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937B1 -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937B1
KR101496937B1 KR1020070141291A KR20070141291A KR101496937B1 KR 101496937 B1 KR101496937 B1 KR 101496937B1 KR 1020070141291 A KR1020070141291 A KR 1020070141291A KR 20070141291 A KR20070141291 A KR 20070141291A KR 101496937 B1 KR101496937 B1 KR 10149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monella
antibody
coli
egg yolk
anti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370A (ko
Inventor
김정우
우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7014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9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from eg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 C07K16/12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from Gram-negative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 C07K16/12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from Gram-negative bacteria
    • C07K16/12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from Gram-negative bacteria from Enterobacteriaceae (F), e.g. Citrobacter, Serratia, Proteus, Providencia, Morganella, Yersinia
    • C07K16/12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from Gram-negative bacteria from Enterobacteriaceae (F), e.g. Citrobacter, Serratia, Proteus, Providencia, Morganella, Yersinia from Escherichia (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대장균의 필리 항원,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시킨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상기 난황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또는 살모넬라균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가축 설사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설사병, 대장균, 살모넬라, 난황, 항체

Description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Method for Separating Yolk Antibody against Pili Antigen of E. coli or Flagella Protein Antigen of Salmonella sp.}
본 발명은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대장균의 필리 항원,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시킨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상기 난황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에 관한 것이다.
축산 산업의 집단, 다두 사육화 추세에 따라 소의 세균 및 바이러스성 설사병은 가장 흔하고 문제시되는 질병이다. 특히, 병원성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의한 설사병은 거의 모든 사육 농가에서 발생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는바, 설사병 중 가장 기본적인 발병 원인균으로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과 살모넬라 티피뮤 리엄(Salmonella typhymurium), 살모넬라 듀블린(Salmonella dublin) 등이 있으며, 거의 전 축종에 걸쳐 설사병을 유발시킨다.
현재 세균 및 바이러스성 설사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백신 및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백신으로 처리할 경우 신생 송아지에게는 예방 효과가 한정적이고, 항생제로 처리할 경우, 오·남용시 송아지에게 내성이 생기거나 체내에 잔류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섭취할 경우 인체 내 부작용이 심각하다. 또한, 질병 예방용 또는 성장 촉진용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어린 가축의 질병 발생율, 폐사율이 증가하며, 성장 지연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에 현재 전세계적으로 항생제 투여에 많은 제한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모체 유래 항체를 이용한 수동 면역을 이용하는 것이 신생기 중의 설사 방지 및 각종 질병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초유를 부족하게 섭취한 신생 송아지에게 각종 대장균 또는 살모넬라의 독소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를 경구 투여할 경우 설사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미국의 Grand laboratories Inc.는 대장균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리겐스(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한 항혈청을 이용한 설사병의 예방 및 치료약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항혈청제제는 항혈청을 얻기 위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제한된 기간만 생산되어 충분한 양을 얻지 못하며, 면역글로블린의 분리 및 정제에 많은 경비와 제반 기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제10-0267746호)는 돼지 대장균 설사증 예방 및 치료용 난황 항체를 이용한 경구용 면역제제에 관한 것으로, 병원성 대장균의 부착인 자인 K88, K99, 987p 섬모 항원과 이열성 장 독소를 혼합한 백신을 산란계에 접종하여 면역화된 닭의 달걀로부터 분리된 난황으로부터 특이항체를 추출하여 제제화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제10-0280331호)는 대장균 K88 필리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제10-0280332호)는 대장균 K987P 필리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등록특허(제10-0280333호)는 대장균 K99 필리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각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필리 항원에 의해 유도된 난황 항체의 양이 적어 설사병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백신이나 항생제를 대체할 안정성이 높은 설사병의 예방 및 치료 물질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송아지 설사병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 항원과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의 편모 단백질을 분리한 후, 산란계에 접종하여 면역화시킨 경우 혈청 및 난황에서 높은 항체 역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된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분리된 난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장균 F4, F5, F6 및 F4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대장균의 필리 항원으로 면역화시킨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난황을 분리하여 pH4.5~5.0의 증류수로 7~10배 희석시키고 -20℃ 이하에서 냉동처리한 후, 실온에서 융해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지질 및 고형질을 제거하고 남은 상층액을 여과 및 동결건조시켜 난황으로부터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살모넬라 티피뮤리엄(Salmonella typhymurium, ST)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Salmonella dublin, SD)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시킨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난황을 분리하여 pH4.5~5.0의 증류수로 7~10배 희석시키고 -20℃ 이하에서 냉동처리한 후, 실온에서 융해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지질 및 고형질을 제 거하고 남은 상층액을 여과 및 동결건조시켜 난황으로부터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장균 F4, F5, F6 및 F4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대장균의 필리 항원으로 면역화된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분리된 난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살모넬라 티피뮤리엄(Salmonella typhymurium, ST)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Salmonella dublin, SD)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된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분리된 난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 균주 특유의 필리 항원이나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및 살모넬라 듀블린 특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이용함으로써 초유 중 부족한 항체를 보완하여 송아지의 면역력을 높혀 가축의 설사병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대장균의 필리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의 편 모 단백질 항원에 대한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 항원으로 면역화된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분리된 난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된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분리된 난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면역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을 배양한 후 필리(pili) 항원을 분리하였고, 살모넬라 티피뮤리엄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을 배양한 후 편모 단백질을 분리하여 각각 단일클론 항체와 반응시켜 항원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 서로 다른 계통의 항체와는 반응하지 않아 고도의 항체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대장균의 필리와 살모넬라의 편모 단백질 항원을 각각 BALB/c 마우스 및 산란계에 접종한 후, 혈청 중에 형성된 항체를 수득하여 병원성 미생물(F4, F5, F6, F41, ST 및 SD)과의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 각 병원성 미생물은 특정 항체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반응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장균의 필리와 살모넬라의 편모 단백질 항원을 산란계에 접종하여 면역화시킨 후, 혈청 및 계란의 난황으로부터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 형성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혈청 중의 항체 역가는 접종 후 2주경부터 증가하여 6~8주경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고, 난황 중의 항체 역가는 접 종 후 4주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12주경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병원성 미생물의 항원 단백질(fimbrial adhesin)의 분리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Manitoba Animal Health Centre)으로부터 필리(pili)를 분리하기 위하여, 대장균 F4, F5, F6 및 F41을 각각 Trypicase soy broth(Difco)에 접종하여 37℃에서 36시간 동안 150rpm으로 교반 배양한 후 균체를 회수한 다음, Erickson 등(1992, Identification of two porcine brush border glycoproteins that bind the K88ac adhesin of Escherichia coli and correlation of these glycoproteins with the adhesive phenotype. Infect Immun. 60(3):983-988)의 방법을 수정·보안하여 필리를 분리하였다.
즉, 상기에서 회수된 대장균을 인산 완충염 용액(PBS, pH7.2)에 부유시킨 후, 대장균의 활성을 없애기 위하여 60℃에서 30분 동안 중탕한 다음, 세포막으로부터 필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약 10분 동안 고속으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균질 처리된 대장균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 후, 2.5% 구연산을 가하여 pH 4.0으로 적정한 다음, 3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산 처리를 한 상등액을 4℃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4℃에서 14000x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필리가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PBS에 부유시킨 후, 산 처리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하여 정제된 대장균 필리 항원을 수득하였다.
또한,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시키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엄(Salmonella typhymurium, ST) 및 살모넬라 듀블린(Salmonella dublin, SD)(Manitoba Animal Health Centre)으로부터 편모 단백질(flagella protein)을 분리하기 위하여, 살모넬라 티피뮤리 및 살모넬라 듀블린을 각각 Trypicase soy broth(Difco)에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정치 배양한 후 균체를 회수한 다음, Ibrahim GF 등(1985.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highly purified Salmonella flagellin. J. Clin. Microbiol. 22:1040-1044)의 방법을 수정·보완하여 편모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즉, 상기에서 회수된 살모넬라 균주를 0.15M PBS에 부유시킨 후, 염산을 이용하여 pH 2.0 으로 조정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후,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14000xg)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1M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7.4로 적정한 다음, 상층액 내 암모늄설페이트가 2.67M이 되도록 가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상층액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수득된 침전물을 0.15M PBS로 18시간 동안 투석한 후, 다시 PBS로 4시간 동안 투석하여 살모넬라 편모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분리된 필리 또는 편모 단백질을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12%)로 전기영동한 후, Coomassie brilliant blue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 항원의 주 밴드는 각각 약 30 kDa, 약 18 kDa, 약 20 kDa, 약 29.5 kDa 위치에서 확인되었고(도 1), 살모넬라 ST 및 SD의 편모 단백질의 주 밴드는 각각 약 50 kDa, 약 45 kDa에서 확인되었다 (도 2).
또한, 상기에서 분리된 대장균 필리의 항원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mmuno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1차 항체로는 F4 항체, F5 항체, F6 항체 및 F41 항체(monoclonal, CVL, England)를 2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는 AP-conjugated anti-mouse IgG(Jackson, USA)를 1,000배로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발색제로는 BCIP/NBT-Blue liquid substrate system for membranes(Sigma)를 사용하여 각 밴드의 반응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에서 분리된 대장균 F4, F5, F6 및 F41 필리는 각각의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였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6). 이로써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가 순수하게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항원 특이성 측정
실시예 2-1: 병원성 미생물의 항원 특이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와 살모넬라 ST 및 SD의 편모 단백질 항원의 단일클론 항체(CVL, United Kingdom, 1:20,000로 희석)와의 항원 특이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irect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교차 반응 결합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F4 필리 항원은 F4 단일클론 항체에서만 특이적으로 강한 반응을 보였으며, 다른 병원성 균주와는 전혀 반응하지 않는 고도의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F5, F6 및 F41 필리 항원, ST 및 SD 편모 단백질 항원들도 각각 F5, F6, F41, ST 및 SD 단일클론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을 나타내어, 서로 다른 계통의 병원성 미생물들과는 교차 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Figure 112007094920690-pat00001
* : 단일클론 항체
Manitoba: Animal Health Centre, Veterinary Services branch, Manitoba Agriculture, MB, Canada
ECRC: E.coli Reference Centre,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역가 범위: +++: 50,000 < 항체 역가 < 100,000, -: 500 > 항체 역가
실시예 2-2: 항체의 특이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대장균 필리 및 살모넬라 편모 단백질 항원을 면역원으로 이용하여 BALB/c 마우스 및 산란계에 접종하여 혈청 중에 형성된 항체의 특이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형성된 각각의 혈청 항체와 병원성 미생물(F4, F5, F6, F41, ST 및 SD)과의 특이성을 indirect ELISA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각 병원성 미생물들은 특정 항체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병원균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는 고도의 항체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7094920690-pat00002
* : 호스트 항체 희석비 1:30,000(IgG), 1:30,000~150,000(IgY)
역가 범위: +++: 150,000 이상, ++: 100,000 이상, +: 50,000 이상, - : 50,000 미만
실시예 3: 설사병 유발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의 생산
소 로타바이러스(bovine rotavirus)를 증식시키기 위하여, MA104 세포(레서스 원숭이(Rhesus monkey) 태아의 신장세포, ATCC)를 10% fetal bovine serum(FBS), 1% 페니실린 및 1%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단층 배양한 후, 소 로타바이러스(ATCC)를 감염시켜 3일간 배양한 다음, 세포 변성 효과(CPE)를 관찰하였다 (도 7).
또한, 소 코로나바이러스(bovine coronavirus)를 증식시키기 위하여, MDBK 세포(ATCC)를 10% fetal bovine serum(FBS), 1% 페니실린 및 1%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한 후, 소 코로나바이러스(ATCC)를 감염시켜 4일간 배양한 다음, 세포 변성 효과(CPE)를 관찰하였다 (도 8).
그 결과, 소 로타바이러스 또는 소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세포 변성이 유도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산란계 면역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대장균 필리 및 살모넬라 편모 단백질 항원과 Freund's complete adjuvant(FCA)를 동일 볼륨 혼합하여 유화한 다음, 산란계의 흉근 4 부위에 근육접종하였다. 1차 접종 2주 후부터는 동일한 항원과 Freund's incomplete adjuvant(FIA)를 동일 방법으로 유화하여 booster 접종을 실시하였으며, 계속해서 2주 간격으로 3회 면역하였다. 매 항원 접종일마다 익하정맥에서 채혈하여 분리된 혈청과 채란한 면역 계란의 난황으로부터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 형성 수준을 ELISA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각 항원 단백질을 5㎍/㎖이 되도록 카르보네이트-비카르보네이트 완충용액(pH 9.6)으로 희석하여 MicrotestⅢ flexible assay plate(Falcon 3911, BD Biosciences, USA)의 각 구에 100㎕씩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코팅이 완료된 플레이트를 세정용 완충용액(PBST, 0.02M NaH2PO4, 0.13M NaCl, 0.05% Tween 20, pH 7.2)으로 3회 세정한 후 3% BSA(bovine serum albumin, pH 7.3, Sigma Co. USA)/PBS을 각 구에 175㎕씩 분주한 후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PBST로 5번 세정하고 3% BSA/PBS와 세정용 완충용액(PBST, phosphate buffered saline-Tween 20)을 동량으로 섞은 희석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수득한 항혈청과 난황을 각각 2,000배 희석하여 3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한 후 상기 각 항원 단백질이 코팅된 구에 분주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차 항체로는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콘쥬게이티드 래비트 항-치킨 IgG(Jackson ImmunoResearch Laboratories Inc. USA)를 5,000배로 희석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상기 판의 구에 분주하여 반응시켰다. 기질 완충용액으로는 인산 기질 타블렛(ρ-nitrophenyl phosphate, PIERCE Co. USA)을 0.5mM MgCl2 가 포함된 10% 디에탄올아민(pH 9.8)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정지 용액으로 5M NaOH을 사용하여 반응을 블로킹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EL-800, BIO-TEK Instrument Inc. USA)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산란계에서 F4, F5, F6 및 F41 항원 접종에 대한 혈청 중의 항체 역가는 접종 후 2주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8주경에는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다. SD 및 ST에 대한 항체 역가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도 9). 또한, 난황 중의 항체 역가는 접종 4주경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12주경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다 (도 10).
항원의 종류별로 혈청 중 항체 역가의 수준 변화상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항체 역가의 형성은 혈청에서 먼저 형성된 뒤, 이어서 난황 중에서 항체가 형성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Shimizu. M. 등(1988. Anti- E. coli immunoglobulin Y isolated from egg yolk of immunized chickens antibodies from egg yolk. Laboratory Animal Science. 45: 89-93)의 연구에서 혈액 중에 형성된 항체 역가가 몇 주 후에 난황으로 이전된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분리된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 항원을 SDS-PAGE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분리된 살모넬라 SD 및 ST의 편모 단백질 항원을 SDS-PAGE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F4 필리와 항-F4 항체와의 반응 여부를 immunoblot assay로 측정한 것이다.
도 4는 F5 필리와 항-F5 항체와의 반응 여부를 immunoblot assay로 측정한 것이다.
도 5는 F6 필리와 항-F6 항체와의 반응 여부를 immunoblot assay로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F41 필리와 항-F41 항체와의 반응 여부를 immunoblot assay로 측정한 것이다.
도 7은 MA104 세포를 소 로타바이러스로 감염시켜 세포 변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 대조군; B: 소 로타바이러스로 감염된 MA104 세포).
도 8은 MDBK 세포를 소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시켜 세포 변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 대조군; B: 소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MDBK 세포).
도 9는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 항원, 살모넬라 SD 및 ST의 편모 단백질 항원을 접종하여 면역화된 산란계에서 분리된 혈청 중의 항체 역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대장균 F4, F5, F6 및 F41의 필리 항원, 살모넬라 SD 및 ST의 편모 단백질 항원을 접종하여 면역화된 산란계의 난황 중의 항체 역가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살모넬라 티피뮤리엄(Salmonella typhymurium, ST) 또는 살모넬라 듀블린(Salmonella dublin, SD)의 편모 단백질 항원으로 면역화시킨 산란계의 계란으로부터 난황을 분리하여 pH4.5~5.0의 증류수로 7~10배 희석시키고 -20℃ 이하에서 냉동처리한 후, 실온에서 융해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지질 및 고형질을 제거하고 남은 상층액을 여과 및 동결건조시켜 난황으로부터 난황 항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70141291A 2007-12-31 2007-12-31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KR10149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291A KR101496937B1 (ko) 2007-12-31 2007-12-31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291A KR101496937B1 (ko) 2007-12-31 2007-12-31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370A KR20090073370A (ko) 2009-07-03
KR101496937B1 true KR101496937B1 (ko) 2015-03-03

Family

ID=4133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291A KR101496937B1 (ko) 2007-12-31 2007-12-31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9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702A (ko) * 1997-12-31 1999-07-26 김정우 E.coli k99에 대한 신규한 항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267746B1 (ko) * 1998-04-03 2000-10-16 대한민국 돼지 대장균 설사증 예방 및 치료용 난황항체를 이용한 경구용 면역제제
KR100756777B1 (ko) * 2006-07-14 2007-09-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이 난황항체 함유 난황으로부터 항체 단백질의 대량 분리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702A (ko) * 1997-12-31 1999-07-26 김정우 E.coli k99에 대한 신규한 항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280332B1 (ko) * 1997-12-31 2001-02-01 김정우 대장균k99필리항원에대한난황항체의분리방법
KR100267746B1 (ko) * 1998-04-03 2000-10-16 대한민국 돼지 대장균 설사증 예방 및 치료용 난황항체를 이용한 경구용 면역제제
KR100756777B1 (ko) * 2006-07-14 2007-09-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이 난황항체 함유 난황으로부터 항체 단백질의 대량 분리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370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dde et al. Passive immunization with hyperimmune egg-yolk IgY as prophylaxis and therapy for poultry diseases–a review
Xu et al. Application of chicken egg yolk immunoglobulins in the control of terrestrial and aquatic animal diseases: a review
de Zoete et al. Vaccination of chickens against Campylobacter
Malekshahi et al.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mice with oral administration of egg yolk-driven anti-UreC immunoglobulin
Kuroki et al. Passive protection against bovine rotavirus in calves by specific immunoglobulins from chicken egg yolk
Kovacs-Nolan et al. Avian egg antibodies: basic and potential applications
Ebina Prophylaxis of rotavirus gastroenteritis using immunoglobulin
US7355092B2 (en) Genetic vaccines for the production of chicken egg-yolk antibodies agains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other pathogens
AU2014253685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or prophylaxis of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sease
Esmailnejad et al. Production, purification, and evaluation of quail immunoglobulin Y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almonella enteritidis
Amaral et al. Anti-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immunoglobulin Y isolated from eggs laid by immunised Leghorn chickens
KR102148503B1 (ko) 돼지 소화기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난황항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항체 및 이의 용도
CN111349156A (zh) 牛犊消化系统疾病的预防或治疗用卵黄抗体的制造方法以及由此而制造的卵黄抗体及其用途
Barati et al. Production of chicken egg yolk antibody (IgY) against recombinant cholera toxin B subunit and evaluation of its prophylaxis potency in mice
CN1594362A (zh) 特异性抗幽门螺杆菌卵黄抗体、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496937B1 (ko) 대장균의 필리 항원 또는 살모넬라균의 편모 단백질 항원에대한 난황 항체의 분리방법
Sudjarwo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protein of anti-dengue specific immunoglobulin Y for diagnostic kit of dengue
Bellingeri et al. Characterization of egg yolk immunoglobulin (IgY) agains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evaluation of its effects on bovine intestinal cells
Khalf et al. Efficacy of IgY immunoglobulin prepared in chicken egg yolk for the protection of chicken against necrotic enteritis
Karamzadeh-Dehaghani et al. Specific chicken egg yolk antibodies agains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K99 in serum and egg yolk of immunized laying hens.
Gordon et al.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gY antibodies from Lohmann Brown hens immunized with Salmonella spp. for their subsequent application in nanotherapy
KR100548898B1 (ko) 난황항체를 함유하는 반숙상태의 계란
KR100906257B1 (ko) 살모넬라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공동 특이 항원성을이용한 항체 IgY를 포함하는 계란 및 그 생산방법
KR20020032772A (ko) 살모넬라균에 대한 난황항체
KR100573424B1 (ko) 항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항체를 포함한 면역우유 및 그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