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419B1 -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6419B1 KR101496419B1 KR20130076660A KR20130076660A KR101496419B1 KR 101496419 B1 KR101496419 B1 KR 101496419B1 KR 20130076660 A KR20130076660 A KR 20130076660A KR 20130076660 A KR20130076660 A KR 20130076660A KR 101496419 B1 KR101496419 B1 KR 101496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winding member
- crop
- stem
- c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지고 일측으로 노출된 칼날을 이용하여 한 손만으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칼날이 형성된 평판 형태의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의 타측에 연장되고, 작업자의 검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1 권취부재와, 상기 제1 권취부재와 분리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작업자의 중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2 권취부재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끼워지고 일측으로 노출된 칼날을 이용하여 한 손만으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이 줄기가 달린 농작물을 자연상태에서 채취하기 위해서는 농작물의 줄기 부분을 줄기로부터 절단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와 같은 절단 작업은 보통 가위를 사용하거나 별다른 도구 없이 맨손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위를 이용한 줄기 절단 작업은, 한 손으로 농작물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가위를 이용하여 줄기를 절단하였기 때문에, 두 손이 모두 필요하며, 정확한 절단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특히, 야채 혹은 과일 등을 수거하는 작업은 장시간에 걸쳐 그리고 많은 양의 작업이 반복되기 때문에, 1회 작업의 작은 비효율성도, 전체 작업에는 큰 비효율성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별다른 도구 없이 야채 혹은 과일 등을 수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강제로 비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줄기의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농작물의 줄기부분이 제대로 절단되지 않을 뿐 더러 자칫 농작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손만으로 농작물의 줄기 부분을 절단시킬 수 있어 농작물의 수확이 보다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에 감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손가락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손가락에 고정됨에 따라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칼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더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는, 작업자의 손가락에 고정되어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칼날이 형성된 평판 형태의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의 타측에 연장되고, 작업자의 검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1 권취부재와, 상기 제1 권취부재와 분리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작업자의 중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2 권취부재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띠 형태에서 링 형태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곡 가능한 금속소재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와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절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양측단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폭이 좁아진 형태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권취부재는 상기 제1 권취부재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권취부재와 제2 권취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는 한 손만으로 농작물의 줄기 부분을 절단시킬 수 있어 농작물의 수확이 보다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에 감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손가락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손가락에 고정됨에 따라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칼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가 구부러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가 손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를 이용해서 농작물을 수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가 구부러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가 손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를 이용해서 농작물을 수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는 손가락을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일측으로 노출된 칼날을 이용하여 한 손만으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100)는 작업자의 손가락(21,22)에 고정되어 농작물(10)의 줄기(11)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농작물(10)의 줄기(11)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칼날(111)이 형성된 평판 형태의 절단부(110)와, 상기 절단부(110)의 타측에 연장되고, 작업자의 검지(21)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1 권취부재(121)와, 상기 제1 권취부재(121)와 분리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작업자의 중지(22)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2 권취부재(122)가 형성된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110)는 평판의 형태로 일측에 농작물(10)의 줄기(11)를 절단하기 위한 날타로운 절단용 칼날(111)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용 칼날(111)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10)는 농작물(10)의 줄기(11) 등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강도를 구비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절단부(110)는 후술되는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고정부(120)가 작업자의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면, 상기 절단용 칼날(111)은 작업자의 엄지 부분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절단용 칼날(111)과 엄지 사이에 농작물(10)의 줄기(11)를 위치한 상태에서 검지(21)와 엄지의 간격을 좁혀 농작물(10)의 줄기(11)를 절단용 칼날(111)로 절단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상기 절단부(110)의 타측에 연장되고, 작업자의 검지(21)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1 권취부재(121)와, 상기 제1 권취부재(121)와 분리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작업자의 중지(22)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2 권취부재(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절단장치(100)의 제작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평면의 띠 형태를 취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절단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가락, 특히 검지(21)와 중지(22)의 둘레를 감싸도록 작업자의 손 힘에 의해 링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20)가 작업자의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1 권취부재(121), 제2 권취부재(122)를 포함한다고 명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약지 또는 소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3 권취부재(미도시) 또는 제4 권취부재(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20)가 복수의 권취부재(121,122)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각각의 권취부재(121,122)가 복수의 손가락에 권취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권취부재(121,122)가 손가락에서 공회전 되지 않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120)는 농작물(10)의 줄기(11)를 절단하는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된 링 형태의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를 평면 형태로 펴서 원상태 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부(120)를 작업자의 손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20)는 띠 형태에서 링 형태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곡 가능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2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손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박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20)가 절곡 가능한 금속소재로 형성될 경우, 평면의 띠 형태인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가 작업자의 검지(21)와 중지(22)에 링 형태로 변형되면서 권취되어 고정부(120)가 작업자의 손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의 손의 형태에 맞게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를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할 수 있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된 링 형태의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를 평면 형태로 펴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부(120)를 작업자의 손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110)와 고정부(120) 사이에는 상기 절단부(11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양측단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폭이 좁아진 형태의 절곡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30)는 상기 절단부(110)와 고정부(120)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절단부(110)의 절곡이 용이하도록 절단부(110)나 고정부(120)에 비해 폭이 좁아진 형태를 취한다. 상기와 같이 절곡부(130)가 형성될 경우, 검지(21)와 중지(22)에 고정된 고정부(120)에 대해 절단부(110)의 절곡이 용이하기 때문에 절단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용도 및 작업 상황, 작업자의 기호에 따라 절단용 칼날(111)의 방향을 조절해가면서 농작물(10)의 줄기(11) 절단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권취부재(122)는 상기 제1 권취부재(121)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취된다. 즉, 제2 권취부재(122)의 길이(L2)는 제1 권취부재(121)의 길이(L1)보다 길다. 이는 상기 제1 권취부재(121)는 검지(21)에 권취되는 반면, 제2 권취부재(122)는 검지(21)를 경유해서 중지(22)에 권취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제1 권취부재(121)는 검지(21)의 하측을 경유해서 검지(21)에 권취된다. 한편, 상기 제2 권취부재(122)는 검지(21)와 중지(22)의 상측을 경유해서 중지(22)에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가 반대 방향으로 권취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100)는 각각 검지(21)와 중지(22)에 서로 다른 두 방향에 대해 지지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농작물(10)의 줄기(11) 절단 작업을 진행할 경우, 평면의 띠 형태인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를 링 형태로 변형하면서 각각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시켜 고정한다. 이 때, 고정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절단부(110)의 절단용 칼날(111)은 작업자의 엄지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절단용 칼날(111)과 엄지 사이에 농작물(10)의 줄기(11)를 위치한 상태에서 검지(21)와 엄지의 간격을 좁혀 농작물(10)의 줄기(11)를 절단용 칼날(111)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농작물(10)의 줄기(11) 절단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검지(21)와 중지(22)에 권취된 링 형태의 제1 권취부재(121)와 제2 권취부재(122)를 평면 형태로 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고정부(120)를 손가락에서 분리시켜 작업자의 손에서 절단장치(100)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에서 분리된 절단장치(100)는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는 한 손만으로 농작물의 줄기 부분을 절단시킬 수 있어 농작물의 수확이 보다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손가락에 감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손가락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손가락에 고정됨에 따라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칼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농작물
11 : 줄기
21 : 검지
22 : 중지
100 : 절단장치
110 : 절단부
111 : 절단용 칼날
120 : 고정부
121 : 제1 권취부재
122 : 제2 권취부재
130 : 절곡부
11 : 줄기
21 : 검지
22 : 중지
100 : 절단장치
110 : 절단부
111 : 절단용 칼날
120 : 고정부
121 : 제1 권취부재
122 : 제2 권취부재
130 : 절곡부
Claims (4)
- 작업자의 손가락에 고정되어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칼날이 형성된 평판 형태의 절단부;
상기 절단부의 타측에 연장되고, 작업자의 검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1 권취부재와, 상기 제1 권취부재와 분리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작업자의 중지에 권취되는 띠 형태의 제2 권취부재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띠 형태에서 링 형태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곡 가능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와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절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양측단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폭이 좁아진 형태의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취부재는 상기 제1 권취부재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권취부재와 제2 권취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6660A KR101496419B1 (ko) | 2013-07-01 | 2013-07-01 |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6660A KR101496419B1 (ko) | 2013-07-01 | 2013-07-01 |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597A KR20150003597A (ko) | 2015-01-09 |
KR101496419B1 true KR101496419B1 (ko) | 2015-02-27 |
Family
ID=5247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76660A KR101496419B1 (ko) | 2013-07-01 | 2013-07-01 |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64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56951B (zh) * | 2018-02-28 | 2024-02-13 |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 一种剪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03194A (ja) * | 1995-10-09 | 1997-04-22 | Yoshimasa Hayakawa | 剪定具 |
JPH09121679A (ja) * | 1995-11-01 | 1997-05-13 | Imoto:Kk | 菜果切断用指ハサミ |
KR200186420Y1 (ko) | 1999-12-07 | 2000-06-15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포도 화방손질 및 적심용 손톱칼 |
JP2001211747A (ja) | 2000-02-01 | 2001-08-07 | Hero:Kk | 花穂手入れナイフ |
-
2013
- 2013-07-01 KR KR20130076660A patent/KR1014964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03194A (ja) * | 1995-10-09 | 1997-04-22 | Yoshimasa Hayakawa | 剪定具 |
JPH09121679A (ja) * | 1995-11-01 | 1997-05-13 | Imoto:Kk | 菜果切断用指ハサミ |
KR200186420Y1 (ko) | 1999-12-07 | 2000-06-15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포도 화방손질 및 적심용 손톱칼 |
JP2001211747A (ja) | 2000-02-01 | 2001-08-07 | Hero:Kk | 花穂手入れナイ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597A (ko) | 2015-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U214461B (hu) | Köteg egyszer használatos evőeszközkészlet evőeszközeiből | |
US20160129600A1 (en) | Stripping tool for leafy vegetables and herbs | |
KR101496419B1 (ko) | 농작물 수확용 절단장치 | |
CN108366534B (zh) | 兼备悬挂于树枝及缓解冲击功能的剪枝剪 | |
CN203279551U (zh) | 一种可调节式果树环剥刀 | |
US20180288938A1 (en) | Mower Deck Dual Wedge System | |
KR101285154B1 (ko) | 집게가위 | |
KR20170022532A (ko) | 농작물 수확용 절단기 | |
KR101564930B1 (ko) | 농업용 가위 | |
JP2021040607A (ja) | 収穫カッター | |
US8287019B1 (en) | Roll container | |
EP4000368A4 (en) | RECIPROCATING BLADE DEVICE AND MOWER | |
CN103503703A (zh) | 一种花卉的除刺剪刀 | |
CN209376264U (zh) | 一种园林工具用定位保护罩 | |
KR20140084536A (ko) | 손가락용 칼 | |
KR20140133368A (ko) | 작업용 가위 | |
WO2020200503A1 (en) | Lopper having improved cutting performance | |
JP2574737B2 (ja) | 園芸用カッター | |
JP6978130B1 (ja) | ラインカッター | |
US20130333225A1 (en) | Diagonal cutter and wire stripper tool | |
JP3155012U (ja) | 野菜収穫鋏 | |
US20070283577A1 (en) | Guide Tool for Cutting Fine Kernels of Corn | |
US941995A (en) | Twine-cutter. | |
CN208523264U (zh) | 指环剪 | |
KR101370991B1 (ko) | 과실 전지용 가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