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65B1 -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65B1
KR101494665B1 KR20130161539A KR20130161539A KR101494665B1 KR 101494665 B1 KR101494665 B1 KR 101494665B1 KR 20130161539 A KR20130161539 A KR 20130161539A KR 20130161539 A KR20130161539 A KR 20130161539A KR 101494665 B1 KR101494665 B1 KR 10149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valve
bush
han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발
Priority to KR2013016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는 몸체, 수동 핸들, 핸들 축, 웜 기어, 제1 부시 및 제2 부시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 핸들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 축은 상기 수동 핸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반구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웜 기어는 상기 밸브 회전 축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된 웜 휠과 체결되도록 상기 핸들 축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수동 핸들 및 상기 웜 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축이 결합되어 편심 축을 가지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동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핸들 축 및 상기 핸들 축과 결합된 상기 제2 부시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핸들 축의 회전 축이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원뿔 편심 회전하며, 상기 편심 축은 제2 부시의 중심 축에 대하여 기울어진다.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는 핸들 축이 원뿔 편심 회전하여, 핸들 축에 치절되어 있는 웜 기어와 밸브 회전 축에 치절되어 있는 웜 휠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유도되어 마모 및 파손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축이 원뿔 편심 회전하므로 2개의 부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부재를 요구하지 않아 부품의 수가 줄고 가공이 간단하다.

Description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DECLUTCH APPARATUS FOR VALVE ACTUATOR USING CONICAL SHAPED ECCENTRIC ROTATATION}
본 발명은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디클러치 장치를 포함하여, 부품의 수가 줄고 가공이 간단하며, 맞물리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릴 때의 마모가 감소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은, 밸브 회전 축과 밸브 작동기가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밸브 작동기의 밸브 회전 축이 수동 핸들과 연결되어 유로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제2 모드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은 수동 핸들에 연결된 회전 축이 원통 회전 반경을 그리면서 상기 밸브 회전 축과 치차 결합한다.
수동 핸들의 회전 축에 치절된 웜 기어 및 상기 밸브 회전 축에 치절된 웜 휠은 사선으로 치절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시키는 작업이 수동 핸들을 회전시켜 치절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과, 수동 핸들에 연결된 회전 축을 이동시키는 작업으로 이원화되어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워서 조작 미숙이나 부주의로 인한 부품의 파손이나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동 핸들에 연결된 회전 축을 이동시켜 웜 기어와 웜 휠을 치차 결합하는 과정에서 웜 기어와 웜 휠이 완전히 결합되어지기 전까지 웜 기어와 웜 휠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웜 기어 및 웜 휠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종래의 디클러치 장치는 수동 핸들에 연결된 핸들 축과 몸체의 양 측에 배치되어 핸들 축과 결합하는 2개의 부시들로 이루어진다. 수동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2개의 부시들이 동시에 회전되어 웜 기어와 웜 휠이 결합되어져야 한다. 2개의 부시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외부에 별도의 핸들을 추가하거나 내부에 연결 부재를 두는 등의 2개의 부시들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요구되어 별도의 부품 및 가공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결합된 밸브 회전 축과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동 핸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핸들 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킨다.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는 몸체, 수동 핸들, 핸들 축, 웜 기어, 제1 부시 및 제2 부시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 핸들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 축은 상기 수동 핸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반구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웜 기어는 상기 밸브 회전 축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된 웜 휠과 체결되도록 상기 핸들 축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수동 핸들 및 상기 웜 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축이 결합되어 편심 축을 가지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동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핸들 축 및 상기 핸들 축과 결합된 상기 제2 부시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핸들 축의 회전 축이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원뿔 편심 회전하며, 상기 편심 축은 제2 부시의 중심 축에 대하여 기울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링크 볼 베어링 및 로드엔드 베어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웜 휠 및 상기 웜 기어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메커니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동 핸들의 회전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버튼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며, 상기 제2 부시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는 핸들 축이 원뿔 편심 회전하여, 핸들 축에 치절되어 있는 웜 기어와 밸브 회전 축에 치절되어 있는 웜 휠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유도되어 마모 및 파손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축이 원뿔 편심 회전하므로 2개의 부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부재를 요구하지 않아 부품의 수가 줄고 가공이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제1 모드 상태의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동력이 인가되는 제2 모드 상태의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축 부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제1 모드 상태의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동력이 인가되는 제2 모드 상태의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축 부시의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밸브 디클러칭 시스템은, 몸체(200) 내부의 밸브 회전 축(10)과 작동기(100)가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여, 수동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제1 모드 및 상기 몸체(200) 내부의 밸브 회전 축(10)이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의 수동 핸들(210)과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하여, 수동 동력이 인가되는 제2 모드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기(100)는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결합된 밸브 회전 축(10)과 상기 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동 핸들(2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핸들 축(220)을 연결 또는 분리시킨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200) 내부에 상기 밸브 회전 축(10)과 상기 작동기(100)가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여, 수동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작동기(100)는 구동 모터, 로터리 방식의 공압식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기(100)는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와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회전 축(10)은 웜 휠(11)을 포함한다. 상기 웜 휠(11)은 예를 들어, 톱니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웜 휠(11)은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웜 휠(11)은 상기 밸브 회전축(10)을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웜 휠(11)은 상기 밸브 회전축(10)과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회전축(10)과 상기 웜 휠(11)은 서로 스플라인 결합(spline connection), 키 결합(keyed connection)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 회전축(10) 및 상기 웜 휠(11)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작동기(100)와 상기 밸브 회전 축(10)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기(10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밸브 회전 축(1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0) 내부의 상기 밸브 회전 축(10)이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의 수동 핸들(210)과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하여, 수동 동력이 인가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는 몸체(200), 수동 핸들(210), 핸들 축(220), 제1 부시(230), 제2 부시(231), 플랜지(flange)(240), 메커니컬 밸브(mechanical valve)(250) 및 트래블 스토퍼(travel stopper)(260)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 핸들(210)은 상기 몸체(2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수동 핸들(2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 축(220)의 일단은 반구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222)는 절삭 가공되어 반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부(222)는 링크 볼 베어링 및 로드엔드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웜 기어(221)는 상기 핸들 축(220)의 측면에 치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웜 기어(221)는 상기 밸브 회전 축(10)의 측면에 형성된 웜 휠(11)과 체결된다. 상기 웜 기어(221)는 상기 핸들 축(220)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웜 기어(221)는 밀링 머신, 셰이퍼 등으로 절삭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시(230)는 상기 몸체(200)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222)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시(230)는 상기 몸체(200)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 축(220)의 고정부(222)가 원뿔 편심 회전의 중심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2 부시(231)는 상기 수동 핸들(210) 및 상기 웜 기어(2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시(231)는 상기 핸들 축(220)이 결합되어 편심 축(A2, A3)을 가지도록 내부에 관통 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 축(A2, A3)은 상기 관통 홀(232)의 중심 축이다. 상기 편심 축(A2, A3)은 상기 제2 부시(231)의 중심 축(A1)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상기 수동 핸들(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 축(220) 및 상기 핸들 축(220)과 결합된 상기 제2 부시(231)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핸들 축(220)의 회전 축이 상기 반구 형태로 형성된 핸들 축(220)의 고정부(222)를 중심으로 원뿔 편심 회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 축(220)의 회전 축은 원뿔 형태의 회전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제2 부시(231)의 중심 축(A1)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기 편심 축(A2, A3)을 포함하여 원뿔 편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중심 축(A1)은 핸들 축이 원뿔 편심 회전하지 않는 경우의 일반적인 핸들 축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중심 축(A1)은 핸들 축이 원통 회전하는 경우의 핸들 축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편심 축은 제1 편심 축(A2) 및 제2 편심 축(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심 축(A2)은 수동 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기 제1 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핸들 축(220)의 중심 축을 의미한다. 상기 제2 편심 축(A2)은 수동 동력이 인가되는 상기 제2 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핸들 축(220)의 중심 축을 의미한다.
상기 수동 핸들(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 축(220)이 원뿔 편심 회전하며, 상기 웜 기어(221)가 상기 밸브 회전 축(10)의 상기 웜 휠(11)에 맞물려, 상기 밸브 회전 축(10)에 원뿔 편심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동 핸들(2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 축(220) 및 상기 핸들 축(220)과 결합된 상기 제2 부시(231)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핸들 축(220)은 원뿔 편심 회전한다. 즉,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중심 축(A1)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진 제1 편심 축(A2) 및 제2 편심 축(A3)을 포함하여 원뿔 편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중심 축(A1)으로부터 좌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기 제1 편심 축(A2)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동 핸들(2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중심 축(A1)으로부터 우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제2 편심 축(A3)을 향하여 원뿔 편심 회전하도록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중심 축(A1)을 축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기 제1 편심 축(A2) 및 상기 제2 편심 축(A3)을 최대 회전 반경으로 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심 축(A2) 및 상기 제2 편심 축(A3)은 상기 고정부(222)를 중심으로 상기 중심 축(A1)으로부터 1도 내지 20도의 범위를 가지도록 기울어진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편심 축(A2) 및 상기 제2 편심 축(A3)이 상기 중심 축(A1)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는 상기 웜 기어(221) 및 상기 웜 휠(11)이 치절된 각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축(220)은 상기 수동 핸들(210)의 회전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핸들 축(22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웜 기어(221)와 상기 밸브 회전축(10)의 상기 웜 휠(11)이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 핸들(210)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밸브 회전 축(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flange)(240)는 상기 핸들 축(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40)는 상기 제2 부시(2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40)는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동 핸들(210)의 회전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는 디클러치 작동을 위하여 상기 작동기(100)를 온/오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는 메커니컬 밸브(250)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밸브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기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는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는 버튼(251)을 온/오프 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는 측면에 상기 버튼(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251)은 상기 몸체(200) 내부의 상기 밸브 회전 축(10)과 상기 작동기(100)가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작동기(1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메커니컬 밸브는 측면에 온/오프 레버를 장착하여 레버를 상하 내지 좌우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40)는 상기 핸들 축(22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버튼(251)을 오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랜지에 의하여 메커니컬 밸브의 버튼이 오프되지 않고, 별도로 버튼을 눌러 오프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의 상기 버튼(251)이 오프되어, 상기 작동기(1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동 핸들(210)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밸브 회전 축(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40)는 상기 몸체(200)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회전 동력이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상기 플랜지(240)는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의 상기 버튼(251)과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동 회전 동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동 핸들(210)을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240)를 상기 메커니컬 밸브(250)의 버튼(251)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버튼(250)을 오프(off)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1000)는 상기 밸브 회전 축(10)의 회전 각을 유지시키기 위한 트래블 스토퍼(travel stopper)(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블 스토퍼(260)는 상기 몸체(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트래블 스토퍼(260)는 상기 밸브 회전 축(10)의 회전 각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각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10: 밸브 회전 축
100: 작동기 200: 몸체
210: 수동 핸들 220: 핸들 축
230: 제1 부시 231: 제2 부시
240: 플랜지 250: 메커니컬 밸브
260: 트래블 스토퍼

Claims (4)

  1.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결합된 밸브 회전 축과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동 핸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핸들 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동 핸들;
    상기 수동 핸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반구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핸들 축;
    상기 밸브 회전 축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된 웜 휠과 체결되도록 상기 핸들 축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치절되어 형성된 웜 기어;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 부시; 및
    상기 수동 핸들 및 상기 웜 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축이 결합되어 편심 축을 가지도록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핸들 축 및 상기 핸들 축과 결합된 상기 제2 부시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핸들 축의 회전 축이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원뿔 편심 회전하며,
    상기 편심 축은 상기 제2 부시의 중심 축에 대하여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링크 볼 베어링 및 로드엔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메커니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핸들의 회전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버튼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며, 상기 제2 부시와 결합되는 플랜지(flang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KR20130161539A 2013-12-23 2013-12-23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KR10149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539A KR101494665B1 (ko) 2013-12-23 2013-12-23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539A KR101494665B1 (ko) 2013-12-23 2013-12-23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665B1 true KR101494665B1 (ko) 2015-02-23

Family

ID=5259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539A KR101494665B1 (ko) 2013-12-23 2013-12-23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5603A (zh) * 2016-10-20 2018-04-27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小型化紧凑型传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40Y1 (ko) 2005-12-08 2006-02-20 김만진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밸브
KR100836868B1 (ko) 2007-06-29 2008-06-11 (주) 티엠지코리아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KR20120013134A (ko) * 2010-08-04 2012-02-14 주식회사알피엠텍 전동식 밸브 작동기의 클러치 장치
KR101221054B1 (ko) 2012-10-24 2013-01-10 김대용 다각도 개폐가 가능한 웜 기어형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40Y1 (ko) 2005-12-08 2006-02-20 김만진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밸브
KR100836868B1 (ko) 2007-06-29 2008-06-11 (주) 티엠지코리아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KR20120013134A (ko) * 2010-08-04 2012-02-14 주식회사알피엠텍 전동식 밸브 작동기의 클러치 장치
KR101221054B1 (ko) 2012-10-24 2013-01-10 김대용 다각도 개폐가 가능한 웜 기어형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5603A (zh) * 2016-10-20 2018-04-27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小型化紧凑型传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50407A4 (de) Antrieb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1158407A (zh) 手动转换阀
JP2007155075A (ja) アクチュエータ
HK1128074A1 (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NO20111051A1 (no) Manuelt overstyringsapparat for lineaere aktuatorer
US20140001384A1 (en) Manual valve operator with override clutch apparatus
JP2015068573A5 (ko)
WO2013102775A3 (en) Driving mechanism
EP3376083A1 (en) Valve actuator
KR101494665B1 (ko) 원뿔 편심 회전을 이용하는 밸브 작동기 디클러치 장치
KR20030078704A (ko) 밸브 구동장치 및 그 시리즈
US8561490B2 (en) Farm vehicle power take-off
KR101237779B1 (ko) 공작기계용 선회형 헤드
BR102016004447A2 (pt) dispositivo de engate do tipo de engrenamento
WO2009129966A3 (de) Getriebe und eine differentialgetriebeeinrichtung
CN104565508B (zh) 角行程调节阀的横装式气动活塞式执行机构
US9829073B2 (en) Gearbox for a self-propelled device such as a lawnmower
KR101028505B1 (ko)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자동밸브
CN104555773A (zh) 一种液压绞车
US9046168B2 (en) Device for actuating a valve
KR102223559B1 (ko) 액추에이터 분리형 디클러치 유닛 장치
JP2009012173A (ja) 手工具装置
KR20170105492A (ko) 공작 기계용 가공 유닛 및 이러한 가공 유닛을 구비하는 공작 기계
CN204646865U (zh) 一种范围挡气缸锁挡机构
CN205331199U (zh) 设有双传动结构的转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