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823B1 -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823B1
KR101496823B1 KR20140094839A KR20140094839A KR101496823B1 KR 101496823 B1 KR101496823 B1 KR 101496823B1 KR 20140094839 A KR20140094839 A KR 20140094839A KR 20140094839 A KR20140094839 A KR 20140094839A KR 101496823 B1 KR101496823 B1 KR 10149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unit
high frequency
nois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이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피
Priority to KR2014009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7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absor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부가 전자파를 포집하여 표면전류로 변환하고 이것을 접지를 통해 방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부(20)와, 상기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컨버터(converter)(30)와, 상기 컨버터(30)와 안테나부에 연결되는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은 상기 안테나부(20)에서 변환된 교류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부(41)와, 상기 입력부(41)에 입력된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로 변환되는 정류부(4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전압으로 접지를 생성하는 접지부(43)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he display pannel using circuit for intercep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부가 전자파를 포집하여 표면전류로 변환하고 이것을 접지를 통해 방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의 원래 명칭은 전기자기파(電氣磁氣波)로서 이것을 줄여서 전자파라고 부른다. 전기 및 자기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전자기 에너지이다. 전기장과 자기장이 반복하면서 파도처럼 퍼져나가기 때문에 전자파로 부른다.
에너지가 강한 X선, 감마선 등의 방사선의 위험성이나 자외선이 피부암 등의 여러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이다. 그러나, 최근의 전자파 유해성 논란의 대상은 송배전 선로나 가전제품 등에서의 '극저주파'(Extremely Low Frequency: ELF)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과 기지국 시설의 증가에 따른 무선 주파수에서의 '고주파'(Radio Frequency: RF)이다.
이에, UN산하 국제암연구기구(IARC) 는 99년에 전자파를 발암인자 2등급으로 분류,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 로 규정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년에 약 60만불의 연구비를 사용하여, 0-300 GHz 사이의 전자파 노출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일치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많은 통신 기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점점 더 많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백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던 예전과 달리, 요즘에는 수 GHz의 주파수까지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에 따라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기파 간섭)이 통신 장애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였다. 인체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염, 두통, 만성피로, 조산, 기형아 출산과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와 차단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383975호는 소비/수송 장치(power consumption/transport apparatus)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변환된 교류 전류를 정류하는 변환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생성된 접지를, 상기 변환부에 제공하는 접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변환 및 차단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전자기파 변환 및 차단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는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들과 연결되어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접지를 생성하는 접지 제공부, 외부의 접지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접지부, 외부로부터 전류가 입력되는 전류 입력 단자, 및 상기 연결 접지부 및/또는 상기 접지 제공부로부터 접지를 제공받고 상기 전류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정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383975호의 전자파 저감장치는 저주파대역의 전자파에 대하여는 효과적이나 KHz-MHz대의 고주파대역에서는 저감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383975호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모듈 내에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외부로 고주파, 고출력의 전자파가 방출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체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염, 두통, 만성피로, 조산, 기형아 출산과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와 차단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제 1383975호의 전자파 저감장치는 저주파대역의 전자파에 대하여는 효과적이나 KHz-MHz대의 고주파대역에서는 저감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장시간 접하게 되는 모니터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등의 경우 전자파 차단이 중요하나 전자파 포집 및 제거가 용이하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부(20)와, 상기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컨버터(converter)(30)와, 상기 컨버터(30)와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은 상기 안테나부(20)에서 변환된 교류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부(41)와, 상기 입력부(41)에 입력된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로 변환되는 정류부(4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전압으로 접지를 생성하는 접지부(43)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과 전자파 차단 방법을 적용하면, 디스플레이패널, 컨버터 또는 그 외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안테나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휘감아 설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이 넓은 범위로 설치되어도 전자파를 포집하는 안테나의 기능을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자파를 포집 및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설치비가 필요함에 따라, 고가의 전자파제거필터(CMEF)에 대해서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는 고주파 영역의 노이즈를 처리하기 위한 고주파처리부(44)를 포함함으로써 저주파대역은 물론 고주파대역의 전자파 까지 저감시켜준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편을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면에 열융착하여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층을 증착시킨 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함으로써 형성시키거나 전도성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큰 TV, LCD/LED 모니터는 물론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및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테나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의 실시예 1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의 실시예 2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의 실시예 3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의 전자파 차단방법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측정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경우의 측정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경우의 측정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에 교류릴레이가 적용되는 자동작동모듈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에 4 개의 모스펫을 적용한 자동작동모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부가 전자파를 포집하여 표면전류로 변환하고 이것을 접지를 통해 방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부(20)와, 상기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컨버터(converter)(30)와, 상기 컨버터(30)와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은 상기 안테나부(20)에서 변환된 교류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부(41)와, 상기 입력부(41)에 입력된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로 변환되는 정류부(4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전압으로 접지를 생성하는 접지부(43)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과 안테나부(2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20)의 안테나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편을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에 열융착하여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동심원의 패턴을 적용하였으나, 기타 다른 형상의 패턴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부(20)의 안테나는 금속층을 증착시킨 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전도성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큰 TV, LCD/LED 모니터는 물론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및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이 용이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뒷면에 전도성 코팅 후 별도의 안테나부(20)를 연결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테나부는 전자파 포집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뒷면 전체에 걸친 그물구조, 디스플레이 뒷면에 평행한 나선구조, 그리드(grid) 구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0) 및 상기 컨버터(5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포집하고 표면전류로 변환한다. 이렇게 포집된 전자파를 교류전류인 표면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로 흘려보내게 된다. 상기 교류전류는 전자파가 전도성 물체에 닿아 생성된 표면전류로서, 상기 표면전류는 전도성 물체의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교류전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표면전류로 변환되어 접지로 흘러가는 전류이거나, 상기 교류전류는 건물 내외부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표면전류로 변환되어 건물의 접지로 흘러가는 전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교류전류인 표면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한다.
도 3은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부(30) 표면에서 변환된 교류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부(41), 상기 입력부(41)에 입력된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로 변환되는 정류부(42),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으로 접지를 생성하는 접지부(4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NTC의 돌입전류를 제한하고, 배리스터를 이용하여 서지를 제한하며,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입력전류의 전압을 제한하여, 정류회로에서 입력전압을 거의 0으로 조절하게 되어, 쿨선과 0 전위의 상호관계를 통해 전자파의 표면전류를 원활하게 접지를 통해 방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저주파(1000Hz 미만) 구간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고주파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고주파처리부(44)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처리부(44)의 비드필터(441)에서 고주파 노이즈를 열로 소모하여 없애고, 배리스터(442)를 통해서 220V의 정전압을 입력받아 불필요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경우, 상기 비드필터(441)는 페라이트코어(Ferrite Core)를 적용할 수 있다. 이후 LC필터(본 출원에서는 CFI-104M를 사용함)를 통해서 안테나부(30)에 노이즈들을 버린 후 상기 입력부(41)를 통해 포집하여 제거한다. 한편, 선 두 개가 접지부(43)에 연결되면 고주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선만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선은 홀드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의 실시예 2의 회로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고주파처리부(44)에 EMI필터를 적용한 실시예로서, 상기 EMI필터는 디커플링커패시터(Decoupling Capacitor)(445), 한 쌍의 코일(446) 및 두 개의 커패시터(4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드필터(441)와 배리스터(442)는 상기 도 2의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인접하여 연결되는 디커플링커패시터(Decoupling Capacitor)는 0.1uF ~ 1200uF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커플링커패시터(445)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코일(446)의 경우는 kHz~MHz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0.3uH~50mH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446)의 뒤쪽에 설치되는 커패시터(447)는 고주파 노이즈들을 안테나부(30)에 버리기 위한 것으로 두 커패시터(447)의 값은 서로 같으며, 3000pF~100nF의 값을 갖는다. 상기의 수치한정을 갖는 본 발명의 EMI필터는 기준치를 겨우 맞추는 정도이거나 혹은 기준치를 초과하던 종래의 SMPS에 내장된 EMI 필터에 대하여 보다 높은 효율을 갖는다.
도 4의 실시예 2에 있어서, 저주파 노이즈 제거는 도 3의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의 실시예 3의 회로도로서, 실시예 1의 차단회로와 실시예 2의 차단회로를 병합시킨 전자파 차단회로를 도시한다. 이는 실시예 1의 차단회로와 실시예 2의 고주파처리부(44)의 주파수별 노이즈 제거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두 회로를 직렬로 부가함으로써 상호 부족한 주파수별 제거효율을 보완하여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사용자가 전원을 올바른 방향으로 연결하였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작동모듈(45)이 부가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작동모듈(45)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의 회로도는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0에서는 교류릴레이(DK-3S220VAC)(451)가 적용되는 자동작동모듈(45)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에서는 4 개의 모스펫(IRF720)을 적용한 자동작동모듈(45)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상기의 자동작동모듈(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의 극성방향 연결에 무관하게 자동으로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을 작동시키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장치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방법 순서도로서, 먼저
안테나부(20)가 전자파를 흡수하면, 흡수된 전자파에 의해 안테나부(20) 표면에서 표면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20)의 안테나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편을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에 열융착하여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동심원의 패턴은 제한된 면적 안에서 안테나의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동심원 패턴 외에도 그리드(grid), 미세패턴 등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교류전류인 표면전류 중 고주파영역은 비드필터에서 고주파 노이즈를 열로 소모시키고 저주파영역의 노이즈를 안테나부에 방출하며,
상기 교류전류인 표면전류 중 저주파영역은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의 정류부(42)에서 직류전류로 변환된 후, 상기 변환된 직류전류가 접지를 통해 방전됨으로써 전자파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는 콘센트 접지, 중성선 접지, 가상 접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안테나부가 전자파를 흡수하는 단계; 전자파에 의해 안테나부에서 표면전류가 발생하는 단계; 고주파 처리단계; 저주파 영역 노이즈 방출단계; 저주파영역 노이즈 포집단계; 상기 교류전류인 표면전류가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의 정류부에서 직류전류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직류전류가 접지를 통해 방전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Ce test 측정 그래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경우의 Ce test 측정 그래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경우의 Ce test 측정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에서 가장 위의 선은 기준치를 의미하며, 중간의 선은 측정치중 최대값을 의미하고, 아래부분의 선은 측정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출원인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동심원의 패턴의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에서의 전자파 저감 실험을 하였다. 도 8 및 도 9의 Ce test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경우 도 7의 Ce test 그래프보다 현격하게 전자파가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디스플레이패널
20. 안테나부
30. 컨버터
40.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
41. 입력부
42. 정류부
43. 접지부
50. 전원부

Claims (11)

  1.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부(20)와, 상기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컨버터(converter)(30)와, 상기 컨버터(30)와 안테나부(20)에 연결되는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은
    상기 안테나부(20)에서 변환된 교류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부(41)와, 상기 입력부(41)에 입력된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로 변환되는 정류부(4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전압으로 접지를 생성하는 접지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회로 모듈(40)은 고주파 영역의 노이즈를 처리하기 위한 고주파처리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처리부(44)는
    고주파 노이즈를 열로 소모하여 없애기 위한 비드필터(441)와, 정전압을 입력받아 불필요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배리스터(442)와, 안테나부(20)에 노이즈들을 버리기 위한 LC필터(4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처리부(44)는 고주파 노이즈를 열로 소모하여 없애기 위한 비드필터(441)와, 정전압을 입력받아 불필요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배리스터(442)와,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EMI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처리부(44)는 고주파 노이즈를 열로 소모하여 없애기 위한 비드필터(441)와, 정전압을 입력받아 불필요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배리스터(442)와, 안테나부(20)에 노이즈들을 버리기 위한 LC필터(443)와,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EMI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20)의 안테나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편을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면에 열융착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20)의 안테나는 금속층을 증착시킨 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20)는 포집된 전자파를 교류전류인 표면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파 차단 모듈(40)의 입력부(41)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EMI필터는 디커플링커패시터(Decoupling Capacitor)(445)와 상기 디커플링커패시터(445)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코일(446) 및 두 개의 커패시터(4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커패시터(445)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코일(446)은 kHz~MHz대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0.3uH~50mH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446)의 뒤쪽에 설치되는 두 커패시터(447)는 3000pF~100nF의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4839A 2014-07-25 2014-07-25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9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4839A KR101496823B1 (ko) 2014-07-25 2014-07-25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4839A KR101496823B1 (ko) 2014-07-25 2014-07-25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823B1 true KR101496823B1 (ko) 2015-03-02

Family

ID=5302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4839A KR101496823B1 (ko) 2014-07-25 2014-07-25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005A (ko) * 1996-10-24 1998-07-25 니시무로타이조 비접촉식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데이타 송신 방법
KR20000050998A (ko) * 1999-01-18 2000-08-16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차단장치
KR20060135269A (ko) * 2005-06-24 2006-12-29 (주)이엠지테크 전기기기용 전자파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005A (ko) * 1996-10-24 1998-07-25 니시무로타이조 비접촉식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데이타 송신 방법
KR20000050998A (ko) * 1999-01-18 2000-08-16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차단장치
KR20060135269A (ko) * 2005-06-24 2006-12-29 (주)이엠지테크 전기기기용 전자파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205604A (ja) フィルタ部品およびフィルタ部品の使用
US20130014385A1 (en) Grounding method adapted for power supply
KR101496822B1 (ko)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전열선을 이용한 전열기구
US8552615B2 (en) Electric motors having EMI reducing circuits and methods therefor
KR101496824B1 (ko)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모터
EP3232551B1 (e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noise filter
US8921747B2 (en) Electric heating appliance with AC-line filter with low leakage current
KR101522351B1 (ko) 전자파 저감회로를 적용한 전기장판과 전자파 저감회로를 적용한 전기장판의 전자파 차단방법
KR101496823B1 (ko) 전자파 차단회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im et al. EMI reduc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ing spread spectrum frequency dithering
Trzynadlowski EMI Effects of power converters
Majid et al. Analysis of radiated EMI for power converters switching in MHz frequency range
KR20170010127A (ko) 전기 리사이클 송전탑
KR101541329B1 (ko) 전기 리사이클 송전탑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리사이클 방법
KR101541328B1 (ko) 전자기파 저감회로를 구비한 온수매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방법
KR101541327B1 (ko) 전자기파 흡수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방법
KR20200031285A (ko) 가변구조형 전자파차폐필터와 이를 구비한 차량용 무선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TWI487194B (zh) Method of reducing load current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110880A (ko) 전기 리사이클 송전탑
EP3068014B1 (en)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wave
CN106160437B (zh) 漏电流抑制电路及交流-直流电源供应器
CN110211799B (zh) 反激电源变压器屏蔽绕组匝数设计方法
CN207853862U (zh) 方波时钟信号高次谐波的emi抑制电路
Jeong et al. A terminal ground filter between cable and chassis for reduction of conducted emissions at a home appliance
CN104733363B (zh) 一种射频滤波电路和静电夹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