소기가 넘어지면 진공모터의 가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진공 모터 쪽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장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vacuum water cleaner is tilted, the operation of the vacuum motor is stopped, an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vacuum motor, thereby preventing the cause of failure and providing excellent durability and easy maintenance

또한, 흡입노즐 부분이 투명하므로 청소 과정과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탄력과 신축력이 있게 하여 환자의 어떤 부위던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세척이 용이하면서도 환자에게 거부감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nozzle portion is transparent, it is easy to confirm the cleaning process and condition, and it is possible to use any portion of the patient because it has elasticity and stretchability, so that it is easy for the user to clean and does not give the patient any discomfort or discomfort.

더욱이 환자의 오물을 청소하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바닥이나 구석진 곳 또는 벽면뿐만 아니라 천장까지 자유롭게 물 세척을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not only cleaning the patient's dirt, but also freely washing the water to the ceiling as well as the floor, the corner, or the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물청소기의 본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물청소기의 흡입노즐 부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관측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물 분사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관로를 폐쇄한 상태이고, (b)는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관로를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main body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view of a suction nozzle par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blique view of part A of Fig.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in Fig. 2, in which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closed to block water injection supply,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open to supply water to the spray nozzle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in the ar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물청소기의 본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물청소기의 흡입노즐 부분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관측도이다.2 is a structural view of a suction nozzle par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It is an observation char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물 청소기는 크게 본체(10), 진공발생부(20), 오물 수집부(30), 흡입노즐(40), 급수부(50)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main body 10, a vacuum generator 20, a dirt collecting unit 30, a suction nozzle 40, and a water supply unit 50 .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일종의 케이스 형태로서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단에 캐스터(11)가 구비될 수 있고, 외부 일측에는 청소기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전원스위치(12)가 구비되, 본체가 넘어지거나 뒤집혔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전도(顚倒)감지센서(13)가 부착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 caster 11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power source for the vacuum cleaner may be turned on / a power switch 12 for turning on / off of the main body, and a falling sensor 13 for detecting when the main body is tilted or turned over is attached.

상기 전도감지센서(13)가 본체(10)의 넘어짐 또는 뒤집힌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원스위치(12)를 자동으로 오프(off)하여 청소기의 작동을 중단시킨다.When the conduction detecting sensor 13 senses that the main body 10 is tilted or turned over, the power switch 12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상기 진공발생부(20)는 청소 대상의 오물과 이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 일측에 구비된 진공펌프(21)를 포함한다.The vacuum generating unit 20 generates a negative pressure in the main body 10 so as to simultaneously suck the dirt to be cleaned and the water for washing the dirt. The vacuum generating unit 20 includes a vacuum pump 2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진공펌프(21)는 본체(10) 내부 공간의 공기를 강하게 흡입한 다음,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24)를 통해 본체(10)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펌프(21)의 공기 입구 측에는 배출밸브(22)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밸브(22)의 입구 측 및/또는 공기 배출구(24)에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23)가 구비될 수 있다.The vacuum pump 21 is for sucking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strongly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 An exhaust valve 22 is provided on the air inlet side of the pump 21 and an air filter 23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discharge valve 22 and / .

상기 배출밸브(22)는 진공펌프(21)의 공기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되도록 마련된다.The discharge valve 22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of the vacuum pump 21 and is opened when the power source is applied and closed when the power source is shut off.

상기 흡입부(30)는 실질적으로 오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관로인 흡입관(34)과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집통(31)을 포함한다.The suction unit 30 includes a suction pipe 34, which is a duct for substantially sucking dirt, and a collection box 31 for collecting dirt.

상기 수집통(31)은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용기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폐쇄된 형태이고, 상기 수집통(31)의 상부에는 수집통(31) 상부 개방 공간을 덮으면서도 수집통(31) 상단과 일정 거리 이격된 커버(3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33)를 수집통(31)의 상부를 덮는 형태이지만 그 하단면은 상기 수집통(31)의 상단과 틈을 형성하고 있다.The collecting cylinder 31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and has an upper end opened like a container and the other side closed. When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cylinder 31 is covered with the upper open space of the collecting cylinder 31 A cover 33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lector 31 is provided. Thus, the cover 33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cylinder 31, but its lower end surface forms a gap with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cylinder 31. [

또한, 상기 흡입관(34)은 본체(10)의 외부와 본체(10) 내부를 관통는 관 형태로서, 본체(10)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34)의 단부는 상기 커버(33)과 연통하도록 연결됨으로써 흡입관(34)을 통해 빨아들인 오물과 물은 수집통(31)에 수거되고, 공기를 수집통(31)과 커버(33) 사이의 틈을 경유하여 상기 진공펌프(21)에 의해서 본체(10) 외부로 배기된다.The end of the suction pipe 34 extending into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cover 3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ver 33. The suction pipe 34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dirt and wa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34 ar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cylinder 31 and the air is sucked by the vacuum pump 21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llecting cylinder 31 and the cover 33 10).

이때 상기 흡입관(34)의 어느 일측, 예를 들면 도시한 예와 같이 본체(10) 내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흡입관(34)을 개폐하는 흡입밸브(35)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밸브(35)는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되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a suction valve 35 for opening / closing the suction pipe 3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34, for example, at a portion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opened when the power source is applied, and is closed when the power source is shut off.

또한, 상기 수집통(31)의 저부 일측에는 상기 본체(10)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 수도꼭지와 같은 밸브가 구비된 오수배출구(32)가 연결되어 필요시 수집통(31) 내의 오수를 배출할 수 있다.A waste water outlet 32 having a valve such as a fauce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cylinder 31 to discharge sewag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Can be discharged.

또한, 상기 흡입관(34)은 일단이 상기 커버(33)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0) 내에 배치되는 경질의 제1흡입관(34a)과, 일단이 상기 제1흡입관(34a)에 연결되고 주름관과 같이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제2흡입관(34b)과, 일단이 상기 제2흡입관(34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노즐이 연결된 경질의 제3흡입관(34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ction pipe 34 has a rigid first suction pipe 34a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ver 33 and disposed in the main body 10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ipe 34a, A flexible second suction pipe 34b having flexibility capable of being bent together and a rigid third suction pipe 34c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pipe 34b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이때 상기 흡입밸브(35)는 경질의 제1흡입관(34a)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흡입관(34c)에는 사용자가 흡입관(34)을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2흡입관(34b)은 유연성과 신축성 등을 갖추는 연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관(34)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ction valve 3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rd first suction pipe 34a, and the third suction pipe 34c is provided with a handle capable of holding the suction pipe 34 by the user, Since the two suction pipes 34b are made flexible in flexibility and elasticity,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ipe 34 can be freely adjust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40)은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장된 흡입관(34)의 단부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흡입노즐(40)은 원형 관 형태로서 상기 흡입관(34)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재질과 같이 신축력과 탄력을 가진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흡입노즐(40)의 입구 측 단부는 요철(41)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and 3, the suction nozzle 40 is provided at an end of a suction pipe 34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ction nozzle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The inlet end of the suction nozzle 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cavity and convexity 41, for example, ≪ / RTI >

또한, 상기 흡입노즐(40)은 입구 측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확관되고, 관의 내측에는 흡입노즐(40)의 내벽에서 흡입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브러시부(42)가 환형(環形)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nozzle 40 is expand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ts diameter toward the inlet side, and a brush portion 42, which is extended and projec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nozzle 40 in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

더욱이 상기 흡입노즐(40)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uction nozzle 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이 경우 상기 흡입노즐(40)을 통해 오물을 흡입할 때 흡입노즐(40)이 신축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유연성 소재인 동시에 요철(41) 및 브러시부(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형태가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되어 오물이 평탄한 면이나 기타 구부러진 부분 또는 구석에 있더라도 쉽게 접촉하여 흡입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경우 오물 수거 상태를 육안으로 관측 가능하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다.In this case, when the dus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40, the suction nozzle 40 is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asticity, and the concavity and convexity 41 and the brush part 43 are formed. So that it can be easily inhaled even if the dirt is on a flat surface or other bent portion or corner, and when it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it is possible to visually observe the dirt collecting condition and it is easy to clean.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급수부(5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된 물탱크(51)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51)의 물을 상기 흡입노즐(40) 측으로 공급하여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급수부(50)는, 상기 물탱크(51)를 비롯하여 급수밸브(52), 급수관(53), 개폐밸브(56) 및 분사관(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water supply unit 50 includes a water tank 51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supplies water of the water tank 51 to the suction nozzle 40 side The water supply unit 50 includes the water tank 51 as well as the water supply valve 52, the water supply pipe 53, the on-off valve 56, and the spray pipe 57, do.

상기 물탱크(51)는 상부에 물 주입구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tank 51 is equipped with a water inle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상기 급수밸브(52)는 상기 물탱크(51) 저부에 연결되어서 물탱크(51)가 본체(10)에 장착시 개방되어 물을 상기 급수관(53)으로 배수하여 물탱크(51)가 본체(10)에서 분리시에는 폐쇄되어 물 배수를 차단한다.The water supply valve 52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51 so that the water tank 51 is opened when the water tank 51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and drains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53, 10), it is closed to block water drainage.

상기 급수관(53)은 일단이 상기 급수밸브(5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밸브(56)에 연결되며 급수관(53)의 어느 한 부분에는 워터펌프(54)가 장착되어 상기 물탱크(51)에서 배수된 물을 상기 개폐밸브(56) 측으로 공급하게 한다.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53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5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56. A water pump 54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53, To the on-off valve 56 side.

상기 개폐밸브(56)는 상기 급수관(53)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분사관(57)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은 구성은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ning / closing valve 56 is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53 to the spraying pipe 57 selectively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pecific struct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o be described later .

상기 분사관(57)은 일단이 상기 개폐밸브(5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노즐(40) 측에 배치된 분사노즐(58)에 연결되어 물 공급시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로이다.The spray tube 57 is connected to the spray nozzle 58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56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n the suction nozzle 40 side, It is a pipeline.

이때 상기 개폐밸브(56)는 상기 흡입관(34), 바람직하게는 제3흡입관(34c)의 핸들에 구비된 물분사 버튼(36)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물분사 버튼(36)을 눌렀을 때 개방되어 급수관(53)과 분사관(57)을 상호 연통하게 하고, 누름을 해제했을 때 급수관(53)과 분사관(57)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on-off valve 56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provided on the handle of the suction pipe 34, preferably the third suction pipe 34c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The water supply pipe 53 and the jetting pipe 57 are mad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water supply pipe 53 and the jetting pipe 57 are blocke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워터펌프(54)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양수 펌프이고 상기 워터펌프(54)의 물 배출 측에는 압력센서(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력센서(55)의 압력 감지에 따라 상기 워터펌프(54)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워터펌프(54)의 출력 압력, 즉 물 분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water pump 54 is a pumping pump capable of regulating the output and the water discharge side of the water pump 54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55.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water pump 54 according to the pressure detection, the output pressure of the water pump 54, that is, the water jetting pressure, can be kept constant

또한, 상기 급수관(53)은 상기 본체(10) 내의 어느 한 부분에서 상기 흡입관(34)의 내측으로 관통시켜서 유도하면 상기 급수관(53)과, 개폐밸브(56) 및 분사관(57)이 상기 흡입관(34)의 내측 공간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58)은 상기 흡입노즐(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The water supply pipe 5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56 and the spray pipe 57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34 by guiding the water supply pipe 53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34 from any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jection nozzle (58)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ction nozzle (40).

이 경우 물탱크(51)를 제외한 급수부(50) 대부분의 요소를 본체(10) 또는 흡입관(34) 내에 은폐시킬 수 있어서 청소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most of the elements of the water supply unit 50 excluding the water tank 51 can be concealed in the main body 10 or the suction pipe 34,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enhanced.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물 분사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관로를 폐쇄한 상태이고, (b)는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관로를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in Fig. 2, in which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closed to block water injection supply,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open to supply water to the spray nozzle .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56)는, 실린더부(60), 개폐부재(70) 및 탄성부재(74)로 구성된다.4, the on-off valve 56 is composed of a cylinder portion 60,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70, and an elastic member 74. [

상기 실린더부(60)는 내부에는 입수공간(61)과 배수공간(62)이 형성되고 상기 입수공간(61)은 상기 급수부(50)의 급수관(53)과 연결되며 상기 배수공간(62)은 상기 급수부(70)의 분사관(57)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입수공간(61)과 배수공간(62)은 상하측으로 배치되되 동일 중심선 상에서 서로 연통하는 동시에 배수공간(62) 측이 더 확장되어 그 경계부에 단턱(63)이 형성된다.The cylinder part 60 is formed with a water inlet space 61 and a water drain space 62. The water inlet space 61 is connected to the water feed pipe 53 of the water feed part 5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57) of the water supply unit (70). At this time, the intake space 61 and the drain space 62 are arranged vertically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same center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drain space 62 side is further expanded, and a step 63 is formed at the boundary.

상기 개폐부재(70)는, 일측 단부에 제1피스톤부(71)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제2피스톤부(72)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피스톤부(71) 및 제2피스톤부(7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73)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70 includes a first piston portion 71 at one end and a second piston portion 72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the first piston portion 71 and the second piston portion 72 (Not shown).

이때 상기 제1피스톤부(71)는 외측 단부에 제1밀폐링(71')과 같은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입수공간(61)에 밀접한 상태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피스톤부(72)는 외측 단부에 제2밀폐링(72')과 같은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배수공간(62)에 밀접한 상태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iston part 71 is provided at its outer end with a sealing member such as a first sealing ring 71 'so as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let space 61, and the second piston 71' And a sealing member such as a second sealing ring 72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portion 72 so as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drain space 62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space 62.

상기 탄성부재(74)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2피스톤부(72)와 상기 단턱(6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피스톤부(72)를 실린더부(6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피스톤부(72)의 외측은 상기 물분사 버튼(36)과 연결되어 있다.The elastic member 74 is a coil spring, for exampl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iston portion 72 and the step 63 to push the second piston portion 72 outwardly of the cylinder portion 60 And an outer side of the second piston portion 72 is connected to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

따라서 상기 물분사 버튼(36)을 누르지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제1피스톤부(71)가 상기 입수공간(61)과 배수공간(62)을 서로 차단하여 급수관(53)과 분사관(57) 사이를 폐쇄하게 되고, 반대로 물분사 버튼(36)을 누름 작동시 제2피스톤부(72)의 하강에 연동하여 제1피스톤부(71)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입수공간(61)과 배수공간(62)을 서로 연결시켜서 상기 급수관(53)과 분사관(57)을 상호 연통하게 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is not pressed, the first piston 71 interrupts the water intake space 61 and the water discharge space 62 so that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53 and the spray pipe 57 When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is pressed, the first piston portion 71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descent of the second piston portion 72 to move the water receiving space 61 and the water discharge space 62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53 and the spray pipe 57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supply water.

이때 상기 물분사 버튼(36)의 누름 작동시 상기 탄성부재(74)가 압축되며, 물분사 버튼(36)의 누름을 해제할 경우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피스톤부(72)가 상승하여 원위치(물 공급 차단)로 복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is pressed, the elastic member 74 is compressed. When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is releas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4 causes the second piston part 72,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water supply cutoff).

이와 같은 진공 물청소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action of such a vacuum cleaner is as follows.

전원스위치(12)을 조작하여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배출밸브(22) 및 흡입밸브(35)가 개방되는 동시에 진공펌프(21)가 작동하여 흡입관(34)을 통해 오물을 빨아들일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워터펌프(54)가 작동하여 급수부(50)를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물분사 버튼(36)을 누르면 개폐밸브(56)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분사노즐(58)로 분사되어 오물이나 오물이 묻어 있는 부분을 세척할 수 있다.When the power switch 12 is operated to apply power to the vacuum cleaner, the discharge valve 22 and the suction valve 35 are opened and the vacuum pump 21 is operated to suck up dirt through the suction pipe 34 At the same time, the water pump 54 operates so that water can be spray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50.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injection button 36 as needed,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56 and is sprayed onto the spray nozzle 58 to clean the dirt and dirt.

이때 본체(10)가 넘어지는 경우 전도감지센서(13)가 전원스위치(12)의 전원을 차단하며,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출밸브(22) 및 흡입밸브(35)가 폐쇄되어 물이 상기 진공펌프(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body 10 falls, the conduction detecting sensor 13 cuts off the power of the power switch 12.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discharge valve 22 and the suction valve 35 are closed, An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pump 21.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1: 캐스터
12: 전원스위치 13: 전도감지센서
20: 진공발생부 21: 진공펌프
23: 공기필터 24: 공기배출구
30: 흡입부 31: 수집통
32: 오수 배출구 33: 커버
34: 흡입관 36: 물분사버튼
40: 흡입노즐 42: 브러시부
50: 급수부 51: 물탱크
53: 급수관 54: 워터펌프
56: 개폐밸브 58: 분사노즐
60: 실린더부 61: 입수공간
62: 배수공간 63: 단턱
70: 개폐부재 71: 제1피스톤부
72: 제2피스톤부 73: 연결로드
74: 탄성부재
10: main body 11: casters
12: Power switch 13: Conduction detection sensor
20: Vacuum generator 21: Vacuum pump
23: air filter 24: air outlet
30: suction part 31: collecting container
32: sewage outlet 33: cover
34: Suction tube 36: Water injection button
40: Suction nozzle 42: Brush part
50: water supply part 51: water tank
53: water pipe 54: water pump
56: opening / closing valve 58: injection nozzle
60: cylinder part 61: intake space
62: drain space 63: step
70: opening / closing member 71: first piston part
72: second piston part 73: connecting rod
74: elastic member

Claims (1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 전원스위치가 구비되며 넘어짐 감지시 상기 전원스위치를 오프하는 전도(顚倒)감지센서가 부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되되 상기 진공펌프의 입구 측에는 전원 차단시 입구를 폐쇄하고 전원 인가시 개방하는 배출밸브가 구비된 진공 발생부; 상기 본체 내부에 상단이 개방된 수집통이 구비되고 상기 수집통 상부에는 상기 수집통 상부를 덮는 동시에 수집통 상단과 일정거리 이격된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흡입관과 연통하되 상기 흡입관에는 전원 차단시 흡입관을 폐쇄하고 전원 인가시 개방하는 흡입밸브가 구비된 흡입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한 흡입관 단부에 구비된 흡입노즐; 상기 본체 일측에 물탱크가 장착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흡입노즐 측으로 공급하여 분사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여, 본체의 전도 감지시 전원이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흡입밸브 및 배출밸브가 폐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equipped with a power switch at one side thereof and a switch for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when detecting a fall; A vacuum genera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vacuum pump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the vacuum generator including a discharge valve that closes the inlet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he discharge valve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ng cylinder is provided with a cover open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ng cylinder is provided with a cove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cylin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ction unit having a suction valve for closing the suction pipe when the power is shut off and opening the suction pipe when the power is applied; A suction nozzle provided at a suction pipe end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water tank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lying water of the water tank to the suction nozzle side and spraying the water; Wherein when the main body detects conduction, the power is shut off and the suction valve and the discharge valve are clo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입구 또는 진공펌프 후단의 공기배출구에 공기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ir filter is provided at an inlet of the vacuum pump or an air outlet at a rear end of the vacuum pu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의 저부 일측에는 본체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 밸브가 구비된 오수배출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waste water outlet having a valv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cylinder to discharge sewage to the outside of th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일단이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본체 내에 배치되는 경질의 제1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제1흡입관에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제2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제2흡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노즐이 연결된 경질의 제3흡입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ipe includes a rigid first suction pip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 and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a flexible second suction pip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ipe, and a flexible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pipe, Wherein the suction nozzle is made of a rigid third suction pipe to which the suction nozzle is conn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관 형태로서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되고, 신축력과 탄력을 가지며, 입구 측 단부가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nozzle is detachable at an end of the suction pipe in the shape of a tube, has an elastic force and an elastic force, and has an inlet-side end in a concavo-convex shap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입구 측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확관되고, 내측에는 흡입노즐의 내벽에서 입구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브러시부가 환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ction nozzle is enlarg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ts diameter toward the inlet side, and a brush portion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nozzle in an inlet direction is annularly arranged inside.
제 1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투명한 소재로 제조되어 오물 수거 상태를 관측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6,
Wherein the suction nozzl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ust collection state can be obser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저부에 장착된 급수밸브와, 일단이 상기 급수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워터펌프가 장착되어 개폐밸브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일단이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노즐 측에 배치된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물 공급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핸들에 구비된 물분사 버튼과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tank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 water supply valv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 water pump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ater supply valve, And a spray pipe connected to the spray nozz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suction nozzle side for spraying water during the supply of water, wherein the on- And a water injection button provided on the handl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펌프는 출력 조절 가능한 양수 펌프이며 물 배출 측에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 감지에 따라 워터펌프의 출력이 일정하게 조절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ter pump is an output adjustable positive displacement pump, and a pressure sensor is provided on the water discharge side, so that the output of the water pump can be constant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개폐밸브 및 분사관은 흡입관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흡입노즐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the on-off valve, and the spray pipe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suction pipe, and the spray nozzle i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suction nozz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에 상기 급수관과 연결된 입수공간 및 상기 분사관과 연결된 배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입수공간과 배수공간은 서로 연통하는 동시에 배수공간 측이 더 확장되어 경계부에 단턱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일측에 외측 단부가 상기 입수공간에 밀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 제1피스톤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외측 단부가 상기 배수공간에 밀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물분사 버튼과 연결된 제2피스톤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피스톤부와 제2피스톤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제2피스톤부와 상기 단턱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물분사 버튼의 비작동시 상기 제1피스톤부가 급수관과 분사관 사이를 폐쇄하고 물분사 버튼 작동시 제1피스톤부가 이동하여 급수관과 분사관을 상호 연통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물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valve includes a cylinder part having an inlet spac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a drain spac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the inlet space and the drain spac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iston connected to the water injection button, the first piston having an outer end on one side thereof slidably moved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water intake space, the outer end of the second piston being slidable on the other side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water discharge space,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iston and the stepped portion, wherein when the water injection button is not operated, the first piston portion and the second piston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piston portion closes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nd when the water injection button is operated, the first piston portion moves, Water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to be compressed at the same time to make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investigator.
KR20130137233A 2013-11-12 2013-11-12 Vacuum water cleaner KR101499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33A KR101499414B1 (en) 2013-11-12 2013-11-12 Vacuum wate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33A KR101499414B1 (en) 2013-11-12 2013-11-12 Vacuum wate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414B1 true KR101499414B1 (en) 2015-03-05

Family

ID=5302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7233A KR101499414B1 (en) 2013-11-12 2013-11-12 Vacuum wate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41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500U (en) * 2005-06-13 2005-11-10 慶子 橋本 Transparent or translucent vacuum cleaner hose and vacuum cleaner handle
KR100547286B1 (en) * 2003-09-19 2006-02-01 박명덕 Water Wash Vacuum Cleaner
JP2008271669A (en) * 2007-04-18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Motor control device, electric apparatus, electric cleaner and hand dryer
KR20090071509A (en) * 2007-12-27 2009-07-01 이인태 Cleaner and water pail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286B1 (en) * 2003-09-19 2006-02-01 박명덕 Water Wash Vacuum Cleaner
JP3115500U (en) * 2005-06-13 2005-11-10 慶子 橋本 Transparent or translucent vacuum cleaner hose and vacuum cleaner handle
JP2008271669A (en) * 2007-04-18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Motor control device, electric apparatus, electric cleaner and hand dryer
KR20090071509A (en) * 2007-12-27 2009-07-01 이인태 Cleaner and water pail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933B1 (en) suction washing machine
MXPA05007109A (en) Hard floor cleaner.
EP3295853B1 (en) Vacuum cleaner
CN203898196U (en) Portable vacuum surface cleaning machine
WO2012031153A3 (en) Conversion mechanism for switching extractor cleaning machine from floor cleaning to hose cleaning
TW201628544A (en) Suction nozzle with supporting wheel
CN109528075B (en) Wet surface cleaning base and vacuum cleaner
CN109645886B (en) Cleaning base for vacuum cleaner
MX2007002690A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system.
US7235121B2 (en) Externally removable vacuum cleaner filter apparatus
CN204734739U (en) Vomitus processing apparatus of gastroenterology dept
KR101499414B1 (en) Vacuum water cleaner
CN203693489U (en) Dust collector ground brush with main air duct and sub air duct and dust collector
CN203578292U (en) Hard surface cleaning device
WO2016045372A1 (en) Cleaner
CN202665451U (en) Cleaning machine for pneumatic carpet
JP3245922B2 (en) Stationary vacuum cleaner
CN203915610U (en) Multifunctional gynecological flusher
CN215899556U (en) Slop pail, separation structure, ground washing assembly and ground washing machine
KR100882810B1 (en) A electromotive pipe connector of night soil tank for automatic disposing patient's excreta
CN102294060A (en) Closed-type negative-pressure flushing therapeutic apparatus for feet and hands
KR101572436B1 (en) A vaccum cleaner with corners cleaning function
CN206687860U (en) A kind of Medical negative pressure formula bed cleaner with sterilizing function
KR101117917B1 (en) Gun type vacuum cleaner
CN2482418Y (en) Cleanable multi-purpose nasal dischar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