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223B1 -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223B1
KR101497223B1 KR20130087073A KR20130087073A KR101497223B1 KR 101497223 B1 KR101497223 B1 KR 101497223B1 KR 20130087073 A KR20130087073 A KR 20130087073A KR 20130087073 A KR20130087073 A KR 20130087073A KR 101497223 B1 KR101497223 B1 KR 10149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eaker
unit
sound signal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902A (ko
Inventor
이동철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3008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2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단말기 착탈부에 소정의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의 상기 스피커를 통한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유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SPEAKER-OUTPUT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의 통화가 제1 목적이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도 구비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도 보고, 음악도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휴대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해야 하므로 제조업체에서는 가능한 한 크기를 작고, 무게를 가볍게 하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런데 여러 사람이 동시에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 또는 TV(Television)를 보거나 음악을 같이 들으려고 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성능이 좋은 스피커를 통신 단말기에 내장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을 고려하여 제한된 출력을 가진 스피커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볼륨을 높이는데도 한계가 있어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달받아 질 좋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도킹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즉, 도킹 장치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의 도킹 장치는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는 블루투스 통신을 하고, 유선으로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하여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고 기 구비된 질 좋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USB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도킹 장치에 구비된 착탈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소정의 통신 단말기가 그 착탈부에 장착되는 경우 USB 인터페이스의 결합에 의해 통신 단말기와 도킹 장치가 상호간 유선 통신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도킹 장치는 사운드 소스를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동 선택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한 소리 신호를 출력하던 중에 도킹 장치의 착탈부에 소정의 통신 단말기를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유선 전환을 선택해야 도킹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한 소리 신호 대신에 착탈부에 장착된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소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1-007350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 소린 신호를 출력하던 중에 소정의 통신 단말기를 장착하는 경우 자동으로 사운드 소스가 무선에서 유선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운드 소스가 유선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장착된 통신 단말기를 분리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 하였던 단말기와 다시 통신을 재개하여 그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와; 소정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소정의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착탈부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유선 신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감지부와; 스피커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 감지부에서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의 장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대신에 상기 유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단말기 착탈부에 소정의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의 상기 스피커를 통한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유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 출력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던 중에 기 구비된 단말기 착탈부에 소정의 단말기가 장착되는 경우, 그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던 소리 신호 대신에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유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되었던 단말기가 그 단말기 착탈부에서 분리되는 경우, 스피커 출력 장치는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했던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재개하여 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출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피커 출력 장치에 소정의 단말기가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스위칭부의 기능을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 처리부(110), 단말기 착탈부(120), 유선 신호 처리부(130), 착탈 감지부(140), 스피커(150), 스위칭부(160), 제어부(170), 저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처리부(110)는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그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에 해당하고, 무선 신호 처리부(110)가 외부 장치(300)는 서로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통신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300)와 무선 신호 처리부(110)는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상호간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외부 장치(3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소리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 전송하면, 무선 신호 처리부(11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서 추출된 소리 신호는 후술하는 스위칭부(160)를 경유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단말기 착탈부(120)는 소정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소정의 단말기(2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말한다. 단말기 착탈부(120)에 구비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마이크로 USB(Micro Universal Serial Bus), RS-232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착탈부(120)에 단말기(200)가 착탈될 때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상호간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유선 신호 처리부(130)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된 단말기(200)는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소정의 소리 신호 데이터를 유선 신호 처리부(130)에 전달하고, 유선 신호 처리부(130)는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전달받은 소리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소리 신호 데이터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유선 신호 처리부(130)에서 추출된 소리 신호는 앞서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160)를 경유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착탈 감지부(140)는 단말기 착탈부(120)에 소정의 단말기(200)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착탈부(120)에 단말기(200)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의 일 예는 도 2(a)에 나타나 있고, 단말기 착탈부(120)에 단말기(200)가 장착된 후의 상태의 일 예는 도 2(b)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착탈 감지부(140)는 누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단말기 착탈부(120)에 단말기(200)가 장착될 때 누름 감지 센서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착탈 감지부(140)는 소정의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착탈 감지부(140)는 누름 감지 센서 대신에 압력 센서 또는 광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마이크로 USB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핀과 연결되어 장착되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이벤트 신호를 감지하여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스피커(150)는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물리적 진동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스피커(150)의 구조 및 그 기능은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위칭부(160)는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와 유선 신호 처리부(13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피커(15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위칭부(160)는 후술하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 소스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저장부(180)는 소정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한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는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맥(MAC) 어드레스, 또는 장치 식별 아이디 등에 해당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면 무엇이든 해당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그 저장된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0)는 스위칭부(160)를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사운드 소스가 택일적으로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60)를 제어한 상태에서 착탈 감지부(140)에서 단말기 착탈부(120)에 단말기(200)의 장착을 감지하는 경우,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대신에 유선 신호 처리부(13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6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150)로 출력되는 사운드 소스가 무선 통신에 따라 수신되는 소리 신호가 아니라, 단말기(200) 장착에 의해 연결된 유선 통신에 따라 수신되는 소리 신호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60)가 동작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착탈 감지부(140), 제어부(170)와, 스위칭부(160)는 하나의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어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될 때 무선 신호의 소리 신호보다 단말기(200) 장착에 따른 유선 신호의 소리 신호가 우선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었던 단말기(200)가 해당 단말기 착탈부(120)에서 분리되었음을 착탈 감지부(140)가 감지하는 경우, 유선 신호 처리부(13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대신에 무선 신호 처리부(110)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무선 신호 처리부(110)가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하여 해당 소리 신호를 스피커(150)로 출력하는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무선 신호 처리부(110)가 제1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하여 그 제1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제1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이후 제1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통신이 종료되고, 제2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하여 그 제2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제2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착탈 감지부(14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소정의 단말기(200)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하도록 무선 신호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때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7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이 이루어져서 그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는 시점에 해당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써 소정의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는 시점에 지금까지 무선 통신을 하였던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외부 장치(300)와 통신이 이루어질 때마다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잇다.
더 나아가 제어부(170)는 착탈 감지부(14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었던 단말기(200)가 분리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300)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무선 신호 처리부(110)를 제어하고, 페어링 이후에 무선 신호 처리부(110)가 추출한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60)를 제어한다.
여기서 페어링이라는 것은 무선 연결이 끊어졌던 장치들 사이에서 다시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무선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고, 주변에 위치한 임의의 장치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스캔하는 과정과는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정의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었다가 분리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하였던 외부 장치(300)와의 통신을 재개하는데, 이때 저장부(180)에 저장되었던 장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단말기(200)가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 장착되기 전과 후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스피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악을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2(b)는 단말기(200)가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 장착됨으로써 스피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 간의 무선 통신은 종료되고, 단말기(200)를 통한 통화 내용이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2(c)는 도 2(b)의 상태에서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 장착된 단말기(200)를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스피커 출력 장치(100)가 다시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악을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60)가 동작하는 과정을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단말기(200)가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무선 신호 처리부(110)가 스위칭부(160)를 경유하여 스피커(15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 장치(3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이 된다.
도 3(b)는 단말기(200)가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유선 신호 처리부(130)가 스위칭부(160)를 경유하여 스피커(150)와 연결되므로, 스피커 출력 장치(100)에 장착된 단말기(200)로부터 유선 즉,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출력 장치(100)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단계 S1).
이때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3).
그리고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5). 이렇게 외부 장치(300)의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단말기(200) 장착이 감지될 때까지 계속하여 이루어진다.
기 구비된 단말기 착탈부(120)에 소정의 단말기(200) 장착이 감지되는 경우(단계 S7)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무선 통신 해제 요청 신호를 외부 장치(300)에 전송한다(단계 S9). 이에 따라 외부 장치(300)가 무선 통신 해제 처리를 수행하여(단계 S11) 무선 통신 해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면(단계 S13),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통신 해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5).
외부 장치(300)가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처럼 무선 통신 해제 처리를 수행하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단말기(200) 장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300)의 소리 신호가 스피커(150)로 출력되지 않으므로 외부 장치(3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해제하여 무선 신호 전송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된 단말기(200)가 전달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17). 이렇게 장착된 단말기(200)의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단말기(200) 분리가 감지될 때까지 계속하여 이루어진다.
만일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었던 단말기(200)가 그 단말기 착탈부(120)로부터 분리됨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19),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지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을 하였던 외부 장치(300)에 무선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1). 이때 무선 통신 연결 요청 신호는 일종의 페어링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단계 S23),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소린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단계 S5).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출력 장치(100)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와 대부분의 과정이 동일하고, 다만 외부 장치(300) 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즉, 도 4에서는 외부 장치(300)와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외부 장치(300) 정보를 저장하는 것(단계 S3)을 일 예로 하였지만, 도 5에서는 단말기 착탈부(120)에 소정의 단말기(200)가 장착되는 경우에 한하여(단계 S35) 현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단계 S37).
그 외의 제어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차이가 없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출력 장치(100)는 소정의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현재 무선 통신 중인 외부 장치(300)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하며, 그 장착되었던 단말기(200)가 단말기 착탈부(120)로부터 분리도는 경우에는 기존에 무선 연결되었던 외부 장치(300)와 다시 무선 통신을 재개하여 해당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피커 출력 장치 200 : 단말기
300 : 외부 장치 110 : 무선 신호 처리부
120 : 단말기 착탈부 130 : 유선 신호 처리부
140 : 착탈 감지부 150 : 스피커
160 : 스위칭부 170 : 제어부
180 : 저장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b) 기 구비된 단말기 착탈부에 소정의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의 상기 스피커를 통한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유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하여 해당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되었던 단말기가 해당 단말기 착탈부에서 분리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페어링 이후에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방법.
  4.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b) 기 구비된 단말기 착탈부에 소정의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의 상기 스피커를 통한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유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장착되었던 단말기가 해당 단말기 착탈부에서 분리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페어링 이후에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삭제
  7. 삭제
  8.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와;
    소정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소정의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착탈부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유선 신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감지부와;
    스피커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 감지부에서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의 장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대신에 상기 유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가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하여 해당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하도록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착탈 감지부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분리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를 제어한 후, 페어링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가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
  9. 외부의 사운드 소스를 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와;
    소정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소정의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착탈부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서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유선 신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감지부와;
    스피커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 감지부에서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의 장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 대신에 상기 유선 신호 처리부에서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종료하도록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착탈 감지부가 상기 단말기 착탈부에 상기 단말기가 분리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를 제어한 후, 페어링 이후에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가 추출한 소리 신호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력 장치.
KR20130087073A 2013-07-24 2013-07-24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9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073A KR101497223B1 (ko) 2013-07-24 2013-07-24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073A KR101497223B1 (ko) 2013-07-24 2013-07-24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902A KR20150011902A (ko) 2015-02-03
KR101497223B1 true KR101497223B1 (ko) 2015-02-27

Family

ID=5248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073A KR101497223B1 (ko) 2013-07-24 2013-07-24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2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7109A1 (en) 2008-09-22 2010-03-25 Lenovo (Beijing) Limited Computer docking sta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7109A1 (en) 2008-09-22 2010-03-25 Lenovo (Beijing) Limited Computer docking sta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902A (ko)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77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attery information, and user terminal therefor
KR101881429B1 (ko)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및 장치
KR20140101958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491113A (zh) 迁移方法、装置及终端
US2016018300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based on battery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2015165764A5 (ko)
CN105182766A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WO20130778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presentation devices
KR20100052287A (ko) 외부 장치별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외부 장치 운용 시스템
US201100280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evice registration method
CN107785961B (zh) 一种串联电池充电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4320774A (zh) 一种升级方法、装置及设备
CN107295591B (zh) 通话方法、装置、计算机可存储介质和移动终端
US20220060042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425062A (zh) 控制系统
KR20200139079A (ko) 무선충전 통신방법, 장치,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4703255A (zh) 驻网调整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8449787B (zh) 连接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05282867A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
US10057756B2 (en) Terminal det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497223B1 (ko) 스피커 출력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N102215334A (zh) 拍摄装置及其拍摄方法
KR102297797B1 (ko) 전자 장치간 트리거 동작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잭 액세서리
CN114665555A (zh) 控制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1501148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