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227B1 - 휴대용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227B1
KR101495227B1 KR20130109666A KR20130109666A KR101495227B1 KR 101495227 B1 KR101495227 B1 KR 101495227B1 KR 20130109666 A KR20130109666 A KR 20130109666A KR 20130109666 A KR20130109666 A KR 20130109666A KR 101495227 B1 KR101495227 B1 KR 10149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olar cell
slot
battery pa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월표
강순동
권순창
신태선
전희준
권혜진
Original Assignee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와,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배터리팩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팩이 인출입되는 슬롯(Slot)과; 슬롯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삽입된 배터리 팩을 고정시키는 가변 프레임과; 그리고 고정 프레임과 가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탄력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배터리 장치{Portable battery}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의 구조를 개선하고, 배터리팩의 삽입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휴대에 편리한 휴대용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전기를 저장하여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터리는 초창기 개발 당시에는 전기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배터리를 다시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배터리에 발전기를 결합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배터리는 장소에 관계없이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러한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소형화된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발전기를 장착하고, 발전기에 배터리를 연결함으로써 발전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는 휴대할 수 있는 방식과, 고정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근래에는 다양한 레저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성이 강화된 휴대용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형 배터리는 이동시에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팩과 발전기의 접촉상태가 불안정해지므로 전기의 저장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로서 태양전지판넬을 이용하는 경우 전개되는 태양전지판넬의 면적은 한계가 있어서 충분한 전기를 생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11-11758호(명칭: 휴대용 태양전지 배터리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로서 태양전지판넬을 적용하는 경우, 태양전지판넬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수개의 태양전지판넬을 조립함으로써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와,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배터리팩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팩이 인출입되는 슬롯(Slot)과;
슬롯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삽입된 배터리 팩을 고정시키는 가변 프레임과; 그리고
고정 프레임과 가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탄력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배터리팩을 수납할 수 있고, 각 배터리팩은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가변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이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 혹은 진동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스프링의 길이가 슬롯의 내측으로 갈수록 길게 형성됨으로써 배터리팩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셋째, 배터리팩의 선단에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팩을 수납할 때, 이 자석이 연결 프레임에 부착됨으로써 배터리팩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넷째, 다수개의 태양전지판넬을 서로 조립하여 전개할 수 있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대용량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다섯째, 태양전지판넬이 결합턱에 의하여 암수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여섯째, 태양전지판넬과 케이스를 플렉시블한 재질의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전지판넬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삽입부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배터리팩을 삽입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배터리팩을 삽입한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전부에 있어서, 태양전지판넬을 전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태양전지판넬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는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3)와,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5)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는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다.
이러한 배터리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터리부(5)는 다수의 배터리팩(9)으로 구성된다. 즉, 일정 전기용량을 갖는 배터리팩(9)을 구비함으로써 발전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팩(9)의 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전기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9)은 케이스(10)에 구비된 수납부(1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3)는 케이스(10)의 외측에 형성되어 배터리팩(9)이 인출입되는 슬롯(15;Slot)과; 슬롯(15)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21)과; 고정 프레임(21)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삽입된 배터리팩(9)을 고정시키는 가변 프레임(26,27)과; 고정 프레임(21)과 가변 프레임(26,27) 사이에 배치되어 탄력성을 제공하는 스프링(S)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슬롯(15)은 가운데 바닥에 삽입구(16)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16)와 슬롯(15)의 표면은 경사면(17)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팩(9)을 슬롯(15)에 삽입하는 경우, 배터리팩(9)이 이 경사면(17)에 접촉하여 미끌어 짐으로써 자연히 삽입구(1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배터리팩(9)을 슬롯(15)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 등에도 정확하게 삽입구(16)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1)은 케이스(10)의 내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20)과,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22)과,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0,22)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S)이 장착된다. 이때, 복수개의 스프링(S)이 장착되는 경우 각 스프링(S)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가변 프레임(26,27)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있다.
가변 프레임(26,27)은 고정 프레임(21)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고정 프레임(21)과 사이에 스프링(S)이 배치된다. 따라서, 가변 프레임(26,27)은 스프링(S)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 프레임(21) 방향으로 근접했다 떨어졌다는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S)이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스프링(S)의 탄성력이 달리 설정된다.
즉, 스프링(S)은 케이스(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더 긴 스프링(S)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22)에 각각 배치된 가변 스프링(S)은 내측 방향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결국, 배터리팩(9)이 슬롯(15)을 통하여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배터리팩(9)의 선단이 가변 프레임(26,27)을 밀게 되며, 가변 프레임(26,27)은 고정 프레임(21) 방향으로 밀리면서 배터리팩(9)의 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팩(9)은 슬롯(15)을 통하여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이때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가변 프레임(26,27)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가압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9)이 완전히 삽입되면, 전극단자가 연결 프레임(24)에 배치된 전극단자에 접촉함으로서 전기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9)의 선단에는 한 쌍의 제 1자석(30)이 배치된다. 이 한 쌍의 제 1자석(30)은 연결 프레임(24)에 배치된 제 2자석(28)과 대응되며 극성은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배터리팩(9)을 끝까지 삽입하면, 한 쌍의 제 1자석(30)이 제 2자석(28)에 접촉함으로써 서로 접착되어 배터리팩(9)이 케이스(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배터리팩(9)이 케이스(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있으며, 제 1커버를 닫음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배터리팩(9)을 이탈 시키는 경우에는, 제 1커버(11)를 열고, 해당 배터리팩(9)을 잡은 후, 인력에 의하여 당긴다. 그리고, 당기는 힘이 제 1 및 제 2자석(30,28)의 자력보다 큰 경우 배터리팩(9)은 슬롯(15)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배터리팩(9)을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한편, 상기 발전부(3)는 피스톤과 소형화된 내연기관 방식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식으로 변경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 방식을 적용하여 전기를 생성함으로써 배터리부(5)에 충전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광 발전방식의 발전부(3)는 다수개의 태양전지판넬(34,35)을 서로 결합하여 전개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즉, 발전부(3)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납홈(37)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37)에는 태양전지판넬(34,35)이 각각 수납된다.
그리고, 전기를 발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수납홈(37)에서 태양전지판넬(34,35)을 인출하여 서로 조립한다.
이때, 태양전지판넬(34,35)은 양측에 형성된 턱에 의하여 암수결합됨으로써 서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판넬(34,35)의 일측에는 "ㄱ"자 형상의 제 1결합턱(53)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ㄴ"자 형상의 제 2결합턱(55)이 형성된다.
따라서, 태양전지판넬(34,35)의 제 1결합턱(53)과 이웃한 태양전지판넬(34,35)의 제 2결합턱(55)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암수결합한다.
이때, 태양전지판넬(34,35)의 일측면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이웃한 태양전지판넬(34,35)의 대응되는 위치에도 자석이 부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태양전지판넬(34,35)을 제 1 및 제 2결합턱(53,55)을 암수결합하고, 자력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다수개의 태양전지판넬(34,35)을 일체로 조립하여 전개할 수 있다.
물론, 각 태양전지판넬(34,35)의 회로는 결합시에도 이웃한 태양전지판넬(34,35)의 회로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판넬(34,35)의 하부에는 가이드턱(63)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태양전지판넬(34,35)을 조립하는 경우, 이웃한 태양전지판넬(34,35)이 이 가이드턱(63)에 접촉함으로써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태양전지판넬(34,35)이 일체로 조립된 후 케이스(10)에 조인트(39)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조인트(39)는 연결바(47)와, 연결바(47)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케이스(10)와 태양전지판넬(34,35)에 각각 삽입된 제 1 및 제 2구체(49,51)를 포함한다.
케이스(10)에는 제 1삽입홀(h1)이 형성되고, 제 1삽입홀(h1)은 구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태양전지판넬(34,35)의 일측에도 구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제 2삽입홀(h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인트(39)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지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이다.
따라서, 조인트(39)의 제 1구체(49)를 케이스(10)의 제 1삽입홀(h1)에 삽입하고, 제 2구체(51)를 태양전지판넬(34,35)의 제 2삽입홀(h2)에 삽입함으로써 태양전지판넬(34,35)이 케이스(10)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 일측에 태양전지판넬(34,35)을 결합한 후, 케이스(10)의 타측에도 태양전지판넬(34,35)을 결합함으로써 한 쌍으로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10)에 태양전지판넬(34,35)을 전개한 후,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광이 가장 효과적으로 입사되는 각도로 태양전지판넬(34,35)을 맞추기 위하여 태양전지판넬(34,35)을 적절한 각도로 조절한다.
이때, 태양전지판넬(34,35)은 사방으로 회전가능한 조인트(39)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태양전지판넬(34,35)의 각도를 태양의 고도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1: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
3: 발전부
5: 배터리부
7: 손잡이
9: 배터리팩
13: 수납부

Claims (7)

  1.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와,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배터리팩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팩이 인출입되는 슬롯(Slot)과;
    슬롯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삽입된 배터리 팩을 고정시키는 가변 프레임과; 그리고
    고정 프레임과 가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탄력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슬롯의 내측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슬롯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에는 제 1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제 1자석과 대등되며 극성이 반대인 제 2자석이 배치되어 자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발전부는 케이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홈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넬과;
    태양전지판넬을 케이스에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연결바와, 연결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케이스와 태양전지판넬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삽입홀에 각각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및 제 2구체를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바닥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와 슬롯의 표면은 경사면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팩이 이 경사면에 접촉하여 미끌어짐으로써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슬롯 방향에서 연결 프레임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넬은 일측에 형성되어 "ㄱ" 자형을 갖는 제 1결합턱과;
    타측에 형성되어 "ㄴ"자 형상을 갖는 제 2결합턱과;
    태양전지판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자석과;
    태양전지판넬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턱을 포함하는 발전기 일체형 배터리 장치.
  7. 삭제
KR20130109666A 2013-09-12 2013-09-12 휴대용 배터리 장치 KR10149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666A KR101495227B1 (ko) 2013-09-12 2013-09-12 휴대용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666A KR101495227B1 (ko) 2013-09-12 2013-09-12 휴대용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227B1 true KR101495227B1 (ko) 2015-02-24

Family

ID=5259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666A KR101495227B1 (ko) 2013-09-12 2013-09-12 휴대용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796A1 (ko) * 2016-02-05 2017-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WO2023146202A1 (ko) * 2022-01-25 2023-08-0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팩
CN117199677A (zh) * 2023-11-07 2023-12-08 河南锂动电源有限公司 一种特种作业防爆锂电池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575A (ja) * 2002-05-30 2003-12-05 Tdk Corp 太陽電池ユニットを用いた携帯機器
KR20060037598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20075976A (ko) * 2010-12-29 2012-07-09 이희재 전기 기기 케이스
KR20130042205A (ko) * 2011-10-18 2013-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탄성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575A (ja) * 2002-05-30 2003-12-05 Tdk Corp 太陽電池ユニットを用いた携帯機器
KR20060037598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20075976A (ko) * 2010-12-29 2012-07-09 이희재 전기 기기 케이스
KR20130042205A (ko) * 2011-10-18 2013-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탄성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796A1 (ko) * 2016-02-05 2017-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US10553850B2 (en) 2016-02-05 2020-02-04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over-charge prevention structure
WO2023146202A1 (ko) * 2022-01-25 2023-08-0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팩
CN117199677A (zh) * 2023-11-07 2023-12-08 河南锂动电源有限公司 一种特种作业防爆锂电池组
CN117199677B (zh) * 2023-11-07 2024-03-01 河南锂动电源有限公司 一种特种作业防爆锂电池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158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CN205429084U (zh) 电池组和电池操作系统
JP703441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173870B1 (ko) 전지 모듈
US9667076B2 (en) Standby battery product and stackable charging system thereof
KR101495227B1 (ko) 휴대용 배터리 장치
CN109863618B (zh) 电池模块以及包括所述电池模块的电池组和能量存储系统
CN108370010B (zh) 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KR102211192B1 (ko) 단위전지모듈, 전지모듈과 전지팩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3046165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module having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US20120299299A1 (en) Self generating power source
CN203617757U (zh) 一种无线麦克风充电座
KR20140107917A (ko)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4498318U (zh) 自充电式蓝牙耳机
CN204965021U (zh) 智能手表的底壳
CN101951542A (zh) 可分离太阳能音箱
KR2017005630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599992B1 (ko) 극대화된 집광면적을 갖는 태양광 충전식 조명장치
CN201846475U (zh) 可分离太阳能音箱
KR101284950B1 (ko)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전지셀 케이스
KR20210043900A (ko) 조립이 용이한 배터리 파워 팩
CN219106416U (zh) 电池箱
CN111555392B (zh) 充电盒
CN212935559U (zh) 一种地球物理勘探便携式充电设备
KR102244949B1 (ko) 리튬 이온 파워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