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328B1 - 휴대용 과실 추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과실 추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328B1
KR101499328B1 KR1020130068109A KR20130068109A KR101499328B1 KR 101499328 B1 KR101499328 B1 KR 101499328B1 KR 1020130068109 A KR1020130068109 A KR 1020130068109A KR 20130068109 A KR20130068109 A KR 20130068109A KR 101499328 B1 KR101499328 B1 KR 10149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harvesting machine
drive shaft
clamp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694A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13006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32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53Portable motorised fruit pi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17Cutt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휴대용 과실 추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는, 과실이 유입되는 과실 유입구와 꼭지가 커팅(cutting)된 과실이 배출되는 과실 배출구를 구비하는 추수기 본체; 상기 추수기 본체의 과실 유입구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과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과실의 꼭지를 커팅하는 커터; 및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을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를 구비하며,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꼭지가 커팅된 과실은 상기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들 사이에서 클램핑된 후에 상기 과실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과실 추수기{Device harvesting fruit}
본 발명은,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관한 것이다.
과실은 일정한 묘목에서 얻어지는 열매의 총칭이다. 여러 종류의 과실이 있으나 이하에서는 고추를 과실이라 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추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고추는 밭농사를 짓는 데 최고의 작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장기간도 2월 말에서 10월까지 꽤 긴데다 육묘에서부터 재배하기가 매우 어렵기도 하지만 풋고추에서부터 빨간 고추가 열릴 때까지 오랫동안 수확의 재미를 맘껏 즐길 수 있는 작물이다.
더불어 고추는 매우 환금성이 높은 작물이어서 농민이라면 필수적으로 지어야 하는 작물이기도 하다.
쓰임새면에서 또한 고추만큼 다양한 작물도 드물 것이다. 파란고추를 따서 그대로 장에 찍어 먹는 것에서부터 각종 찌개의 양념, 김치 양념, 고추장의 주원료로 쓰이며, 덧붙여 고춧잎은 데쳐서 나물로도 해먹는 등 그 쓰임새는 꽤나 많다.
고추는 우리나라에 전해진 게 대략 임진왜란 후 16세기 정도로, 잘해야 4백 년밖에 안 되는 짧은 역사임에도 고추만큼 우리 음식문화에 큰 기여를 한 작물도 드물 것이다.
대표적으로 김치는 고추를 만나면서 그 맛에 일대 혁명을 가져왔으며 특히 고추장이라는 새로운 장을 등장시켜 우리 발효 음식 문화를 더욱 살찌우게 했다.
고추는 음식에서만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붉은빛을 잡귀를 쫓는 색깔로 인식한 우리 선조들은 아이를 낳으면 숯과 함께 새끼줄에 꿰어 대문 위에다 걸어놓아 잡귀의 침입을 막으려 했고, 또한 남자의 생식기와 비슷하게 생겨 아들을 낳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기능으로도 쓰였다. 장을 담글 때에는 독 속에 숯과 함께 고추를 집어넣어 독소를 제거했으며, 또한 숯과 고추를 새끼줄에 꿰어 독에 둘러쳐 장맛을 나쁘게 하는 잡귀를 막으려 했다.
고추는 비타민 AㅇBㅇC가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비타민 C는 감귤의 9배, 사과의 18배나 될 정도로 매우 풍부하다.
대한한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고추는 대략 100여 종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산지의 명칭을 딴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 가운데 충남 청양의 청양고추, 충북 음성의 음성고추, 경북 칠성의 칠성초, 경북 수비의 수비초가 유명하다. 칠성초는 짧지만 맵고 단맛이 있으며 껍질의 살이 많아 고춧가루를 많이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을 떠나면 같은 종자라도 똑같은 맛이 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
매운 맛으로는 단연 청양고추가 으뜸이어서 김치 담그는 용으로는 최고다. 하지만 시중에 나도는 것들은 대부분 개량종들이고 진짜 토종은 매운데다 맛도 좋지만 수량이 적어 재배하는 사람들이 매우 줄어들었다고 한다.
현재 시중에서 시판하고 있는 고추들은 우수한 외래종과 교배한 것들로 이들을 통틀어 호고추라고 한다. 이는 파란고추 때에는 매운 맛이 적어 채소용으로 알맞고 빨간 고추로 익어가면서 매운 맛이 늘어난다. 껍질이 두껍고 붉으며 씨가 적어 고춧가루를 많이 만들 수 있다.
고추는 꽃이 핀 후 보름 정도면 열매를 딸 수 있으며 빨간 고추는 50일 정도 지나면 딸 수 있다. 파란고추를 딸 때는 되도록 밑의 풋고추를 따고 위의 것은 붉게 익도록 놔둔다. 고추는 추수 전의 것이 가장 좋아 껍질이 두껍고 씨가 적으며 짙은 빛깔이 돌고 윤기가 나지만, 끝물 것은 껍질이 얇고 분홍빛이 돌며 씨가 많다.
한편, 이와 같은 고추는 나무에서 근접되게 많은 수가 열리며 또한 나무에서 제대로 따지 않으면 손상되거나 그 자리에서 고추가 다시 열리기 힘들다.
그러하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추수하기가 어려우며, 설사 숙련자라 하더라도 추수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쉽고 편리하게 고추와 같은 과실을 추수할 수 있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2-000076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62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과실이 유입되는 과실 유입구와 꼭지가 커팅(cutting)된 과실이 배출되는 과실 배출구를 구비하는 추수기 본체; 상기 추수기 본체의 과실 유입구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과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과실의 꼭지를 커팅하는 커터; 및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을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를 구비하며,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꼭지가 커팅된 과실은 상기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들 사이에서 클램핑된 후에 상기 과실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추수기 본체의 표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추수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추수기 본체를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추수기 본체의 과실 유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커터 지지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실 클램핑용 막대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흡작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실 클램핑 유닛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구동축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 구동유닛은, 상기 추수기 본체의 일측 더미공간부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피동 스프로켓; 및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피동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실 배출구 영역에서 상기 추수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과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실을 수거하는 수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재는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추수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과실 클램핑용 막대를 지지하는 막대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실 클램핑용 막대는, 상기 막대 홀더의 홈부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의 외관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추수기 본체를 좌우로 구부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를 파지한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를 파지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른 내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과실 클램핑용 막대 영역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의 외관 구조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추수기 본체를 좌우로 구부린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를 파지한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1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를 파지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 구조도, 도 6은 도 1의 내부 구조도, 도 7은 도 1의 다른 내부 구조도, 도 8은 도 6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100)는, 과실, 특히 고추와 같은 과실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추수기 본체(110), 커터(120), 그리고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추수기 본체(110)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100)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추수기 본체(110)는 너무 무겁지 않으면서도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혹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100)를 한 손으로 잘 파지할 수 있도록 추수기 본체(110)의 외면에는 손잡이(113a,113b)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4처럼 2개의 손잡이(113a,113b)가 추수기 본체(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손잡이(113a)는 밴드로, 다른 하나의 손잡이(113b)는 막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 4처럼 추수기 본체(1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과실의 추수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물론, 물론, 도면과 달리 손잡이(113a,113b)는 1개만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추수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과실이 유입되는 과실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추수기 본체(110)의 타측에는 꼭지가 커팅(cutting)된 과실이 배출되는 과실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즉 나무에 매달려 있는 고추와 같은 과실에 추수기 본체(110)의 과실 유입구(111)를 근접시키면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170)의 동작에 기초하여 나무에서 과실의 꼭지가 커팅된 후에, 과실이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에 클램핑되어 과실 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추수기 본체(110)의 측면에는 도 1에서 도 2 및 도 3처럼 추수기 본체(110)를 좌로 혹은 우로 구부릴 필요가 있을 때, 추수기 본체(110)를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주름부(114)가 형성된다. 실제, 추수기 본체(110)를 잡고 이리저리 옮길 때, 추수기 본체(110)를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주름부(114)의 필요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커터(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수기 본체(110)의 과실 유입구(111) 영역에 결합되어 과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과실의 꼭지를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무뎌진 커터(120)를 교체하기 위해, 혹은 위치가 잘 맞지 않는 커터(120)를 제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커터(120)는 커터 지지부(125)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착탈 결합된다.
다시 말해, 커터 지지부(125) 상에 형성되는 장공(126)과 체결부재(127)의 작용으로 인해 커터(120)는 해당 위치에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의 돌출 정도 또는 상하 배치 정도가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장공(126)은 통상의 일자형이 아닌 십자형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커터(120)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커터(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수기 본체(110)의 과실 유입구(111) 영역에 결합되어 과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과실의 꼭지를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무뎌진 커터(120)를 교체하기 위해 커터(120)는 커터 지지부(125)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착탈 결합되며, 커터(120)는 커터회전모터(M)의 원통형 회전축(128)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날이 형성된다.
커터(120)는 커터회전모터(M)의 원통형 회전축(128)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날이 포함된 커터(120)는 원통형 회전축(128)에 장착되어 원통형 회전축(128)과 함께 회동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과실 추수기는 커터회전모터(M)를 회전 구동 및 정지 동작을 수행하는 모터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과실 클램핑 유닛(17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 이격 배치되어 과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과실을 클램핑하여 과실 배출구(112)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꼭지가 커팅된 과실은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170)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 사이에서 클램핑된 후에 과실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실 클램핑 유닛(170) 각각은 구동축(130)과, 구동축(130)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종동축(140)과, 구동축(130)과 종동축(140)을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벨트(150)와, 벨트(150)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를 포함한다.
구동축(13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도면에는 자세히 표시하지 않았으나 구동축(130)에는 도시 않은 모터(motor)가 결합된 것으로 본다. 이때의 모터는 구동축(130)에 직결되는 직결형 모터일 수 있다.
종동축(140)은 구동축(130)과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구동축(130)과 상호 작용한다.
벨트(150)는 구동축(130)과 종동축(140)을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면서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을 지지한다. 구동축(130)과 종동축(140)이 벨트(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130)이 동작되면 그 구동력이 벨트(150) 및 종동축(140)으로 전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150)가 폐루프 형태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참고로, 벨트(150)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만들 경우, 지지대가 바나나 형태로 휘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할 경우, 추수기 본체(110)를 구부리는 동작을 보다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는 벨트(150)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며, 벨트(150)를 따라 회전되면서 과실을 클램핑(clamping)하는 역할을 한다.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은 벨트(150) 상에서 상호간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결합될 수 있다.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의 결합 방식은 본딩, 볼팅 등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은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이처럼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이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이웃된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 사이에서 과실이 클램핑될 수 있는데, 이때는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이 휘어지면서 과실을 클램핑하기 때문에 클램핑력이 좋아진다. 하지만,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 자체가 탄성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고추와 같은 과실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의 측면에는 다수의 흡작부재(161), 예컨대 빨판과 같은 흡작부재(161)들이 마련되어 과실의 흡착력을 높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의 측면에는 다수의 흡착홈(16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착홈(163)들이 마련되어 과실의 흡착력을 높인다.
물론, 흡작부재(161)가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나무에 매달려 있는 과실에 추수기 본체(110)의 과실 유입구(111)를 근접시키면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170)의 동작에 기초하여 나무에서 과실의 꼭지가 커팅된 후에, 과실이 과실 클램핑용 막대(160)들에 클램핑되어 과실 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200)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구동축(130)에 직결되는 직결형 모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별도의 구동축 구동유닛(270)을 이용하여 구동축(13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동축 구동유닛(27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71), 모터(271)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272)과, 구동축(130)에 연결되는 피동 스프로켓(273)과, 구동 스프로켓(272)과 피동 스프로켓(273)을 연결하는 체인(274)을 포함한다.
이에, 모터(271)가 동작되면, 모터(271)의 회전력이 구동 스프로켓(272), 체인(274) 및 피동 스프로켓(273)으로 전달되어 구동축(130)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벨트(150)의 동작을 견인시켜 과실을 추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과실 추수기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과실 추수기(300)의 경우,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더하여 과실을 수거하는 수거부재(38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과실 배출구(112) 영역에는 추수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과실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과실을 수거하는 수거부재(380)가 더 마련되고 있다.
이때의 수거부재(380)는 비닐 포대 등이 될 수 있으며, 입구가 플랜지(385)에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385)는 추수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거부재(380)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거된 과실이 수거부재(380) 내에서 모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과실 클램핑용 막대 영역의 변형 실시예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벨트(150)에 결합되어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를 지지하는 막대 홀더(470)가 더 마련되고 있다.
막대 홀더(470)는 벨트(15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처럼 벨트(150) 상에 막대 홀더(470)가 마련되는 경우,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를 설치하기도 좋고 손상된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를 유지보수하기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고 있는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 역시, 다수의 흡작부재(161)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의 단부에는 막대 홀더(470)의 홈부(471)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463)가 구비된다.
이러한 삽입 결합부(463)로 인해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가 막대 홀더(470)에 쉽게 끼워질 수 있는데, 이때는 삽입 결합부(463)가 막대 홀더(470)의 홈부(471)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460)가 적용되더라도 고추와 같은 과실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추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과실 추수기 110 : 추수기 본체
111 : 과실 유입구 112 : 과실 배출구
113a,113b : 손잡이 120 : 커터
125 : 커터 지지부 126 : 장공
127 : 체결부재 130 : 구동축
140 : 종동축 150 : 벨트
160 : 과실 클램핑용 막대 170 : 과실 클램핑 유닛

Claims (10)

  1. 표면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측면에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주름부가 형성되며, 과실이 유입되는 과실 유입구와 꼭지가 커팅(cutting)된 과실이 배출되는 과실 배출구를 구비하는 추수기 본체;
    상기 추수기 본체의 과실 유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커터 지지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착탈 결합되며, 상기 과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과실의 꼭지를 커팅하는 커터; 및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을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며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흡작부재가 결합되는 다수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구동축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꼭지가 커팅된 과실은 상기 한 쌍의 과실 클램핑 유닛의 과실 클램핑용 막대들 사이에서 클램핑된 후에 상기 과실 배출구로 배출되되,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 지지부 상에 장공과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구동유닛은,
    상기 추수기 본체의 일측 더미공간부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피동 스프로켓; 및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피동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배출구 영역에서 상기 추수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과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실을 수거하는 수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추수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과실 클램핑용 막대를 지지하는 막대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클램핑용 막대는,
    상기 막대 홀더의 홈부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추수기.
KR1020130068109A 2013-06-14 2013-06-14 휴대용 과실 추수기 KR10149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09A KR101499328B1 (ko) 2013-06-14 2013-06-14 휴대용 과실 추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09A KR101499328B1 (ko) 2013-06-14 2013-06-14 휴대용 과실 추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694A KR20140145694A (ko) 2014-12-24
KR101499328B1 true KR101499328B1 (ko) 2015-03-06

Family

ID=5267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109A KR101499328B1 (ko) 2013-06-14 2013-06-14 휴대용 과실 추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1998A (zh) * 2019-07-17 2019-11-12 华南理工大学 一种苹果模糊采摘装置
CN117999962B (zh) * 2024-04-10 2024-06-07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用于自主采摘的末端执行器及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953A (ja) * 1994-05-23 1995-12-05 Seirei Ind Co Ltd 葉菜収穫機
KR20130059480A (ko) * 2011-11-29 2013-06-07 임명숙 고추의 포켓식 채집 및 슬라이딩 커터 방식을 갖는 개인 이동식 고추 수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953A (ja) * 1994-05-23 1995-12-05 Seirei Ind Co Ltd 葉菜収穫機
KR20130059480A (ko) * 2011-11-29 2013-06-07 임명숙 고추의 포켓식 채집 및 슬라이딩 커터 방식을 갖는 개인 이동식 고추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694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guson Trends in olive fruit handling previous to its industrial transformation
KR20120052136A (ko) 아보카도 나무 접붙이기
US83277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predatory mites
KR20190029394A (ko) 자석 스톱퍼를 갖는 과일수확기
KR101499328B1 (ko) 휴대용 과실 추수기
Walker et al. Mechanizing chile peppers: challenges and advances in transitioning harvest of New Mexico’s signature crop
US20030182808A1 (en) V-cut knife for cutting crop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2918707U (zh) 一种除虫菊收花装置
US11800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hytoimmune system to manage diseases in fruit trees
FICIOR et al. Importance of substrat dizinfection on Oyster mushroom (Pleurotus sp.) culture
CN106613366A (zh) 一种油桃的嫁接方法
JP2007151842A (ja) 摘果鋏
US3658132A (en) Brussels sprout harvester
KR20140145693A (ko) 휴대용 과실 추수기
CN210183919U (zh) 一种便携的桑葚采摘装置
JP4384516B2 (ja) 摘み取り装置
Balázs et al. The rootstock effect in the Hungarian watermelon production.
CN108112350A (zh) 一种甘蔗种植切割一体装置
JP2013111050A (ja) 唐辛子の摘果方法
JP2019531719A (ja) 植物病原性微生物の生物学的防除
KR101891911B1 (ko) 맥문동 괴근 수확기
CN107950259A (zh) 一种防治甜瓜细菌性果斑病的新方法
CN207995711U (zh) 一种冬桃嫁接装置
Valenzuela et al. Crop production Guidelines'
Jatoi et al. Mechanized pre & post-harvest practices of berry crops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